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연구 / 국립국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어원, 2017
청구기호
401.9 -18-1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 264 p. : 삽화, 서식 ; 30 cm
총서사항
국립국어원 ; 2017-01-56
제어번호
MONO1201834129
주기사항
연구기관: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
연구책임자: 이대섭
부록: 1. 설문지 ; 2. 통계표
참고문헌: p. 158-160
국립국어원의 용역비로 수행한 '2017년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사업의 결과물을 발간한 것임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영문요약 5

개조식요약문 6

Ⅰ. 서론 21

1. 연구의 배경 21

2. 연구의 목적 21

3. 연구의 범위 22

4. 연구 방법 및 사업 수행 전략 23

Ⅱ. 문헌 고찰 24

1. 국내외 수어 및 농인 관련 연구 고찰 24

1) 국내의 농인 및 수어 관련 문헌 분석 24

2) 해외의 농인 및 수어 관련 문헌 분석 29

2. 청각 장애인 관련 실태 조사 51

1) 청각 장애인의 인구학적 특성 51

2) 청각 장애인의 욕구 만족도 조사 59

3. 주요 장애인 대상 조사에 나타난 청각ㆍ언어 장애인 실태 63

1) 장애 출현율 64

2) 장애 형태 65

3) 장애 발생 시기 65

4) 장애 원인 67

5) 의사소통 방법 70

Ⅲ. 조사 방법 72

1. 조사 개요 72

1) 초점 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 74

2) 조사 도구 개발(tools development) 74

3) 표본 설계 76

4) 자문 회의(advisory conference) 81

5) 예비 조사(pilot survey) 81

6) 본 조사(main survey) 82

2. 조사 세부 내용 82

1) 조사 개요 82

2) 조사원 모집 83

3) 조사원 교육 83

4) 조사원 지도ㆍ감독 84

5) 농인 대상 특화된 조사 방법 84

6) 자료 처리 및 결과 제시 84

3.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중장기 계획 수립 85

Ⅳ. 조사 결과 87

1.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87

2. 한국수어 사용 89

1) 의사소통 일반 89

2) 일상생활 관련 의사소통 99

3) 교육 관련 의사소통 110

4) 의료 관련 의사소통 117

5) 직업 관련 의사소통 122

6) 법률 관련 의사소통 127

7) 방송 및 인터넷 133

3. 한국수어에 대한 의식 144

1)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144

2) 한국수어 이미지 145

3)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 151

4) 한국수어의 날 지정 152

4. 농문화 인식 153

1) 농인은 자기소개를 비교적 상세히 한다 153

2) 농인은 헤어질 때 긴 작별 인사를 한다 154

3) 농인은 자리를 비울 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목적지를 알린다 155

4) 농인은 대체로 직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 157

5) 농인은 농공동체에 활발히 참여한다 158

6) 농인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159

5. 농정체성 160

1)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 160

2)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 161

3) 나는 청인들이 농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를 원한다 162

4) 농인만이 농아동을 가르쳐야 한다 163

5) 한국수어는 한국어에 기초해야 한다 164

6) 나는 농인이 수어 사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피한다 165

7) 농교육의 초점은 농아동에게 말하기와 구어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167

8) 농인에게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음성 언어와 구어법이다 168

9) 나는 다른 농인들을 좋아하지만 가끔 그들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169

