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장기예보 업무의 역량강화를 위한 조직 및 기능 효율화 방안 = Toward efficiency of system and function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climate prediction / 기상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기상청, 2017
청구기호
551.6365 -18-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 147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44992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박환일
참고문헌: p. 144-146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요약문 9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0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0

2. 연구 목적 27

제2절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28

1. 연구내용 및 주요 연구질문 28

2. 연구방법 및 수행체계 29

제2장 거시 환경 분석 34

제1절 산업·경제적 가치 34

1. 전력 및 에너지 산업 34

2. 농·식품산업 38

3. 보험 산업 42

4. 관광·레저 산업 47

제2절 사회적 효용 49

1. 건강 및 보건 문제 49

2. 이주 및 난민 문제 50

제3절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 변화 53

1. 4차 산업혁명 개념 53

2. 사회적 변화 55

제3장 국내외 장기예보 현황 조사 및 분석 58

제1절 주요국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58

1. 미국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58

2. 영국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70

3. 일본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73

4. 중국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81

5. 기타 주요국의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86

제2절 국내 장기예보 현황 조사·분석 93

1. 기상 관련 업무 체계 및 예산 현황 93

2. 장기예보 조직 및 인력 운영 현황 96

3. 장기예보 생산 절차 104

4. 장기예보 관련 생산 정보 및 제공 방식 107

5. 장기예보센터 유사 조직 현황 112

제4장 국내 장기예보 현안 및 이슈 도출을 위한 심층 조사 120

제1절 장기예보 현안 파악을 위한 심층 조사 내용 120

1. 장기예보 운영의 문제점 120

2. 장기예보 역량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 121

3. 장기예보 서비스 활용 방안 123

제2절 국내 장기예보 현안 및 문제점 도출 125

1. 인력 측면 125

2. 조직 측면 126

3. R&D 및 전략 측면 127

제5장 장기예보 업무 효율화를 위한 개선 방향 132

제1절 장기예보 업무 일원화 133

제2절 장기예보 인력 증원 및 전문화 135

제3절 장기예보 투자 효율화 및 확대 136

제4절 장기예보 인식 제고 137

제6장 장기예보센터 설립 추진방안 140

제1절 개요 140

1. 장기예보센터 설립 필요성 및 기대효과 140

2. 장기예보센터의 기능 및 조직 141

제2절 단계별 추진전략 및 과제 146

1. 단기: 업무 통합·일원화 및 기반구축 146

2. 중장기: 소속기관 확대 후 선진국형 기관으로 도약 149

제7장 결론 154

제1절 요약 및 결론 154

제2절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160

참고문헌 161

첨부1. 장기예보 관련 인터뷰 전문가 명단 164

[표 1-1]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 추진전략별 중점과제 22

[표 1-2] 기상기술의 분야별 기술력 평가 결과 25

[표 1-3] 기후 분야의 기상기술력 수준 평가 결과 25

[표 1-4] 기상청 정확도 향상 대책의 주요 내용 26

[표 1-5] 연구 방법 30

[표 2-1]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 47

[표 2-2] 기후변화와 이주 및 난민문제 51

[표 2-3] 기관별 4차 산업혁명 추동기술 정의 54

[표 3-1] 미국의 부처별 기상 관련 예산 현황 62

[표 3-2]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주요 업무 63

[표 3-5] 기상청의 정원 현황 93

[표 3-4] 기상청의 프로그램별 예산 현황 95

[표 3-5] 기상청 기후예측과의 주요 업무 97

[표 3-6]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의 주요 업무 103

[표 3-7] 지진화산센터의 주요 업무 116

[표 4-1]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후 정보의 예 123

[표 4-2] 장기예보 현안 및 주요 이슈 125

[표 5-1] 기관별 장기예보 업무 수행 현황 133

[표 6-1] 기능별 주요 업무 143

[표 6-2] 기능별 인력구조변화 145

[표 6-3] 기상청 기후과학국 주요 사무분장 현황 146

〈그림 1-1〉 기후변화 위협의 파급경로 21

〈그림 1-2〉 2016년 장기예보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22

〈그림 1-3〉 국내 장기예보 관련 기관 간 역할 23

〈그림 1-4〉 우리나라 장기예보 핵심요인별 역량수준 24

〈그림 1-5〉 주요 연구질문 및 연구내용 29

〈그림 1-6〉 연구 수행체계 30

〈그림 1-7〉 연구진 구성 31

〈그림 2-1〉 계절별·월별 전력 수급량(2010~2016) 35

〈그림 2-2〉 발전 방식별 전력량 생산 추이(2004~2016) 36

〈그림 2-3〉 2016년도 신재생에너지 계절별·월별 발전량 37

〈그림 2-4〉 뇌격에 의한 과전압 발생 38

〈그림 2-5〉 농업기상정보서비스 재배적지 및 재해지도(사과) 40

〈그림 2-6〉 재배지 변동 추이(기후변화 시나리오) 41

〈그림 2-7〉 국가농작물병해충 관리시스템 병해충예측지도 42

〈그림 2-8〉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액 및 복구액(2007~2016) 43

