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1-[3]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포항 :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 해양수산국 항만물류과, 2018
청구기호
627.5 -18-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43305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주)아라기술
용역책임기술자: 강태순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울진군·영덕군 -- 2. 포항시·경주시·울릉군 -- [3]. 요약보고서
이전발행처: 경상북도 동해안발전본부 항만물류과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총설 11

1. 추진배경 11

2. 과업의 목적 13

3. 과업대상지역 13

4. 결과 요약 15

4.1. 침식등급 평가결과 15

4.2. 침식주제도 18

제1장 연안침식 실태조사 20

1.1. 조사 개요 20

1.1.1. 조사 목적 20

1.1.2. 조사 대상지역 20

1.1.3. 조사 기간 21

1.1.4. 조사 항목 21

1.2. 세부조사 방법 및 내용 22

1.2.1. 해안현황 22

1.2.2. 자연현황 22

1.2.3. 시설현황 23

1.2.4. 기준점 조사 및 해빈조사 23

1.2.3. 표층퇴적물 조사 25

1.2.6.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 분석 30

1.2.7. 사진촬영 조사 30

1.2.8. 침식현황 검토 31

1.3. 추가 조사 31

1.3.1. 동계 조사 31

1.3.2.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35

1.4. 평가방법 37

1.4.1. 평가항목 및 기준 37

1.4.2. 해안선변화 평가방법 37

1.4.3. 단면적변화 평가방법 38

1.4.4. 배후지피해 평가방법 39

1.4.5. 인구 평가방법 39

1.4.6. 자연보전가치 평가방법 40

1.5.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40

1.5.1. 평가등급의 분류 40

1.5.2. 대상지역 분류체계 43

1.5.3. 기본 모니터링 이력조서 44

1.6.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728

1.6.1. 조사 목적 728

1.6.2. 조사 대상지역 728

1.6.3. 조사 항목 730

1.6.4. 조사 결과 731

1.6.5. 결과 요약 833

1.7. 종합 분석 836

1.7.1. 개요 836

1.7.2. 연안침식 실태조사 측량자료 분석 836

1.7.3. 연안침식등급 평가결과 분석 847

1.7.4.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49

1.7.5. 사후 모니터링 852

1.7.6. 향후 대책 853

참고문헌 855

판권기 858

〈표 0-1〉 과업대상지역 8

〈표 0-2〉 연도별 침식등급 평가결과 15

〈표 0-3〉 평가등급 변동 현황 16

〈표 0-4〉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17

〈표 1-1-1〉 연안침식 실태조사 항목 21

〈표 1-2-1〉 위성측위기(RTK-GPS)의 제원 23

〈표 1-2-2〉 천해용 정밀 음향측심기 제원 25

〈표 1-2-3〉 퇴적물 입자 직경별 명칭 27

〈표 1-2-4〉 퇴적물 조직표준치의 산정공식 및 언어표기척도(Verbal Scale) 28

〈표 1-2-5〉 연안침식 평가등급 31

〈표 1-3-1〉 동계 조사 측량 결과 요약 32

〈표 1-3-2〉 41개소 동계 조사 측량 결과 33

〈표 1-3-3〉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결과 36

〈표 1-4-1〉 연안침식 평가항목 37

〈표 1-4-2〉 해안선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37

〈표 1-4-3〉 해안선변화 평가배점 37

〈표 1-4-4〉 단면적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38

〈표 1-4-5〉 단면적변화 평가배점 38

〈표 1-4-6〉 배후지피해 평가배점 39

〈표 1-4-7〉 인구 평가배점 39

〈표 1-4-8〉 자연보전가치 평가배점 40

〈표 1-5-1〉 침식이력 조사지역의 연안침식평가 등급 40

〈표 1-5-2〉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42

〈표 1-5-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분류체계 43

〈표 1-6-1〉 검토 대상지역(51개소) 분류체계 729

〈표 1-6-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 833

