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대학도서관 진흥을 위한 연구자료집 /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2018
청구기호
027.7 -18-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98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2017)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 RM 2017-24 - 2017-29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847723
제어번호
MONO1201834721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내용: 대학도서관진흥법 개정방안 연구 / 연구·집필진: 장덕현 --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사 및 해설서 / 연구·집필진: 김형각 --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실적분석 및 '18년 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 도출 / 연구·집필진: 정연경, 이나니 -- 오픈액세스 및 연구데이터 기반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 연구·집필진: 이원상 -- 지역 거점 국공립대학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서고 구축 방안 연구 / 연구·집필진: 강홍구 -- 인문학 진흥을 위한 도서관 교수학습모델 개발 / 연구·집필진: 이정미, 박영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이슈리포트 I. 대학도서관진흥법 개정방안 연구 4

I. 연구의 배경 12

1. 연구의 배경 12

1) 국가경쟁력과 4차 산업혁명 12

2) 국가경쟁력과 대학의 경쟁력 15

3) 대학의 경쟁력과 대학도서관 19

2.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 과정 30

II. 대학도서관진흥법과 시행령의 내용 32

1. 대학도서관진흥법 32

2.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 34

III. 대학도서관진흥법의 논점 분석 38

1. 대학도서관계의 문제제기 38

2. 언론의 문제제기 40

3. 대학도서관계 요구 조사 43

1) 조사개요 43

2) 분석결과 45

V. 대학도서관진흥법 개정 방향 110

1. 법 적용대상 및 범위 확대 110

2. 교육부 책임 및 역할 강화 111

3. 사서 최소배치 기준 상향조정 116

4. 자료구입비 등 재정지원 명시 121

5. 대학도서관평가 합리화 126

VI. 요약 및 결론 129

참고문헌 131

이슈리포트 II.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사 및 해설서 134

책 머리에 138

I. 들어가며 142

1. 국가경쟁력의 핵심동력으로서의 대학도서관 144

2. 법적 기준 미비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현실 145

3. 개별법으로서의 『대학도서관진흥법』 148

II. 대학도서관 관계 법규의 변화 151

1. 통치시기별 도서관 정책과 도서관법 151

2. 대학도서관 관련 도서관 법규의 변화 154

3. 대학도서관 관련 대학교육 법규의 변화 157

III. 대학도서관 진흥법 제정 과정 159

1. 2009년 정두언 의원 발의안 160

1) 제안사유 및 진행경과 160

2) 주요 조문에 대한 검토의견 163

2. 2013년 김세연 의원 발의안 168

1) 진행경과 170

2) 최초 발의안의 수정·변경 내용 179

3)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 TFT 활동 185

4)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의 의의와 과제 185

IV.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 제정과정 및 주요내용 188

1. 들어가며 188

2. 장덕현의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안) 제정 방안 연구" 189

1) 연구의 목적 189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189

3) 시행령(안)의 주요내용 190

3.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 제정을 위한 정책연구 196

1) 대학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사항 197

2)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199

3) 대학도서관발전계획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201

4) 사서 및 전문직원의 배치기준과 교육훈련 등에 필요한 사항 202

5) 대학도서관 시설 및 자료 기준 209

6) 대학도서관 평가 213

4.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 제정 215

V. 대학도서관진흥법 해설 및 개정방향 218

1. 제정배경 218

2. 주요내용 219

1) 다른 법률과의 관계 및 법체계의 특징 219

2) 법 적용의 대상 및 방법 221

3) 주요 의무규정의 해설 222

3. 개정방향 226

참고문헌 229

부록 230

1. 대학도서관진흥법안(정두언의원 대표발의) 230

2. 대학도서관진흥법안(김세연의원 대표발의) 236

3. 대학도서관진흥법 TFT 공식 회의현황 241

4.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 제정안에 대한 대학도서관계의 입장 244

이슈리포트 III.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실적분석 및 '18년 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 도출 254

I. 서론 262

1. 목적 및 필요성 262

2. 국내외 대학도서관 현황 263

가. 대학도서관진흥법과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 263

나. 해외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 수립 사례 268

II. 국내 대학도서관의 추진실적 분석 270

1. 분석 대상 270

2. 발전과제의 주제 분류 271

3. 발전과제 추진 실적 및 장애요인 분석 275

가. 서비스 강화 277

나. 장서관리 280

다. 자원 공유 282

라. 시스템 관리 285

마. 인사 관리 287

바. 환경 개선 289

사. 국내외 교류 291

III. 결론 및 제언 294

붙임 296

1. 대학도서관진흥법(일부) 296

2.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일부) 299

3. 대학도서관발전 과제명 301

이슈리포트 IV. 오픈액세스 및 연구데이터 기반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324

