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 국립국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국어원, 2017
청구기호
401.9 -18-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8 p. : 삽화, 서식 ; 30 cm
총서사항
국립국어원 ; 2017-01-32
제어번호
MONO1201834591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특별시농아인협회
책임연구원: 강창욱 ; 공동연구원: 김경진, 황창호, 엄미숙, 이미혜, 박종미, 김주희, 송미연, 이현화
부록: 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지 ; 2.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지 영상물 제작 ; 3. 「한국 농사회의 이해」의 교재 목차: 별책 참조 외
참고문헌: p. 194-204
국립국어원의 용역비로 수행함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Abstract 5

개조식 요약 7

Ⅰ. 연구개요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1.1. 연구의 필요성 14

1.2. 연구 목적 17

2. 연구 범위 18

2.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시안 개발 18

2.2. 한국수어교원 양성용 교재 개발 18

2.3. 농 정체성 함양과 한국수어 보급을 위한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계획 수립 19

2.4. 한국수어 인구 저변 확대를 위한 찾아가는 한국수어 문화학교 프로그램 개발 19

3. 연구 방법 19

3.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시안 개발 19

3.2. 한국수어교원 양성용 교재 개발 20

3.3.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계획 수립 20

3.4. 찾아가는 한국수어 문화학교 프로그램 개발 20

4. 추진 일정 21

Ⅱ.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시안 개발 22

1.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배경 23

1.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23

1.2. 한국수화언어법상의 한국수어교원 24

1.3.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성격 26

1.4. 미국 수어교사연합회(ASLTA)의 수어교사 자격 기준 28

2. 교육과정 개발 기초 조사 33

2.1. 설문 조사 개요 33

2.2. 조사 대상자 특징 33

2.3. 연구 도구 34

2.4. 자료 처리 및 분석 35

2.5. 설문조사 결과 36

2.6. 농 당사자 및 전문가 협의회 결과 50

3.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57

3.1. 교육 목적 57

3.2. 교육 목표 57

3.3 편제와 시간 배당 57

3.4. 교수ㆍ학습 58

3.5. 평가 59

4. 교육과정 각론 시안 개발 60

4.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각론 개발 원칙 60

4.2.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각론 개발 구성 내용 63

Ⅲ. 교원 양성용 교재 개발 82

1. 교재 개발의 성격과 목표 83

1.1. 교재 개발의 성격 83

1.2. 교재 개발의 목표 83

2. 교재 개발 과정 85

2.1. 자료 수집 및 분석 85

2.2. 단원별 저자 86

2.3. 개발 단원 예시 : [부록 4] 참조 86

3. 수어 동영상 제작 87

3.1. 모델 및 수어 구연 검토자 선정 87

3.2. 수어 동영상 촬영 관련 제작 회의 87

3.3. 수어 동영상 촬영 개요 89

3.4. 수어 동영상 촬영 주요 지침 89

4. 향후 교재 개발 시 고려사항 91

Ⅳ.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계획 수립 93

1. 사업의 성격과 목표 94

1.1. 사업의 성격 94

1.2. 사업의 목표 94

2. 국내 수어교실 및 문화학교 실태 95

2.1. 수어교육 실태 95

2.2. 농인의 교육현장에서의 수어 환경 96

2.3. 국어문화학교 운영 현황 97

3. 기초 조사 99

3.1. 초점 집단 인터뷰(FGI) 대상 99

3.2. 초점 집단별 주요 내용 100

4. 시범 프로그램 운영 121

4.1. 시범 프로그램 Ⅰ: 수어낭독회 - 수어로 책읽기 121

4.2. 시범 프로그램 Ⅱ: 농민속학 - 농사회 투어 123

4.3. 시범 프로그램 Ⅲ : 이야기하기 126

4.4. 시범 프로그램 실시 후 주요 성과 128

5. 시범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결과 129

5.1. 수어낭독회 129

5.2. 농민속학 129

5.3. 이야기하기 129

6. 결론 :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에 대한 시사점 130

6.1. 농 당사자 및 농사회 구성원 대상 FGI가 주는 시사점 130

6.2. 시범 프로그램이 주는 시사점 134

7.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계획 135

7.1. 중점 사업 운영 방향 136

7.2. 기본사업계획 137

7.3. 세부사업 운영 계획 140

Ⅴ. 찾아가는 한국수어 문화학교 149

1. 사업의 성격과 목표 150

2. 참여 대상 150

3. 운영 형태 150

4. 운영 절차 및 방법 151

5. 주요 내용 152

5.1. 단회기 프로그램 152

5.2. 다회기 프로그램 Ⅰ: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운영 157

5.3. 다회기 프로그램 Ⅱ: '청인학생과 농인학생이 함께 하는 수어교실' 운영 161

6. 주요 성과 166

6.1. 단회기 프로그램 166

6.2. 다회기 프로그램 Ⅰ: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167

6.3. 다회기 프로그램 Ⅱ: '청인 학생과 농인 학생이 함께 하는 수어교실' 운영 168

7. 시사점 169

7.1. 단회기 프로그램 169

7.2. 다회기 프로그램 Ⅰ: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171

7.3. 다회기 프로그램 Ⅱ: '청인 학생과 농인 학생이 함께 하는 수어교실' 운영 173

8. 만족도 조사결과 175

8.1. 단회기 프로그램 175

8.2. 다회기 프로그램 Ⅰ: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참여자만족도 189

참고문헌 195

[부록 1]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지 207

[부록 2]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설문지 영상물 제작 212

[부록 3] 「한국 농사회의 이해」의 교재 목차 : 별책 참조 213

[부록 4] 「한국 농사회의 이해」의 단원 예시 : 별책 참조 218

[부록 5] 「한국 농사회의 이해」 의 수어 동영상 제작용 프리젠테이션 자료 227

제1장 장애학과 농인 / 곽정란 227

1. 들어가며 228

2. 청인의 관점에서 본 농 229

3. 농인의 관점에서 본 농 230

4/5. 청각장애를 만드는 사회 231

5/6. 장애를 만드는 사회 232

참고문헌 235

[부록 6]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초점 집단 인터뷰(FGI) 질문지 236

[부록 7] 초점 집단 인터뷰(FGI) 속기 및 번역 내용 241

[부록 8] 시범프로그램 Ⅱ: 농민속학 _ 안세준 전 한국농아인협회 회장 281

[부록 9] 시범프로그램 Ⅲ: 이야기하기 _ 농유머 세 가지 286

[부록 10] 찾아가는 문화학교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계획안 예시 289

[부록 11] 찾아가는 문화학교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강의자료 예시 290

[부록 12] 찾아가는 문화학교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홍보물 292

[부록 13]/[부록 12] 찾아가는 문화학교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 언론 인터뷰 293