〈표 1-6-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계속) 834

〈표 l-6-3〉 해안선 후퇴 지역(13개소) 834

〈표 1-7-1〉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결과 837

〈표 1-7-2〉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838

〈표 1-7-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839

〈표 1-7-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840

〈표 1-7-5〉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841

〈표 1-7-6〉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842

〈표 1-7-7〉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843

〈표 1-7-8〉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844

〈표 1-7-9〉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845

〈표 1-7-10〉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846

〈표 1-7-11〉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847

〈표 1-7-12〉 연도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 847

〈표 1-7-13〉 지자체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2017년) 848

〈표 1-7-14〉 2017년 연안침식등급 변동 현황 848

〈표 1-7-15〉 울진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49

〈표 1-7-16〉 영덕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50

〈표 1-7-17〉 포항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50

〈표 1-7-18〉 경주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51

〈표 1-7-19〉 울릉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851

〈표 1-7-20〉 사후 모니터링 지역별 현황 852

〈표 1-7-21〉 침식등급 결과에 따른 조치 계획 853

〈그림 0-1〉 경상북도 조위관측소 해수면 변동 추세분석 결과. 11

〈그림 0-2〉 태풍 고니 내습후 피해 영상(좌 : 화진, 우 : 월송정). 12

〈그림 0-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3

〈그림 0-4〉 침식주제도. 18

〈그림 1-1-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20

〈그림 1-2-1〉 Network RTK-GPS 측량 흐름도. 24

〈그림 1-2-2〉 전촌·나정 해수욕장 표층퇴적물 채취지점. 25

〈그림 1-2-3〉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 함량비에 의한 퇴적물유형 분류. 29

〈그림 1-2-4〉 상용프로그램(Global Mapper)에서 좌표투영. 30

〈그림 1-3-1〉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35

〈그림 1-5-1〉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41

〈그림 1-6-1〉 검토 대상지역 위치도. 728

〈그림 1-6-2〉 해안선 후퇴 지역 위치도. 835

〈그림 1-7-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836

〈그림 1-7-2〉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경향. 837

〈그림 1-7-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839

〈그림 1-7-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841

〈그림 1-7-5〉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843

〈그림 1-7-6〉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845

〈그림 1-7-7〉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846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총설 869

