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제출문

연구협력진

머리말 / 성기선

연구요약

목차

I.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2. 연구 내용 20

가. 고등학교 미술과 평가기준 개발 방향 설정 20

나.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미술'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 20

다.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 '미술 창작' 및 '미술 감상과 비평'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 21

라. 고등학교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 21

마. 현장 적합성 검토 및 수정 보완 21

3. 연구 방법 21

가. 문헌 연구 21

나. 전문가 협의회 및 정책 협의회 22

다. 현장 적합성 검토 22

라. 총론 및 교과 합동 워크숍 22

II.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 방향 23

1.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25

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구성 25

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방향 28

2.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의 의미 35

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36

나. 평가준거 성취기준 38

다. 평가기준 39

라. 단원/영역별 성취수준 40

3. 평가준거 성취기준 개발 방향 40

4. 평가기준 개발 방향 43

5. 단원/영역별 성취수준 개발 방향 46

6. 예시 평가도구 개발 방향 50

7.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 코딩 체계 54

III. 미술과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개발의 실제 57

1. 평가준거 성취기준 59

가. 개발 방향 59

나. 현장 적합성 검토 60

다. 개발 예시 61

2. 평가기준 64

가. 개발 방향 64

나. 현장 적합성 검토 64

다. 개발 예시 66

3. 영역별 성취수준 68

가. 개발 방향 69

나. 현장 적합성 검토 69

다. 개발 예시 71

4. 예시 평가도구 73

가. 개발 방향 73

나. 현장 적합성 검토 74

다. 개발 예시 81

IV. 미술과 평가준거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 활용 방안 105

1. 평가준거 성취기준 활용 방안 107

가.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의 준거로서의 활용 108

나. 미술 수업을 위한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 시 활용 109

2. 평가기준 활용 방안 111

가.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의 도달 정도 판단에 활용 111

나. 평가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설정의 근거로 활용 112

다.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에 활용 114

3. 영역별 성취수준 활용 방안 115

가.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 정도를 판단하는 준거로 활용 116

나. 영역의 교수·학습 설계에 활용 118

4. 예시 평가도구 활용 방안 119

가. 평가기준에 근거한 평가도구 개발 시 참고자료로 활용 120

나. 교과 역량을 반영한 평가도구 개발 시 참고자료로 활용 124

다. 수업과 평가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의 예시 자료로 활용 129

V. 요약 및 제언 135

1. 요약 137

2. 제언 138

가. 교사 연수의 필요성 138

나. 현장 연구 공유 채널의 필요성 139

다. 후속 연구의 필요성 140

라. 향후 개발 방안 141

참고문헌 143

부록 145

[부록 1] 주요 회의 내용 147

[부록 2]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 149

[부록 3] 일반선택 과목 [미술] 154

[부록 4] 진로선택 과목 [미술 창작] 204

[부록 5] 진로선택 과목 [미술 감상과 비평] 258

[부록 6-1]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미술 이론] 297

[부록 6-2]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미술사] 302

[부록 6-3]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드로잉] 307

[부록 6-4]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평면 조형] 311

[부록 6-5]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입체 조형] 317

[부록 6-6]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매체 미술] 322

[부록 6-7]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미술 전공 실기] 327

[부록 6-8]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예시 평가도구 개발 내역 332

[부록 6-9]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예시 평가도구 333

표목차

〈표 II-1-1〉 총론 핵심역량과 미술 교과 역량의 관계 25

〈표 II-1-2〉 '목표'에 반영된 교과 역량 27

〈표 II-2-1〉 국가 교육과정에 성취기준이 제시된 예 37

〈표 II-2-2〉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성취기준을 칭하는 용어 및 정의의 변화 38

〈표 II-4-1〉 평가기준 상/중/하의 일반적 특성 44

〈표 II-4-2〉 Bloom(1956)의 Taxanomy에 제시된 행동 동사 예시 46

〈표 II-5-1〉 5단계 성취기준의 일반적 특성 49

〈표 II-5-2〉 3단계 성취기준의 일반적 특성 49

〈표 II-7-1〉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코딩 체계 (예시) 54

〈표 II-7-2〉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1 55

〈표 II-7-3〉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2 55

〈표 II-7-4〉 평가준거 성취기준 코드 부여 예시3 55

〈표 III-1-1〉 고등학교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인 '미술 이론' 과목의 조형론 영역 교육과정... 60

