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리학의 형성과 심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9396
181.152 -18-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9397
181.152 -18-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조선은 이학을 지배이념으로 성립한 주자학의 나라이다. 조선 주자학은 조선 전기에는 서경덕과 이언적에 의해 불교와 도교의 비판과 극복과정에서 발전을 하였고, 이어 이황과 이이를 통해 중국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새로운 주자학의 이론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조선 주자학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상사의 거시적 흐름 속에서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제1부에 실린 첫 번째 글은 주희의 대표적인 철리시인 「재거감흥」 시를 다루었다. 주희는 「재거감흥」 시에서 만세 심학의 도통을 제시했다. 그는 요 · 순 · 우탕 · 문왕 · 무왕 · 주공 · 공자 · 안자 · 증자 · 자사 · 맹자 · 정이의 도통을 읊었다. 또한 그는 춘추의 필법을 제시하고 있고, 심학의 핵심 내용인 경(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조의 주자학자들은 이 「재거감흥」 시를 주희가 도를 전한 글로 이해를 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고 주석을 하여 조선 주자학의 심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성리서의 하나로 생각하고 탐구하였다. 조선조 주자학자들은 이 「재거감흥」 시를 통해 요순 이래 전해온 만세 심학의 도통을 명료하게 이해하여 수용하였고, 주희의 의리론과 정통론을 받아들였고, 기호학계에서는 심과 기의 관계에서 심은 곧 기라고 주장하여 중국의 주자학의 심에 대한 이해와는 다른 조선의 독자적인 이학적 이해의 측면을 보여주었다. 제2부에서는 조선조의 저명한 학자인 김굉필·이연경·조목·장현광·조경·박세당을 다루었다. 주자학의 정치 이념이 지배하는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순도자가 필요했다. 김굉필은 김종직의 제자로 사화의 시대에 사도를 자임하여 문도를 모아 가르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당시까지의 사장 학풍과 결별을 선언하고 일상에 도가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강조하고 몸소 소학의 가르침을 실천하였다. 그는 일상에 도가 있다는 사실을 자신의 생활에서 보여주었고 그 도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순도의 모습으로 구현하였다. 그는 마지막 죽음에 임하여 부모로부터 받은 수염 한 올도 다쳐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수염을 거두어 물고 도를 위해 순교하는 순도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사장과 결별을 하고 도학을 선창하고 의리를 가르치고 실천하여 장차 16세기의 성학과 17세기 이후 풍미하는 의리 학풍의 선각자로서의 사명을 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조선 후기의 낙론과 호론의 학설과 학자들을 다루었다. 경기도 용인의 심곡서원과 한천정사 등에서 20여 년간 강학했던 이재나 양주의 석실서원에서 강학했던 김원행은 소학교육을 특히 중시하였다. 이재와 김원행은 둘 다 기질(氣質)을 변화시키는 공부를 강조하였고, 기질을 변화시켜 성인(聖人)을 배우고자 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김한록은 송시열 ․ 권상하 ․ 한원진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였다. 그는 평생 심성(心性)에 대해 깊은 탐구를 시도하여, ‘인심(人心)’과 ‘허령(虛靈)’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하였다. 그는 김근행이 ‘인심(人心)’은 악(惡)에 흐르기 쉽고 악(惡)을 겸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하자, ‘인심(人心)’에서는 선(善)과 악(惡)을 거론할 수 없고 오직 ‘위(危)’라고만 말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인심(人心)’은 오직 ‘위(危)’하므로, 인간의 의식과 행위에 의해 선(善)으로 흐를 수도 있고 악(惡)으로 흐를 수도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