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 및 복원사업. [1-2]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2017[실은 2018]
청구기호
577.7 -18-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서식,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3314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해양환경관리공단
주관연구책임자: 고병설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최종보고서 -- [2]. 부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25

제1절 사업배경 27

제2절 사업범위 및 내용 30

제2장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33

제1절 연구 개요 35

제2절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37

제3절 기각류 혼획·좌초 현황 78

제4절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지 주변 수산자원 조사 86

제5절 국제 보전협력 강화 98

제3장 백령도 점박이물범 인공휴식지 및 먹이자원 조성공사 실시설계 105

제1절 개요 107

제2절 기초자료 조사 109

제3절 현지조사 119

제4절 수치모형실험 133

제5절 실시설계 184

제6절 건설계획 190

제4장 보호대상해양생물 조사·증식사업 193

제1절 서론 195

제2절 선행자료 분석 및 DB 구축 200

제3절 서식지 현황 조사 204

제4절 시범증식 및 매뉴얼 제작 324

제5절 자연서식지 방류 338

제6절 제언 349

제5장 독도 해양생물 서식처 개선사업 357

제1절 과업 개요 359

제2절 재료 및 방법 362

제3절 작업결과 373

제6장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 및 구조·치료 활동 393

제1절 개요 395

제2절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 지원사업 결과 397

제3절 해양동물 전문구조·치료 활동 지원 466

제7장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인식 증진사업 469

제1절 사업개요 471

제2절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발대식 473

제3절 청소년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여름생태학교 운영 475

제4절 점박이물범 모니터링 및 동아리 자율 탐구 활동 484

제5절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활동 결과 발표회 493

제6절 평가 및 활용 계획 498

제8장 남방큰돌고래(금등·대포) 방류 499

제1절 주요 사진첩 501

제2절 남방큰돌고래 현황 504

제3절 방류관련 회의 509

제4절 방류 추진계획(안) 519

제5절 이송 과정 529

제6절 방류 훈련 532

제7절 방류 결과보고 547

제9장 참고문헌 563

판권기 576

〈표 1-1-1〉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중 보호대상해양생물 관리 수단 29

〈표 1-2-1〉 연도별 사업추진현황 30

〈표 2-2-1〉 점박이물범과 참물범 비교 39

〈표 2-2-2〉 백령도 내 주요 서식지별 점박이물범 관찰 개체수 - 현장 선박조사 46

〈표 2-2-3〉 백령도 내 주요 서식지별 점박이물범 관찰 개체수 - 육상조사 47

〈표 2-2-4〉 월별 개체 식별률 50

〈표 2-2-5〉 월별 관찰된 동일개체수 51

〈표 2-2-6〉 월별 관찰된 동일개체 52

〈표 2-2-7〉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 5; 총 37마리; DM: 두무진, MB: 물범바위, YB: 연봉바위) 59

〈표 2-2-8〉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 7; 총 107마리) 59

〈표 2-2-9〉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 8; 총 141 마리) 60

〈표 2-2-10〉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 9; 총 118마리) 60

〈표 2-2-11〉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 10; 총 116마리) 61

〈표 2-2-12〉 서식지별 출현 개체수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7년 조사; 총 519개체) 61

〈표 2-2-13〉 중복 관찰된 개체로 서식지 이동 비율 분석(2017년 조사; 총 84개체) 61

〈표 2-2-14〉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현황(2008년과 2017년 조사 자료 비교) 62

〈표 2-2-15〉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현황(2016년과 2017년 5월 조사 자료 비교) 63

〈표 2-2-16〉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현황(2016년과 2017년 8월 조사 자료 비교) 65

〈표 2-3-1〉 점박이물범의 좌초 및 혼획 현황 80

〈표 2-3-2〉 점박이물범의 발견 현황 83

〈표 2-3-3〉 물개 발견 현황 84

〈표 2-3-4〉 큰바다사자 발견 현황 85

〈표 2-4-1〉 백령도 점박이 물범 서식지 주변 수산자원 현황 조사일정 87

〈표 2-4-2〉 백령도 점박이 물범 서식지 주변 수산자원 현황 조사지점 위·경도 88

〈표 2-4-3〉 월별 실험 정점간 전체 출현종과 개체수 91

〈표 2-4-4〉 월별 정점 간 생태지수 비교 92

〈표 3-2-1〉 기상 개요 109

〈표 3-2-2〉 월별 기상특성 110

〈표 3-2-3〉 월별 기상특성 월별 평균 및 최대풍속 111

〈표 3-2-4〉 서해안을 통과한 주요 태풍 111

〈표 3-2-5〉 월별 평균 및 최고, 최저기온 113

〈표 3-2-6〉 월별 평균 및 일최대 강수량 113

〈표 3-2-7〉 월별 해면기압 113

〈표 3-2-8〉 월별 천기일수 114

〈표 3-2-9〉 육·해상 작업 불가능 일수 114

〈표 3-2-10〉 작업 가능일수 산정 115

〈표 3-2-11〉 설계조위 115

〈표 3-2-12〉 유의파고(H1/3) 및 유의파주기(T1/3) 계급별 출현율(이미지참조) 116

〈표 3-2-13〉 파향별 유의파고(H1/3)의 출현율(1분기)(이미지참조) 117

〈표 3-3-1〉 사업지 인근의 석재원 현황 120

〈표 3-3-2〉 천해용 정밀음향측심기(Hydrotrac, HT97001)제원 123

〈표 3-3-3〉 인공위성 위치측정기(D.G.P.S)의 제원 124

〈표 3-3-4〉 D.G.P.S. 기준국 제원 124

〈표 3-3-5〉 바-체크(Bar-Check)를 통한 음속 보정 예시 126

〈표 3-3-6〉 해저질 정점별 위치 129

〈표 3-3-7〉 분급도 및 편왜도에 대한 서술 용어 130

〈표 3-3-8〉 Grab형 채니기의 제원 131

〈표 3-3-9〉 해저질 입도변수 및 입도조성 132

〈표 3-4-1〉 실험개요 133

〈표 3-4-2〉 설계파 산정결과 166

〈표 3-4-3〉 실험개요 167

〈표 3-4-4〉 조위검증 결과 176

〈표 3-4-5〉 조류검증 결과 176

〈표 3-5-1〉 관련법규 184

〈표 3-5-2〉 국내 관련 시방서 및 기준 184

〈표 3-5-3〉 설계조위 185

〈표 3-5-4〉 재료의 단위중량 185

〈표 3-5-5〉 마찰계수 186

〈표 3-5-6〉 평면안 187

〈표 3-5-7〉 공사용 등부표 형식 비교 188

〈표 3-6-1〉 공사개요 190

〈표 3-6-2〉 건설예정공정표 190

〈표 3-6-3〉 사업비 191

〈표 4-2-1〉 보호대상해양생물 맨드라미류 5종의 출현 현황 201

〈표 4-3-1〉 나팔고둥 조사지역 및 출현 확인 228

〈표 4-3-2〉 입자의 크기에 따른 퇴적물의 입도등급 271

〈표 4-3-3〉 기 조사대상종 서식지 토양환경 분석 정점 273

〈표 4-3-4〉 보호대상해양생물 대상종 서식지 내 공서 근연종(게류) 지점별 출현 현황 274

〈표 4-3-5〉 보호대상해양생물 대상종 서식 지점의 위협요인에 따른 유형별 현황 277

〈표 4-3-6〉 흰발농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조직 및 통계변수 특성 279