I. 서론 332

1.1. 연구의 배경 : 오픈 사이언스의 도래 332

1.2. 연구 이슈 및 연구 프레임워크 소개 334

II. 오픈 사이언스를 위한 오픈액세스와 연구데이터관리 339

2.1. 오픈 사이언스 339

2.1.1. 오픈 사이언스 배경 339

2.1.2. 오픈 사이언스 확산 340

2.1.3. 오픈 사이언스 전망 344

2.1.4. 오픈 사이언스를 위한 대학에서의 오픈액세스와 연구데이터관리 346

2.2. 오픈 액세스 347

2.2.1. 오픈액세스 개요 347

2.2.2. 골드 및 그린 오픈액세스 348

2.2.3. 데이터에 대한 오픈 액세스 354

2.3. 연구데이터관리 356

2.3.1. 연구데이터관리 개요 356

2.3.2. 연구데이터관리 연구 현황 및 도입 사례 360

2.3.3. 연구데이터관리 사례 364

III. 오픈액세스와 연구데이터관리를 위한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375

3.1. 모형 제안 방법론 375

3.1.1. 연구 개요 375

3.1.2. 연구 방법 376

3.2. 분석 결과 378

3.2.1. 토픽 모델링 결과 378

3.2.2. 정성 분석 390

3.3.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392

3.3.1. 개념적 모형 구성 392

3.3.2.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394

IV. dCollection을 활용한 대학 도서관 기관 리포지터리 고도화 관련 사례 401

4.1. dCollection 개요 401

4.2.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기관 리포지터리 현황 및 향후 계획 402

4.2.1. 기관 리포지터리 본연 기능 강화와 새로운 서비스 레버리징 405

4.2.2. 데이터 지향적인 플랫폼 405

4.3. 기관 리포지터리 서비스 구성 요소 406

V. 결론 및 제언 411

5.1. 결론 및 한계 411

5.2. 정책시사점 413

참고문헌 415

이슈리포트 V. 지역 거점 국공립대학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서고 구축 방안 연구 418

