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동해·서해·남해·제주 : 해양생태총서 /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관리공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2017
청구기호
577.7 -18-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i, 541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46321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2017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해양생태총서
총괄: 고병설, 유정규, 김영남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21

II. 갯벌생태계 25

제1절 퇴적환경 27

1. 갯벌지형 27

2. 갯벌 해저면 고도변화 29

3. 표층퇴적상 30

4. 퇴적물의 입도 특성 31

5.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3

6.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5

제2절 저서동물 39

1. 생물다양성 39

2. 저서생물군집 44

3. 종별 출현양상 변화 49

4. 갯벌생태계 건강도 55

5. 생체량 우점종의 전국분포 57

제3절 바닷새 62

1. 바닷새 서식 현황 62

2. 법적보호종 64

3. 서식지 등급화 65

제4절 염생식물 66

1. 식물상 66

2. 식생 70

3. 갯끈풀 분포 현황 75

제5절 주민인식 77

1. 조사 목적 77

2. 설문조사 설계 77

3. 주요 설문내용 78

제6절 우리나라 대표 갯벌 87

1. 조사개요 87

2. 퇴적환경 87

3. 바닷새 91

4. 저서동물 95

5. 염생식물 109

6. 타깃종 112

제7절 요약 및 결론 129

1. 서·남해갯벌 129

2. 우리나라 대표갯벌 132

참고문헌 135

III. 연안생태계 137

제1절 해양환경 139

1. 해양수질 140

2. 해양퇴적물 165

제2절 부유생태 181

1. 미생물 181

2. 식물플랑크톤 193

3. 동물플랑크톤 209

제3절 저서생태 224

1. 중형저서동물 224

2. 대형저서동물 236

제4절 유영생태 247

1. 난자치어 247

2. 어류 273

3. 갑각류 및 두족류 277

제5절 해양생태등급 283

1. 해양생태등급 현황 283

2. 개선방향 317

제6절 우리나라 대표연안 334

1. 해양수질 334

2. 해양퇴적물 343

3. 식물플랑크톤 349

4. 동물플랑크톤 356

5. 저서생태 360

6. 난자치어 370

7. 유영동물 379

제7절 고정정점 382

1. 해양수질 382

2. 식물플랑크톤 395

3. 동물플랑크톤 396

4. 난자치어 399

제8절 연안 생태환경 통합 분석 404

1. 저서생태환경의 구분 404

2. 서해연안 서식지의 연계성 개념 설정 및 방법론 406

3.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핵심공간의 장기 생태 변화 414

제9절 요약 및 결론 416

참고문헌 421

IV. 암반생태계 479

제1절 암반생태계 기본조사 481

1. 해조류·해초류 481

2. 암반무척추동물 490

3. 종합결론 496

제2절 암반생태계 핵심공간조사 498

1. 무척추동물 498

2. 산호충류 501

3. 해조류 504

4. 어류 507

V. 근해생태계 509

제1절 해양환경 512

1. 서해 512

2. 남해 517

3. 동해 519

4. 동중국해 523

제2절 부유생태 526

1. 식물플랑크톤 526

2. 동물플랑크톤 531

제3절 저서생태 535

1. 중형저서동물 535

2. 대형저서동물 539

제4절 어란 및 자치어 545

1. 어란 545

2. 자치어 548

제5절 요약 및 결론 553

1. 해양환경 553

2. 부유생태계 553

3. 저서생태계 554

4. 어란 및 자치어 554

VI. 결과 및 제언 557

1. 해양생태등급의 적정성 559

2. 갯벌생태계의 변화 559

3. 강화도 영국갯끈풀의 번성 560

4.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우리나라 대표 갯벌 조사 560

5. 난류성 희귀종, 동해역으로 지속적 확대 561

6. 결론 561

판권기 562

〈표 2-1-1〉 우리나라의 해안선 및 갯벌 지형 특성 27

〈표 2-1-2〉 우리나라 갯벌 표층퇴적상 분류 30

〈표 2-1-3〉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조직 및 통계변수 특성(I: 2015~2016년, II: 2017년) 31

〈표 2-1-4〉 서해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33

〈표 2-1-5〉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I: 2015~2016년, II: 2017년) 35

