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using the Korean sign language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어원, 2017
청구기호
401.9 -18-1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66 p. :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국립국어원 ; 2017-01-33
제어번호
MONO1201834123
주기사항
조사실시기관: (사)한국농아인협회
부록: 1. 설문지 ; 2. 통계표
국립국어원의 용역비로 수행한 '2017년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사업의 결과물을 발간한 것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부 조사 개요 6

1. 조사 목적 6

2. 조사 연혁 6

3. 조사 내용 및 범위 6

4. 주요 용어 및 정의 6

5. 조사 체계 11

6. 표본 설계 12

7. 실제 조사 15

8. 자료 입력 및 처리 16

9. 가중치 산출 17

10. 추정 및 추정량 분산 17

11. 결과 발표 18

12. 조사 현황 19

제2부 주요 조사 결과 20

1. 한국수어 사용 20

1) 의사소통 일반 20

2) 일상생활 관련 의사소통 34

3) 교육 관련 의사소통 46

4) 의료 관련 의사소통 50

5) 직업 관련 의사소통 54

6) 법률 관련 의사소통 58

7) 방송 및 인터넷 62

2. 한국수어에 대한 의식 66

3. 농문화 인식 71

4. 농정체성 72

제3부 조사 결과 73

1. 한국수어 사용 73

1) 의사소통 일반 73

2) 일상생활 관련 의사소통 87

3) 교육 관련 의사소통 101

4) 의료 관련 의사소통 109

5) 직업 관련 의사소통 114

6) 법률 관련 의사소통 120

7) 방송 및 인터넷 127

2. 한국수어에 대한 의식 139

3. 농문화 인식 149

4. 농정체성 155

[부록 1] 설문지 168

[부록 2] 통계표 176

판권기 279

[표 Ⅰ-1] 조사 모집단 연령대 분포 12

[표 Ⅰ-2] 조사 모집단 시ㆍ도별 분포 13

[표 Ⅰ-3] 조사 모집단 권역별 분포 13

[표 Ⅰ-4] 조사 모집단 성별 분포 13

[표 Ⅰ-5] 조사 모집단 장애 등급별 분포 14

[표 Ⅰ-6] 권역별 읍ㆍ면ㆍ동 수 분포 15

[표 Ⅰ-7] 오차 한계 x% 수준에서의 표본 수 15

[표 Ⅱ-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0

[표 Ⅱ-1-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21

[표 Ⅱ-2] 수어 이해 정도 22

[표 Ⅱ-2-1] 수어 이해 정도: 연령별 분포 23

[표 Ⅱ-3]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24

[표 Ⅱ-3-1]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연령별 분포 25

[표 Ⅱ-4] 수어 통역 주체 26

[표 Ⅱ-4-1] 수어 통역 주체: 연령별 분포 27

[표 Ⅱ-5] 수어 통역 받은 횟수 28

[표 Ⅱ-5-1] 수어 통역 받은 횟수: 연령별 분포 29

[표 Ⅱ-6]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30

[표 Ⅱ-6-1]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연령별 분포 31

[표 Ⅱ-7]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32

[표 Ⅱ-7-1]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연령별 분포 33

[표 Ⅱ-8]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34

[표 Ⅱ-8-1]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35

[표 Ⅱ-9]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36

[표 Ⅱ-9-1]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연령별 분포 37

[표 Ⅱ-10]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38

[표 Ⅱ-10-1]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연령별 분포 39

[표 Ⅱ-11]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40

[표 Ⅱ-11-1]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연령별 분포 41

[표 Ⅱ-12]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42

[표 Ⅱ-12-1]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연령별 분포 43

[표 Ⅱ-13]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44

[표 Ⅱ-13-1]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1) 1순위: 연령별 분포 45

[표 Ⅱ-14]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46

[표 Ⅱ-14-1]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47

[표 Ⅱ-1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48

[표 Ⅱ-15-1]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49

[표 Ⅱ-16]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0

[표 Ⅱ-16-1]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1

[표 Ⅱ-17]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52

[표 Ⅱ-17-1]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연령별 분포 53

[표 Ⅱ-18]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4

[표 Ⅱ-18-1]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5

[표 Ⅱ-19]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56

[표 Ⅱ-19-1]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57

[표 Ⅱ-2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8

[표 Ⅱ-20-1]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9

[표 Ⅱ-21]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60

[표 Ⅱ-21-1]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연령별 분포 61

[표 Ⅱ-22]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62

[표 Ⅱ-22-1]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연령별 분포 63

[표 Ⅱ-23]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되지 않는 원인 64

[표 Ⅱ-23-1]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되지 않는 원인: 연령별 분포 65