I. 서론 426

1. 필요성 및 목적 426

2. 연구의 방법 및 한계 427

3. 선행연구 428

II. 공동보존 서고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외 운영사례 432

1. 개념 및 용어정리 432

2. 공동보존 서고의 유형 434

가. 운영주체·방식에 따른 유형 434

나. 지역·이종(異種)간 보존서고 유형 437

3. 국내외 공동보존 서고의 운영사례 439

가. 국내외 공공도서관 439

나. 국외 대학도서관 447

III.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현황과 문제점 460

1. 현황 및 분석 460

가. 시도별·학제별·설립주체별 대학도서관 현황 461

나.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중심으로의 공간 변화 462

다. 대학도서관의 시도별 및 연도별 수장 공간 분석 463

2. 문제점 465

가. 학술정보자원 확보와 활용의 문제 465

나. 대학도서관 수장 공간의 문제 466

IV. 지역 거점 국공립대학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서고 구축 방안 467

1. 건립·운영의 타당성 467

1) 미래 지식정보의 출판·유통적 타당성 467

2) 관계법령의 법리적 타당성 469

3) 정책적 타당성 470

4) 수장 공간의 현실적 타당성 471

2. 기본방향 및 추진체계 480

가. 기본원칙 480

나. 추진체계 482

3. 주요 기능과 업무 483

1) 집중적 보존관리 483

2) 이용자 정보서비스 483

3) 보존관련 조사연구 및 자문지원 483

4. 건립시기와 우선순위 485

1) 준비단계 485

2) 기본 계획 수립 485

3) 예비타성 신청 486

4) 사업 기반 조성 486

5) 건축 계획 수립 486

6) 공동보폰서고 건축·운영 486

5. 입지선정과 건축규모 488

1) 목표 수장 책수 추계 489

2) 수장방식별 건축규모(수장공간) 산출 490

3) 전체 건축규모(연면적) 산출 494

4) 시설의 특성 495

6. 건립 후 운영방안 498

1) 운영관리 주체 498

2) 운영관리시스탬 499

3) 조직체계 및 인력구성 500

4) 이관자료의 선정과 관리 502

5) 시설과 자료의 이용 및 서비스 505

7. 소요예산 및 재정투자 계획 505

1) 소요예산 산출 505

2) 연차별 투자계획 507

8. 운영관리규정 509

V. 결론 및 제언 517

붙임1. 서고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종류 521

참고문헌 522

이슈리포트 VI. 인문학 진흥을 위한 도서관 교수학습모델 개발 526

I. 서론 534

1.1. 목적 및 필요성 534

1.2. 대학도서관의 역할 536

1.3. 교수학습의 정의 539

II.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지원 현황 541

2.1. 국내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지원 현황 541

2.1.1. 학술정보 활용교육 활성화 및 콘텐츠 개발 541

2.1.2. 독서 교육 및 진흥 프로그램 활성화 544

2.1.3. 기관 데이터 리파지토리 구축 및 디지털(데이터) 큐레이션 547

2.1.4. 인포메이션 커먼스 또는 러닝 커먼스 활성화 550

2.1.5. 교수·학습활동 개발 및 협업 시스템 구축 및 강화 552

2.2. 해외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지원 현황 552

2.2.1. 학술정보 활용교육 활성화 및 콘텐츠 개발 553

2.2.2. 독서 교육 및 진흥 프로그햄 활성화 554

2.2.3. 학술 연구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554

2.2.4. 인포메이션 커먼스 또는 러닝 커먼스 활성화 558

2.2.5. 교수·학습활동 개발 및 협업 시스템 구축 및 강화 560

III. 고등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모델 분석 563

3.1. 고등교육의 교수 학습 현황 563

3.1.1. 우리나라 고등교육 교수 학습 563

3.1.2. 미국 고등교육 교수 학습 564

3.1.3. 유럽의 고등교육 교수 학습 565

3.1.4. 고등교육의 학습방법 사례 568

3.2. 고등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델 분석 576

3.2.1. 객관주의 576

3.2.2. 구성주의 577

3.2.3. 자기주도학습(Self Directed Learning) 579

3.2.4. 자기결정학습(SDL : Self-Determined Learning) 582

IV.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583

4.1.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583

4.1.1. 교수학습 모델의 고찰 583

4.1.2.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모델 585

4.2. 고등교육의 교수학습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역할 587

4.2.1. 대학과 대학도서관 587

4.2.2. 대학도서관 교수학습 활동의 실제 588

4.2.3.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기농 강화를 위한 체계 구축 590

V. 결론 및 제언 594

5.1. 결론 및 제언 594

참고문헌 596

판권기 600

이슈리포트 I. 대학도서관진흥법 개정방안 연구 7

〈표 1〉 4차산업 혁명의 선도기술 13

〈표 2〉 2011-2015 미국상위 20개 대학의 연구비 규모 17

〈표 3〉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대학지원자 수 변화 추이 23

〈표 4〉 2010과 2016년 도서관 직원 1인당 봉사대상자 수 25

〈표 5〉 조사개요 43

〈표 6〉 설문지 구성 43

〈표 7〉 응답기관 특성 44

〈표 8〉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에 따른 도서관의 학칙 개정 여부(빈도분석) 45

〈표 9〉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에 따른 도서관의 학칙 개정 여부(대학유형 별 교차분석) 45

〈표 1O〉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 관련 사항의 학칙 반영 유형(빈도분석) 46

〈표 11〉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 관련 사항의 학칙 반영 유형(교차분석-대학유형) 47

〈표 12〉 대학도서관의 조직, 자료, 시설, 이용 관련 사항의 반영 유형(빈도분석) 47

〈표 13〉 대학도서관의 조직, 자료, 시설, 이용 관련 사항의 반영 유형(교차분석-대학유형) 48

〈표 14〉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의 도서관 발전계획 심의여부(빈도분석) 49

〈표 15〉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의 도서관 발전계획 심의여부(교차분석-대학유형) 49