1. 추진배경 869

2. 과업의 목적 871

3. 과업대상지역 871

4. 결과 요약 873

4.1. 침식등급 평가결과 873

4.2. 침식주제도 876

제1장 연안침식 실태조사 878

1.1. 조사 개요 878

1.1.1. 조사 목적 878

1.1.2. 조사 대상지역 878

1.1.3. 조사 기간 879

1.1.4. 조사 항목 879

1.2. 세부조사 방법 및 내용 880

1.2.1. 해안현황 880

1.2.2. 자연현황 880

1.2.3. 시설현황 881

1.2.4. 기준점 조사 및 해빈조사 881

1.2.5. 표층퇴적물 조사 883

1.2.6.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 분석 888

1.2.7. 사진촬영 조사 888

1.2.8. 침식현황 검토 889

1.3. 추가 조사 889

1.3.1. 동계 조사 889

1.3.2.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893

1.4. 평가방법 895

1.4.1. 평가항목 및 기준 895

1.4.2. 해안선변화 평가방법 895

1.4.3. 단면적변화 평가방법 896

1.4.4. 배후지피해 평가방법 897

1.4.5. 인구 평가방법 897

1.4.6. 자연보전가치 평가방법 898

1.5.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898

1.5.1. 평가등급의 분류 898

1.5.2. 대상지역 분류체계 901

1.5.3. 기본 모니터링 이력조서 902

1.6.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496

1.6.1. 조사 목적 1496

1.6.2. 조사 대상지역 1496

1.6.3. 조사 항목 1498

1.6.4. 조사 결과 1499

1.6.5. 결과 요약 1601

1.7. 종합 분석 1604

1.7.1. 개요 1604

1.7.2. 연안침식 실태조사 측량자료 분석 1604

1.7.3. 연안침식등급 평가결과 분석 1615

1.7.4.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7

1.7.5. 사후 모니터링 1620

1.7.6. 향후 대책 1621

참고문헌 1623

판권기 1626

〈표 0-1〉 과업대상지역 872

〈표 0-2〉 연도별 침식등급 평가결과 873

〈표 0-3〉 평가등급 변동 현황 874

〈표 0-4〉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875

〈표 1-1-1〉 연안침식 실태조사 항목 879

〈표 1-2-1〉 위성측위기(RTK-GPS)의 제원 881

〈표 1-2-2〉 천해용 정밀 음향측심기 제원 883

〈표 1-2-3〉 퇴적물 입자 직경별 명칭 885

〈표 1-2-4〉 퇴적물 조직표준치의 산정공식 및 언어표기척도(Verbal Scale) 886

〈표 1-2-5〉 연안침식 평가등급 889

〈표 1-3-1〉 동계 조사 측량 결과 요약 890

〈표 1-3-2〉 41개소 동계 조사 측량 결과 891

〈표 1-3-3〉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결과 894

〈표 1-4-1〉 연안침식 평가항목 895

〈표 1-4-2〉 해안선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895

〈표 1-4-3〉 해안선변화 평가배점 895

〈표 1-4-4〉 단면적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896

〈표 1-4-5〉 단면적변화 평가배점 896

〈표 1-4-6〉 배후지피해 평가배점 897

〈표 1-4-7〉 인구 평가배점 897

〈표 1-4-8〉 자연보전가치 평가배점 898

〈표 1-5-1〉 침식이력 조사지역의 연안침식평가 등급 898

〈표 1-5-2〉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900

〈표 1-5-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분류체계 901

〈표 1-6-1〉 검토 대상지역(51개소) 분류체계 1497

〈표 1-6-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 1601

〈표 1-6-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계속) 1602

〈표 1-6-3〉 해안선 후퇴 지역(13개소) 1602

〈표 1-7-1〉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결과 1605

〈표 1-7-2〉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606

〈표 1-7-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607

〈표 1-7-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608

〈표 1-7-5〉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609

〈표 1-7-6〉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610

〈표 1-7-7〉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611

〈표 1-7-8〉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612

〈표 1-7-9〉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613

〈표 1-7-10〉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614

〈표 1-7-11〉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615

〈표 1-7-12〉 연도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 1615

〈표 1-7-13〉 지자체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2017년) 1616

〈표 1-7-14〉 2017년 연안침식등급 변동 현황 1616

〈표 1-7-15〉 울진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7

〈표 1-7-16〉 영덕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8

〈표 1-7-17〉 포항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8

〈표 1-7-18〉 경주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9

〈표 1-7-19〉 울릉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619

〈표 1-7-20〉 사후 모니터링 지역별 현황 1620

〈표 1-7-21〉 침식등급 결과에 따른 조치 계획 1621

〈그림 0-1〉 경상북도 조위관측소 해수면 변동 추세분석 결과. 869

〈그림 0-2〉 태풍 고니 내습후 피해 영상(좌 : 화진, 우 : 월송정). 870

〈그림 0-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871

〈그림 0-4〉 침식주제도. 876

〈그림 1-1-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878

〈그림 1-2-1〉 Network RTK-GPS 측량 흐름도. 882

〈그림 1-2-2〉 전촌·나정 해수욕장 표층퇴적물 채취지점. 883

〈그림 1-2-3〉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 함량비에 의한 퇴적물유형 분류. 887

〈그림 1-2-4〉 상용프로그램(Global Mapper)에서 좌표투영. 888

〈그림 1-3-1〉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893

〈그림 1-5-1〉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899

〈그림 1-6-1〉 검토 대상지역 위치도. 1496

〈그림 1-6-2〉 해안선 후퇴 지역 위치도. 1603

〈그림 1-7-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604

〈그림 1-7-2〉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경향. 1605

〈그림 1-7-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607

〈그림 1-7-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609

〈그림 1-7-5〉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611

〈그림 1-7-6〉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613

〈그림 1-7-7〉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614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총설 1639