[표 Ⅱ-24]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66

[표 Ⅱ-24-1]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연령별 분포 67

[표 Ⅱ-25]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69

[표 Ⅱ-25-1]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70

[표 Ⅱ-26] 농정체성 평균과 표준 편차 72

[표 Ⅱ-27] 농정체성 영역별 평균과 표준 편차 72

[표 Ⅲ-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74

[표 Ⅲ-2]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75

[표 Ⅲ-3] 수어 이해 정도 76

[표 Ⅲ-4] 말(독화) 이해 정도 77

[표 Ⅲ-5] 다른 사람의 필담 이해 정도 78

[표 Ⅲ-6] 수어 배운 연령 79

[표 Ⅲ-7] 수어를 배운 대상 80

[표 Ⅲ-8]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81

[표 Ⅲ-9] 수어 통역 주체 82

[표 Ⅲ-10] 수어 통역 받은 횟수 83

[표 Ⅲ-11]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84

[표 Ⅲ-1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85

[표 Ⅲ-13]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1+2순위) 86

[표 Ⅲ-14]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87

[표 Ⅲ-15]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88

[표 Ⅲ-16]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89

[표 Ⅲ-17]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90

[표 Ⅲ-18] 수어 사용에 대한 가족의 이해 정도 91

[표 Ⅲ-19] 여가 활동 1) 1순위 92

[표 Ⅲ-20] 여가 활동 2) 1+2순위 93

[표 Ⅲ-21] 취미 및 여가 활동 대상 94

[표 Ⅲ-22]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95

[표 Ⅲ-23] 금융 기관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96

[표 Ⅲ-24]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97

[표 Ⅲ-25] 관공서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98

[표 Ⅲ-26]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99

[표 Ⅲ-27]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00

[표 Ⅲ-28] 학교에서 교육 받은 경험 101

[표 Ⅲ-29]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02

[표 Ⅲ-30]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03

[표 Ⅲ-31] 수업 내용 이해 정도 104

[표 Ⅲ-32]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받은 지원 1) 1순위 105

[표 Ⅲ-33]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받은 지원 2) 1+2순위 106

[표 Ⅲ-34]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07

[표 Ⅲ-3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08

[표 Ⅲ-36]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09

[표 Ⅲ-37]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10

[표 Ⅲ-38] 진료 내용 이해 정도 111

[표 Ⅲ-39]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112

[표 Ⅲ-40]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113

[표 Ⅲ-41] 직장 생활 경험 114

[표 Ⅲ-42]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15

[표 Ⅲ-43]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16

[표 Ⅲ-44] 직장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17

[표 Ⅲ-45]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18

[표 Ⅲ-46]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19

[표 Ⅲ-47] 법률 관련 의사소통 경험 120

[표 Ⅲ-48]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21

[표 Ⅲ-49]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22

[표 Ⅲ-5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23

[표 Ⅲ-51] 대화 내용이 이해되지 않는 원인 124

[표 Ⅲ-52]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125

[표 Ⅲ-53]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126

[표 Ⅲ-54]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127

[표 Ⅲ-55]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2) 1+2+3순위 128

[표 Ⅲ-56]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129

[표 Ⅲ-57]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 안되는 원인 130

[표 Ⅲ-58] 자막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131

[표 Ⅲ-59] 자막 서비스가 이해되지 않는 원인 132

[표 Ⅲ-60]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1) 1순위 133

[표 Ⅲ-61] 새로운 정보를 얻는 방법 2) 1+2순위 134

[표 Ⅲ-6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방송 프로그램 135

[표 Ⅲ-63] 인터넷에서 주로 한국수어를 보는 매체 136

[표 Ⅲ-64] 인터넷에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경험 137

[표 Ⅲ-65]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매체(복수응답) 138

[표 Ⅲ-66]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139

[표 Ⅲ-67] 한국수어 이미지 1) 수어는 뜻이 정확하다 140

[표 Ⅲ-68] 한국수어 이미지 2) 수어는 품위가 있다 141

[표 Ⅲ-69] 한국수어 이미지 3) 수어는 아름답다 142

[표 Ⅲ-70] 한국수어 이미지 4) 수어는 배우기 쉽다 143

[표 Ⅲ-71] 한국수어 이미지 5) 수어는 논리적이다 144

[표 Ⅲ-72] 한국수어 이미지 6) 수어는 편안하다 145

[표 Ⅲ-73]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46

[표 Ⅲ-74]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47

[표 Ⅲ-75] 한국수어의 날 지정 148

[표 Ⅲ-76] 농문화 인식 1) 농인은 자기소개를 비교적 상세히 한다 149

[표 Ⅲ-77] 농문화 인식 2) 농인은 헤어질 때 긴 작별 인사를 한다 150

[표 Ⅲ-78] 농문화 인식 3) 농인은 자리를 비울 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목적지를 알린다 151

