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51
제1절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의 의의와 필요성 52
1.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의 의의 52
2.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의 필요성 54
제2절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 범위와 방법 55
1. 평가범위 55
2. 평가지표 57
3. 평가방법 59
제2장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추진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66
제1절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사업개요 및 추진현황 67
1. 사업 개요 67
2. 추진현황 97
제2절 선행연구 검토 및 사례분석 99
1.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99
2. 국내외 사례분석 105
제3절 대상지 현황 분석 112
1. 대상지 개요 112
2. 인구ㆍ사회ㆍ경제적 여건 112
3. 도시ㆍ지역ㆍ공간 여건 118
4. 자연적ㆍ역사적 특징 119
제3장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 121
제1절 문화기본권에 미치는 영향 122
1.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122
2.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147
제2절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63
1.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 163
2.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180
제3절 문화발전에 미치는 영향 188
1.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188
2.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197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11
제1절 평가결과의 종합 212
1. 평가결과의 요약 212
2. 평가지표별 요약 213
제2절 정책적 제언 219
1. 종합적 제언 219
2. 세부사업별 제언 224
제3절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의 성과와 과제 232
1. 성과 232
2. 과제 233
참고문헌 235
[부록 1] 관계자 설문지 239
[부록 2] 전문가 평가서 258
[부록 3] 평가결과 요약표 (서식 5) 272
[부록 4] 정책제언 도출 (서식 6) 274
판권기 277
[그림 1-2-1]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위치도 56
[그림 1-2-2] 원주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총괄표 예시 (유네스코 창의문화도시 사업계획 포함) 61
[그림 1-2-3] 관계자 FGI 프로세스 63
[그림 2-1-1]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세부사업별 위치도 68
[그림 2-1-2]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체계도 69
[그림 2-1-3] 유네스코 창의문화도시 원주비전 70
[그림 2-1-4] 유네스코 창의문화도시 추진전략 70
[그림 2-1-5] 박경리문학공원 활성화 프로그램 71
[그림 2-1-6] 소설토지의날 행사 73
[그림 2-1-7] 박경리문학제 프로그램 활동 모습 73
[그림 2-1-8] 인문도시 지원사업의 비전과 목표 74
[그림 2-1-9] 동화로 풀어보는 인문학 교실 77
[그림 2-1-10] 그림책 도시를 물들이다 77
[그림 2-1-11] 유소년 인문학 교실 77
[그림 2-1-12] 인문주간 행사 78
[그림 2-1-13] 문화특화지역(그림책 도시) 추진체계 80
[그림 2-1-14] 도시문화 아카데미 81
[그림 2-1-15] 시민 라운드테이블 82
[그림 2-1-16] 100인 원탁회의 82
[그림 2-1-17] 그림책여행센터 이담 전경 83
[그림 2-1-18] 이야기를 담다 상설전시 진행 모습 83
[그림 2-1-19] 그림책 놀이 프로그램 진행 모습 84
[그림 2-1-20] 그림책 큐레이션 진행 모습 84
[그림 2-1-21] 그림책 플리마켓 진행 모습 84
[그림 2-1-22] 그림책 인력양성 프로그램 진행 모습 85
[그림 2-1-23] 그림책 시즌 86
[그림 2-1-24] 문화도시TF팀 업무체계 86
[그림 2-1-25] 원도심 활성화 사업 체계도 87
[그림 2-1-26] 생활문화축제 88
[그림 2-1-27] 강원감영 활성화 국악공연 모습 91
[그림 2-1-28] 소극장 기획공연 91
[그림 2-1-29] 매마수 시장에서 놀자 (춤추는 시장 골목카니발 등) 92
[그림 2-1-30] 창작스튜디오 기획사업 92
[그림 2-1-31] 복합문화커뮤니티센터 조감도 93
[그림 2-1-32]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추진현황 98
[그림 2-2-1]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변천 102
[그림 2-2-2] 국제 스토리텔링 축제 105
[그림 2-2-3] Edinburgh International Book Festival 105
[그림 2-2-4] The Edinburgh Festival Fringe 105
[그림 2-2-5]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105
