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KRIVET 정책연구 [전자자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연구자료 ; 2017-1-1
면수
234
제어번호
MONO1201826251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2016 KRIVET 정책연구』를 발간하며 3

제1장 2016년 정책연구 방향 및 성과 8

2016년 정책연구 방향 및 성과 9

1. 미래 인적자원개발 정책연구 10

2. 평생직업ㆍ진로교육 정책연구 11

3. 고용ㆍ직업능력개발 정책연구 12

4. 능력중심사회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 13

5. 인적자원 글로컬(Glocal) 협력ㆍ확산을 위한 정책연구 15

제2장 미래 인적자원개발 정책 연구 16

2-1. 숙련과 고용-공정성에 기반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를 중심으로 17

2-2.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 (2016) 22

2-3. 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설치ㆍ운영 방안 27

2-4. 지능정보기술 확산과 숙련수요의 변화 34

2-5. 직업의 미래와 인적자원개발 전략 39

2-6. 인공지능 융합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집단학습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43

2-7. 지역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강화 방안 48

2-8. 지역균형인재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지원 전략 53

제3장 평생직업ㆍ진로교육 정책 연구 60

3-1. 지방정부의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 및 평생직업교육훈련 지원 활성화 방안 61

3-2. 광복 70년의 직업교육 정책 변동과 전망 67

3-3. 산업인력의 직무수준에 따른 직업교육기관간 역할 분담 방안 연구 74

3-4.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 대한 종단적 내러티브 탐구 79

3-5. 국내 직장 괴롭힘의 실태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84

3-6. 진로교육법 체제에서 진로교육 추진 현황과 과제 89

3-7.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개발 및 취업 활성화 방안 94

3-8.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6) 100

3-9. 자유학기제 연계 진로체험활동 연구 106

제4장 고용ㆍ직업능력개발 정책 연구 111

4-1.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112

4-2.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실태와 과제 121

4-3. 능력중심사회와 청년노동시장 126

4-4. 노동시장내 청년창업 생태계 구축 방안 132

4-5. 능력중심사회와 직업훈련: 직업훈련기관 운영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138

4-6.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본소득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연구 144

4-7. 노동시장 정책 평가를 위한 시률레이션 방법론 연구 : 행위자기반모형을 중심으로 148

4-8.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및 성과 혁신 체계 구축 152

제5장 능력중심사회 체제 구축 지원 159

5-1. NCS 기반 훈련생 역량평가 운영방안 연구 160

5-2. NCS 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원 관련 법제 개선 방안 165

5-3 주요국가 NCS 제도 관련 정책적 발전 동향 분석 171

5-4. NCS 기반 직업교육훈련 정책의 추진 현왕 및 향후 과제 177

5-5.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고교 직업교육기관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184

5-6. NCS 기반 자격정책의 진단과 개선과제 189

5-7. 자격체제 관리ㆍ운영 방안 195

5-8.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연구 II 199

제6장 인적자원 글로컬(Glocal) 협력ㆍ확산 205

6-1. 한국영 산업발전-직업교육훈련 연계 모델 연구 206

6-2. 유네스코 직업기술교육 지원사업(BEAR)의 발전을 위한 유ㆍ무상 원조 연계방안 212

6-3. 아시아 개발도상국을 위한 효율적인 직업교육훈련 분야 ODA 정책 지원방안 연구 216

6-4. 현장기반 직업교육훈련(VET)국제비교 연구-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분야 사례 연구(Cose Study) 221

제7장 2017 연구사업 추진 방향 226

1. 경영목표와 2017년 연구사업 목표 227

2. 2017년 연구사업 운영 방향 227

3. 2017년 중점연구사업 229

4. 2017년 연구사업 개요 230

판권기 233

〈표 2-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 CESA) 지원과 활용 10개년 계획 23

〈표 2-2〉 2002년과 2016년의 주요 숙련 및 설명 비율 37

〈표 2-3〉 인적자원개발 전략 및 정책 과제 42

〈표 2-4〉 창조센터와 대학 간 협력에 영항을 주는 요인 분석 결과 50

〈표 2-5〉 대학 소재 지역 중 대학 위기 가능성 지역 추정 결과 54

〈표 2-6〉 재학생 규모별 지방대학의 소멸에 따른 경제적 효과 추정 55

〈표 2-7〉 지방대학 경쟁력 측정지표 체계 55

〈표 3-1〉 10년 후 직업교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외 환경 변화 요인 72