1. 추진배경 1639

2. 과업의 목적 1641

3. 과업대상지역 1641

4. 결과 요약 1643

4.1. 침식등급 평가결과 1643

4.2. 침식주제도 1646

제1장 연안침식 실태조사 1648

1.1. 조사 개요 1648

1.1.1. 조사 목적 1648

1.1.2. 조사 대상지역 1648

1.1.3. 조사 기간 1649

1.1.4. 조사 항목 1649

1.2 세부조사 방법 및 내용 1650

1.2.1. 해안현황 1650

1.2.2. 자연현황 1650

1.2.3. 시설현황 1651

1.2.4. 기준점 조사 및 해빈조사 1651

1.2.5. 표층퇴적물 조사 1653

1.2.6.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 분석 1658

1.2.7. 사진촬영 조사 1658

1.2.8. 침식현황 검토 1659

1.3. 추가 조사 1659

1.3.1. 동계 조사 1659

1.3.2.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1663

1.4. 평가방법 1665

1.4.1. 평가항목 및 기준 1665

1.4.2. 해안선변화 평가방법 1665

1.4.3. 단면적변화 평가방법 1666

1.4.4. 배후지피해 평가방법 1667

1.4.5. 인구 평가방법 1667

1.4.6. 자연보전가치 평가방법 1668

1.5.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1668

1.5.1. 평가등급의 분류 1668

1.5.2. 대상지역 분류체계 1671

1.6. 기본 모니터링 결과 요약 1672

1.6.1. 울진군 후정 해수욕장 1672

1.6.2. 울진군 죽변면 죽변항~봉평리 1673

1.6.3. 울진군 울진읍 온양리 1674

1.6.4. 울진군 근남면 산포리 1675

1.6.5. 울진군 원남면 오산리 1676

1.6.6.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 1677

1.6.7. 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1678

1.6.8.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 1679

1.6.9. 울진군 기성면 구산~월송리 1680

1.6.10. 울진군 평해면 직산리 1681

1.6.11. 울진군 후포면 금음리 1682

1.6.12. 영덕군 고래불 해수욕장 1683

1.6.13. 영덕군 영덕읍 대탄리 1684

1.6.14. 영덕군 강구면 금진~하저리 1685

1.6.15. 영덕군 남호 해수욕장 1686

1.6.16. 영덕군 남정면 부경리 1687

1.6.17. 영덕군 병곡면 금곡~백석지구 1688

1.6.18. 영덕군 경정 해수욕장 1689

1.6.19. 영덕군 남정면 원척~부흥리 1690

1.6.20. 영덕군 장사 해수욕장 1691

1.6.21. 포항시 화진 해수욕장 1692

1.6.22. 포항시 월포 해수욕장 1693

1.6.23. 포항시 칠포 해수욕장 1694

1.6.24. 포항시 영일대 해수욕장 1695

1.6.25. 포항시 송도 해수욕장 1696

1.6.26. 포항시 도구 해수욕장 1697

1.6.27. 포항시 구룡포 해수욕장 1698

1.6.28. 포항시 모포 해수욕장 1699

1.6.29. 경주시 오류 해수욕장 1700

1.6.30. 경주시 감포 해수욕장 1701

1.6.31. 경주시 전촌·나정 해수욕장 1702

1.6.32. 경주시 나아 해수욕장 1703

1.6.33. 경주시 양남면 하서1리 1704

1.6.34. 경주시 관성 해수욕장 1705

1.6.35. 경주시 감포읍 대본지구 1706

1.6.36. 경주시 봉길대왕암 해변 1707

1.6.37. 경주시 양남면 읍천2리 1708

1.6.38. 울릉군 서면 태하1리 1709

1.6.39. 울릉군 울릉읍 사동1리 1710

1.6.40. 울릉군 서면 남양1리 1711

1.6.41. 울릉군 서면 남양3리 1712

1.7.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714

1.7.1. 조사 목적 1714

1.7.2. 조사 대상지역 1714

1.7.3. 조사 항목 1716

1.7.4. 조사 결과 1717

1.7.5. 결과 요약 1819

1.8. 종합 분석 1822

1.8.1. 개요 1822

1.8.2. 연안침식 실태조사 측량자료 분석 1822

1.8.3. 연안침식등급 평가결과 분석 1833

1.8.4.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5

1.8.5. 사후 모니터링 1838

1.8.6. 향후 대책 1839

참고문헌 1841

판권기 1845

〈표 0-1〉 과업대상지역 1642

〈표 0-2〉 연도별 침식등급 평가결과 1643

〈표 0-3〉 평가등급 변동 현황 1644

〈표 0-4〉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1645

〈표 1-1-1〉 연안침식 실태조사 항목 1649

〈표 1-2-1〉 위성측위기(RTK-GPS)의 제원 1651

〈표 1-2-2〉 천해용 정밀 음향측심기 제원 1653

〈표 1-2-3〉 퇴적물 입자 직경별 명칭 1655

〈표 1-2-4〉 퇴적물 조직표준치의 산정공식 및 언어표기척도(Verbal Scale) 1656

〈표 1-2-5〉 연안침식 평가등급 1659

〈표 1-3-1〉 동계 조사 측량 결과 요약 1660

〈표 1-3-2〉 41개소 동계 조사 측량 결과 1661

〈표 1-3-3〉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결과 1664

〈표 1-4-1〉 연안침식 평가항목 1665

〈표 1-4-2〉 해안선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1665

〈표 1-4-3〉 해안선변화 평가배점 1665

〈표 1-4-4〉 단면적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1666

〈표 1-4-5〉 단면적변화 평가배점 1666

〈표 1-4-6〉 배후지피해 평가배점 1667

〈표 1-4-7〉 인구 평가배점 1667

〈표 1-4-8〉 자연보전가치 평가배점 1668