10) 나는 농인과 청인 모두에게 편안함을 느낀다 170

11) 농인은 농인들과만 교류해야 한다 171

12) 나는 청인, 농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 172

13) 농정체성 하위 영역 173

Ⅴ. 결론 175

1. 연구 요약 175

2. 수어 사용 실태 조사 중장기 발전 방향 175

3. 정책 제언 176

4.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177

참고문헌 178

[부록 1] 설문지 181

[부록 2] 통계표 189

판권기 285

[표 Ⅱ-1] 장애 유형별 등록 장애인 수 52

[표 Ⅱ-2] 연도별 등록 청각 장애인 수 52

[표 Ⅱ-3] 재가 장애인 출현율의 변화 추이 53

[표 Ⅱ-4] 성별과 연령 기준 청각 장애인 54

[표 Ⅱ-5] 연령 기준 전체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 분포 55

[표 Ⅱ-6] 장애 등급별 청각 장애인 분포 55

[표 Ⅱ-7] 전국 시ㆍ도별 등록 청각 장애인 56

[표 Ⅱ-8] 연도별 청각 장애인의 교육 수준 57

[표 Ⅱ-9] 연도별 청각 장애인의 결혼 상태 58

[표 Ⅱ-10] 장애 유형별 경제 활동 상태 59

[표 Ⅱ-11] 성별ㆍ연령별 청각 및 언어 장애 출현율 64

[표 Ⅱ-12] 청각 장애 형태 65

[표 Ⅱ-13] 언어 장애 형태 65

[표 Ⅱ-14] 청각 및 언어 장애 발생 시기 66

[표 Ⅱ-15] 청각 및 언어 장애의 후천적 장애 발생 시기 66

[표 Ⅱ-16] 청각 및 언어 장애의 장애 발생 원인 67

[표 Ⅱ-17] 청각 장애의 후천적 장애 원인 68

[표 Ⅱ-18] 언어 장애의 후천적 장애 원인 69

[표 Ⅱ-19] 청각 및 언어 장애인의 수화 가능 여부 70

[표 Ⅱ-20] 청각 및 언어 장애인의 주된 의사소통 방법 70

[표 Ⅲ-1] 조사 모집단 연령대 분포 77

[표 Ⅲ-2] 조사 모집단 시ㆍ도별 분포 77

[표 Ⅲ-3] 조사 모집단 권역별 분포 78

[표 Ⅲ-4] 조사 모집단 성별 분포 78

[표 Ⅲ-5] 조사 모집단 장애 등급별 분포 78

[표 Ⅲ-6] 권역별 읍면동 수 분포 79

[표 Ⅲ-7] 오차 한계 x% 수준에서의 표본 수 79

[표 Ⅲ-8] 한국수어 사용 실태 조사 중ㆍ장기 계획 86

[표 Ⅳ-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87

[표 Ⅳ-2]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89

[표 Ⅳ-3]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90

[표 Ⅳ-4] 수어 이해 정도 91

[표 Ⅳ-5] 말(독화) 이해 정도 92

[표 Ⅳ-6] 다른 사람의 필담 이해 정도 93

[표 Ⅳ-7] 수어를 배운 연령 93

[표 Ⅳ-8] 수어를 배운 대상 94

[표 Ⅳ-9]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95

[표 Ⅳ-10] 수어 통역 주체 96

[표 Ⅳ-11] 수어 통역 받은 횟수 96

[표 Ⅳ-12]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97

[표 Ⅳ-13]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98

[표 Ⅳ-14]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1+2순위) 99

[표 Ⅳ-15]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00

[표 Ⅳ-16]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01

[표 Ⅳ-17] 청인 가족 중 수어를 할 수 있는 구성원 101

[표 Ⅳ-18]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102

[표 Ⅳ-19] 수어 사용에 대한 가족의 이해 정도 103

[표 Ⅳ-20] 여가 활동 1) 1순위 104

[표 Ⅳ-21] 여가 활동 2) 1+2순위 104

[표 Ⅳ-22] 취미 및 여가 활동 대상 105

[표 Ⅳ-23]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06

[표 Ⅳ-24] 금융 기관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07

[표 Ⅳ-25]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08

[표 Ⅳ-26] 관공서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09

[표 Ⅳ-27]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09

[표 Ⅳ-28]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10

[표 Ⅳ-29] 학교에서 교육 받은 경험 111

[표 Ⅳ-30]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11

[표 Ⅳ-31]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12

[표 Ⅳ-32] 수업 내용 이해 정도 113

[표 Ⅳ-33]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받은 지원 1) 1순위 114

[표 Ⅳ-34]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받은 지원 2) 1+2순위 115

[표 Ⅳ-3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16

[표 Ⅳ-36]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17

[표 Ⅳ-37]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18

[표 Ⅳ-38]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19

[표 Ⅳ-39] 진료 내용 이해 정도 120

[표 Ⅳ-40]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120