〈표 4-3-7〉 흰발농게 서식지 퇴적물의 함수율 및 강열감량 281

〈표 4-3-8〉 흰발농게 서식지 내 공서 근연종(게류) 지점별 출현 현황 282

〈표 4-3-9〉 흰발농게 서식 지점의 위협요인에 따른 유형별 현황 284

〈표 4-3-10〉 갯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조직 및 통계변수 특성 285

〈표 4-3-11〉 갯게 서식지 퇴적물의 함수율 및 강열감량 287

〈표 4-3-12〉 갯게 서식지 내 공서 근연종(게류) 지점별 출현 현황 289

〈표 4-3-13〉 갯게 서식 지점의 위협요인에 따른 유형별 현황 291

〈표 4-3-14〉 남방방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조직 및 통계변수 특성 292

〈표 4-3-15〉 남방방게 서식지의 퇴적물의 함수율 및 강열감량 294

〈표 4-3-16〉 남방방게 서식지 내 공서 근연종(게류) 지점별 출현 현황 295

〈표 4-3-17〉 남방방게 서식 지점의 위협요인에 따른 유형별 현황 297

〈표 4-3-18〉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조직 및 통계변수 특성 299

〈표 4-3-19〉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퇴적물의 함수율 및 강열감량 301

〈표 4-3-20〉 두이빨사각게 서식지내 공서 근연종(게류) 지점별 출현 현황 302

〈표 4-3-21〉 두이빨사각게 서식 지점의 위협요인에 따른 유형별 현황 304

〈표 4-3-22〉 붉은발말똥게 서식지의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305

〈표 4-3-23〉 나팔고둥 출현 서식환경 및 주변 생물군락 307

〈표 4-3-34〉 PCR 반응 혼합물 조성 310

〈표 4-3-25〉 PCR 반응 조건 310

〈표 4-3-26〉 남방방게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핵산염기서열을 해독하기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 311

〈표 4-3-27〉 나팔고둥의 Mitogenome 핵산염기서열을 해독하기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 311

〈표 4-3-28〉 흰발농게 개체군 채집지역 312

〈표 4-3-29〉 갯게 개체군 채집지역 313

〈표 4-3-30〉 PCR 반응 혼합물 조성 313

〈표 4-3-31〉 남방방게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유전자들의 위치와 구성 316

〈표 4-3-32〉 나팔고둥 Mitogenome의 유전자들의 위치와 구성 319

〈표 4-3-33〉 흰발농게 개체군으로부터 획득된 유전자형(haplotype) 321

〈표 4-3-34〉 흰발농게 유전자형(Haplotype) 빈도 322

〈표 4-3-35〉 흰발농게 개체군의 유전자 분화도(FST) 322

〈표 4-3-36〉 갯게 개체군으로부터 획득된 유전자형(haplotype) 323

〈표 4-3-37〉 갯게 유전자형(Haplotype) 빈도 323

〈표 4-3-38〉 갯게 개체군의 유전자 분화도(FST) 323

〈표 4-4-1〉 보호대상해양생물 게류 3종의 포획시기, 장소 및 크기 324

〈표 4-4-2〉 게류 3종의 최적 사육시스템 328

〈표 4-4-3〉 게류 3종의 사육관리 환경 329

〈표 4-4-4〉 보호대상해양생물 사육 결과 330

〈표 4-4-5〉 어미게의 포란유도 방법 331

〈표 4-4-6〉 흰발농게 어미게의 크기별 포란(부화)량 332

〈표 4-4-7〉 흰발농게 부유유생의 발달단계별 경과일수, 크기 및 사진 334

〈표 4-5-1〉 어미게 확보 및 사육관리 338

〈표 4-5-2〉 붉은발말똥게 어미게의 포란 및 부화시기와 부화량 340

〈표 4-5-3〉 붉은발말똥게 부유유생 사육조건 341

〈표 4-5-4〉 부유유생 사육시 발달단계별 먹이종류 341

〈표 4-5-5〉 실내 인공증식된 붉은발말똥게의 생존율 342

〈표 4-5-6〉 붉은발말똥게 방류를 위한 고려사항 345

〈표 4-5-7〉 방류효과 조사시 게류의 출현양상 348

〈표 5-2-1〉 관측에 사용된 CTD 제원 368

〈표 5-2-2〉 갯녹음 진단 및 판정기준 372

〈표 5-3-1〉 작업일자열 조식동물 제거량 373

〈표 5-3-2〉 조사정점 좌표 377

〈표 5-3-3〉 정점별 성게의 평균 밀도 및 생체량 378

〈표 5-3-4〉 조사해역에서 정정별 갯녹음 진단(평가점수) 389

〈표 6-1-1〉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 현황 396

〈표 6-1-2〉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 지정 현황 396

〈표 6-2-1〉 보호대상해양생물 관련 지원사업 분야 세부내용 397

〈표 6-2-2〉 기관별 지원사업 내용 397

〈표 6-2-3〉 '17년도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원사업 인공 증식 연구 대상 개체 정보 398