〈표 3-2〉 설문조사 주요 항목 분석 종합표 76

〈표 3-3〉 고졸 청년 취업자의 일, 학습, 삶에서 공명하는 주제 82

〈표 3-4〉 초ㆍ중등학교와 대학 진로교육 주요 요구 분석 92

〈표 3-5〉 인문학 전공생의 진로 개발 및 취업 장애 요인 96

〈표 3-6〉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 개발 및 취업 성공 요인 97

〈표 3-7〉 직업 대분류별 근무 여건 영역의 현재 및 10년 후 전망 103

〈표 3-8〉 직업별 일자리 수 변화(증가) 지표의 현재 및 10년 후 전망 103

〈표 4-1〉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교육훈련 123

〈표 4-2〉 KPI 도출 결과(예시) 155

〈표 5-1〉 연구의 범위 178

〈표 5-2〉 기초 분석 기준(안) 및 분석 내용 179

〈표 5-3〉 NCS 기반 직업교육훈련 정책 모니터링 지표(안) 180

〈표 5-4〉 항후 정책 과제별 주요 내용 및 단ㆍ중ㆍ장기 추진 로드맵 183

〈표 5-5〉 6학급 기준의 표준 설비ㆍ재료비에 대한 기존 및 현행 연구 결과 비교 188

〈표 5-6〉 자격정잭 진단의 영역/항목, 요소 및 방법 190

〈표 5-7〉 평가영역별 민간자격 효용성 점수 202

〈표 6-1〉 개발협력 사업간 연계 유형 분석 체계 214

〈표 6-2〉 사례조사를 위한 설문내용 223

[그림 2-1] 숙련향상 및 고용창출을 위한 공정성 지각에 기반한 CSR 활동의 역할 19

[그림 2-2] 산업교육센터의 역할과 수행 방안 31

[그림 2-3] 산업교육센터의 조직 구성 33

[그림 2-4] 미국 특허청 기준 지능정보 기술 관련 등록 특허 추이 35

[그림 2-5] 정책 과제별 현재 및 미래 중요성 41

[그림 2-6] 지방대학 경쟁력 측정 시 평가 영역 순위 56

[그림 2-7] 정부의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 지원전략 수립 방항 58

[그림 3-1] 직업교육 정책 분석 틀(안) 69

[그림 3-2] 중등 직업교육정책과 중등직업교육학생 비중, 취업률, 진학률간의 관계 70

[그림 3-3] 전문대학 정책과 전문대생 비중, 취업률, 대학편입률간의 관계 71

[그림 3-4] 직무수준에 따른 인력양성을 위한 학교급별 역할분담을 위한 개념틀 78

[그림 3-5]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90

[그림 3-6]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101

[그림 3-7]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최종 개발(안) 102

[그림 3-8] 맞층헝 취업과 직업 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전략 및 과제 105

[그림 4-1] 학습한 내용의 현업 적용도 114

[그림 4-2] 직무수행능력 항상 정도 114

[그림 4-3] 조직ㆍ직무 적응 115

[그림 4-4] 조직ㆍ직무 만족도 116

[그림 4-5] 조직ㆍ직무 몰입도 116

[그림 4-6] 경력몰입도 116

[그림 4-7] 근속의지 117

[그림 4-8]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노동시장 적응 실태 및 정착 성과 관련 주요 이슈 및 개선 방안 120

[그림 4-9] NCS 도입 전후 훈련 운영 '단계'별 업무 비중 및 중요도의 변화 140

[그림 4-10] NCS 도입 이후의 훈련 시장 '훈련 공급'과 '훈련 정책', '훈련 수요' 간의 관계도 143

[그림 4-11]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 수행 범위 154

[그림 4-12]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진단을 위한 측정 영역 분류표 154

[그림 4-13]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혁신 체계 모형(안) 156

[그림 4-14] 국가차원의 직업능력개발 R&D 성과 혁신 체계 운영 방안(종합) 157

[그림 5-1] 교원 양성 델파이 추정값 변화 추이 167

[그림 5-2] 교원 임용 델파이 추정값 변화 추이 168

[그림 5 3] 교원 연수 및 지원 델파이 추정값 변화 추이 169

[그림 5-4] 추후 제안 정책 과제 간의 연계 182

[그림 5-5]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표준교육비 산출 모형 186

[그림 6-1] 1960~1970년대 산업발전과 직업교육훈련 관계분석의 세 가지 축 207

[그림 6-2] 경부고속도로와 산업의 관계 210

[그림 6-3] 개발협력 연계 분석 진행 체계 21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