[그림 2-2-6] Reykjavik Folk festival 107
[그림 2-2-7] Reykjavik film festival 107
[그림 2-2-8] Winter light festival 107
[그림 2-2-9] Reykjavk Pride Parade 107
[그림 2-2-10] 더블린의 활동 108
[그림 2-2-11] LA시 건물외벽 그래픽 광고 109
[그림 2-2-12] 앙굴렘시 건물외벽 109
[그림 2-2-13] 앙굴렘시 건물외벽 109
[그림 2-2-14] 앙굴렘시 우체통 109
[그림 2-2-15] 부천시 도서관 모습 110
[그림 2-2-16] 원미동 사람들 거리 110
[그림 2-2-17] 복사골 예술제 진행 모습 110
[그림 2-2-18] 펄벅문학상 수상 모습 110
[그림 2-2-19]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111
[그림 2-2-20] 부천국제만화축제 111
[그림 2-3-1] 원주시 지도 112
[그림 2-3-2] 원주시 군사시설 모습 113
[그림 2-3-3] 원주시 읍면 및 동 지역 행정구분 114
[그림 2-3-4] 원주-강릉 철도 및 중앙선 복선전철 116
[그림 2-3-5] 소꿉마당 117
[그림 2-3-6] 원주노인생협 117
[그림 2-3-7] 한살림생협 로컬푸드매장 117
[그림 2-3-8] 의료생협 보건활동 117
[그림 2-3-9] 원주시 위치적 특성 118
[그림 2-3-10] 치악산 전경 119
[그림 3-1-1] 원주시 문화시설 전체 분포도 123
[그림 3-1-2] 원주 역사박물관 126
[그림 3-1-3] 치악민속박물관 126
[그림 3-1-4] 연세대학교 원주박물관 126
[그림 3-1-5] 고판화 박물관 126
[그림 3-1-6] 원주허브팜식물원 127
[그림 3-1-7] 뮤지엄 산 (SAN) 127
[그림 3-1-8] 중앙로 문화의 거리 행사 전경 128
[그림 3-1-9] 원주매지농악전수관 앞 연습 모습 130
[그림 3-1-10] 박경리 문화관 전경 130
[그림 3-1-11] 원주따뚜공연장 전경 130
[그림 3-1-12] 그림책 여행센터 이담 131
[그림 3-1-13] 미로예술 원주중앙시장 131
[그림 3-1-14] 창장스튜디오 131
[그림 3-1-15] 청년플랫폼 청년마을 131
[그림 3-1-16]/[그림 3-1] 그림책 놀이 활동 모습 133
[그림 3-1-17]/[그림 3-1-16] 옛 원주여고 전경 134
[그림 3-1-18]/[그림 3-1-17] 소극장 페스티벌 진행 모습 135
[그림 3-1-19]/[그림 3-1-18] 원주예술제 진행모습 148
[그림 3-1-20]/[그림 3-1-19] 삼토문화축제 진행 모습 148
[그림 3-1-21]/[그림 3-1-20] 원주다이내믹페스티벌 진행모습 148
[그림 3-1-22]/[그림 3-1-21] 원주한지문화제 진행모습 148
[그림 3-1-23]/[그림 3-1-22] 생활문화센터 생활문화동아리 활성화 프로그램 진행 모습 148
[그림 3-1-24]/[그림 3-1-23] 옛 원주여고 시설 위치도 149
[그림 3-1-25]/[그림 3-1-24] 그림책 인력양성 프로그램 진행 모습 151
[그림 3-2-1] 지학순 주교 163
[그림 3-2-2] 무위당 장일순 163
[그림 3-2-3] 박경리 163
[그림 3-2-4] 지신밟기 165
[그림 3-2-5] 매지농악 165
[그림 3-2-6] 그림책 전시 및 공연 166
[그림 3-2-7] 매마수 시장에서 놀자 진행 모습 167
[그림 3-2-8] 거리예술활성화 원주랑 놀一場 167
[그림 3-2-9] 박경리문학공원 그림책 지원사업 진행 모습 168
[그림 3-2-10] 소설토지학교 169
[그림 3-2-11] 토지시낭송 행사사업 170
[그림 3-2-12] 그림책 인력양성사업 180
[그림 3-2-13] 생활문화축제 진행 모습 182
[그림 3-2-14] 생활문화네트워크 활동 모습 182
[그림 3-3-1] 그림책 플리마켓 진행모습 188
[그림 3-3-2] 그림책 놀이 프로그램 진행모습 188
[그림 3-3-3] 박경리문학상 시상 모습 188
[그림 3-3-4] 인문강좌 진행모습 188
[그림 3-3-5] 김금원 호동서락기 189
[그림 3-3-6] 임윤지당 얼 선양관 189
[그림 3-3-7] 손곡이달 시비 189
[그림 3-3-8] 박건호 공원 189
[그림 3-3-9] 그림책 큐레이션 191
[그림 3-3-10] 원주ㆍ횡성 유소년 인문학교실 진행 모습 191
[그림 3-3-11] 옻칠기공예관 197
[그림 3-3-12] 한지공예관 197
[그림 3-3-13]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디자인학부 198
[그림 3-3-14] 운곡학회 198
[그림 3-3-15] 그림책 관련 창조인력 양성 프로그램 진행 모습 200
[그림 3-3-16] 도시문화아카데미 201
[그림 3-3-17] 그림책 인력양성프로그램 202
[그림 4-1-1]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조성사업 문화영향평가 결과 요약 212
[그림 4-2-1] 원주시 문화공간 체계도 220
[그림 4-2-2] 전남대 한책 토론회 220
[그림 4-2-3] 책 읽는 벤치 예시 220
[그림 4-2-4] 포엠콘서트 예시 221
[그림 4-2-5] 연극대본 낭독극 예시 221
[그림 4-2-6] 오래된 상점 리모델링 예시 223
[그림 4-2-7] 원주시 창의문화도시 사업의 개념적 위상 제안 224
[그림 4-2-8] 단위사업과 원주문학의 관계 225
[그림 4-2-9] 코시체 New Poetry Forms 228
[그림 4-2-10] 과달라하라 FIL 228
[그림 4-2-11] 고양시 주엽어린이도서관 '그림책 작가의방' 229
[그림 4-2-12] 그림책을 통한 원주문학의 확산 22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13602 | 307.1095196 -18-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413603 | 307.1095196 -18-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