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아시안하이웨이(Asian highway) 활성화를 위한 한국도로공사-UNESCAP 협력 연구 = Collaborative program on the Asian highway network between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United Nations ESCAP / 연구책임자: 조성민 인기도
발행사항
화성 :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2017
청구기호
388.1 -18-1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17
연구원 ; 2017-49-534.9607호
제어번호
MONO1201828133
주기사항
UNESCAP는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의 약자임
부록: 1.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 설계기준(국문 번역 포함) ; 2.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 설계기준'을 위한 매뉴얼(가이드라인) ; 3. 국제협력연구 UNESCAP 보고서 1 (도로안전시설 기준 연구) 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연구진

목차

요약문 16

ABSTRACT 17

1. 개요 18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1.2. 연구 추진 경과 23

1.3. 연구 범위와 내용 34

2. 아시안하이웨이의 발전과 현황 41

2.1.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 41

2.1.1. 조직과 역할 41

2.1.2.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이행 45

2.2. 아시안하이웨이의 발전과 현황 47

2.2.1. 목적과 비전 47

2.2.2. 추진 경과 및 노선 현황 48

2.2.3. 정부 간 국제협정 52

2.3. 도로 등급 구분 및 기술 기준 57

2.3.1. 도로 등급과 설계 기준 57

2.3.2. 도로 포장 현황 60

2.4. 아시아 지역에서 아시안하이웨이의 역할과 효과 70

2.5. 조사 국가별 아시안하이웨이 노선 현황과 정보 75

2.6. 기타 다국적 국제 도로망 사례 81

2.6.1. 중국, 러시아 81

2.6.2. 유럽의 국제 E-도로망과 ITS 서비스 83

2.6.3. 남북아메리카 및 아프리카 90

3.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시설 기술기준 92

3.1. 개요 92

3.1.1. 도로 교통안전 현황 92

3.1.2. 도로 안전 설계기준 연구 내용 101

3.2. 도로안전시설 103

3.2.1. 도로안전시설의 정의와 관련 기준들 103

3.2.2. 도로안전시설의 분류 108

3.2.3. 국가별 안전시설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120

3.2.4. AH 노선 주요국의 도로안전 관련 현안 126

3.3. 도로안전시설 기술기준 수립 133

3.3.1. 기술기준의 정의 133

3.3.2. 기술기준 수립 방안 133

3.3.3. 시범시설(중앙분리대)에 대한 기준 작성 사례 141

3.3.4. 도로안전 기술기준 개발 절차 148

3.4. 아시안하이웨이 국제기준 채택 159

4. 아시안하이웨이 지능형교통체계 구축 전략 164

4.1. 개요 164

4.2. 아시안하이웨이 ITS 구축의 주요 이슈 165

4.2.1. ITS 구축 지역의 설정과 공간적 우선순위 165

4.2.2. 아시안하이웨이 ITS 서비스 설정 167

4.2.3. 추진 로드맵 설정 171

4.3. 국가별 ITS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172

4.4. ITS 운영의 선진 사례 183

4.4.1. 한국 183

4.4.2. 중국 190

4.4.3. 터키 195

4.4.4. 러시아 203

4.4.5. 일본 206

4.4.6. 유럽 209

4.5. 아시안하이웨이 ITS 실행모델 213

4.5.1. 목표와 한계 213

4.5.2. 개발도상국의 ITS 추진방향 214

4.5.3. ITS 대상 시스템과 적용 구간, 필요조건 219

4.5.4. ITS 센터와 현장의 운영 시스템 226

4.5.5. 요금징수 시스템 230

4.6. 아시안하이웨이 ITS의 발전방향 233

4.6.1. ITS 발전을 위한 제약사항 및 극복방향 233

4.6.2. 국가별 ITS 발전단계별 서비스 추진방안 237

4.6.3. 신기술과 민간분야를 활용한 ITS 서비스 구현 방안 238

4.6.4. 저개발국가의 ITS 구축방향 243

4.7. 요약 244

5. 결론 246

참고문헌 252

부록 256

부록 1 :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 설계기준[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정 제2부속서 속편(안)] 257

부록 2 : '아시안하이웨이 도로안전 설계기준' 을 위한 매뉴얼(가이드라인)(DESIGN GUIDELINES : Asian Highway Design Standard for Road Safety) 300

부록 3 : 국제협력연구 UNESCAP 보고서 1(도로안전시설 기준 연구)(Development of Road Infrastructure Safety Facility Standards for The Asian Highway Network) 389