[표 Ⅳ-41]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121

[표 Ⅳ-42] 직장 생활 경험 122

[표 Ⅳ-43]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23

[표 Ⅳ-44]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24

[표 Ⅳ-45] 직장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25

[표 Ⅳ-46]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26

[표 Ⅳ-47]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27

[표 Ⅳ-48] 법률 관련 의사소통 경험 127

[표 Ⅳ-49]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28

[표 Ⅳ-5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29

[표 Ⅳ-51]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130

[표 Ⅳ-52] 대화 내용이 이해되지 않는 원인 131

[표 Ⅳ-53]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132

[표 Ⅳ-54]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132

[표 Ⅳ-55]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133

[표 Ⅳ-56] 방송을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2) 1+2+3순위 134

[표 Ⅳ-57]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135

[표 Ⅳ-58]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이해되지 않는 원인 136

[표 Ⅳ-59] 자막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137

[표 Ⅳ-60] 자막 서비스가 이해되지 않는 원인 138

[표 Ⅳ-61]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1) 1순위 139

[표 Ⅳ-62]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2) 1+2순위 140

[표 Ⅳ-63]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방송 프로그램 141

[표 Ⅳ-64] 인터넷에서 주로 한국수어를 보는 매체 141

[표 Ⅳ-65] 인터넷에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경험 142

[표 Ⅳ-66]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매체(복수 응답) 143

[표 Ⅳ-67]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144

[표 Ⅳ-68] 한국수어 이미지 1) 수어는 뜻이 정확하다 145

[표 Ⅳ-69] 한국수어 이미지 2) 수어는 품위가 있다 146

[표 Ⅳ-70] 한국수어 이미지 3) 수어는 아름답다 147

[표 Ⅳ-71] 한국수어 이미지 4) 수어는 배우기 쉽다 148

[표 Ⅳ-72] 한국수어 이미지 5) 수어는 논리적이다 149

[표 Ⅳ-73] 한국수어 이미지 6) 수어는 편안하다 150

[표 Ⅳ-74]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151

[표 Ⅳ-75]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152

[표 Ⅳ-76] 한국수어의 날 지정 153

[표 Ⅳ-77] 농문화 인식 1) 농인은 자기소개를 비교적 상세히 한다 154

[표 Ⅳ-78] 농문화 인식 2) 농인은 헤어질 때 긴 작별 인사를 한다 155

[표 Ⅳ-79] 농문화 인식 3) 농인은 자리를 비울 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목적지를 알린다 156

[표 Ⅳ-80] 농문화 인식 4) 농인은 대체로 직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 157

[표 Ⅳ-81] 농문화 인식 5) 농인은 농공동체에 활발히 참여한다 158

[표 Ⅳ-82] 농문화 인식 6) 농인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159

[표 Ⅳ-83] 농정체성 1)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 160

[표 Ⅳ-84] 농정체성 2)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 161

[표 Ⅳ-85] 농정체성 3) 나는 청인들이 농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를 원한다 163

[표 Ⅳ-86] 농정체성 4) 농인만이 농아동을 가르쳐야 한다 164

[표 Ⅳ-87] 농정체성 5) 한국수어는 한국어에 기초해야 한다 165

[표 Ⅳ-88] 농정체성 6) 나는 농인이 수어 사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피한다 166

[표 Ⅳ-89] 농정체성 7) 농교육의 초점은 농아동에게 말하기와 구어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167

[표 Ⅳ-90] 농정체성 8) 농인에게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음성 언어와 구어법이다 168

[표 Ⅳ-91] 농정체성 9) 나는 다른 농인들을 좋아하지만 가끔 그들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169

[표 Ⅳ-92] 농정체성 10) 나는 농인과 청인 모두에게 편안함을 느낀다 171

[표 Ⅳ-93] 농정체성 11) 농인은 농인들과만 교류해야 한다 172

[표 Ⅳ-94] 농정체성 12) 나는 청인, 농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 173