〈표 6-2-4〉 푸른바다거북(G003) 인공 증식 정보(산란일, 산란수, 부화수, 부화율 순) 402

〈표 6-2-5〉 푸른바다거북 인공 증식 개체 자연 방류 개요(내용 및 방류 개체수, 일시, 장소 주최 / 주관 순) 405

〈표 6-2-6〉 거머리말의 일반 특징 409

〈표 6-2-7〉 거머리말 채취내역 410

〈표 6-2-8〉 사육시스템 구조 412

〈표 6-2-9〉 수조 내 환경조성 414

〈표 6-2-10〉 아쿠아플라넷 일산 내 공급수 수질(자연해수) 415

〈표 6-2-11〉 아쿠아플라넷 일산 내 공급수 수질(인공해수) 415

〈표 6-2-12〉 조명(Zetlight zs7000) 설정 값 416

〈표 6-2-13〉 각 수조 내 식재한 거머리말의 상태 변화(9/5~10/28) 418

〈표 6-2-14〉 각 사육수조의 거머리말 생장률 비교(10월) 421

〈표 6-2-15〉 연구대상종 425

〈표 6-2-16〉 모패 사육조 수질 환경 426

〈표 6-2-17〉 개체번호별 교미대상 및 교미수 428

〈표 6-2-18〉 각 수조별 먹이생물과 배양조건 433

〈표 6-2-19〉 여러종을 혼합하여 공급한 먹이생물 434

〈표 6-2-20〉 유생 사육 시스템 435

〈표 6-2-21〉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을 위한 7종의 원종 435

〈표 6-2-22〉 식물성 플랑크톤 배양환경 436

〈표 6-2-23〉 이식지점 3개소의 특징 442

〈표 6-2-24〉 구역별 산호 종묘의 서식지 이식수량 443

〈표 6-2-25〉 이식된 산호 종묘의 사진과 군체수 443

〈표 6-2-26〉 구조물 3개소에 이식된 산호종묘 443

〈표 6-2-27〉 2015~2017년 태풍 발생현황 445

〈표 6-2-28〉 이식 / 유실된 종묘의 개체수와 생존율 446

〈표 6-2-29〉 모니터링시 기록한 이식 산호의 생잔량 변화 447

〈표 6-2-30〉 진총산호류(ESA)의 구역별 성장률 450

〈표 6-2-31〉 자색수지맨드라미(DPA)의 구역별 성장률 450

〈표 6-2-32〉 구역별 진총산호(ESA)의 성장길이 측정 결과 451

〈표 6-2-33〉 서귀포시 표선면 금데기여 해역 분포 조사 461

〈표 6-2-34〉 서식지 수질 측정 결과 및 수질 비교 462

〈표 6-2-35〉 절단방법에 따른 착생률, 생존률 비교 464

〈표 6-2-36〉 수조별 환경 464

〈표 6-2-37〉 환경 요소별 성장률 비교 465

〈표 6-3-1〉 해양동물 구조·치료·방류 경비 지원 현황 467

〈표 7-1-1〉 진행일정 및 결과 472

〈표 7-2-1〉 주요내용 474

〈표 7-3-1〉 전체일정표 476

〈표 7-3-2〉 첫째날(8/12) 프로그램 477

〈표 7-3-3〉 둘째날(8/13) 프로그램 478

〈표 7-3-4〉 셋째날(8/14) 프로그램 478

〈표 7-3-5〉 강사 및 진행자 현황 479

〈표 7-3-6〉 참가자 명단 480

〈표 7-4-1〉 점박이물범 모니터링 주요내용 484

〈표 7-5-1〉 세부프로그램 494

〈표 7-5-2〉 주요 발표 내용 494

〈표 8-6-1〉 방류훈련 관리일지 534

〈표 8-6-2〉 남방큰돌고래 방류 훈련 기간 중 급이한 먹이 종 및 수량 546

〈표 8-7-1〉 금등·대포 건강검진 결과(제주 이송 전) 548

〈표 8-7-2〉 금등·대포 건강검진 결과(제주 이송 후) 549

[그림 1-2-1] 2017년 사업추진체계 31

[그림 2-1-1] 서해 백령도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35

[그림 2-2-1] 휴식 중인 수컷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지느러미 발 37

[그림 2-2-2] 백령도에서 점박이물범의 서식지역 42

[그림 2-2-3] 연봉바위에서 휴식하던 경계심이 없던 개체 44

[그림 2-2-4] 왼쪽 안구에 백탁이 낀 개체 44

[그림 2-2-5] 등 뒤변에 외상 자국이 뚜렷한 개체(2016년 제2차 조사, 2017년 제3차 조사, 2017년 제4차... 45

[그림 2-2-6] 물범바위 뒤편 바위에서 휴식 중인 물범들 46

[그림 2-2-7] 2017년 월별 최대 발견 개체수 47

[그림 2-2-8]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군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위협요인(낚시와 같은 어업활동)... 48

[그림 2-2-9] 어업활동과 같은 인간 간섭에 대한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행동 반응 특성... 49