〈그림 2-9〉 우리나라의 기상이변 원인별 피해액(2007~2016(평균)) 44

〈그림 2-10〉 재해별 보험손해액 추이(1970~2017) 44

〈그림 2-11〉 한국의 CRESTA Zone 46

〈그림 2-12〉 기후변화와 공공보건 49

〈그림 2-13〉 4차 산업혁명의 동인, 가치창출 단계 및 관련 기술 54

〈그림 3-1〉 미국 해양대기청 본부의 조직 현황 59

〈그림 3-2〉 미국 기상청 지역 본부의 위치 60

〈그림 3-3〉 미국 기상청의 조직 구조 61

〈그림 3-4〉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인력 구성 ① 63

〈그림 3-5〉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인력 구성 ② 64

〈그림 3-6〉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1개월 및 3개월 예보 제공 방식 65

〈그림 3-7〉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MJO 전망 정보 제공 방식 66

〈그림 3-8〉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북극진동 정보 제공 방식 67

〈그림 3-9〉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북대서양 진동 정보 제공 방식 68

〈그림 3-10〉 미국 기후예측센터의 폭풍우 경로 정보 제공 방식 69

〈그림 3-11〉 영국 기상청의 기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71

〈그림 3-12〉 영국 기상청 해들리센터의 조직 구조 72

〈그림 3-13〉 영국 기상청 해들리센터의 기후 관련 생산 정보 73

〈그림 3-14〉 JMA의 조직 구조 74

〈그림 3-15〉 JMA 본부의 위치 75

〈그림 3-16〉 장기예보 생산체계 모식도 및 모델 구성 76

〈그림 3-17〉 JMA의 계절 전망 제공 방식 77

〈그림 3-18〉 도쿄기후센터의 1개월 및 계절 전망 제공 방식 78

〈그림 3-19〉 TCC의 기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80

〈그림 3-20〉 북경기후센터의 조직 구조 82

〈그림 3-21〉 BCC의 인력 구성 83

〈그림 3-22〉 중국 북경기후센터의 기후모델예측 결과 제공 방식 84

〈그림 3-23〉 중국 북경기후센터의 기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85

〈그림 3-24〉 호주 기상청의 조직 구조 86

〈그림 3-25〉 호주 기상청의 기후 전망 제공 방식 87

〈그림 3-26〉 호주 기상청의 MJO 정보 제공 방식 88

〈그림 3-27〉 호주 기상청의 태양광선 및 자외선 지수 관련 정보 제공 방식 89

〈그림 3-28〉 호주 기상청의 상대 습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90

〈그림 3-29〉 호주 기상청의 일조 시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90

〈그림 3-30〉 유럽중기기상예보센터의 기후 관련 정보 제공 방식 92

〈그림 3-31〉 우리나라 기상청의 조직 현황 94

〈그림 3-32〉 우리나라의 장기예보 업무 관련 조직 현황 97

〈그림 3-33〉 지방기상청의 조직 구조 98

〈그림 3-34〉 대전지방기상청의 가뭄 현황 및 전망 제공 방식 99

〈그림 3-35〉 대전지방기상청의 기상·기후정보 제공 방식 100

〈그림 3-36〉 APCC의 조직 현황 101

〈그림 3-37〉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의 조직 현황 103

〈그림 3-38〉 우리나라의 장기예보 생산 절차 105

〈그림 3-39〉 우리나라 기상청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구성도 106

〈그림 3-40〉 우리나라 기상청의 1개월 전망 제공 방식(홈페이지) 108

〈그림 3-41〉 우리나라 기상청의 1개월 전망 제공 방식(예보문) 109

〈그림 3-42〉 우리나라 기상청의 3개월 전망 제공 방식(예보문) 110

〈그림 3-43〉 우리나라 기상청의 기후전망 및 엘니뇨·라니냐 전망 제공 방식 111

〈그림 3-44〉 우리나라 기상청의 이상기후 감시·예측 정보 111

〈그림 3-45〉 우리나라 기상청의 기타 기후 정보 제공 방식 112

〈그림 3-46〉 국가태풍센터의 태풍 발생 감시 실황 정보 제공 방식 114

〈그림 3-47〉 국가기후데이터센터의 기후자료 제공 방식 115

〈그림 3-48〉 우리나라 기상청의 지진 관측망 및 지진 정보 제공 방식 117

〈그림 4-1〉 우리나라 기상청의 장기예보 생산 및 업무 프로세스 126

〈그림 5-1〉 장기예보 관련 주요 이슈 및 개선 방향 132

〈그림 6-1〉 장기예보 관련 업무 및 기능 변화 142

〈그림 6-2〉 장기예보센터 조직도 142

〈그림 6-3〉 장기예보센터 인력변화 144

〈그림 6-4〉 단기 및 중장기 전략 148

〈그림 6-5〉 단기 및 중장기별 목표 및 조직형태 15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22051 551.6365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2052 551.6365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