[표 Ⅳ-95] 농정체성 평균과 표준 편차 174

[표 Ⅳ-96] 농정체성 영역별 평균과 표준 편차 174

[그림 1] 조사 개요 72

[그림 2] 사업 추진 방법 73

[그림 3] 조사 도구 개발 과정 75

[그림 4] 조사 도구 영상 제작 76

[그림 5] 조사 체계 83

응답자 분포표 191

[표 1]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192

[표 2]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193

[표 3] 수어 이해 정도 194

[표 4] 말(독화) 이해 정도 195

[표 5] 다른 사람의 필담 이해 정도 196

[표 6] 수어 배운 연령 197

[표 7] 수어를 배운 대상 198

[표 8] 수어통역사의 수어 통역 경험 199

[표 9] 수어 통역 주체 200

[표 10] 수어 통역 받은 횟수 201

[표 11] 수어 통역의 불편한 점 202

[표 1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1) 1순위 203

[표 13]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영역 2) 1+2순위 204

[표 14]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05

[표 15] 가족과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06

[표 16] 청인 가족 중 수어 할 수 있는 구성원 207

[표 17] 수어를 가장 잘 하는 구성원의 수어 이해 정도 208

[표 18] 수어 사용에 대한 가족의 이해 정도 209

[표 19] 여가 활동 1) 1순위 210

[표 20] 여가 활동 2) 1+2순위 211

[표 21] 취미 및 여가 활동 대상 212

[표 22] 금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13

[표 23] 금융 기관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14

[표 24] 관공서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15

[표 25] 관공서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16

[표 26]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17

[표 27] 관공서와 금융 기관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18

[표 28] 학교에서 교육 받은 경험 219

[표 29]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20

[표 30] 학교 교육 시 주로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21

[표 31] 수업내용 이해 정도 222

[표 32] 교육 내용 이해하는 데 받은 지원 1) 1순위 223

[표 33] 교육 내용 이해하는 데 받은 지원 2) 1+2순위 224

[표 34]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25

[표 35] 농인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26

[표 36]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27

[표 37] 병원 이용 시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28

[표 38] 진료 내용 이해 정도 229

[표 39]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230

[표 40] 병원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231

[표 41] 직장 생활 경험 232

[표 42]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33

[표 43]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34

[표 44] 직장에서의 대화 내용 이해 정도 235

[표 45]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36

[표 46] 직장에서의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37

[표 47] 법률 관련 의사소통 경험 238

[표 48]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1) 1순위 239

[표 49]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2) 1+2+3순위 240

[표 50] 경찰서 및 법원에서의 대화내용 이해 정도 241

[표 51] 대화 내용이 이해되지 않은 원인 242

[표 52]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1) 1순위 243

[표 53] 법률 관련 의사소통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상황 2) 1+2순위 244

[표 54] 방송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1) 1순위 245

[표 55] 방송 접할 때 이용하는 서비스 2) 1+2+3순위 246

[표 56] 수어 통역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247

[표 57] 수어 통역 서비스 이해 안되는 원인 248

[표 58] 자막 서비스 이용 시 내용 이해 정도 249

[표 59] 자막 서비스 이해 안되는 원인 250

[표 60]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1) 1순위 251

[표 61] 새로운 정보 얻는 방법 2) 1+2순위 252

[표 62] 수어 통역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방송 프로그램 253

[표 63] 인터넷에서 주로 한국수어를 보는 매체 254

[표 64] 인터넷에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한 경험 255

[표 65] 자신의 한국수어를 게시하는 매체(복수응답) 256

[표 66] 한국수어와 음성 언어 선호도 257

[표 67] 한국수어 이미지 1) 수어는 뜻이 정확하다 258

[표 68] 한국수어 이미지 2) 수어는 품위가 있다 259

[표 69] 한국수어 이미지 3) 수어는 아름답다 260

[표 70] 한국수어 이미지 4) 수어는 배우기 쉽다 261

[표 71] 한국수어 이미지 5) 수어는 논리적이다 262

[표 72] 한국수어 이미지 6) 수어는 편안하다 263

[표 73]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1) 1순위 264

[표 74]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요한 지원 2) 1+2순위 265

[표 75] 한국수어의 날 지정 266

[표 76] 농문화 인식 1) 농인은 자기 소개를 비교적 상세히 한다 267

[표 77] 농문화 인식 2) 농인은 헤어질 때 긴 작별 인사를 한다 268

[표 78] 농문화 인식 3) 농인은 자리를 비울 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목적지를 알린다 269

[표 79] 농문화 인식 4) 농인은 대체로 직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한다 270

[표 80] 농문화 인식 5) 농인은 농공동체에 활발히 참여한다 271

[표 81] 농문화 인식 6) 농인은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272

[표 82] 농정체성 1)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 273

[표 83] 농정체성 2)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 274

[표 84] 농정체성 3) 나는 청인들이 농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를 원한다 275

[표 85] 농정체성 4) 농인만이 농아동을 가르쳐야 한다 276

[표 86] 농정체성 5) 한국수어는 한국어에 기초해야 한다 277

[표 87] 농정체성 6) 나는 농인이 수어 사용하는 것을 보았을 때 피한다 278

[표 88] 농정체성 7) 농교육의 초점은 농아동에게 말하기와 구어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279

[표 89] 농정체성 8) 농인에게 가장 좋은 의사소통 방법은 음성 언어와 구어법이다 280

[표 90] 농정체성 9) 나는 다른 농인들을 좋아하지만 가끔 그들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281

[표 91] 농정체성 10) 나는 농인과 청인 모두에게 편안함을 느낀다 282

[표 92] 농정체성 11) 농인은 농인들과만 교류해야 한다 283

[표 93] 농정체성 12) 나는 청인, 농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한다. 28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2180 401.9 -18-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2181 401.9 -18-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