[그림 2-2-10] 2017년 5회 조사 중 2회 조사에 걸쳐 발견된 동일개체 : 53개체 52

[그림 2-2-11] 2017년 5회 조사 중 총 3회 조사에 걸쳐 발견된 동일개체 : 15개체 53

[그림 2-2-12] 2017년 5회 조사 중 4회 조사에 걸쳐 발견된 동일개체 : 5개체 57

[그림 2-2-13]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주요 서식지 58

[그림 2-2-14] 2008년, 2016년 동일개체(8마리)와 2017년 개체식별된 개체(410마리)와의 재발견 : 1개체 62

[그림 2-2-15] 2016년 개체식별된 개체와 2017년 5월 개체식별된 개체와의 재발견 : 7개체 64

[그림 2-2-16] 2016년 개체식별된 개체와 2017년 8월 개체식별된 개체와의 재발견 : 18개체 66

[그림 2-2-17] 살짝 드러난 물범바위 위에 올라가 있는 점박이물범 2마리 71

[그림 2-2-18] 6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2

[그림 2-2-19] 어선 접근으로 인해 물범바위에 물범이 접근하지 않는 모습 73

[그림 2-2-20] 7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3

[그림 2-2-21] 8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4

[그림 2-2-22] 9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5

[그림 2-2-23] 파도가 많이 치는 물범바위 75

[그림 2-2-24] 10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6

[그림 2-2-25] 물범바위에 접근한 사람을 보고도 도망가지 않는 2마리 물범 76

[그림 2-2-26] 11월 상영일에 따른 개체수 77

[그림 2-3-1] 울산 북구 아랫우가항 갯바위에 좌초된 점박이물범 79

[그림 2-3-2] 강원 연안 정치망에 의한 물개 혼획량의 연간 변동 81

[그림 2-3-3] 강원 연안 정치망에 의한 물개 혼획량의 월간 변동(2001~2015) 82

[그림 2-3-4] 지역별 점박이물범 발견 횟수 84

[그림 2-4-1] 백령도 점박이 물범 서식지 주변 수산자원 현황 조사정점도 88

[그림 2-4-2] (a) 조사어구, (b) 투망 및 양망작업, (c) 어획물, (d) 분류작업 89

[그림 2-4-3] 우점종의 연령추정(a: 이석 연마, b: KOH에 담긴 쥐노래미 척추골) 90

[그림 2-4-4] 어종출현비율 91

[그림 2-4-5] 월별 정점 간 어종출현비율 92

[그림 2-4-6] 월별 정점 간 생태지수 비교 93

[그림 2-4-7] 쥐노래미의 체장-체중 회귀관계(a: 실험구, b: 대조구) 94

[그림 2-4-8] 황해볼락의 체장-체중 회귀관계 95

[그림 2-4-9] 연령형질(a: 쥐노래미 10번 척추골(3세), b: 황해볼락 이석(2세)) 95

[그림 2-5-1] 홋카이도 왓카나이 점박이물범 서식지 102

[그림 2-5-2] 바카이 항구 내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103

[그림 2-5-3] 점박이물범이 육상휴식지로 사용하는 항구 내 소파구조물 103

[그림 2-5-4] 소야 해역 큰바다사자와 점박이물범 서식처, 벤텐지마 104

[그림 2-5-5] 레분섬 벤사시 점박이물범 서식지(드론 촬영) 104

[그림 3-1-1] 과업 대상위치도 107

[그림 3-2-1] 주요 태풍 경로도 112

[그림 3-2-2] 과업대상 지역의 조류 특성 116

[그림 3-2-3] 유의파고(H1/3) 및 유의파주기(T1/3) 계급별 분포도(이미지참조) 117

[그림 3-2-4] 파향별 유의파고(H1/3) 출현율도(이미지참조) 118

[그림 3-3-1] 사업대상지 인근 어업권 분포현황 119

[그림 3-3-2] 대상지역 인근의 석재원 분포현황 120

[그림 3-3-3] 물범 이동경로 121

[그림 3-3-4] 수심측량 작업흐름도 122

[그림 3-3-5] 실시간 자료취득 예시(Hypack™) 123

[그림 3-3-6] D.G.P.S. 구성도 124

[그림 3-3-7] 오측심 제거 예시 125

[그림 3-3-8] 조위보정 예시 126

[그림 3-3-9] 오측심 제거 예시 127

[그림 3-3-10] 지형 및 수심 종합도 128

[그림 3-3-11] 항적도 128

[그림 3-3-12] 해저질 조사 위치도 129

[그림 3-3-13] 저층퇴적물 채취 모식도 131

[그림 3-3-14] 해저질 분포도 132

[그림 3-4-1] 주요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도(50년 재현빈도) 134

[그림 3-4-2] 광역 파랑변형 실험 계산 격자망도 135

[그림 3-4-3] 광역 파랑변형 실험 등수심선도 136

[그림 3-4-4] 상세역 파랑변형 실험 계산 격자망도 137

[그림 3-4-5] 상세역 파랑변형 실험 등수심선도 138

[그림 3-4-6] 파랑벡터도(Dir. SSE) - 50년 빈도 151

[그림 3-4-7] 등파고선도(Dir. SSE) - 50년 빈도 152

[그림 3-4-8] 과업대상지 전면에서의 파고분포도(Dir. SSE) - 50년 빈도 153

[그림 3-4-9] 파랑벡터도(Dir. SE) - 50년 빈도 154

[그림 3-4-10] 등파고선도(Dir. SE) - 50년 빈도 155

[그림 3-4-11] 과업대상지 전면에서의 파고분포도(Dir. SE) - 50년 빈도 156

[그림 3-4-12] 파랑벡터도(Dir. ESE) - 50년 빈도 157

[그림 3-4-13] 등파고선도(Dir. ESE) - 50년 빈도 158

[그림 3-4-14] 과업대상지 전면에서의 파고분포도(Dir. ESE) - 50년 빈도 159

[그림 3-4-15] 파랑벡터도(Dir. E) - 50년 빈도 160

[그림 3-4-16] 등파고선도(Dir. E) -50년 빈도 161

[그림 3-4-17] 과업대상지 전면에서의 파고분포도(Dir. E) - 50년 빈도 162

[그림 3-4-18] 파랑벡터도(Dir. ENE) - 50년 빈도 163

[그림 3-4-19] 등파고선도(Dir. ENE) - 50년 빈도 164

[그림 3-4-20] 과업대상지 전면에서의 파고분포도(Dir. ENE) - 50년 빈도 165

[그림 3-4-21] 설계파 산정구역 166

[그림 3-4-22] EFDC 모델의 개요 168

[그림 3-4-23] 해수유동 실험 계산 격자망도 173

[그림 3-4-24] 해수유동 실험 등수심선도 174

[그림 3-4-25] 검증위치도 175

[그림 3-4-26] 조위 검증곡선 176

[그림 3-4-27] 조류 검증곡선 177

[그림 3-4-28] 광역 최강 창조시 유속벡터도 178

[그림 3-4-29] 광역 최강 낙조시 유속벡터도 179

[그림 3-4-30]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 창조시 유속벡터도 180

[그림 3-4-31]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 낙조시 유속벡터도 181

[그림 3-4-32] 과업대상지 인근 최강 유속분포도 182

[그림 3-4-33] 과업대상지 인근 고조위분포도 183

[그림 3-5-1] 공사용 등부표 설치계획 펑면도 189

[그림 4-1-1] 연구수행체계 199

[그림 4-2-1] 자색수지맨드라미 서식분포, 산호사진 : 제주연안 연산호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 201

[그림 4-2-2] 흰수지맨드라미 서식분포, 산호사진 : 제주연안 연산호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 202

[그림 4-2-3] 검붉은수지맨드라미 서식분포, 산호사진 : 제주연안 연산호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 202

[그림 4-2-4] 밤수지맨드라미 서식분포, 산호사진 : 제주연안 연산호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 203

[그림 4-2-5] 연수지맨드라미 서식분포, 산호사진 : 제주연안 연산호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 203