〈표 16〉 대학 내 도서관의 교육기본시설 인정여부(빈도분석) 50

〈표 17〉 대학 내 도서관의 교육기본시설 인정여부(교차분석-대학유형) 50

〈표 18〉 대학 학칙 내 도서관의 교육기본시설 지정여부(빈도분석) 51

〈표 19〉 대학 학칙 내 도서관의 교육기본시설 지정여부(교차분석-대학유형) 51

〈표 2O〉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에 대한 인지도(빈도분석) 52

〈표 21〉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에 대한 인지도(교차분석-대학유형) 52

〈표 22〉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진흥여부(빈도분석) 53

〈표 23〉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에 의한 대학도서관에 대한 진흥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53

〈표 24〉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의 개선방향 54

〈표 25〉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수립여부(빈도분석) 58

〈표 26〉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수립여부(교차분석-대학유형) 59

〈표 27〉 도서관 운영방향 정리 가능(빈도분석) 59

〈표 28〉 도서관 예산, 인력, 시설 개선(빈도분석) 60

〈표 29〉 도서관 내부 구성원의 대학도서관 운영방향 공유(빈도분석) 60

〈표 3O〉 계획 수립에 대한 대학본부(예산, 인력)와의 논의 및 협력(빈도분석) 61

〈표 31〉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의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반영(빈도분석) 61

〈표 32〉 시행계획·결과의 교육부 제출 시 대학도서관 정책 반영 기대(빈도분석) 62

〈표 33〉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수립 후 도서관 변화여부(빈도분석) 62

〈표 34〉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의 효용성(기술통계) 63

〈표 35〉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의 효용성(분산분석-대학유형) 64

〈표 36〉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의 효용성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66

〈표 37〉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 수립을 통한 개선사항 67

〈표 38〉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 동의여부(빈도분석) 70

〈표 39〉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 동의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70

〈표 4O〉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 비동의 이유 71

〈표 와〉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에 따른 도서관 현장의 문제점 76

〈표 42〉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에 따른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여부(빈도분석) 80

〈표 43〉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에 따른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80

〈표 44〉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에 따른 도서관 결원의 보충여부(빈도분석) 81

〈표 45〉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에 따른 도서관 결원의 보충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81

〈표 46〉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 개선 시 적절한 개선(안)(빈도분석) 82

〈표 47〉 사서 및 전문직원 배치기준 개선 시 적절한 개선(안)(교차분석-대학유형) 82

〈표 48〉 3가지 개선(안) 외 대학도서관 사서배치 기준의 개선방안 83

〈표 49〉 사서 및 전문직원의 교육훈련시간(27시간 이상)의 적정여부(빈도분석) 85

〈표 5O〉 사서 및 전문직원의 교육훈련시간(27시간 이상)의 적정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85

〈표 51〉 사서 및 전문직원의 교육훈련시간의 비동의 이유 86

〈표 52〉 사서 및 전문직원의 교육훈련의 개선방안 88

〈표 53〉 대학도서관 연면적 기준 동의여부(빈도분석) 90

〈표 54〉 대학도서관 연면적 기준 동의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90

〈표 55〉 대학도서관 연면적 기준에 대한 비동의 이유 및 개선방안 91

〈표 56〉 도서관 연면적 기준에 따른 도서관 공간확보의 긍정적 변화여부(빈도분석) 92

〈표 57〉 도서관 연면적 기준에 따른 도서관 공간확보의 긍정적 변화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93

〈표 58〉 도서관 자료 기준 동의여부(빈도분석) 93

〈표 59〉 도서관 자료 기준 동의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94

〈표 6O〉 도서관 자료 기준에 대한 비동의 이유 및 개선방안 94

〈표 61〉 도서관 자료 기준에 따른 도서관 장서확보의 긍정적 변화여부(빈도분석) 97

〈표 62〉 도서관 자료 기준에 따른 도서관 장서확보의 긍정적 변화여부(분산분석-대학유형) 98

〈표 63〉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 기준에 대한 동의여부(기술통계) 98

〈표 64〉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에 따른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기술통계) 99

〈표 65〉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 기준에 대한 동의여부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100