[부록 14] 찾아가는 문화학교 「수어, 도서관에서 꽃피다」의 서울도서관 갤러리 게시물 294

[부록 15] 찾아가는 한국수어 문화학교 평가지 295

판권기 299

〈표 Ⅱ-1〉 조사 대상의 인구학적 정보 33

〈표 Ⅱ-2〉 연구도구의 구성 35

〈표 Ⅱ-3〉 현재 근무지 36

〈표 Ⅱ-4〉 수어 강사 경력 37

〈표 Ⅱ-5〉 수어 강의를 받은 기관 37

〈표 Ⅱ-6〉 한국수어교원자격 취득방법 인지도 37

〈표 Ⅱ-7〉 변인별 교원자격 취득방법 인지도 차이 검증 결과 38

〈표 Ⅱ-8〉 수어교원 양성과정 인지도 38

〈표 Ⅱ-9〉 변인별 수어교원 양성과정 인지도 39

〈표 Ⅱ-10〉 한국수어교원 양성과정 입학 의사 39

〈표 Ⅱ-11〉 변인별 한국수어교원 양성과정 입학 의사 40

〈표 Ⅱ-12〉 개설 희망 횟수 41

〈표 Ⅱ-13〉 수어교원양성과정 연수시간 분배 희망 구분 41

〈표 Ⅱ-14〉 개설 희망 시간대 41

〈표 Ⅱ-15〉 하루 희망 수업시간 42

〈표 Ⅱ-16〉 개설 희망 추가 이수시간 42

〈표 Ⅱ-17〉 희망하는 1시간 수업 분량 43

〈표 Ⅱ-18〉 교과목 개설 방법 43

〈표 Ⅱ-19〉 기본이수과목 개설 필요 유무 44

〈표 Ⅱ-20〉 영역별 기본이수 교과목 예시 44

〈표 Ⅱ-21〉 한국수어학 분야의 기본이수과목 선호도 (다응답) 45

〈표 Ⅱ-22〉 한국수어교육론 분야의 기본이수과목 선호도 (다응답) 45

〈표 Ⅱ-23〉 한국수어실제 분야의 기본이수과목 선호도 (다응답) 46

〈표 Ⅱ-24〉 농 문화와 농사회 분야의 기본이수과목 선호도 (다응답) 46

〈표 Ⅱ-25〉 한국수어교육실습 분야의 기본이수과목 선호도 (다응답) 46

〈표 Ⅱ-26〉 수료평가 형식에 대한 선호도 46

〈표 Ⅱ-27〉 변인별 수료평가 형식에 대한 선호도 47

〈표 Ⅱ-28〉 수료평가 내용에 대한 선호도 (다응답) 47

〈표 Ⅱ-29〉 수료평가 기회에 대한 선호 48

〈표 Ⅱ-30〉 교수학습 유형 및 방법 58

〈표 Ⅲ-1〉 단원별 세부 목표 84

〈표 Ⅳ-1〉 국어문화학교 과정의 개요 98

〈표 Ⅳ-2〉 초점 집단 인터뷰 대상 그룹 100

〈표 Ⅳ-3〉 1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01

〈표 Ⅳ-4〉 1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01

〈표 Ⅳ-5〉 1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02

〈표 Ⅳ-6〉 2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05

〈표 Ⅳ-7〉 2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05

〈표 Ⅳ-8〉 2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06

〈표 Ⅳ-9〉 3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07

〈표 Ⅳ-10〉 3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07

〈표 Ⅳ-11〉 3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08

〈표 Ⅳ-12〉 4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10