[그림 4-3-1] 보호대상해양생물 대상종 사진 204

[그림 4-3-2] 흰발농게의 형태적 특징 사진 208

[그림 4-3-3] 갯게의 형태적 특징 사진 209

[그림 4-3-4] 남방방게의 형태적 특징 사진 210

[그림 4-3-5] 두이빨사각게의 형태적 특징 사진 211

[그림 4-3-6] 붉은발말똥게의 형태적 특징 사진 212

[그림 4-3-7] 나팔고둥의 형태적 특징 사진 213

[그림 4-3-8] 남해안 및 제주도 해당 유역청 포획허가신청서 215

[그림 4-3-9] 보호대상해양생물 조사후보지 216

[그림 4-3-10] 흰발농게 서식지 분포 현황 조사 217

[그림 4-3-11] 갯게 서식지 분포 현황 조사 217

[그림 4-3-12] 남방방게 서식지 분포 현황 조사 218

[그림 4-3-13] 두이빨사각게 서식지 분포 현황 조사 218

[그림 4-3-14]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219

[그림 4-3-15] 보호대상해양생물 대상종(게류) 별 서식지 분포 :... 220

[그림 4-3-16] 흰발농게 서식 확인지점 별 서식밀도 221

[그림 4-3-17] 흰발농게 상위 3위 서식지(서식밀도 순) 222

[그림 4-3-18] 흰발농게 서식지 토양 온도 222

[그림 4-3-19] 흰발농게 서식지 토양 염도 223

[그림 4-3-20] 갯게 서식지 토양 온도 224

[그림 4-3-21] 갯게 서식지 토양 염도 224

[그림 4-3-22] 남방방게 서식지 토양 온도 225

[그림 4-3-23] 남방방게 서식지 토양 염도 225

[그림 4-3-24] 두이빨사각게 서식지 토양 온도 226

[그림 4-3-25] 두이빨사각게 서식지 토양 염도 226

[그림 4-3-26] 나팔고둥 조사지역 및 서식분포 :... 227

[그림 4-3-27] 나팔고둥 출현지역 및 개체수 229

[그림 4-3-28] 지역별 출현 나팔고둥의 평균 각장, 각고, 생체량 229

[그림 4-3-29] 위미리 위미항 서식지 및 출현 대상종(남방방게 : 우측 위, 두이빨사각게 : 우측 아래) 230

[그림 4-3-30] 남방방게 및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위미항 하구) 231

[그림 4-3-31] 세화리 가시천 하구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31

[그림 4-3-32]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가시천 하구) 232

[그림 4-3-33] 삼달리 주어동포구 소하천 하구 서식지 및 대상종 갯게 232

[그림 4-3-34] 갯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주어동포구 안쪽 소하천 하구) 233

[그림 4-3-35] 하도리 가금류 사육장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남방방게 233

[그림 4-3-36] 남방방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하도리 가금류 사육장 앞 갯벌) 234

[그림 4-3-37] 하도리 토끼썸 까페 옆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남방방게 234

[그림 4-3-38] 남방방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하도리 토끼썸 까페 옆 갯벌) 235

[그림 4-3-39] 우도 연평리 하고수동항 인근 해변 서식지 및 대상종 남방방게 235

[그림 4-3-40] 남방방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우도 연평리 하고수동항 인근 해변) 236

[그림 4-3-41] 월정리 풍력발전소 소하천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36

[그림 4-3-42]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월정리 풍력발전소 소하천 갯벌) 237

[그림 4-3-43] 김녕리 국제요트학교 인근 해변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38

[그림 4-3-44]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김녕리 국제요트학교 해변 갯벌) 238

[그림 4-3-45] 함덕리 메르빌팬션 옆 해변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39

[그림 4-3-46]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함덕리 메르빌팬션 옆 해변 갯벌) 239

[그림 4-3-47] 금성리 금성천 하구 수변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40

[그림 4-3-48]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금성리 금성천 하구 수변 갯벌) 240

[그림 4-3-49] 신창리 바다목장 관리사무소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41

[그림 4-3-50]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신창리 바다목장 관리사무소 앞 갯벌) 241

[그림 4-3-51] 용수리 용수5길 해안도로 안쪽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두이빨사각게 242

[그림 4-3-52] 두이빨사각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용수리 해안도로 안쪽 갯벌) 242

[그림 4-3-53] 일과리 대정농협 유통센터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갯게 243

[그림 4-3-54] 갯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일과리 대정농협 유통센터 앞 갯벌) 243

[그림 4-3-55] 동일리 우일건재사 옆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갯게 244

[그림 4-3-56] 갯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동일리 우일건재사 옆 갯벌) 244

[그림 4-3-57] 고흥 석정리 영농조합 직판장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45

[그림 4-3-58]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고흥 석정리 영농조합 직판장 앞 갯벌) 245

[그림 4-3-59] 고흥 대금리 풍류로 옆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46

[그림 4-3-60]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고흥 대금리 풍류로 옆 갯벌) 246

[그림 4-3-61] 여수 조화리 마을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47

[그림 4-3-62]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여수 조화리 마을 앞 갯벌) 247

[그림 4-3-63] 광양 광영동 수어천 하구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48

[그림 4-3-64]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광양 광영동 수어천 하구 갯벌) 248

[그림 4-3-65] 하동 신월리 선착장 및 생태탐방로 서식지 및 대상종 갯게 249

[그림 4-3-66] 하동 신월리 선착장 서식개체수 및 기초 환경(하동 신월리 섬진강 하구 갯벌) 249

[그림 4-3-67] 남해 차면리 이충무공유허지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및 갯게 250

[그림 4-3-68] 흰발농게 및 갯게 서식개체수 및 기초환경(남해 차면리 이충무공유허지 갯벌) 251

[그림 4-3-69] 남해 대사리 간사치들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2

[그림 4-3-70]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남해 대사리 간사치들 앞 갯벌) 252

[그림 4-3-71] 남해 갈화리 남서대로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3

[그림 4-3-72]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남해 갈화리 남서대로 앞 갯벌) 253

[그림 4-3-73] 남해 노량리 현대수산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4

[그림 4-3-74]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남해 노량리 현대수산 앞 갯벌) 254

[그림 4-3-75] 남해 문의리 해안 및 소하천 하구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5

[그림 4-3-76]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남해 문의리 해안 및 소하천) 255

[그림 4-3-77] 남해 문항리 마을회관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6

[그림 4-3-78]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남해 문항리 해안 및 소하천) 256

[그림 4-3-79] 사천 조도리 곤양천 하구 석축 앞 갯벌 서식지 및 대상종 흰발농게 257

[그림 4-3-80]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사천 조도리 곤양천 하구 석축 앞 갯벌) 257

[그림 4-3-81] 창원 마전리 구서분교 앞 수변 서식지 및 대상종 갯게 258

[그림 4-3-82] 흰발농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창원 마전리 구서분교 앞 수변) 258

[그림 4-3-83]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애월읍 인근 259

[그림 4-3-84]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한경면 인근 260

[그림 4-3-85]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우도면 우도 인근 261

[그림 4-3-86]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추자 및 관탈 일대 262

[그림 4-3-87]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법환동 범섬 263

[그림 4-3-88]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서귀동 문섬 264

[그림 4-3-89]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보목동 섶섬 265

[그림 4-3-90]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남원읍 위미 266

[그림 4-3-91]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대정읍 마라도 인근 267

[그림 4-3-92]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여수시 금오도 및 거문도 268

