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우리 시대 인문학의 최전선 / 글쓴이: 김재인, 박미선, 박상현, 성해영, 양종근, 오현미, 이우창, 이진경, 이창익, 장경섭 [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문화체육관광부, 2018
청구기호
001.3 -18-4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52 p.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8209786
제어번호
MONO1201843987
주기사항
주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어문학연구소,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판권기

책을 펴내며 / 방민호

목차

1. 인간과 기계 13

인공지능과 새로운 인간학-인공지능과 사이보그가 던지는 철학적 물음들 / 이진경 14

인공지능이 던진 충격과 새로운 인간학 15

감각에 대한 새로운 고찰 17

존재론적 평면화 : '포스트휴먼'에서 '프리휴먼'으로 20

튜링 테스트와 '중국어의 방' 21

인간중심주의의 한계 25

인간과 그 복제물의 경쟁 : 플라톤의 문제 27

사이보그, 신체와 경계에 대한 질문 29

사이보그와 개체의 경계 : 데카르트의 문제 32

어디까지가 나의 신체인가? 36

사이버네틱스와 정보이론, 뇌의 복제와 전송은 가능한가? 38

신체가 달라져도 뇌는 동일하게 작동할까? 42

뇌의 이식과 전송 : 엥겔스의 문제 45

기계의 미래에 대한 공포와 인간중심주의 47

인간과 기계 : '누가 누가 잘하나?'를 넘어서 49

인간이 된 기계와 기계가 된 신-종교, 인공지능, 포스트휴머니즘 / 이창익 51

포스트휴먼, 인간과 비인간에 대한 질문 52

포스트휴먼의 상상력 : 종교 기계의 등장 54

인공지능과 인간 지우기 : 인간 기계 57

'인공의 존재론' 그리고 영혼과 인간의 문제 60

인공지능과 종교적 이상의 실현 64

마음 이식을 통한 종교 기계의 탄생과 트랜스휴머니즘 비판 66

데이터가 되어야만 구원받는 시대 70

인간과 기계 : 엔트로피에 저항하는 섬 74

인공지능의 짧은 역사 79

인공지능과 인공 마음 : 모든 사물의 마음 82

종교와 인공지능 : '전자 인간' 시대의 신(神) 87

선언의 사상가, 도나 해러웨이를 읽다 / 최유미 91

도나 해러웨이,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를 말하다 92

「사이보그 선언」 : 테크노사이언스의 동시대적인 내파 96

제3세계 페미니즘에 대한 어떤 답변, 「사이보그 선언」 99

'여신이 되기보다는 차라리 사이보그가 되겠다' 102

『반려종 선언』 : 반려종과 함께 구축한 세계 104

감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반복 훈련을 통해 만들어지는 반려친족 107

인류세와 자본세의 한계 그리고 극복 110

부분적인 연결과 부분적인 회복, 「쑬루세」 113

「친척 만들기」와 「오줌으로 가득 차다」, 아이 말고 퀴어 친척을! 116

계속성에 대한 지지, 곤란함과 함께하기 119

2. 성과 정체성, 소수자 125

진화심리학과 젠더-가족에서 개인으로 / 오현미 ; 장경섭 126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경계 넘어서기 127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반응 129

사회과학과 진화론의 결합, 진화사회과학의 등장 131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의 공통점 : 진화론적 접근 134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의 차이점 : 대상, 설명 기제, 학문의 분과 135

사회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의 젠더 관념 비교 : 가족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139

울리히 벡 : 2차 근대성과 개인화 147

울리히 벡 : 제도화된 개인주의 149

진화심리학과 울리히 벡 : 친화성과 차이점 152

진화심리학과 울리히 벡의 차이점 162

서구와 동아시아의 비교 사회적 평가 164

진화심리학의 젠더 관념 변화가 갖는 함의 167

유색인종 퀴어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안잘두아-차별과 경계를 허문 인식론적 액티비즘 / 박미선 170

유색인종 퀴어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안잘두아 171

네판틀라에서 코노시미엔토까지, 안잘두아 후기 사상 돌아보기 173

『다리』로 돌아본 유색인종 퀴어 페미니스트의 현실 175

『경계지대』와 그 이후 저작으로 돌아본 안잘두아의 페미니즘 사상 178

「검은 소녀」 :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맞선 온전한 자기긍정 180

글쓰기를 통해 창조되는 퀴어 공간, "왼손잡이 세계" 184

"다른 언어로 말하기" : 글쓰기는 퀴어의 무기다 186

『경계지대』 : 교차성 이론을 제시한 텍스트 190

직관적 깨달음과 무의식을 다루는 시간 : "라 파쿨타드"와 "코아틀리퀘 상태" 194

인식론적 경계지대와 메스티자 의식 198

보편적 주체이론과 인식론으로의 전환 : 『경계지대』 이전과 이후 200

여성들 사이의 연대 액티비즘, '코노시미엔토'로 202

파편화와 위기, 전환의 시공간 : 네판틀라 205

내적 분열을 넘어 치유하는 창조적 행위/시간 : 코욜샤우키 과정 208

상처를 치유하는 보편 주체 네판틀레라 211

인식론적 액티비즘과 경계지대의 영성 : 코노시미엔토 212

고통과 성찰적 분석 그리고 치유의 시간 : 코아틀리퀘와 코욜샤우키 과정 215

일상에서 실행하는 경계지대의 영성 액티비즘 217

차별과 경계를 넘어 일군 안잘두아의 인식론적 액티비즘 219

페미니즘에서 '자연'이라는 문제-에코페미니즘과 그로츠 / 황주영 222

페미니즘, 그리고 에코페미니즘과 자연의 문제 223

페미니즘에서 자연을 다루는 세 흐름 224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문화 페미니즘에서 신체 226