〈표 66〉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 101

〈표 67〉 도서관 발전을 위한 대학도서관 평가의 필요성(빈도분석) 101

〈표 68〉 도서관 인력, 예산, 시설 개선에 대한 현재 대학도서관 평가의 도움여부(빈도분석) 102

〈표 69〉 대학도서관 평가결과의 활용 및 개선방안 103

〈표 7O〉 대학도서관의 특성화에 대한 평가의 방향성 106

〈표 71〉 대학도서관 평가의 필요성 및 효용성(분산분석-대학유형) 109

〈표 72〉 4년제 대학 도서관 사서 직원 현황 117

〈표 73〉 전문대학 도서관 사서직원 현황 118

〈표 74〉 재학생 1,OO0명당 도서관 직원 및 사서직원 수 118

〈표 75〉 시행령 기준 현원 대비 119

〈표 76〉 대학도서관 사서 및 전문직원의 배치기준 120

〈표 77〉 시행령(안) 대비 현원 120

〈표 78〉 대학도서관의 재학생 1인당 소장도서수 123

〈표 79〉 대학도서관의 연간 증가도서수 124

〈표 8O〉 대학도서관의 연속간행물 구독 종수 124

〈표 81〉 대학도서관의 장서구성기준 126

이슈리포트 II.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사 및 해설서 140

〈표 1〉 관종별 시설, 장서 및 직원 배치기준 145

〈표 2〉 관종별 도서관 수 등 비교 146

〈표 3〉 대학 및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차이점 149

〈표 4〉 통치시기별 도서관 정책과 도서관법 151

〈표 5〉 도서관 관계 법규 변화의 영향요인 154

〈표 6〉 대학도서관 관련 도서관 법의 변화 155

〈표 7〉 대학교육 관련 법규의 변화 157

〈표 8〉 도서관 소장자료 및 연구산출물 지표 161

〈표 9〉 대학 도서관에 투입한 최근 3년치 국가재정 규모 162

〈표 1O〉 도서관발전종합계획과 대학도서관진흥기본계획간 비교 164

〈표 11〉 대학평의원회와 대학도서관운영위원회 간 비교 165

〈표 12〉 대학도서관 시설·직원·소장자료 현행법령-제정안 비교 166

〈표 13〉 제정안의 평가방식 비교 167

〈표 14〉 개별조문 자구 수정 예시 168

〈표 15〉 ARL과 국내 상위20위권 평균 대학도서관 소장도서수 비교 171

〈표 16〉 대학의 유형 및 설립주체별 대학 총 결산 대비 자료구입비 비율 171

〈표 17〉 고등교육법과 제정 안의 평가방식 비교 174

〈표 18〉 도서관법과 제정안 비교 174

〈표 19〉 원안 vs. 수정안 조문 대비표 180

〈표 2O〉 대학도서관 직원현황과 한국도서관기준 분석 204

〈표 21〉 대학도서관 유형별 시설 현황표 209

〈표 22〉 재학생 1인당 소장자료수 211

〈표 23〉 도서관법 신구조문대비표 220

〈표 24〉 학칙 위임조항의 구체적 내용 221

이슈리포트 III.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실적분석 및 '18년 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 도출 259

〈표 1〉 대학도서관발전계획의 필수과제 5개 및 관련 항목 262

〈표 2〉 대학도서관진흥법 중 학칙 반영에 관한 의무조항 264

〈표 3〉 대학도서관진흥법시행령에 학칙 반영으로 규정된 기준 265

〈표 4〉 4년제 대학 설립 형태별 학칙 반영 현황 266

〈표 5〉 4년제 대학 규모별 학칙 반영 현황 266

〈표 6〉 조항별 학칙 반영 현황 266

〈표 7〉 도서관 자료 기준 충족률 267

〈표 8〉 해외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 사례 269

〈표 9〉 분석 대상 대학의 대학유형별 분포 270

〈표 1O〉 분석대상 대학의 지리적 분포 270

〈표 11〉 주제 분류별 과제 분포 273

이슈리포트 IV. 오픈액세스 및 연구데이터 기반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329

〈표 1〉 오픈 사이언스 토픽모델링 결과 378

〈표 2〉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모델링 결과 381

〈표 3〉 오픈 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모델링 결과 384

〈표 4〉 연구데이터관리 토픽모델링 결과 387

〈표 5〉 각 영역별 검색어 조합(2017년 12월 현재) 390

〈표 6〉 SOMS 학술지논문 권고안 예 398

〈표 7〉 SOMS 학위논문 권고안 예 399

이슈리포트 V. 지역 거점 국공립대학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서고 구축 방안 연구 423