〈표 2-2-1〉 우리나라 갯벌 생물다양성 Hot Spot 20개소(2015~2017년) 42

〈표 2-2-2〉 2017년 갯벌 서식지 다양성 상위 10개소(지역별 베타 다양도 적용) 43

〈표 2-2-3〉 2017년 갯벌 서식지 다양성 상위 10개소(정선별 베타 다양도 적용) 43

〈표 2-2-4〉 2017년 갯벌저서생물군집과 환경요인과의 상관성(BIO-ENV분석) 45

〈표 2-2-5〉 2017년 갯벌생물군집의 A, B권역 구분에 기여한 생물 목록(SIMPER 분석결과) 46

〈표 2-2-6〉 2017년 조사에 근거한 우리나라 갯벌의 주요 저서생물군집 특성 47

〈표 2-2-7〉 서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출현빈도 순위(2015~2017) 49

〈표 2-2-8〉 서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평균 밀도 변화 50

〈표 2-2-9〉 서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평균 생체량 변화 51

〈표 2-2-10〉 남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출현빈도 순위(2015~2017) 52

〈표 2-2-11〉 남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평균 밀도 변화 53

〈표 2-2-12〉 남해 갯벌 대형저서생물의 평균 생체량 변화 54

〈표 2-2-13〉 2015~2017년간 갯벌생태계 건강도 변화 56

〈표 2-3-1〉 기본조사 결과 권역별 법적보호종 현황 64

〈표 2-3-2〉 권역별 갯벌 등급화 결과 65

〈표 2-3-3〉 지역별 갯벌 등급화 결과 65

〈표 2-4-1〉 조사대상 식물목록 및 출현종 현황 66

〈표 2-4-2〉 주요 식물군락의 생체량(건중량) 74

〈표 2-4-3〉 갯끈풀속(Spartina) 식물의 분포현황 75

〈표 2-5-1〉 설문조사 세부내용 77

〈표 2-6-1〉 핵심공간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 87

〈표 2-6-2〉 강화남단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 88

〈표 2-6-3〉 가로림만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 88

〈표 2-6-4〉 증도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 89

〈표 2-6-5〉 순천만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 90

〈표 2-6-6〉 핵심조사 결과 확인된 법적보호종 현황 93

〈표 2-6-7〉 핵심공간 지역 등급화 결과 94

〈표 2-6-8〉 2015~2017년 강화도 갯벌의 저서생물군집 특성 96

〈표 2-6-9〉 2015~2017년 강화도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97

〈표 2-6-10〉 2015~2017년 강화도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97

〈표 2-6-11〉 2015~2017년 가로림만 갯벌의 저서생물군집 특성 98

〈표 2-6-12〉 2015~2017년 가로림만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99

〈표 2-6-13〉 2015~2017년 가로림만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99

〈표 2-6-14〉 2015~2017년 증도 갯벌의 저서생물군집 특성 100

〈표 2-6-15〉 2015~2017년 증도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01

〈표 2-6-16〉 2015~2017년 증도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01

〈표 2-6-17〉 2015~2017년 순천만 갯벌의 저서생물군집 특성 102

〈표 2-6-18〉 2015~2017년 순천만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03

〈표 2-6-19〉 2015~2017년 순천만 갯벌의 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03

〈표 2-6-20〉 핵심공간 갯벌의 염생식물 특징 109

〈표 2-6-21〉 강화도 갯벌 내 출현종 및 식생 면적 현황 110

〈표 2-6-22〉 가로림만 갯벌 110

〈표 2-6-23〉 증도 갯벌 111

〈표 2-6-24〉 순천만 갯벌 111

〈표 2-6-25〉 타깃종 조사일정 114

〈표 2-6-26〉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지역 좌표 및 서식지 현황 115