부록 4 : 국제협력연구 UNESCAP 보고서 2(ITS 구축 전략 연구)(Development of Mode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Deployments for The Asian Highway Network) 430

부록 5 : 국제협력연구 UNESCAP 보고서 3(아시안하이웨이 활성화 전략 연구)(Development of Strategies to Promote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Asian Highway Design Standards) 470

부록 6 : 제7차 아시안하이웨이 당사국 실무그룹회의 채택 보고서 전문( Adopted Report of the Seventh Working Group Meeting on the Asian Highway Network) 480

도서정보 517

INFORMATION 518

보고서 집필내역 519

판권기 520

표 1.1. 지능형교통체계(ITS)에 대한 주요국, 기관별 정의 22

표 1.2. UNESCAP이 설정한 협력프로그램 이행의 주요 내용 35

표 1.3. 협력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 국가 : 1차년도 9개국 → 2차년도 이후 7개국 36

표 1.4. 연도별 주요 연구 내용 38

표 1.5. UN 협력프로그램 활동 및 성과 목표와 일정 (착수 당시 기준) 38

표 1.6.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UNESCAP 직원 목록 40

표 1.7. 협력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컨설턴트 목록 40

표 2.1. MDGs와 SDGs의 비교 47

표 2.2. 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정 개정 절차 56

표 2.3. 아시안하이웨이 도로 등급과 설계기준 58

표 2.4. 아시안하이웨이 국가별 포장 종류 및 상태 현황 63

표 2.5. 국가별 아스팔트포장의 바인더 품질기준 64

표 2.6. 국가별 아스팔트포장용 굵은 골재의 입도기준 65

표 2.7. 국가별 아스팔트포장의 배합설계 기준 66

표 2.8. 국가별 아스팔트 혼합물 입도기준 66

표 2.9. 미국의 아스팔트 혼합물 입도기준 67

표 2.10. 아시안하이웨이 회원국 국가 정보(인구, 면적, 인구밀도, 인구중가율) 71

표 2.11. TEN-T ITS 프로젝트 현황과 세부내용 87

표 2.12. TEN-T ITS 프로젝트별 대상지역 88

표 3.1. 아태지역 국가의 주요사고 요인 98

표 3.2. 2010년 기준 도로교통 사망자수 99

표 3.3. 도로안전성 제고를 위한 유엔 차원의 범정부 추진전략 100

표 3.4. 연차별 수행내용 103

표 3.5. 도로안전시설물의 목록 108

표 3.6. 도로안전 설계 요소 125

표 3.7. 중국의 실물충돌시험 기준 126

표 3.8. 중국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127

표 3.9. 태국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127

표 3.10. 터키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및 관련 지침 128

표 3.11. 방글라데시의 도로설계 기준 129

표 3.12. 방글라데시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129

표 3.13. 싱가포르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130

표 3.14. 우리나라의 주요 도로안전시설 131

표 3.15. Star-rating 시나리오 분석 사례 : 기본조건(Base condition)과 분석 결과 137

표 3.16. 사고원인별 사고수정계수 추정결과 : 고속도로 교통안전편람 138

표 3.17. 유엔사무총장 주관의 '글로벌 도로안전 개선을 위한 제7차 분과회의'의 권고(2015.9.) 140

표 3.18. 중앙분리대 유형별 장단점 146

표 3.19. 각 형식의 설치에 적합한 장소 146

표 3.20. 도로의 평면선형의 일관성 측면의 검토 예시 149

표 3.21. 도로안전 설계표준 제정을 위한 국가별 전문가 회의 150

표 3.22. 중앙분리대 유형 및 규격 관련 설계표준 152

표 3.23. 갈매기표지판 설치 요건 및 규격 관련 설계기준 153

표 3.24. 도로안전 설계표준(안) 관련 국가별 공식의견(일부 예시) 154

표 3.25. 도로안전 설계표준 제정을 위한 국가별 전문가 회의 및 제7차 실무반 회의 158

표 4.1. ITS 서비스유형 및 고려사항(안) 168

표 4.2. ITS 설문조사 응답 국가 172

표 4.3. 우리나라의 도로 종류별 ITS 구축연장(2016년 기준) 186

표 4.4. 한국의 FTMS 구축현황 187

표 4.5. 한국의 TTMS 구축현황 188

표 4.6. 한국의 ETCS차로 구축현황 189

표 4.7. 한국의 RTMS 현황 190

표 4.8. 터키 고속도로의 교통관리시스템 현황 197

표 4.9. 터키 교통관리시스템 예시 197

표 4.10. 터키의 TCS 차종분류 201

표 4.11. ETC 운영 세부현황 201

표 4.12. ITS Moscow 시스템 세부 사항 205

표 4.13. 일본의 ITS 구축계획(국토해양부, 2013) 207

표 4.14. EU 기금으로 진행되는 주요 ITS 프로젝트 211

표 4.15. 서비스 연속성 확보를 위한 센터 연계방식 비교 225

표 4.16. 아시안하이웨이 ITS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 서브 시스템 현황 및 기능 227