〈표 1〉 공동보존 서고의 유형 434

〈표 2〉 해외 공동보존서고 유형 437

〈표 3〉 국내 공공도서관 현황 440

〈표 4〉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관 서고 현황 443

〈표 5〉 일본의 공동보존서고 446

〈표 6〉 미국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448

〈표 7〉 미국 공동보존도서관 유형별 사례 449

〈표 8〉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현황 460

〈표 9〉 대학도서관의 시도별, 학제별, 설립주체별 개수 462

〈표 1O〉 대학도서관의 시도별 연면적 및 소장 책수 463

〈표 11〉 지역별 대학도서관 시도별 적정 수장 공간 대비 공간부족률 산출(2016~2025) 464

〈표 12〉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도서 발행 종수·부수 현황 468

〈표 13〉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관련 설립의 근거 469

〈표 14〉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운영 정책근거 471

〈표 15〉 대학도서관의 시도별 연면적 비교 472

〈표 16〉 대학도서관의 혁제별 연면적 비교 472

〈표 17〉 대학도서관의 시도별 소장 책수 비교 473

〈표 18〉 대학도서관의 학제별 소장 책수 비교 474

〈표 19〉 대학도서관의 연도별 소장 책수 및 연차증가율 474

〈표 2O〉 시도별 대학도서관의 연도별 장서증가 추계(2016~2025) 476

〈표 21〉 시도별 대학도서관 적정 수장 공간 대비 공간부족률 산출(2016~2025) 479

〈표 22〉 공동보존서고 구축 조직체계 및 인력구성 482

〈표 23〉 권역별 공동보존 서고의 기능별 주요 업무 및 중요성 모형 484

〈표 24〉 대학도서관 공동보존 서고의 지역거점대학별 설립모형 487

〈표 25〉 지역거점별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립의 우선순위 488

〈표 26〉 지역별 공동보존서고 설립을 위한 목표연도(2025년) 수장 책수 추계 489

〈표 27〉 지역별 공동보존서고의 고정서가형 건축규모(수장공간) 산출모형 491

〈표 28〉 지역별 공동보존서고의 밀집서가형 건축규모(수장공간) 산출모형 492

〈표 29〉 지역별 공동보존서고의 자동서고형 건축규모(수장공간) 산출모형 493

〈표 3O〉 지역거점별 공동보존 서고의 수장방식별 건축규모(연면적) 모형 494

〈표 31〉 지역별 공동보존 서고의 운영관리주체 비교 498

〈표 32〉 지역거점별 공동보존 서고의 사무분장과 소요인력 501

〈표 33〉 지역별 대학도서관 공동보존 서고로 자료이관에 따른 소유권 귀속유형 비교 503

〈표 34〉 공동보존서고 건립비 산출안 507

〈표 35〉 공동보존서고 총사업비의 연차별 투자계획 508

이슈리포트 VI. 인문학 진흥을 위한 도서관 교수학습모델 개발 531

〈표 1-1〉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기본계획) 중 추진배경 및 필요성 536

〈표 1-2〉 대학도서관의 정의 및 역할 537

〈표 1-3〉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14~2018) 539

〈표 3-1〉 블랜디드 러닝의 다양한 접근방식 569

〈표 3-2〉 플립드 러닝의 정의 571

〈표 3-3〉 Blended PBL 수업모형의 단계별 주요 활동 6단계 573

〈표 3-4〉 소셜미디어의 특성으로 살펴본 소셜러닝의 특성 574

〈표 3-5〉 '스마트 러닝' 사례 및 현황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 575

〈표 3-6〉 객관주의적 교수 설계 모형 특징 576

〈표 3-7〉 교수설계의 단계별 객관주의적 설계활동 577

〈표 3-8〉 구성주의 학습관경의 6가지 설계요소 578

〈표 3-9〉 구성주의 교수지원 활동의 3가지 설계요소 579

〈표 3-1O〉 자기 주도적 학습의 5요소 580

〈표 4-1〉 정보화 시대의 교육방법/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584

〈표 4-2〉 구성주의 교수-학습 요구와 학교도서관의 역할 585

〈표 4-3〉 구성주의 교수-학습 요구와 대학도서관의 역할 586

〈표 4-4〉 학술도서관 서비스의 주요 동향 589

〈표 4-5〉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기능 강화를 위한 제언 및 관련 서비스 591

〈표 4-6〉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 기능 강화를 위한 콘텐츠 생산과 KERIS의 역할 593