[그림 4-3-93] 나팔고둥 서식지 조사, 부산 사하구 남형제섬 269

[그림 4-3-94] 위협요인 분석을 위한 현장 조사 276

[그림 4-3-95] 흰발농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퇴적상 278

[그림 4-3-96] 흰발농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평균입도 분포 279

[그림 4-3-97] 흰발농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분급 분포 280

[그림 4-3-98] 흰발농게 서식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280

[그림 4-3-99] 흰발농게 서식지의 퇴적물 함수율 281

[그림 4-3-100] 흰발농게 서식지의 퇴적물 강열감량 282

[그림 4-3-101] 흰발농게 서식지 내 대표 근연종 및 보호대상해양생물... 283

[그림 4-3-102] 흰발농게 서식 지점의 주요 위협요인(연안정비, 폐어구 유기, 하수유입) 284

[그림 4-3-103] 갯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퇴적상 285

[그림 4-3-104] 갯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평균입도 분포 286

[그림 4-3-105] 갯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분급 분포 286

[그림 4-3-106] 갯게 서식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287

[그림 4-3-107] 갯게 서식지의 퇴적물 함수율 288

[그림 4-3-108] 갯게 서식지의 퇴적물 강열감량 288

[그림 4-3-109] 갯게 서식지 내 대표 근연종 및 보호대상해양생물... 289

[그림 4-3-110] 갯게 서식 지점의 주요 위협요인... 290

[그림 4-3-111] 남방방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퇴적상 291

[그림 4-3-112] 남방방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평균입도 분포 292

[그림 4-3-113] 남방방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분급 분포 293

[그림 4-3-114] 남방방게 서식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293

[그림 4-3-115] 남방방게 서식지의 퇴적물 함수율 294

[그림 4-3-116] 남방방게 서식지의 퇴적물 강열감량 295

[그림 4-3-117] 남방방게 서식지 내 대표 근연종 및 보호대상해양생물... 296

[그림 4-3-118] 남방방게 서식 지점의 주요 위협요인(연안정비, 매립, 하수유입, 쓰레기 유기) 297

[그림 4-3-119]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퇴적상 298

[그림 4-3-120]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평균입도 분포 299

[그림 4-3-121]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표층퇴적물 분급 분포 300

[그림 4-3-122]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퇴적물 입도분포 300

[그림 3-3-123]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퇴적물 함수율 301

[그림 4-3-124] 두이빨사각게 서식지의 퇴적물 강열감량 302

[그림 4-3-125] 두이빨사각게 서식지 내 대표 근연종 및 보호대상해양생물... 303

[그림 4-3-126] 두이빨사각게 서식 지점의 주요 위협요인(연안정비, 매립, 하수유입, 쓰레기 유기) 304

[그림 4-3-127] 붉은발말똥게 서식지의 퇴적물 미량금속 농도(해양환경관리법 제 8조 해양환경기준) 306

[그림 4-3-128] 나팔고둥 출현 대표 생물군락 307

[그림 4-3-129] 나팔고둥 출현 개체수 그래프 308

[그림 4-3-130] 나팔고둥 출현 개체수 및 수온 그래프 308

[그림 4-3-131] 나팔고둥 출현 개체수 및 수심 그래프 308

[그림 4-3-132] 나팔고둥 위협요인 309

[그림 4-3-133] 남방방게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 315

[그림 4-3-134] 남방방게를 비롯한 상위 분류군(Eubrachyura)의 근연한 종들의 전장 유전체의... 317

[그림 4-3-135] 남방방게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 318

[그림 4-3-136] 나팔고둥을 비롯한 상위 분류군(Eubrachyura)의 근연한 종들의 전장 유전체의... 320

[그림 4-4-1] 포획한 보호대상 해양생물. 흰발농게, 갯게, 남방방게 324

[그림 4-4-2] 수중식 및 사육시스템 제작과정 326

[그림 4-4-3] 수중식 및 건조식 사육시스템에서 흰발농게의 생활 327

[그림 4-4-4] 수중식 및 건조식 사육시스템에서 갯게의 생활 327

[그림 4-4-5] 수중식 및 건조식 사육시스템에서 남방방게의 생활 328

[그림 4-4-6] 흰발농게와 갯게의 탈피 후 갑각 330

[그림 4-4-7] 외포란 흰발농게 및 부화용 수조 331

[그림 4-4-8] 흰발농게 수정란의 발달과정 332

[그림 4-4-9] 해산 식물먹이생물 2종의 배양 333

[그림 4-4-10] 해산 동물먹이생물 2종의 배양 및 부화 333

[그림 4-4-11] 흰발농게 조에아기의 수온 및 염분별 생존율 335

[그림 4-4-12] 흰발농게 조에아기 유생의 윤충류 섭식률 336

[그림 4-4-13] 흰발농게 조에아기 유생의 Artemia nauplii 섭식률 337

[그림 4-5-1] 붉은발말똥게의 사육 및 포란한 어미게 338

[그림 4-5-2] 부화가 임박한 붉은발말똥게 어미의 수용 수조 339

[그림 4-5-3] 붉은발말똥게의 교미 339

[그림 4-5-4] 붉은발말똥게 부유유생 계측 및 사육수조 340

[그림 4-5-5] 메갈로파기 사육수조 및 어린게 사육관리 342

[그림 4-5-6] 붉은발말똥게 방류예정지역(창원시 봉암갯벌)의 위치 및 관리 현황 343

[그림 4-5-7] 창원시 봉암갯벌에서 확인된 붉은발말똥게 서식 모습 344

[그림 4-5-8] 봉암갯벌생태학습장 및 갯벌관찰용 목도 344

[그림 4-5-9] 붉은발말똥게 개체군의 유전자 분석 345

[그림 4-5-10] 방류효과 분석을 위한 실험방류구와 자연방류구의 조사지점 347

[그림 4-5-11] 방류효과 조사시 채집된 방게와 사각게 어린개체 348

[그림 5-1-1] 독도 사업대상 지역 360

[그림 5-2-1] 조사연도별 성게류의 평균밀도 변화(2006-2016) 362

[그림 5-2-2] 2016년 독도에서 실시된 성게류 모니터링 잠수조사 정점 363

[그림 5-2-3] 2016년 12월 촬영된 독도의 서도 남서쪽(정점-4)의 성게 군락 364

[그림 5-2-4] 과거 자료를 토대로 선정한 성게류의 우선 제거지역 364

[그림 5-2-5] 조식동물을 수거하여 양망기로 운반하는 모습 365

[그림 5-2-6] 제거한 조식동물을 파손하여 폐기하는 모습 365

[그림 5-2-7] 성게 이상증식 규명 조사정점 367

[그림 5-2-8] 성게의 GI 값에 따른 내부 구조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 368