[표 Ⅲ-79] 농문화 인식 4) 농인은 대체로 직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 152

[표 Ⅲ-80] 농문화 인식 5) 농인은 농공동체에 활발히 참여한다 153

[표 Ⅲ-81] 농문화 인식 6) 농인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154

[표 Ⅲ-82] 농정체성 1)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 155

[표 Ⅲ-83] 농정체성 2)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 156

[표 Ⅲ-84] 농정체성 3) 나는 청인들이 농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를 원한다 157

[표 Ⅲ-85] 농정체성 4) 농인만이 농아동을 가르쳐야 한다 158

[표 Ⅲ-86] 농정체성 5) 한국수어는 한국어에 기초해야 한다 159

[표 Ⅲ-87] 농정체성 6) 나는 농인이 수어 사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피한다 160

[표 Ⅲ-88] 농정체성 7) 농교육의 초점은 농아동에게 말하기와 구어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161

[표 Ⅲ-89] 농정체성 8) 농인에게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음성 언어와 구어법이다 162

[표 Ⅲ-90] 농정체성 9) 나는 다른 농인들을 좋아하지만 가끔 그들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163

[표 Ⅲ-91] 농정체성 10) 나는 농인과 청인 모두에게 편안함을 느낀다 164

[표 Ⅲ-92] 농정체성 11) 농인은 농인들과만 교류해야 한다 165

[표 Ⅲ-93] 농정체성 12) 나는 청인, 농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 166

[표 Ⅲ-94] 농정체성 평균과 표준 편차 167

[표 Ⅲ-95] 농정체성 영역별 평균과 표준 편차 167

[그림 Ⅱ-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0

[그림 Ⅱ-1-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21

[그림 Ⅱ-2] 수어 이해 정도 22

[그림 Ⅱ-2-1] 수어 이해 정도: 연령별 분포 23

[그림 Ⅱ-3]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24

[그림 Ⅱ-3-1]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연령별 분포 25

[그림 Ⅱ-4] 수어 통역 주체 26

[그림 Ⅱ-4-1] 수어 통역 주체: 연령별 분포 27

[그림 Ⅱ-5] 수어 통역 받은 횟수 28

[그림 Ⅱ-5-1] 수어 통역 받은 횟수: 연령별 분포 29

[그림 Ⅱ-6]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30

[그림 Ⅱ-6-1]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연령별 분포 31

[그림 Ⅱ-7]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32

[그림 Ⅱ-7-1]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연령별 분포 33

[그림 Ⅱ-8]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34

[그림 Ⅱ-8-1]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35

[그림 Ⅱ-9]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36

[그림 Ⅱ-9-1]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연령별 분포 37

[그림 Ⅱ-10]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38

[그림 Ⅱ-10-1]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연령별 분포 39

[그림 Ⅱ-11]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40

[그림 Ⅱ-11-1]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연령별 분포 41

[그림 Ⅱ-12]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42

[그림 Ⅱ-12-1]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연령별 분포 43

[그림 Ⅱ-13]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44

[그림 Ⅱ-13-1]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1) 1순위: 연령별 분포 45

[그림 Ⅱ-14]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46

[그림 Ⅱ-14-1]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47

[그림 Ⅱ-1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48

[그림 Ⅱ-15-1]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49

[그림 Ⅱ-16]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0

[그림 Ⅱ-16-1]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1

[그림 Ⅱ-17]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52

[그림 Ⅱ-17-1]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연령별 분포 53

[그림 Ⅱ-18]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4

[그림 Ⅱ-18-1]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5

[그림 Ⅱ-19]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56

[그림 Ⅱ-19-1]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57

[그림 Ⅱ-2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58

[그림 Ⅱ-20-1]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연령별 분포 59

[그림 Ⅱ-21]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60

[그림 Ⅱ-21-1]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연령별 분포 61

[그림 Ⅱ-22]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62

[그림 Ⅱ-22-1]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연령별 분포 63

[그림 Ⅱ-23]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되지 않는 원인 64

[그림 Ⅱ-23-1]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되지 않는 원인: 연령별 분포 65