〈표 1-5-1〉 침식 이력 조사지역의 연안침식평가 등급 1668

〈표 1-5-2〉 대상지역별 연안침식등급 이력 1670

〈표 1-5-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분류체계 1671

〈표 1-7-1〉 검토 대상지역(51개소) 분류체계 1715

〈표 1-7-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 1819

〈표 1-7-2〉 항공사진 분석 결과 요약(계속) 1820

〈표 1-7-3〉 해안선 후퇴 지역(13개소) 1820

〈표 1-8-1〉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결과 1823

〈표 1-8-2〉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824

〈표 1-8-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825

〈표 1-8-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826

〈표 1-8-5〉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827

〈표 1-8-6〉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828

〈표 1-8-7〉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829

〈표 1-8-8〉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830

〈표 1-8-9〉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831

〈표 1-8-10〉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1832

〈표 1-8-11〉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평균해빈폭 및 평균단면적 변화 1833

〈표 1-8-12〉 연도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 1833

〈표 1-8-13〉 지자체별 연안침식등급 평가 결과(2017년) 1834

〈표 1-8-14〉 2017년 연안침식등급 변동 현황 1834

〈표 1-8-15〉 울진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5

〈표 1-8-16〉 영덕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6

〈표 1-8-17〉 포항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6

〈표 1-8-18〉 경주시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7

〈표 1-8-19〉 울릉군 대상지역별 현황 및 고찰 1837

〈표 1-8-20〉 사후 모니터링 지역별 현황 1838

〈표 1-8-21〉 침식등급 결과에 따른 조치 계획 1839

〈그림 0-1〉 경상북도 조위관측소 해수면 변동 추세분석 결과. 1639

〈그림 0-2〉 태풍 고니 내습후 피해 영상(좌 : 화진, 우 : 월송정). 1640

〈그림 0-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641

〈그림 0-4〉 침식주제도. 1646

〈그림 1-1-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648

〈그림 1-2-1〉 Network RTK-GPS 측량 흐름도. 1652

〈그림 1-2-2〉 전촌·나정 해수욕장 표층퇴적물 채취지점. 1653

〈그림 1-2-3〉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 함량비에 의한 퇴적물유형 분류 1657

〈그림 1-2-4〉 상용프로그램(Global Mapper)에서 좌표투영. 1658

〈그림 1-3-1〉 하구역 퇴적 모래 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663

〈그림 1-5-1〉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1669

〈그림 1-7-1〉 검토 대상지역 위치도. 1714

〈그림 1-7-2〉 해안선 후퇴 지역 위치도. 1821

〈그림 1-8-1〉 경상북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1822

〈그림 1-8-2〉 지자체별 연안의 침퇴적 변화 경향. 1823

〈그림 1-8-3〉 울진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825

〈그림 1-8-4〉 영덕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827

〈그림 1-8-5〉 포항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829

〈그림 1-8-6〉 경주시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831

〈그림 1-8-7〉 울릉군 대상지역별 장·단기 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183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9571 627.5 -18-1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9572 627.5 -18-1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9573 627.5 -18-1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9574 627.5 -18-1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9575 627.5 -18-15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19576 627.5 -18-15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