이슈리포트 I. 대학도서관진흥법 개정방안 연구 10

〈그림 1〉 최근 3년간 재학생 1,000명당 도서관 직원 수의 변화 26

〈그림 2〉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1인당 자료구입비 변동현황 28

〈그림 3〉 대학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의 효용성(기술통계) 64

〈그림 4〉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 기준에 대한 동의여부 99

〈그림 5〉 대학도서관진흥법 시행령에 따른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 100

이슈리포트 II. 대학도서관진흥법 제정사 및 해설서 141

〈그림 1〉 연구경쟁 력과 국가 경쟁 력의 관계 144

〈그림 2〉 관종별 도서관 발전 추이 146

〈그림 3〉 제정 안 조문 재배치 시 기본 체계 168

〈그림 4〉 도서관법의 기본구조와 구성체계(통합법→분법화) 169

〈그림 5〉 문화부, 교육부, 대학의 도서관 계획 간의 관계 226

이슈리포트 III.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실적분석 및 '18년 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 도출 260

〈그림 1〉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추진과제 분류 273

〈그림 2〉 주제별 발전과제 목표 달성도 평균 275

〈그림 3〉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과제 추진 상의 장애 요인 워드 클라우드 276

〈그림 4〉 과제 추진 상의 장애요인 분류 277

〈그림 5〉 서비스 강화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78

〈그림 6〉 서비스 강화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78

〈그림 7〉 장서 관리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80

〈그림 8〉 장서 관리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81

〈그림 9〉 자원 공유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82

〈그림 1O〉 자원 공유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83

〈그림 11〉 기관리포지터리 과제 클라우드 284

〈그림 12〉 시스템 관리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86

〈그림 13〉 시스템 관리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86

〈그림 14〉 인사 관리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87

〈그림 15〉 인사 관리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88

〈그림 16〉 환경 개선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89

〈그림 17〉 환경 개선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90

〈그림 18〉 국내외 교류의 세부 분류별 과제 수 291

〈그림 19〉 국내외 교류의 세부 분류별 목표 달성도 292

〈그림 2O〉 국내외 교류 과제 추진의 어려움 클라우드 293

이슈리포트 IV. 오픈액세스 및 연구데이터 기반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제안 330