표 4.17. Google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와 교통정보 현황 238

표 4.18. 공공부문 ITS와 민간부문 ITS 서비스의 차이 241

그림 1.1. 아시안하이웨이 지도 (유엔, 2016) : 붉은 색이 노선 경로 18

그림 1.2. 한반도 통과 아시안하이웨이 노선 : AH1, AH6 19

그림 1.3. AH1, AH6 노선 주요 경유국의 도로시설 품질 평가(세계경제포럼, 2017) 20

그림 1.4. 아태 지역 도로안전 실태 : 역내 국가별 교통사고 사망자(인구 10만명당) 21

그림 1.5. WHO의 사망원인 변화 예측(2004/2030년) 및 ESCAP 지역 내 권역별 교통사고 사망자... 21

그림 1.6. UNECE에서 제시한 ITS의 범위와 로드맵 이행 단계 23

그림 1.7. ITS 발전 역사(개괄, 유럽, 우리나라)와 시장 규모 23

그림 1.8. 도공-ESCAP 간 협약에 기반한 연구 추진 개요도(착수 당시) 36

그림 1.9. 연구 착수 당시 UNESCAP이 설정한 AH1, AH6 노선 상 조사 대상 국가 37

그림 1.10. 협력연구 프로그램 참여자 간 역할과 공조 관계 37

그림 1.11. AH 프로그램의 3개년 일정 요약 39

그림 2.1. UNESCAP 관할 지역 및 회원국가 41

그림 2.2. ESCAP 관할 범위와 회원국의 변화 (1948년, 2014년) 42

그림 2.3. UNESCAP 로고, 본부 건물(방콕), 총회장 42

그림 2.4. UNESCAP 조직도 43

그림 2.5.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17개 주목표 : 영문 원문 46

그림 2.6. 아시아 지역 복합수송 세 유형, 동북아 통합 교통망, TAR 노선 48

그림 2.7. 아시안하이웨이 초기 노선망(UNESCAP, 2003) : 구축 시기별 구분 49

그림 2.8. 현재의 아시안하이웨이 노선망(UNESCAP, 2014) 49

그림 2.9. AH 간선노선별 경유 국가와 32개 국가별 AH 노선의 길이 51

그림 2.10. AH1, AH6 노선의 통과 국가 도로 및 한반도 구간 이정 52

그림 2.11. 아시안하이웨이 정부 간 협정 표지 및 가입 현황(2017년말 기준) 54

그림 2.12. 국가별 아시안하이웨이 표지판 : 좌로부터 한국 AH1(경부고속도로), 말레이시아... 55

그림 2.13. AH 도로 등급별 예시 57

그림 2.14. AH 전체 노선 도로의 등급별 비율(2006년, 2010년, 2014년, 2016년 변화 비교) 58

그림 2.15. 각 국가에서 AH 노선의 등급별 연장 통계 59

그림 2.16. AH 노선 중 최저 기준에 미달하는 '등급 외' 도로 현황 60

그림 2.17. H 노선의 등급별 분류 및 포장 종류별 분류 지도 61

그림 2.18. AH 노선 도로의 국가별 포장 종류에 따른 연장 61

그림 2.19. AH 포장종류별 연장 비율 62

그림 2.20. AH 포장 상태 62

그림 2.21. 아시안하이웨이 참여국별 포장상태 62

그림 2.22. 아시안하이웨이 참여국별 포장 재질 62

그림 2.23. 우리나라 포장종류별 연장 67