〈표 III-1-2〉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기준과 검토 관점 60

〈표 III-1-3〉 고등학교 평가준거 성취기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예시 61

〈표 III-1-4〉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준거 성취기준 비교 61

〈표 III-1-5〉 고등학교 '미술' 표현 영역 평가준거 성취기준 63

〈표 III-1-6〉 예술계열 전문 과목 '미술 이론' 조형론 영역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63

〈표 III-2-1〉 평가기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기준과 검토 관점 65

〈표 III-2-2〉 고등학교 '미술 창작' 평가기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예시 65

〈표 III-2-3〉 고등학교 '미술' 체험 영역 평가기준 예시 66

〈표 III-2-4〉 고등학교 '미술 창작' 표현과 확장 영역 평가기준 예시 67

〈표 III-2-5〉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의 미술의 비평 영역 평가기준 예시 67

〈표 III-2-6〉 고등학교 전문교과 '드로잉'의 재료와 기법 영역 평가기준 예시 68

〈표 III-3-1〉 평가기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기준과 검토 관점 69

〈표 III-3-2〉 고등학교 '미술' 감상 영역 성취수준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예시 70

〈표 III-3-3〉 고등학교 '미술' 체험 영역 성취수준 71

〈표 III-3-4〉 고등학교 '미술 창작' 표현 계획 영역 성취수준 71

〈표 III-3-5〉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미술의 비평 영역 성취수준 72

〈표 III-3-6〉 고등학교 전문교과 '매체 미술' 표현 영역 성취수준 72

〈표 III-4-1〉 예시 평가도구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기준과 검토 관점 74

〈표 III-4-2〉 고등학교 '미술 창작' 예시 평가 도구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75

〈표 III-4-3〉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예시 평가 도구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 76

〈표 III-4-4〉 고등학교 '평면 조형' 예시 평가도구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예시 79

〈표 III-4-5〉 고등학교 '드로잉' 예시 평가도구에 대한 현장 적합성 검토 예시 80

〈표 III-4-6〉 고등학교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내역 81

〈표 IV-1-1〉 고등학교 '미술' 표현 영역의 평가준거 성취기준의 예 108

〈표 IV-1-2〉 고등학교 '미술 창작' 과목의 평가 계획(일부) 109

〈표 IV-1-3〉 고등학교 미술과 '미술 창작' 과목의 교육과정 편성의 예 110

〈표 IV-2-1〉 평가기준의 예: 고등학교 미술 진로선택 과목 '미술 감상과 비평' 111

〈표 IV-2-2〉 평가기준의 예: 고등학교 미술 진로선택 과목 '미술 감상과 비평' 112

〈표 IV-2-3〉 평가 문항 제작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의 예 113

〈표 IV-2-4〉 평가요소별 채점기준의 예 114

〈표 IV-2-5〉 평가기준의 예: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의 [12미감02-05] 성취기준의 경우 115

〈표 IV-3-1〉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미술 이론'의 미술의 이해 영역별 성취수준 116

〈표 IV-3-2〉 예술계열 미술과 전문 과목 '미술 이론'의 미술의 이해 영역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117

그림목차

[그림 II-1-1] '미술 창작' 성취 기준 고유 번호 부여(예시) 28

[그림 II-1-2] 교과 역량에 따른 기능-활동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구도 29

[그림 II-2-1] 평가기준 관련 용어의 변화 35

[그림 II-4-1] 평가기준 상/중/하의 학교급 간 관계 모형 44

[그림 III-4-1] 고등학교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예시 (1) 83

[그림 III-4-2] 고등학교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예시 (2) 93

[그림 IV-4-1] 평가기준에 근거한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사례 121

[그림 IV-4-2] 교과역량에 근거한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사례 125

[그림 IV-4-3] 과정중심 평가에 근거한 미술과 예시 평가도구 개발 사례 130

이용현황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0252 371.26 -18-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0253 371.26 -18-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103101 371.26 -18-51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