〈표 2-6-27〉 강화도 장흥리(조사 1지역) 표층고도 측정결과 116

〈표 2-6-28〉 강화도 동막리(조사 2지역) 표층고도 측정결과 117

〈표 2-6-29〉 강화도 장화리(조사 3지역) 표층고도 측정결과 118

〈표 2-6-30〉 서식지별 퇴적물 조성 118

〈표 2-6-31〉 가로림만 내 흰발농게 서식현황 기존자료 120

〈표 2-6-32〉 가로림만 내 흰발농게 조사지역 종합좌표 및 서식현황 120

〈표 2-6-33〉 흰발농게 먹이원 분석결과 121

〈표 2-6-34〉 흰발농게 서식지 분석결과 종합 122

〈표 2-6-35〉 붉은발말똥게 출현지역 좌표 및 서식지 분석 125

〈표 2-6-36〉 붉은발말똥게 서식밀도 127

〈표 3-1-1〉 표준인증물질을 이용한 영양염 회수율 139

〈표 3-1-2〉 표준인증물질을 이용한 용존 미량금속 회수율 139

〈표 3-1-3〉 용존산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42

〈표 3-1-4〉 용존무기질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44

〈표 3-1-5〉 용존무기인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46

〈표 3-1-6〉 규산염 규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48

〈표 3-1-7〉 니켈(Ni)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1

〈표 3-1-8〉 구리(Cu)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2

〈표 3-1-9〉 아연(Zn)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3

〈표 3-1-10〉 카드뮴(Cd)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5

〈표 3-1-11〉 납(Pb)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7

〈표 3-1-12〉 크롬(Cr)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8

〈표 3-1-13〉 비소(As)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59

〈표 3-1-14〉 수은(Hg)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60

〈표 3-1-15〉 총유기탄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66

〈표 3-1-16〉 평균입도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66

〈표 3-1-17〉 철(Fe)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68

〈표 3-1-18〉 니켈(Ni)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0

〈표 3-1-19〉 비소(As)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1

〈표 3-1-20〉 카드뮴(Cd)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2

〈표 3-1-21〉 구리(Cu)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3

〈표 3-1-22〉 아연(Zn)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4

〈표 3-1-23〉 수은(Hg)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6

〈표 3-1-24〉 납(Pb)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77

〈표 3-1-25〉 해양 퇴적물 춘계 농축 계수(Enrichment Factor, EF)(제주 시료 제외) 179

〈표 3-1-26〉 해양 퇴적물 하계 농축 계수(Enrichment Factor, EF)(제주 시료 제외) 179

〈표 3-1-27〉 니켈(Ni)에 의한 농축 계수가 높은 정점 및 지역 179

〈표 3-1-28〉 구리(Cu)에 의한 농축 계수가 높은 정점 및 지역 180

〈표 3-1-29〉 아연(Zn)에 의한 농축 계수가 높은 정점 및 지역 180

〈표 3-2-1〉 미생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83

〈표 3-2-2〉 분리 균주의 염기 서열 유사도 185

〈표 3-2-3〉 분리 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188

〈표 3-2-4〉 기본조사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99

〈표 3-2-5〉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06

〈표 3-2-6〉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06

〈표 3-2-7〉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07

〈표 3-2-8〉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Chl-a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08

〈표 3-2-9〉 기본조사 이상치 정점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환경요인간의 다중회귀분석 208

〈표 3-2-10〉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19

〈표 3-2-11〉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20

〈표 3-2-12〉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지수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21

〈표 3-3-1〉 2017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25

〈표 3-3-2〉 2017년 춘계 서해남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27

〈표 3-3-3〉 2017년 하계 서해남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27

〈표 3-3-4〉 2017년 춘계 서해중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30

〈표 3-3-5〉 2017년 하계 서해중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30

〈표 3-3-6〉 2017년 춘계 남해서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32

〈표 3-3-7〉 2017년 하계 남해동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32

〈표 3-3-8〉 2017년 춘계 동해북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233

〈표 3-3-9〉 2017년 춘계와 하계에 채집된 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평균서식밀도, 평균생물량 236

〈표 3-3-10〉 2017년 춘계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238

〈표 3-3-11〉 2017년 하계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238

〈표 3-3-12〉 저서동물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43

〈표 3-3-13〉 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44

〈표 3-3-14〉 저서동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44

〈표 3-3-15〉 저서동물 다양도 지수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44

〈표 3-3-16〉 저서동물 건강도 지수(ISEP)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44

〈표 3-4-1〉 기본 조사에서 출현한 각 해역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출현량 247

〈표 3-4-2〉 기본 조사에서 출현한 각 해역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출현량 248