[그림 5-2-9] 해양환경 조사정점 위치 369

[그림 5-2-10] 갯녹음 분포 파악 조사정점 371

[그림 5-2-11] 독도 주변 해역 해조류와 갯녹음 진단을 위한 방형구 촬영 사진 371

[그림 5-3-1] 조식동물 구제 전·후의 모습 374

[그림 5-3-2] 2017년 4월 수거한 조식동물 및 측정 모습 375

[그림 5-3-3] 2017년 6월 수거한 조식동물 모습 376

[그림 5-3-4] 조사정점도 376

[그림 5-3-5] 정점별 성게 분포 특성 379

[그림 5-3-6] 유형(juvenile)-성체(adult)별 성게 분포 특성 380

[그림 5-3-7] 둥근성게 골격의 배면, 복면 380

[그림 5-3-8] 계절별 수온 및 둥근성게의 Gonad index 변화 381

[그림 5-3-9] 조사해역의 수온 분포 382

[그림 5-3-10] 조사해역의 염분 분포 382

[그림 5-3-11] 조사해역의 용존산소(DO) 분포 383

[그림 5-3-12] 조사해역의 용존무기영양염의 분포 383

[그림 5-3-13] 조사해역의 총유기탄소(TOC) 및 엽록소-a(chl.-a) 분포 384

[그림 5-3-14] 갯녹음 지역과 해조류 지역의 성게 이동특성 실험 모습 385

[그림 5-3-15] 코끼리 바위 지역의 성게 밀도 변화 및 전경 385

[그림 5-3-16] 2006년부터 2017년까지 독도 주변해역에서 계절별로 관찰된 국립수산과학원과 2017년 4월에... 386

[그림 5-3-17] 성게류 단위면적당 평균 서식밀도의 계절성 분석 결과-계절 지수(Seasonal Indices; 1, 여름, 2,... 387

[그림 5-3-18] 성게류 단위면적당 평균 서식밀도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388

[그림 5-3-19] 각 정점별 갯녹음 진단 390

[그림 6-2-1] 바다거북 초음파 검사 사진(좌), 난간이 형성된 알 초음파 사진(우) 399

[그림 6-2-2] 증식 연구 바다거북 혈액 분석 결과 Testosterone(좌), Triglyceride(우) 농도 399

[그림 6-2-3] 증식 연구 바다거북 혈액 분석 결과 수컷 Total protein(좌), 암컷 Total protein(우) 농도 400

[그림 6-2-4] 증식 연구 바다거북 혈액 분석 결과 암컷Calcium 농도 400

[그림 6-2-5] 증식 연구 바다거북 혈액 분석 결과 암컷 Total Cholesterol(좌), Estradiol(우) 농도 401

[그림 6-2-6] 매부리바다거북 교미 모습(좌), 푸른바다거북 교미 모습(우) 401

[그림 6-2-7] 푸른바다거북(G003) 초음파 검사 결과 난황형성 사진(좌), 난황 및 난각 형성사진(우) 402

[그림 6-2-8] 산란장 알 수거 모습(좌), 알 부화장 이동시 모습(우) 403

[그림 6-2-9] 대용량 조류 부화기(좌), 대용랑 조류 부화기 부화 모습(우) 403

[그림 6-2-10] 모래 부화장 모습(좌), 모래 부화장 부화 준비 중인 알 모습(우) 403

[그림 6-2-11] 인공 부화기 부화 모습(좌), 모래 부화장 부화 모습(우) 404

[그림 6-2-12] 바다거북 부화 개체 임시 개별 수조(좌), 임시 개별 수조 관리 모습(우) 404

[그림 6-2-13] 푸른바다거북 인공 증식 개체 404

[그림 6-2-14] 제주도 중문해수욕장 위성 전경(좌), 중문해수욕장 전경(우) 405

[그림 6-2-15] 2002년 6월 중문해수욕장에서 산란중인 붉은바다거북 사진(좌), 제주도 서귀포시 월별 수온... 405

[그림 6-2-16] 푸른바다거북에 부착된 인코넬 인식표(좌), 피하인식칩 사진(우) 406

[그림 6-2-17] 푸른바다거북 인코넬 인식표 부착 사진(좌), 피하인식칩 부착 사진(우) 406

[그림 6-2-18] 푸른바다거북 부화 개체 mtDNA 유전자 분석 결과 407

[그림 6-2-19] 푸른바다거북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체군 확인 407

[그림 6-2-20] 제주도 해양수산자원연구원 양식 수조 건물 사진(좌), 현장 적응훈련 중인 부화개체 사진(우) 408

[그림 6-2-21] 제주도 중문해수욕장 푸른바다거북 인공 증식 개체 방류 시 바다로 나가는 사진(좌), 지역 학생들... 408

[그림 6-2-22] 제주도 중문해수욕장 푸른바다거북 인공 증식 개체 방류행사 단체사진(좌), 바다거북 현판 제막식(우) 408

[그림 6-2-23] 채집 장소 및 방법(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어촌계 일대) 410

[그림 6-2-24] 거머리말을 채취하는 모습 및 함께 채취한 생물 410

[그림 6-2-25] 사육수조 설계도면 및 사육수조(섬프수조) 설계도면 411

[그림 6-2-26] 수조 내 고체비료의 투입 417

[그림 6-2-27] 거머리말 생장률 측정 모습(인공해수) 421

[그림 6-2-28] 인공해수 수조 내 미량원소 수치와 잘피의 성장률 비교 422

[그림 6-2-29] 자연해수 수조 내 미량원소 수치와 잘피의 성장률 비교 422

[그림 6-2-30] 시험성적서 423

[그림 6-2-31] 새롭게 조성한 거머리말숲 수조 424

[그림 6-2-32] 수조 내 합사 생물-두줄망둑, 밤고둥(좌), 수조 내 합사 생물-집게(우) 424

[그림 6-2-33] 모패관리 및 산란유도 426

[그림 6-2-34] 모패관리 427

[그림 6-2-35] 교미현황 427

[그림 6-2-36] 산란유도를 위한 인위적 수온조절 428

[그림 6-2-37] 암컷의 체중변화 429

[그림 6-2-38] 암컷 개체별 체중변화 430

[그림 6-2-39] 수컷의 체중변화 430

[그림 6-2-40] 수컷 개체별 체중변화 431

[그림 6-2-41] 난낭분리(좌), 난당 담수욕 처리 및 담수욕 후 탈란도니 해충류(가운데), 난낭 부화조 입식(우) 432

[그림 6-2-42] 부화한 유생개체들의 현미경 사진(좌), 유생개체들의 크기 측정 현미경사진(우) 432

[그림 6-2-43] 유생 배양 시스템 433

[그림 6-2-44] 유생 사육 시스템 434

[그림 6-2-45] 마이크로 카트리지 필터(좌), UV 살균장치(가운데), 에어공급장치(우) 436

[그림 6-2-46] 먹이생물 선정 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배양사육 436