〈표 Ⅳ-13〉 4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10

〈표 Ⅳ-14〉 4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11

〈표 Ⅳ-15〉 5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13

〈표 Ⅳ-16〉 5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14

〈표 Ⅳ-17〉 5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14

〈표 Ⅳ-18〉 6차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18

〈표 Ⅳ-19〉 6차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내용 118

〈표 Ⅳ-20〉 6차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19

〈표 Ⅳ-21〉 시범 프로그램 121

〈표 Ⅳ-22〉 FGI 가 시범프로그램 운영에 주는 시사점 131

〈표 Ⅳ-23〉 시범 프로그램이 운영에 주는 시사점 135

〈표 Ⅴ-1〉 찾아가는 한국수어 문화학교 프로그램 152

〈표 Ⅴ-2〉 단회기 프로그램 주요 일정 153

〈표 Ⅴ-3〉 단회기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154

〈표 Ⅴ-4〉 프로그램 강사진 구성 155

〈표 Ⅴ-5〉 다회기 프로그램 Ⅰ의 주차별 지도계획 158

〈표 Ⅴ-6〉 다회기 프로그램 Ⅱ의 주차별 지도계획 162

〈표 Ⅴ-7〉 다회기 프로그램 Ⅱ의 주요 활동 및 내용 163

〈표 Ⅴ-8〉 인구학적 특성과 만족도 기술통계 176

〈표 Ⅴ-9〉 각 회기별 참여자 성별 176

〈표 Ⅴ-10〉 각 회기별 참여자 연령대 177

〈표 Ⅴ-11〉 만족도 1 - 충분한 정보 제공 177

〈표 Ⅴ-12〉 만족도 2 - 장소의 쾌적성 178

〈표 Ⅴ-13〉 만족도 3 - 프로그램의 178

〈표 Ⅴ-14〉 만족도 4 - 운영의 충실도 179

〈표 Ⅴ-15〉 만족도 5 - 강사의 전달력 179

〈표 Ⅴ-16〉/〈표 Ⅴ-15〉 만족도 6 - 타인에게 추천 여부 180

〈표 Ⅴ-17〉/〈표 Ⅴ-16〉 만족도 7 - 전반적 만족도 180

〈표 Ⅴ-18〉/〈표 Ⅴ-17〉 1~10회기 전반적 만족도 181

〈표 Ⅴ-19〉/〈표 Ⅴ-18〉 가장 유익했거나 좋은 점 181

〈표 Ⅴ-20〉/〈표 Ⅴ-19〉 부족하거나 개선될 점 185

〈표 Ⅴ-21〉/〈표 Ⅴ-20〉 소감이나 기타의견 186

[그림 Ⅲ-1] 교재 개발 과정 흐름도 85

[그림 Ⅲ-2] 수어 동영상 제작 과정 90

[그림 Ⅳ-1] 시범 프로그램 Ⅰ- 수어낭독회 123

[그림 Ⅳ-2] 시범 프로그램 Ⅱ- 농민속학 126

[그림 Ⅳ-3] 시범 프로그램 Ⅲ - 이야기하기 128

[그림 Ⅴ-1] 단회기 프로그램 활동 모습 157

[그림 Ⅴ-2] 다회기 프로그램 Ⅰ의 주요 활동 161

[그림 Ⅴ-3] 다회기 프로그램 Ⅱ활동 모습 16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2510 401.9 -18-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2511 401.9 -18-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