〈그림 1〉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 연도별 동향 335

〈그림 2〉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 출처 별 동향 335

〈그림 3〉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 국가별 동향 336

〈그림 4〉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 기관별 동향 336

〈그림 5〉 기관 리포지터리 연구 분야별 동향 337

〈그림 6〉 연구 프레임 워크 338

〈그림 7〉 오픈 사이언스 연구 연도별 동향 341

〈그림 8〉 오픈 사이언스 연구 출처별 동향 342

〈그림 9〉 오픈 사이언스 국가별 동향 342

〈그림 1O〉 오픈 사이언스 연구 기관별 동향 343

〈그림 11〉 오픈 사이언스 연구 분야별 동향 343

〈그림 12〉 PubMedCentral 사이트 348

〈그림 13〉 arXivl 사이트 349

〈그림 14〉 RePEcl 사이트 349

〈그림 15〉 오픈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연도별 연구 동향 351

〈그림 16〉 오픈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출처별 연구 동향 352

〈그림 17〉 오픈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국가별 연구 동향 352

〈그림 18〉 오픈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기관별 연구 동향 353

〈그림 19〉 오픈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분야별 연구 동향 354

〈그림 2O〉 빅 데이터 와 3V 355

〈그림 21〉 OECD Open Government 356

〈그림 22〉 MANTRA 사이트 359

〈그림 23〉 Coursera : Data Management for Clinical Research 360

〈그림 24〉 연구데이터관리 연도별 연구 동향 361

〈그림 25〉 연구데이터관리 출처벌 연구 동향 362

〈그림 26〉 연구데이터관리 국가별 연구 동향 362

〈그림 27〉 연구데이터관리 기관별 연구 동향 363

〈그림 28〉 연구데이터관리 분야별 연구 동향 363

〈그림 29〉 MIT 연구데이터관리 364

〈그림 3O〉 UC버클리 연구데이터관리 365

〈그림 31〉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66

〈그림 32〉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 상세 367

〈그림 33〉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67

〈그림 34〉 하버드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68

〈그림 35〉 YODA 프로젝트 369

〈그림 36〉 캠브리지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70

〈그림 37〉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71

〈그림 38〉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데이터관리 372

〈그림 39〉 Elsevier 연구데이터관리 373

〈그림 4O〉 연구 개요 375

〈그림 41〉 토픽모델링 개요 377

〈그림 42〉 오픈사이언스 토픽 연도별 동향 379

〈그림 43〉 오픈사이언스 토픽 연도별 동향2 380

〈그림 44〉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 연도별 동향 382

〈그림 45〉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 연도별 동향2 383

〈그림 46〉 오픈 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 연도별 동향 385

〈그림 47〉 오픈 액세스 기관 리포지터리 토픽 연도별 동향2 386

〈그림 48〉 연구데이터관리 토픽 연도별 동향 388

〈그림 49〉 연구데이터관리 토픽 연도별 동향2 389

〈그림 5O〉 개념적 모형 392

〈그림 51〉 연구데이터관리 프로세스 394

〈그림 52〉 미네소타 대학교 도서관 연구데이터 가이드라인 화면 395

〈그림 53〉 캠브리지 대학교 데이터관리계획서 템플릿 396

〈그림 54〉 Research Data Management Process 397

〈그림 55〉 연세대학교 dCollection(기존) 402

〈그림 56〉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웹사이트 403

〈그림 57〉 연세대학교 dCollection(신규) 404

〈그림 58〉 기관 리포지터리 모형 상세 406

〈그림 59〉 연구 메타데이터 상세 서지 407

〈그림 60〉 2016 연세대 협력연구 현황 : 청색 : 연세대, 적색 : 외부기관, 상위5% 기관명 표시 408

〈그림 61〉 동영상 플랫폼 관련 사진 409

〈그림 62〉 Y-Valley 활동 사진 410

이슈리포트 V. 지역 거점 국공립대학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서고 구축 방안 연구 425

〈그림 1〉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현황 461

〈그림 2〉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도서 발행 종수·부수 현황 468

〈그림 3〉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의 총 증가 책수 475

〈그림 4〉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소장 책수의 연평균 증가율 475

〈그림 5〉 대학도서관의 2015년 장서수 478

〈그림 6〉 대학도서관의 2025년 장서증가 예측치 478

〈그림 7〉 공동보존서고 설립의 기본원칙 481

〈그림 8〉 공동보존서고 구축 조직체계 482

〈그림 9〉 공동보존서고 구축 기본계획 485

〈그림 1O〉 지역별 공동보존서고 설립을 위한 목표연도(2025년) 수장책수 490

〈그림 11〉 지역별 공동보존서고 설립모형에 따른 목표 수장책수별 건축규모 493

〈그림 12〉 모바일 밀집서가 496

〈그림 13〉 창고형 고층서가 496

〈그림 14〉 권역별 공동보존 서고의 운영관리시스템 체계도 499

〈그림 15〉 지역거점별 공동보존서고의 조직체계 및 인력구성 모형(소재지 도서관 주도형) 501

〈그림 16〉 지역거점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관리의 제도화 모형 509

이슈리포트 VI. 인문학 진흥을 위한 도서관 교수학습모델 개발 531

〈그림 1-1〉 교수학습과정의 구성요소 540

〈그림 2-1〉 경희대학교 도서관 디지털 큐레이션 사례 - 이야기가 있는 서가 549

〈그림 2-2〉 성균관대학교 교내 연구 업적물 아카이빙 및 연구 트렌드 분석 서비스 추진체계 550

〈그림 2-3〉 SKKU Researcher 프로필 데이터베이스 구축 추진체계 550

〈그림 2-4〉 University of Chicago 대학 도서관의 동아시아 컬렉션 558

〈그림 2-5〉 University of Pittsburgh 대학도서관의 Archives & Special Collections(A&SC) 558

〈그림 2-6〉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도서 관의 Scholarly Commons 560

〈그림 2-7〉 University of California-Los Angeles 도서관의 교수학습 지원 서비스 561

〈그림 3-1〉 대학의 E-Learning 현황 566

〈그림 3-2〉 대학의 E-Learning 분야 567

〈그림 3-3〉 대학의 MOOCs 제공 여부 567

〈그림 3-4〉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579

〈그림 3-5〉 자기주도 학습단계별 기본구조 581

〈그림 4-1〉 대학도서관을 위한 교수학습모델 58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2081 027.7 -18-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2082 027.7 -18-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