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제2차) 탈북학생 교육지원 교사 직무연수 [전자자료] / 교육부 주최 인기도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개발원,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연구자료 ; CRM 2017-115-02
면수
251
제어번호
MONO1201827345
주기사항
기간: 2017년 8월 8일(화)~8월 9일(수), 장소: 베스트웨스턴 아리랑힐동대문호텔
공동발행: 서울특별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부 탈북학생 교육지원 정책의 이해 / 김서연 10

Ⅰ. 추진 배경 12

Ⅱ. 추진 경과 13

Ⅲ. 탈북학생 현황 14

Ⅳ. 교육 경로별 교육 내용 19

Ⅴ. 정책 비전 및 주요 과제 20

1. 탈북학생 맞춤형 교육 강화 21

2. 탈북학생 진로ㆍ직업교육 내실화 27

3. 탈북학생 교육지원 기반 공고화 30

제2부 북한 사회의 변화와 북한이탈주민 이해 / 윤여상 37

Ⅰ. 북한이탈주민 특성 이해 39

Ⅱ. 최근 탈북 청소년 특성 이해 43

Ⅱ-1. 최근 탈북 청소년 특성 43

Ⅱ-2. 탈북 청소년 지원체계 44

Ⅱ-3/Ⅱ-2. 입국 특징 및 특성 변화 44

Ⅱ-4/Ⅱ-3. 해외 체류 기간 45

Ⅱ-5/Ⅱ-4. 북한에서의 학력 45

Ⅲ. 북한이탈주민의 입국배경 변화 46

Ⅲ-1. 북한이탈주민의 입국배경 변화 46

Ⅲ-2. 탈북동기-최종탈북 시기별 47

Ⅳ. 탈북 청소년 유형과 멘토 필요성 47

Ⅳ-1. 해외 체류시 출생 자녀 48

Ⅳ-2. 해외 체류시 배우자와 자녀 48

Ⅳ-3. 탈북자녀 유형별 분류 49

Ⅳ-4. 탈북자녀 유형별 분류 49

Ⅳ-5. 해외 출생 자녀 입국자 규모 50

Ⅳ-6. 미보호청소년 증가와 신규과제 50

제3부 A반 : 북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 김유연 53

Part 1. 탈북학생의 북한 교육경험 55

Part 2. 북한교육의 역사 56

Part 3. 북한교육의 현황 61

Part 4. 북한교육의 특징 65

제3부 B반 : 북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 박수현 69

1. 북한 교육체제 71

1-1. 북한의 학제 변천 71

1-2. 남북한 학제 비교 72

1-3. 북한의국가수준 고급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세부 규정 73

1-4. 북한의 연령별, 교육단계별 학생 비율 74

1-5. 교원양성 : 북한의 학교급별 교육자 비율 76

2. 북한 교육의 특성 79

2-1. 교육정책과 교육제도 79

2-2. 북한 교육의 특성 : 대학입시 80

2-3. 북한 교육의 특성 : 특수교육기관 80

3. 북한 학생의 하루일과 81

3-1. 북한학생의 하루 일과 81

3-2. 북한학생의 과외활동 82

4/5. 북한이탈주민학생의 지도 83

4-1/5-1. 북한이탈주민 학생의 특성 83

4-2/5-2. 학생 지도 시 유의할 점 84

제4부 A반 : 탈북학생 초기ㆍ전환기 교육 이해 / 강구섭;조형국 86

삼죽초등학교 현황 88

탈북학생 삼죽초 입학 학생수 현황 88

최근 1년 초등 탈북학생 삼죽초 입학 학생수 현황 89

특별학급 연혁 89

탈북학생 특징 90

교육 관련기관 간 협력체제 구축 91

12주간의 특별학급 흐름 91

입학 첫날 맞이행사(초등) 92

통합교육과정 운영 92

학력향상 프로그램 93

남한사회 체험학습 1 93

남한사회 체험학습 2 94

다양한 예체능 활동 94

상담 활동(미술 치료) 95

교육 이력카드 개발 활용 95

탈북 선배 멘토링 프로그램 96

대한민국 이해 미디어 및 인권교육 96

정착지 학교 방문 프로그램 운영 97

제4부 B반 : 탈북학생 초기ㆍ전환기 교육 이해 / 김지수;윤도화;김정원 98

탈북학생 초기ㆍ전환기 교육의 이해 / 윤도화 99

1. 들어가는 말 99

2. 탈북청소년 일반적 실태 99

3. 탈북청소년 학교 적응 실태 104

4. 한겨레중고등학교의 향후 중점 운영 계획 111

5. 나가는 말 115

참고문헌 115

탈북학생 초기ㆍ전환기 교육 이해 / 김정원 116

1. 탈북학생 초기·전환기 교육 116

[분임토론] 탈북교사와의 대화, 토론 / 박금주;최명순;배수연;한철 120

북한 교육과 탈북학생 이해 / 박금주 121

1. 북한 교육과 자녀교육 121

2. 탈북학생 이해 123

참고문헌 128

북한의 교육과 탈북학생 지도 사례 / 최명순 129

탈북코디네이터 최명순 130

북한 교육 이해 130

시험제는~ 131

교수준비는~ 131

소학교 과목 132

북한교육 중 시험점수 기준은 132

초급중3년, 고급중3년 과목 133

소년단, 사로청 지도교원 역할 133

방과 후 학습, 예술, 체육 지도 134

학급에서 수재 학생 발굴~ 134

전담코디네이터 역할 135

탈북학생 만남~ 135

탈북학생지도 사례 136

3국출생지도 사례2 136

사례를 통한 지도방법 137

탈북학생에 대한 지도의 기본은~ 137

효과적인 탈북학생 교육지원 방안 토의 / 배수연 139

Ⅰ. 시작하면서 139

Ⅱ.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 139

Ⅲ. 탈북가정 및 탈북학부모 이해 143

Ⅳ. 나가면서 147

한국에서 다시 교사되기 / 한철 148

1. 성장과 진로 148

2. 고달프기만 했던 대학교생활 148

3. 북한에서의 교직에 대한 회고 149

4. 탈북동기와 남한입국, 이후의 적응과정 150

5. NK교사아카데미 참가 동기와 소감 151

6. 국민대학교의 편입학과 대학교 학생생활 소감 152

7. 본인의 비전 153

제6부 A반 :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및 지역사회 연계 방안 / 김선화 154