〈표 3-4-3〉 어란 출현량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52

〈표 3-4-4〉 자치어 출현량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256

〈표 3-4-5〉 해역별(동해, 제주) 어란의 종별 평균 개체수(ind./정점)와 출현빈도 262

〈표 3-4-6〉 해역별(남해, 서해) 어란의 종별 평균 개체수와 출현빈도 264

〈표 3-4-7〉 어류 주요 우점종 위 내용물 275

〈표 3-4-8〉 분석항목별 주요 표식자 목록 277

〈표 3-4-9〉 두족류 기본/핵심공간조사 전체 출현종 목록 280

〈표 3-4-10〉 서해해역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어구별 개체수 및 생체량 281

〈표 3-4-11〉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어구별 개체수 및 생체량 281

〈표 3-4-12〉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어구별 개체수 및 생체량 281

〈표 3-5-1〉 해양생태계보전법 제12조에 따른 해양생태계 등급 기준 283

〈표 3-5-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현황(정점수 및 조사횟수) 284

〈표 3-5-3〉 해양생태계 핵심조사 현황(정점수 및 조사횟수) 284

〈표 3-5-4〉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단위격자 현황 284

〈표 3-5-5〉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핵심조사) 단위격자 현황 285

〈표 3-5-6〉 서해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정점구성(2015-2016년) 288

〈표 3-5-7〉 남해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정점구성(2015-2016년) 288

〈표 3-5-8〉 '나'목 해양생태계 우수성에 선정된 지표 290

〈표 3-5-9〉 '나'목 기준치 290

〈표 3-5-10〉 기준치 등급 설정 291

〈표 3-5-11〉 '라'목 해양생태계 우수성에 선정된 지표 291

〈표 3-5-12〉 '라'목 기준치 292

〈표 3-5-13〉 종합평가 등급 292

〈표 3-5-14〉 2014년, 2015-2016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결과를 이용한 생태등급의 판정결과 293

〈표 3-5-15〉 2015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에 기반한 핵심조사 단위격자 생태등급 평가결과 295

〈표 3-5-16〉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에 기반한 핵심조사 단위격자 생태등급 평가결과 295

〈표 3-5-17〉 서해해역 305

〈표 3-5-18〉 남해해역 307

〈표 3-5-19〉 동해해역 309

〈표 3-5-20〉 제주도해역 310

〈표 3-5-21〉 한강하구 311

〈표 3-5-22〉 금강하구 311

〈표 3-5-23〉 낙동강하구 311

〈표 3-5-24〉 동해용승해역 311

〈표 3-5-25〉 서해해역 312

〈표 3-5-26〉 남해해역 313

〈표 3-5-27〉 동해해역 314

〈표 3-5-28〉 제주도해역 315

〈표 3-5-29〉 한강하구 315

〈표 3-5-30〉 금강하구 316

〈표 3-5-31〉 낙동강하구 316

〈표 3-5-32〉 동해용승해역 317

〈표 3-5-32〉 5등급 체계 생태등급 지수 3등급 변환 시 해양생태등급과 가장 유사한 지수 출현 빈도 328

〈표 3-6-1〉 용존산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4

〈표 3-6-2〉 용존무기질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5

〈표 3-6-3〉 용존무기인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6

〈표 3-6-4〉 규산염 규소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7

〈표 3-6-5〉 구리(Cu)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8

〈표 3-6-6〉 아연(Zn)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39

〈표 3-6-7〉 카드뮴(Cd)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0

〈표 3-6-8〉 납(Pb)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0

〈표 3-6-9〉 크롬(Cr)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1

〈표 3-6-10〉 비소(As)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2

〈표 3-6-11〉 수은(Hg)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2

〈표 3-6-12〉 비소(As)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6

〈표 3-6-13〉 카드뮴(Cd)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7

〈표 3-6-14〉 구리(Cu)에 의한 해역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47

〈표 3-6-15〉 핵심조사 시기별, 해역 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 351

〈표 3-6-16〉 핵심조사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54

〈표 3-6-17〉 핵심조사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55

〈표 3-6-18〉 핵심조사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55

〈표 3-6-19〉 핵심조사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Chl-a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55

〈표 3-6-20〉 2017년 동·춘·하·추계에 채집된 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평균서식밀도, 평균생물량 360