[그림 Ⅱ-24]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66

[그림 Ⅱ-24-1]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연령별 분포 67

[그림 Ⅱ-25]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69

[그림 Ⅱ-25-1]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연령별 분포 70

응답자 분포표 178

[표 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79

[표 2]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80

[표 3] 수어 이해 정도 181

[표 4] 말(독화) 이해 정도 182

[표 5] 다른 사람의 필담 이해 정도 183

[표 6] 수어 배운 연령 184

[표 7] 수어를 배운 대상 185

[표 8]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186

[표 9] 수어 통역 주체 187

[표 10] 수어 통역 받은 횟수 188

[표 11]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189

[표 1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1) 1순위 190

[표 13]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2) 1+2순위 191

[표 14]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92

[표 15]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93

[표 16] 청인 가족 중 수어 할 수 있는 구성원 194

[표 17]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195

[표 18] 수어 사용에 대한 가족의 이해 정도 196

[표 19] 여가 활동 1) 1순위 197

[표 20] 여가 활동 2) 1+2순위 198

[표 21] 취미 및 여가활동 대상 199

[표 22]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00

[표 23] 금융 기관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01

[표 24]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02

[표 25] 관공서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03

[표 26]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04

[표 27]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05

[표 28] 학교에서 교육 받은 경험 206

[표 29]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07

[표 30]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08

[표 31] 수업내용 이해 정도 209

[표 32] 교육 내용 이해하는 데 받은 지원 1) 1순위 210

[표 33] 교육 내용 이해하는 데 받은 지원 2) 1+2순위 211

[표 34]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12

[표 3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13

[표 36]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14

[표 37]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15

[표 38] 진료 내용 이해 정도 216

[표 39]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217

[표 40]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218

[표 41] 직장 생활 경험 219

[표 42]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20

[표 43]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21

[표 44] 직장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22

[표 45]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23

[표 46]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24

[표 47] 법률 관련 의사소통 경험 225

[표 48]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26

[표 49]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27

[표 5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대화내용 이해 정도 228

[표 51] 대화 내용이 이해되지 않은 원인 229

[표 52]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230

[표 53]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231

[표 54] 방송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232

[표 55] 방송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2) 1+2+3순위 233

[표 56]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234

[표 57] 수어 통역 서비스 이해 안되는 원인 235

[표 58] 자막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236

[표 59] 자막 서비스 이해 안되는 원인 237

[표 60]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1) 1순위 238

[표 61]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2) 1+2순위 239

[표 6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방송 프로그램 240

[표 63] 인터넷에서 주로 한국수어를 보는 매체 241

[표 64] 인터넷에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경험 242

[표 65]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하는 매체(복수응답) 243

[표 66]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244

[표 67] 한국수어 이미지 1) 수어는 뜻이 정확하다 245

[표 68] 한국수어 이미지 2) 수어는 품위가 있다 246

[표 69] 한국수어 이미지 3) 수어는 아름답다 247

[표 70] 한국수어 이미지 4) 수어는 배우기 쉽다 248

[표 71] 한국수어 이미지 5) 수어는 논리적이다 249

[표 72] 한국수어 이미지 6) 수어는 편안하다 250

[표 73]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51

[표 74]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52

[표 75] 한국수어의 날 지정 253

[표 76] 농문화 인식 1) 농인은 자기 소개를 비교적 상세히 한다 254

[표 77] 농문화 인식 2) 농인은 헤어질 때 긴 작별 인사를 한다 255

[표 78] 농문화 인식 3) 농인은 자리를 비울 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목적지를 알린다 256

[표 79] 농문화 인식 4) 농인은 대체로 직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 257

[표 80] 농문화 인식 5) 농인은 농공동체에 활발히 참여한다 258

[표 81] 농문화 인식 6) 농인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259

[표 82] 농정체성 1)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 260

[표 83] 농정체성 2)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 261

[표 84] 농정체성 3) 나는 청인들이 농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를 원한다 262

[표 85] 농정체성 4) 농인만이 농아동을 가르쳐야 한다 263

[표 86] 농정체성 5) 한국수어는 한국어에 기초해야 한다 264

[표 87] 농정체성 6) 나는 농인이 수어 사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피한다 265

[표 88] 농정체성 7) 농교육의 초점은 농아동에게 말하기와 구어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266

[표 89] 농정체성 8) 농인에게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음성 언어와 구어법이다 267

[표 90] 농정체성 9) 나는 다른 농인들을 좋아하지만 가끔 그들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268

[표 91] 농정체성 10) 나는 농인과 청인 모두에게 편안함을 느낀다 269

[표 92] 농정체성 11) 농인은 농인들과만 교류해야 한다 270

[표 93] 농정체성 12) 나는 청인, 농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 2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2174 401.9 -18-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2175 401.9 -18-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