그림 2.24. 우리나라 포장 상태와 중차량 비율 67

그림 2.25. 북한의 포장 종류별 연장 68

그림 2.26. 북한의 포장 상태 68

그림 2.27. 중국의 포장 종류별 연장 68

그림 2.28. 태국의 포장 종류별 연장 68

그림 2.29. 태국의 포장 상태와 중차량 비율 68

그림 2.30. 방글라데시의 포장 종류별 연장 69

그림 2.31. 방글라데시 포장 상태와 중차량 비율 69

그림 2.32. 인도의 포장 종류별 연장 69

그림 2.33. 인도의 포장 상태와 중차량 비율 69

그림 2.34. 아시안하이웨이 노선의 포장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69

그림 2.35. 아시아 지역 인구 분포 70

그림 2.36. 전 세계 GDP 밀도 지도 72

그림 2.37. 전 세계 Gini 계수 분포(2014년) 72

그림 2.38. AH 회원국 도로밀도. 면적 1,000 ㎢당 도로 km 연장 73

그림 2.39. AH 회원국 도로 포장률, 2012년 기준 73

그림 2.40. ASEAN 국가의 자동차보급률 및 국토계수당 도로보급률, 포장도로보급률 73

그림 2.41. ASEAN 국가의 사회경제 지표와 도로 시설의 관계 74

그림 2.42. ADB의 교통 투자 현황 :... 74

그림 2.43. 아시안하이웨이 참여국별 화물운송성능지수 74

그림 2.44. 우리나라의 AH1 노선 도로 75

그림 2.45. 중국의 AH1 노선 도로 76

그림 2.46. 방글라데시의 AH1 노선 도로 77

그림 2.47. 북한의 AH 노선 도로 78

그림 2.48. 태국의 AH1 노선 도로 79

그림 2.49. 인도의 AH1 노선 도로 79

그림 2.50. AH1호선 주요 지점 위치와 사진 80

그림 2.51. 중국, 동남아 구간 AH1 표지판과 도로 80

그림 2.52.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 개념도 81

그림 2.53. 시베리아횡단고속도로 개요도 82

그림 2.54. 다국 간 국제 도로망 계획 : 좌E-road, Pan American Highway, Trans-African Highway, Silk... 82

그림 2.55. 글로벌 하이웨이 구상도 83

그림 2.56. International E-road Network 참여국가별 도로 연장 84

그림 2.57. International E-road Network망 84

그림 2.58. TEN-T의 9개 주요 축 현황 85

그림 2.59. EASYWAY 프로젝트의 개요 89

그림 2.60. Pan American Highway 노선도 90

그림 2.61. Trans-African Highway 노선도 91

그림 3.1. 2010년 국가별 교통사고 사망자 수 92

그림 3.2. 전 세계기준 교통사고 사망자 통계 93

그림 3.3. 15~29세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 93

그림 3.4. 아태지역 교통사고 사망자수 및 인구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 (2013년 기준) 94