〈표 3-6-21〉 2017년 동계에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361

〈표 3-6-22〉 2017년 춘계에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362

〈표 3-6-23〉 2017년 하계에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362

〈표 3-6-24〉 2017년 추계에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해역별 우점종 362

〈표 3-6-25〉 동계 저서동물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5

〈표 3-6-26〉 동계 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5

〈표 3-6-27〉 동게 저서동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6

〈표 3-6-28〉 춘계 저서동물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6

〈표 3-6-29〉 춘계 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6

〈표 3-6-30〉 춘계 저서동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7

〈표 3-6-31〉 하계 저서동물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7

〈표 3-6-32〉 하계 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7

〈표 3-6-33〉 하계 저서동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8

〈표 3-6-34〉 추계 저서동물 출현 종수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8

〈표 3-6-35〉 추계 저서동물 서식밀도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8

〈표 3-6-36〉 추계 저서동물 생물량에 의한 해역, 시기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69

〈표 3-6-37〉 핵심공간 조사에서 출현한 각 해역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출현량 370

〈표 3-6-38〉 핵심공간 조사에서 출현한 각 해역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출현량 371

〈표 3-6-39〉 부유성 어란의 출현량에 의한 하구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75

〈표 3-6-40〉 자치어의 출현량에 의한 하구별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378

〈표 3-7-1〉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 395

〈표 3-7-2〉 한강하구역에 출현한 우점 동물플랑크톤 397

〈표 3-7-3〉 금강하구역에 출현한 우점 동물플랑크톤 397

〈표 3-7-4〉 낙동강하구역에 출현한 우점 동물플랑크톤 398

〈표 3-7-5〉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종조성 399

〈표 3-7-6〉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종조성 401

〈표 3-7-7〉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종조성 402

〈표 3-8-1〉 우리나라 연안 퇴적물의 생태환경적 특성을 이용한 생태구의 구분 406

〈표 3-8-2〉 금강하구역 계절별 항목과 주성분과의 상관관계 415

〈표 4-1-1〉 조사권역별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1

〈표 4-1-2〉 동해권역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1

〈표 4-1-3〉 남해권역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2

〈표 4-1-4〉 서해 및 제주권역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2

〈표 4-1-5〉 조사권역별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 482

〈표 4-1-6〉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생물량 비교 484

〈표 4-1-7〉 조사권역별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5

〈표 4-1-8〉 동해권역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5

〈표 4-1-9〉 남해권역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5

〈표 4-1-10〉 서해 및 제주권역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 종수 485

〈표 4-1-11〉 조사권역별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 486

〈표 4-1-12〉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 종수 및 평균 생물량 비교 487

〈표 4-1-13〉 조사권역별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 490

〈표 4-1-14〉 조사권역별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평균 개체수 491

〈표 4-1-15〉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 및 평균 개체수 비교 492

〈표 4-1-16〉 조사권역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 493

〈표 4-1-17〉 조사권역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평균 개체수 494

〈표 4-1-18〉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 및 평균 개체수 비교 495

〈표 4-2-1〉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출현 종수 498

〈표 4-2-2〉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저서무척추동물 피도, 생체량, 개체수 499

〈표 4-2-3〉 핵심공간 5개 해역의 무척추동물 종 다양도 및 균등도 500

〈표 4-2-4〉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산호충류 출현 종수 501

〈표 4-2-5〉 핵심공간 5개 해역에서 출현한 보호대상해양생물 502

〈표 4-2-6〉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개체수 503

〈표 4-2-7〉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산호충류 종 다양도 및 균등도 지수(2017년) 504

〈표 4-2-8〉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 종수 505

〈표 4-2-9〉 핵심공간 5개 해역의 해조류 건중량과 (R+C)/P 값 506

〈표 4-2-10〉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어류 출현 종수 및 우점종 507

〈표 4-2-11〉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어류 생태지수 508

〈표 5-1-1〉 서·남·동·동중국해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의 평균 농도 및 해양환경기준 515

〈표 5-1-2〉 서·남·동·동중국해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 및 해양환경기준 516

〈표 5-2-1〉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상위 종 529

〈표 5-2-2〉 조사해역별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분포 534

〈표 5-3-1〉 2017년 8월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와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537