[그림 6-2-47] (a) 부화 초기 유생, (b) Chlorella 섭이한 유생 438

[그림 6-2-48] (a) Isochrysis 섭이한 나팔고둥유생, (b) Pavlova 섭이한 나팔고둥 유생, (c) 3종 혼합 공급 유생 438

[그림 6-2-49] 배양시스템에서 생존율 및 성장률 439

[그림 6-2-50] 45일령의 나팔고둥 유생(좌), 각장 738~847㎛의 유생(45일령)(우) 440

[그림 6-2-51] (a) 감염으로 인한 응어리진 폐사체들, (b) 감염된 유생, (c) 해충(100배율), (d) 해충(400배율) 440

[그림 6-2-52] 통기 방식(공기 주입)(좌), 공기방울에 의해 침강된 유생(우) 441

[그림 6-2-53] 산호 종묘의 자연 서식지 이식 지역(좌), 이식정점 3개소의 위치(우) 442

[그림 6-2-54] 다이버에 의한 이식 산호 모니터링 444

[그림 6-2-55] 산호 모니터링 기록표 444

[그림 6-2-56] 제주 성산 산호이식 지역의 연중 수온 변화 추이 445

[그림 6-2-57] 전체 이식종묘의 생존율 447

[그림 6-2-58] 3개소에 이식한 산호 종묘의 생존율 448

[그림 6-2-59] 3-type 종묘의 생존율 비교 449

[그림 6-2-60] 구역별 진총산호(ESA)의 성장길이 비교 452

[그림 6-2-61] 진총산호(ESA10), 자색수지맨드라미(DPA92)의 성장 변화 453

[그림 6-2-62] 2015년 11월 산호 종묘 이식 초기부터 2017년 11월까지의 모니터링 경과. 위로부터 A,B,C구역 453

[그림 6-2-63] 실험용 수조 A, B수조 각 펌프 및 배관설치, 물리적 여과와 생물학적 여과를 위한 필터울,... 454

[그림 6-2-64] (a) 해마 반입지역, (b) 수송된 해마 30미의 반입상태 확인, (c) 각 수조에 해마 15미 순치 작업,... 455

[그림 6-2-65] 경질의 조형물을 설치한 A수조 456

[그림 6-2-66] 모자반과 유사한 연질의 조형물을 설치한 B수조 456

[그림 6-2-67] 모자반 채집 지역-태종대 해운대 인근 연안 456

[그림 6-2-68] 채집된 모자반 반입 상태 확인 456

[그림 6-2-69] 각 수조의 분포밀도 조성 모식도 457

[그림 6-2-70] A수조 인공조형물을 이용하여 분포밀도 왼쪽부터 0, 20, 60으로 조성 457

[그림 6-2-71] B수조 자연모자반을 이용하여 분포밀도 왼쪽부터 0, 20, 60으로 조성 458

[그림 6-2-72] 8주(6,7월)동안의 A, B수조의 해마 생존율 변화 458

[그림 6-2-73] 꼬리부분 훼손이 발견된 A수조 폐사체 459

[그림 6-2-74] 8주(9,10월)동안의 A, B수조 각 영역에서의 해마 생존율 변화 459

[그림 6-2-75] 6월3일 A수조 육아낭 부푼 수컷해마 1미 관찰 460

[그림 6-2-76] 7월 21일 A수조 해마 치어 출산확인 460

[그림 6-2-77] 생존한 해마치어 격리 수조 제작 및 입식 460

[그림 6-2-78] 9월 23일 A3영역 육아낭 부푼 수컷해마 1미 관찰 460

[그림 6-2-76] 다이빙 사전 환경조사 일지 461

[그림 6-2-80] 사진 환경조사 사진 462

[그림 6-2-81] 채집 장소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금데기여 부근 463

[그림 6-2-82] 채집방법 463

[그림 6-2-83] 인위 절단법과 자가 절단법 464

[그림 6-2-84] 수지맨드라미 연구 수조 465

[그림 6-2-85] 환경 요소별 성장률 비교 사진 465

[그림 6-3-1] 지역별 해양동물 구조 실적 467

[그림 6-3-2] 해양동물 구조·치료 교육·훈련 현황 468

[그림 7-1-1] 사업대상 위치도 472

[그림 7-2-1]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발대식 474

[그림 7-3-1] 청소년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여름생태학교 진행사진 481

[그림 7-4-1] 점박이물범 모니터링 및 동아리 자율 탐구 활동 진행사진 485

[그림 7-4-2] 해양생물탐구대회 참가 모습 490

[그림 7-4-3] 제19회 과학제전 참가 및 홍보활동 진행사진 491

[그림 7-4-4] facebook 점박이물범 홍보 페이지 492

[그림 7-5-1]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활동 결과 발표회 진행사진 495

[그림 8-1-1] 남방큰돌고래(대포·금등) 방류 관련 회의 501

[그림 8-1-2] 남방큰돌고래(대포·금등) 해상 가두리 이송 502

[그림 8-1-3] 남방큰돌고래(대포·금등) 방류 훈련 503

[그림 8-2-1] 남방큰돌고래의 외형 505

[그림 8-2-2] 제주 남방큰돌고래 무리 506

[그림 8-2-3] 남방큰돌고래의 분포수역 507

[그림 8-3-1] 제2차 민관 방류위원회 509

[그림 8-3-2] 제3차 민관 방류위원회 510

[그림 8-3-3] 제1차 민관 기술위원회 513

[그림 8-3-4] 제2차 민관 기술위원회 513

[그림 8-3-5] 제3차 민관 기술위원회 514

[그림 8-3-6] 제4차 민관 기술위원회 514

[그림 8-5-1] 이송 1단계 진행사항 529

[그림 8-5-2] 이송 2단계 진행사항 530

[그림 8-5-3] 이송 3단계 진행사항 531

표제지

목차

[부록 1]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수 모니터링 조사 프로토콜 정립 580

[부록 2] 보호대상해양생물 실내증식 매뉴얼(흰발농게, 갯게, 남방방게) 590

[부록 3] 독도해양생물서식처 개선사업 조사정점 수중현황 628

[부록 4] 푸른바다거북 / 붉은바다거북 혈액 및 호르몬 분석결과 646

[부록 5]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활동 658

[부록 6] 남방큰돌고래(금등·대포) 방류 훈련일지 704

판권기 85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07603 577.7 -18-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07604 577.7 -18-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