Ⅰ. 탈북민의 정착현황(현황 및 적응 현황) 156

1. 탈북배경 및 과정, 특성 156

2. 인구학적 현황 및 특성 158

3. 경제적 적응 현황 160

4. 전반적인 적응 현황 162

Ⅱ. 기존 탈북민 정책의 방향에 대한 평가 정책 전반적인 평가 170

Ⅲ. 지역사회의 통일준비 방향 및 역할 171

1. 남북한 주민 통합 방식으로 정착지원하기 172

2. 탈북민의 자발적, 주도적 참여 173

3. 탈북민에 대한 인식개선과 통일담론 형성 174

Ⅳ. 지역정착지원을 위한 하나센터 이해 및 연계방법 174

1. 하나센터 설치 배경 175

2. 하나센터 현황 175

3. 서울4개 하나센터의 서비스 권역 176

4. 하나센터 운영 구조 176

5. 하나센터 주요사업 개요 177

6. 하나센터와 학교의 연계방안 182

제6부 B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및 지역사회 연계 방안 / 전연숙 184

1. 현황 185

2. 정착지원 체계 186

3. 정착지원프로세스 186

4. 목표 및 추진방향 187

가. 목표 187

나. 추진방향 187

5. 세부 추진계획 188

가. 정착단계별 종합 플랫폼 설계 188

나. 탈북민정책 협업체계 강화 190

[붙임 1] 정착지원제도 191

[붙임 2] 분야별 주요 제도 개편안 194

제7, 9부 제3국 출생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이해' / 윤희성 196

1. 제3국 출생 학생의 한국어교육 필요성 197

2. 한국어교육과정(KSL)이란 198

3. 한국어 학습자로서 제3국 출생 학생의 특성 199

4. 의사소통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실제 200

제7, 9부 탈북학생 맞춤형 교육자료 활용 / 안경식 206

1. 기초학력 진단평가 207

2. 초등수학 보충교재 209

3. 돋움교과서 211

4. 이야기로 나누기 이야기로 손잡기 216

[분임토론] A반 : 탈북학생 맞춤형 지도 방법 221

발표 순서 223

번개토론! 224

작은 거인과의 첫 만남! 224

작은 거인과 함께 하는 문화 만들기 225

작은 거인과 마주하기 225

사랑영역 226

배움영역 229

꿈영역 230

탈북학생 멘토링 운영의 유의점 231

[분임토론] B반 : 탈북학생 맞춤형 지도 방법 / 장현선 232

1. 중학교에서의 탈북학생 지도는 234

2. 2016년 지도 학생 실태분석 234

3. 멘토링 프로그램 적용 236

1. 경제적 지원방안 마련 236

2. 나를 성찰하고 가꾸다(자기 조율) 237

3. 관계를 만들어가다(관계 조율) 238

4. 사회 속의 나의 역할을 찾다(공익조율) 239

4.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와 아쉬운 점 239

1. 효과 239

5. 탈북학생 지도를 할 수 있었던 힘은? 241

6. 2017학년도 탈북학생 지도 계획 241

1. 대상 학생 241

2. 학생별 실태 조사 241

3. 멘토링 프로그램 적용 243

제10부 탈북학생 교육과 교원의 역할 244

1. 탈북학생이란? 245

2. 탈북하여 한국 입국까지의 경험 246

3. 탈북학생의 특성?! 247

가. 모든 탈북학생들에게 적용되는 '일관적인 특성은 없다' 247

나. 탈북학생이 한국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247

4.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 인식 249

5. 탈북학생을 위한 교사 멘토링 250

판권기 251

제4부 B반 : 탈북학생 초기ㆍ전환기 교육 이해 / 김지수;윤도화;김정원 100

〈표-1〉 북한출신지역 100

〈표-2〉 탈북당시 북한의 학력 101

〈표-3〉 입국기간 102

〈표-4〉 입국 후 가족관계 103

〈표-5〉 북한에서의 부모직업 103

〈표-6〉 입국 과정에서 부모님과 떨어진 횟수 104

〈표-7〉 탈북청소년 희망 최종학력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5

〈표-8〉 친한 남한 친구의 수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6

〈표-9〉 친한 북한친구의 수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6

〈표-10〉 북한출신 공개 여부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7

〈표-11〉 북한 출신 비공개 이유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8

〈표-12〉 탈북청소년 사교육 여부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8

〈표-13〉 학교생활에서 어려운 문제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09

〈표-14〉 탈북청소년들에게 향후 필요한 지원(복수선택 가능)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110

제7, 9부 제3국 출생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이해' / 윤희성 201

〈표 1〉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학습 절차 201

〈표 2〉 의사소통 교수법을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 예시 201

제10부 탈북학생 교육과 교원의 역할 246

〈표 1〉 탈북학생 지칭 용어 및 지원 비교 246

〈그림 1〉 정착지원 중심학교 운영 체계도 11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