그림 3.5. 아태지역 국가의 교통사고 사망자 변화 (2010-2013) 95

그림 3.6. 2013년도 OECD 국가 교통사고 현황 (10만명당 사망자 수, OECD자료) 96

그림 3.7. 아태지역 국가의 교통사고 사망 유형 (2013년) 96

그림 3.8. 아태지역 국가의 교통사고 사망자 중 취약군 비율 (2013년) 97

그림 3.9. 아태지역 위치별 교통사고 사망자 발생 유형 (2013년 기준) 98

그림 3.10. 우리나라 도로교통사고 사망자 수 추이 : 정체 및 고속도로, 국도 구분... 99

그림 3.11. 스웨덴의 안전성능지수 100

그림 3.12. 사고발생원인 분석 104

그림 3.13. Forgiving roadside의 개념 104

그림 3.14. 도로안전시설 관련 미국 기준들 106

그림 3.15. 국가별 도로안전관련 기준 보유 현황 107

그림 3.16. 도로안전시설물의 예시(1) 109

그림 3.17. 도로안전시설물의 예시(2) 110

그림 3.18. 도로안전시설물 관련 설문지 121

그림 3.19. 설문 참여국별 도로안전시설 보유 현황 122

그림 3.20. 국가별 도로안전시설 보급 현황 123

그림 3.21. 도로안전시설물별 설치 효과에 대한 답변 124

그림 3.22.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경과 131

그림 3.23. 한국의 도로안전시설 규정 현황 131

그림 3.24. 제8차 국가교통안전 기본계획 10개의 핵심 전략 132

그림 3.25. 고속도로의 도로안전시설 사례 : 경부고속도로 기흥휴게소 주변 132

그림 3.26. 기술표준 정립방안 : What 134

그림 3.27. 최소기준 수립을 통한 도로안전성 향상 135

그림 3.28. 중국, 인도, 필리핀 등에서 시행되고 있는 iRAP 별점 평가 136

그림 3.29. 사고수정계수 추정의 개념 138

그림 3.30. CMF Clearinghouse 예시(rumble strip 조회) 139

그림 3.31. 도로안전시설 부문 기술표준 정립을 위한 방법론 141

그림 3.32. 중앙분리대의 설치 요건 143

그림 3.33. Three-strand cable median barrier 144

그림 3.34. Fence cable barrier system 144

그림 3.35. Box-beam median barrier 145

그림 3.36. Weak-post W-beam median barrier 145

그림 3.37. Strong-post W-beam median barrier 145

그림 3.38. Concrete safety-shape median barrier 145

그림 3.39. 중앙분리대 대상의 시범 기준 작성에 참조한 기존 기준과 매뉴얼 147

그림 3.40. 도로안전 설계표준(안) 작성을 위한 업무흐름 150

그림 3.41. 제3차 전문가그룹회의(2018.8.) 결과 보고 155

그림 3.42. 제3차 전문가그룹회의 및 지역회의 채택 보고서(2017.8.) 156

그림 3.43. 제1차 전문가그룹회의 결과(2016.10) 157

그림 3.44. 기술기준 최종안 검토회의 결과(2017.1.) 157

그림 3.45. 제2차 전문가그룹회의 프로그램(2017.5.) 158

그림 3.46. 우리 정부의 국제협정 개정안 제출 160

그림 3.47. 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정 개정안 채택 보고 문서 1 : UNESCAP 'E/ESCAP/AHWG(7)/5'호 161

그림 3.48. 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정 개정안 채택 보고 문서 2 : UNESCAP 'E/ESCAP/AHWG(7)/5'호 162

그림 3.49. 아시안하이웨이 국제협정의 제2부속서/속편(안)의 내용과 구성 163

그림 4.1. ITS 서비스의 일반적인 종류와 적용 분야 164

그림 4.2. UN 기구의 ITS 분야 발간물 : UNESCAP, UNECE 165

그림 4.3. ITS 구축을 위한 유럽의 지역구분 사례 및 AH 지역 구분 제안 166

그림 4.4. ITS 서비스 도메인 167

그림 4.5. 비상관리시스템 체크리스트 169

그림 4.6. 스마트상업차량, CBT검사구역(USDOT : Border Crossing Guide for Commercial Truck Drivers) 170