초기 에코페미니즘에서 여성-자연 관계 227

양자택일 문제 설정의 허구 229

이원론을 넘어선 여성-자연 관계 230

에코페미니즘에서의 '자연' 개념의 변천과 한계 233

샌딜랜즈의 자연 개념과 문제점 235

젠더 일원론 : 버틀러의 경우 238

그로츠의 시도 : 자연의 정교화, 복잡화로서 문화 239

조우의 가능성 : 그로츠와 에코페미니즘 242

자연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의 전환 244

3. 예술, 문화, 종교, 언어 247

들뢰즈의 생각에 대한 새로운 상과 예술가적 배움-창조하는 삶을 위하여 / 김재인 248

'생각에 대한 새로운 상'을 찾아서 249

잘못 번역된 "사유의 이미지" 그리고 생각에 대한 독단적 상 251

앎과 배움은 창조를 지향한다 253

예술과 기호, 생각과 해석 사이의 진실 255

지능과 시간이라는 문제 258

예술 기호의 의미와 본질 261

니체의 시선을 빌려 바라본 예술 265

생각에 대한 새로운 상 그리고 예술 267

스타일은 예술의 본질을 만든다 271

예술가적 배움이란 곧 창조하는 삶 274

새로운 종교성의 탄생, '무종교의 종교'-세속적 신비주의와 심층심리학의 만남 / 성해영 279

종교의 경계를 넘어선 종교성이 등장하다 280

'종교를 넘어선 종교' 그리고 세속적 신비주의(secular mysticism) 281

세속적 신비주의의 변천 285

세속적 신비주의와 심층심리학의 만남 287

새로운 종교성의 등장,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다' 292

한국 현대 종교 지형의 다양한 특성과 변화 295

'무종교의 종교' 현상에 담긴 현대성과 그 의미 298

미래의 종교성, 개인이 주체가 되는 종교 300

민족주의와 탈식민주의를 넘어 새로운 보편성으로 / 양종근 303

신식민주의에 대항하는 민족주의 담론 304

지젝과 알튀세르를 통해 본 '대타자'로서의 민족주의 305

토착 민족주의의 역할, 그리고 제국주의 이후 드러난 한계 309

신식민주의 시대, 민족주의를 돌아보게 만드는 디아스포라의 등장 312

디아스포라 담론을 넘어 다시 민족주의로 314

탈식민주의 : 민족에서 인종, 계급, 젠더로 316

탈식민주의에 대한 회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재고 318

역사와 정치, 경제 문제를 놓친 탈식민주의의 한계 320

탈식민주의와 민족주의를 지나 역사의식으로 323

새로운 보편성을 향해 열린 민족주의 326

4. 사회, 역사, 철학 331

계몽주의와 '중국논쟁'-역사적 보편주의에서 바라본 중국 / 박상현 332

계몽주의자들의 '중국논쟁' 333

르네상스와 중국에 대한 경탄 336

예수회와 17세기 '중국의례' 논쟁 339

계몽주의와 유럽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중국 : 기독교적 보편사 비판 343

계몽주의와 유럽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중국 : 도덕·정치개혁의 준거 347

계몽주의와 유럽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중국 : 경제모형 350

계몽주의와 중국혐오 354

낭만주의와 종족적 중국혐오 357

계몽주의의 보편사에 중국이 미친 영향 362

'서구 근대'의 위기와 한국 동아시아 담론의 기이한 여정-민족문학론에서 반민주주의론까지, 1989~2017 / 이우창 365

'서구 근대'와 동아시아론의 등장 : 민족문학론, 포스트모더니즘, 탈냉전시대 366

백낙청의 시민문학론과 민족문학론 367

민족문학론에 대한 도전과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370

최원식의 동아시아론 : "비판적 지역주의" 373

백영서의 동아시아론 : '서구 근대'를 재배치하기 375

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으로의 이행과 그 결과 377

동아시아 전통 다시 쓰기 : 『역사의 종말』 이후의 역사가들 378

2000년대의 중국대안론 382

2010년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 : 미야지마 히로시의 '유교적 근대론' 386

2010년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 : 배항섭과 김상준 389

동아시아 담론의 이데올로기화 : 황태연의 '공자철학' 392

동아시아 담론의 이데올로기화 : 이병한의 중화주의와 반민주주의 395

'서구 근대' 없는 근대 비판이 가능한가? 402

커먼즈(Commons)란 무엇인가?-E.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에서 커먼즈에 대한 권리 : 운동론적 접근으로 / 정영신 407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오스트롬의 커먼즈론과 그 이후 408

학술 영역에서 커먼즈 논의의 전개 과정 411

커먼즈와 공동자원 개념을 둘러싼 논쟁과 재정의 415

오스트롬의 공동자원 연구는 커먼즈 연구의 유일한 패러다임인가? 421

한국의 공동자원, 커먼즈 연구의 흐름들 426

사회적 딜레마 해결의 '방법'으로서 공동자원 연구 426

커먼즈의 지속과 '변동'에 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 428

커먼즈 유지의 과정과 실천에 대한 연구 431

수많은 커먼즈의 은하계 434

커먼즈에 대한 대안적 접근 437

공동의 것에 대한 권리와 커먼즈가 내포한 긴장 441

커먼즈를 확장하기 위한 연구, 정치, 운동의 네트워킹 445

논문 원제와 출처 448

글쓴이 소개 45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20122 001.3 -18-4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0123 001.3 -18-4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