그림 4.7. 아시안하이웨이 AH1호선 국경 지대 170

그림 4.8. AH1호선 미얀마-태국 국경(메솟)에서 좌측운전/우측운전 차선 구분 170

그림 4.9. 설문 응답 국가 위치 및 국가별 AH 노선 중 Primary 및 Class I 등급 도로 비율 173

그림 4.10. 국가별 ITS 현황 조사를 위한 설문서 : 표지 및 6문항 발췌 173

그림 4.11. 국가별 ITS 현황 조사를 위한 설문서 내용 : 전문 174

그림 4.12. 6개 ITS 분야 운영 현황 조사 결과 176

그림 4.13. ITS 세부서비스 운영현황 177

그림 4.14. 주요 6개 ITS 세부 서비스의 운영현황 조사 결과 178

그림 4.15. 세부 서비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 178

그림 4.16. 도입희망 ITS 서비스 조사 결과 179

그림 4.17. 지정된 6가지 시스템에 대한 상대순위 분석결과 179

그림 4.18. 특정 6개 시스템에 대한 수집데이터 현황 조사 결과 180

그림 4.19.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주기에 대한 조사 결과 181

그림 4.20. 수집데이터의 유형별 만족도 181

그림 4.21. ITS 시스템별 주요 도입 효과 182

그림 4.22. ITS 도입을 위한 주요 장애요인 183

그림 4.23.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주요 교통관리기법 185

그림 4.24. 한국에서 운영 중인 ITS 서비스 185

그림 4.25. 우리나라 고속도로의 ITS 운영 사례 186

그림 4.26. 한국의 FTMS 기능 187

그림 4.27. 한국의 터널교통관리시스템 개요 187

그림 4.28. 한국의 ETCS, 하이패스 구성 188

그림 4.29. 중국 고속도로의 주요 ITS 191

그림 4.30. 상하이 교통관리센터 192

그림 4.31. 중국의 대중교통 IC카드시스템 192

그림 4.32. 중국 간선도로망 현황 및 계획 193

그림 4.33. 중국의 ETC 운영사례 194

그림 4.34. 터키의 ITS 사례 195

그림 4.35. 터키 교통정보센터 현황 및 계획 196

그림 4.36. 터키 광통신망 운영현황 198

그림 4.37. 터키 제2 Peripheral Road(E-80)의 ITS 장비 설치 현황 198

그림 4.38. 터키의 교통량 측정 및 분류 시스템 개요 199

그림 4.39. 터키 TIS의 모바일 서비스 제공 화면 199

그림 4.40. 터키 TIS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화면 200

그림 4.41. 터키 TIS의 VMS 및 ALO 159 서비스 예시 200

그림 4.42. 터키 ETC 구성 및 운영화면 202

그림 4.43. 터키 DSRC방식 TCS의 일반적인 아키텍처 202

그림 4.44. 터키 터널제어시스템 예시 203

그림 4.45. 러시아 ERA GLONASS 개요 204

그림 4.46. 러시아 ERA GLONASS 과정 205

그림 4.47. 일본의 ITS 구축 역사(국토교통성) 206

그림 4.48. ITS Spot 조감도 207

그림 4.49. 고속도로 ITS-Spot RSU 207

그림 4.50. 도쿄 순환도로 건설계획 및 ETC 2.0 경로선택시스템 개요 208

그림 4.51. 과적차량이 고속도로 교량 훼손에 미치는 영향 208

그림 4.52. EasyWay의 주요활동과 핵심서비스 210

그림 4.53. 현재 EU기금으로 진행되는 주요 ITS 프로젝트 211

그림 4.54. ITS의 구축 효과 212

그림 4.55. ITS관련 Leapfrogging 효과 215

그림 4.56. ITS 어플리케이션 결정 프로세스 215

그림 4.57. 9가지의 ITS 서비스와 발생 편익 216

그림 4.58. TIS 어플리케이션 검토 과정 예시(1) 216

그림 4.59. TIS 어플리케이션 검토 과정 예시(2) 217

그림 4.60. EMS 어플리케이션 검토 과정 예시 217

그림 4.61. ETC 어플리케이션 검토 과정 예시(1) 218

그림 4.62. ETC 어플리케이션 검토 과정 예시(2) 218

그림 4.63. 유망 ITS 분야 선정을 위한 고려지표 219

그림 4.64. GNI 그룹별 국가분류 및 유망 ITS 분야 선정 219

그림 4.65. 노드링크체계 개념도 222

그림 4.66. 아시안하이웨이 노선 커버리지와 개별 ITS의 구간 커버리지 223

그림 4.67. 동일 국가 내 도로 위계별 관리자의 다양성 예시(한국사례) 224

그림 4.68. 다양한 도로관리자와 이에 따른 ITS 시스템의 다양성(한국사례) 224

그림 4.69. 로컬센터 간 직접 연계방식 225

그림 4.70. 국가 ITS 센터를 통한 간접 연계방식 225

그림 4.71. 아시안하이웨이 ITS 시스템 개념도 226

그림 4.72. 미국 ITS 아키텍쳐 중 물리 아키텍처 227

그림 4.73. 미국 ITS 아키텍처 중 논리 아키텍처 228

그림 4.74. UNECE에서 제시한 ITS 도입의 장애요인 234

그림 4.75. 개도국의 ITS 도입 후발주자의 폭넓은 선택과 이점 236

그림 4.76. 국가수준별 아시안하이웨이 ITS 도입 및 발전방향 237

그림 4.77. 구글 Traffic이 활성화된 구글지도 예시(태국) 239

그림 4.78. TomTom의 교통정보 소스 239

그림 4.79. TomTom Traffic Portfolio 240

그림 4.80. 현재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교통 분야 앱 유형 241

그림 4.81. 민간을 활용한 아시안하이웨이 ITS 서비스 개념 242

그림 5.1. 협력연구프로그램에 대한 UNESCAP 홈페이지 공고 1 (성과물 공유) 248

그림 5.2. 협력연구프로그램에 대한 UNESCAP 홈페이지 공고 2 249

그림 5.3. 국제협력연구에 대한 한-ESCAP 연례협의회 평가 결과 통지 문서 25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06191 388.1 -18-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06192 388.1 -18-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