〈표 5-3-2〉 서해권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42

〈표 5-3-3〉 남해권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43

〈표 5-3-4〉 동해권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43

〈표 5-3-5〉 동중국해권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43

〈표 5-4-1〉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종조성 546

〈표 5-4-2〉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 자치어 종조성 549

〈표 5-4-3〉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 자치어 상위종 552

[그림 2-1-1] 우리나라 갯벌 지형단면 및 개념적 모식도 28

[그림 2-1-2] 해저면 고도변화(2015~2016년 vs. 2017년 지형비교) 29

[그림 2-1-3] 우리나라 갯벌 표층퇴적상 30

[그림 2-1-4]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해역별 공간분포 32

[그림 2-1-5]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조위에 따른 평균입도 분포 32

[그림 2-1-6]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현황 34

[그림 2-1-7] 입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4

[그림 2-1-8] 입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8

[그림 2-2-1] 해역별 갯벌 생물다양성(2008-2017년 누적결과) 39

[그림 2-2-2] 우리나라 갯벌 저서생물의 정점별 출현 종수(통계) 40

[그림 2-2-3] 우리나라 갯벌 저서생물의 정선별 출현 종수(통계) 40

[그림 2-2-4] 우리나라 갯벌 생물다양성 Hot Spot 5개소(2015~2017년) 41

[그림 2-2-5] 2017년 조사에 근거한 우리나라 갯벌저서생물군집의 구분 44

[그림 2-2-6] 2017년 갯벌저서생물군집과 환경요인과의 관계(CCA분석) 45

[그림 2-2-7] 2017년 서해 중·북부 갯벌(A권역)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8

[그림 2-2-8] 2017년 서해 남부·남해 갯벌(B권역)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8

[그림 2-2-9] 서해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출현빈도 변화(2015~2017) 50

[그림 2-2-10] 남해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출현빈도 변화(2015~2017) 52

[그림 2-2-11] 2015~2017년간 갯벌생태계 건강도 변화 55

[그림 2-2-12] 굴(Crassostrea gigas)의 전국 분포도 57

[그림 2-2-13]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전국 분포도 57

[그림 2-2-14] 댕가리(Batillaria cumingi)의 전국 분포도 58

[그림 2-2-15] 가무락조개(Cyclina sinensis)의 전국 분포도 58

[그림 2-2-16] 갯비틀이고둥(Cerithideopsilla djadjariensis)의 전국 분포도 59

[그림 2-2-17]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의 전국 분포도 59

[그림 2-2-18] 동죽(Mactra veneriformis)의 전국 분포도 60

[그림 2-2-19] 황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의 전국 분포도 60

[그림 2-2-20] 민챙이(Bullacta exarata)의 전국 분포도 61

[그림 2-2-21] 띠조개(Laternula marilina)의 전국 분포도 61

[그림 2-3-1] 기본조사 결과 세부지역별 종수와 개체수 현황 62

[그림 2-3-2] 기본조사 결과 전체 우점종 현황 63

[그림 2-3-3] 기본조사 결과 권역별 종수와 개체수 현황 63

[그림 2-4-1] 주요 식물군락별 출현 빈도 69

[그림 2-4-2] 권역별 총 식생 면적 70

[그림 2-4-3] 권역별 식생 구성 현황 71

[그림 2-4-4] 주요 식물군락별 출현 빈도 71

[그림 2-4-5] 주요 식물 군락의 면적 현황 72

[그림 2-4-6] 주요 식물 군락의 전국 분포 현황 73

[그림 2-4-7] 갯끈풀속(Spartina) 식물의 전국 분포 현황 76

[그림 2-5-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설문결과 78

[그림 2-5-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 78

[그림 2-5-3] 습지보호 필요성 인식도 설문결과 79

[그림 2-5-4] 습지보호에 대한 필요성 인식도 설문결과 79

[그림 2-5-5] 습지보호지역 주민 홍보정도 설문결과 80

[그림 2-5-6] 습지보호지역 지정 적절성 설문결과 80

[그림 2-5-7]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가치 요소 설문결과 81

[그림 2-5-8]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지역에 미친 영향 설문결과 81

[그림 2-5-9]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소득 변화 설문결과 82

[그림 2-5-10]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생활에 미친 영향 설문결과 82

[그림 2-5-1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보전 및 관리 평가 설문결과 83

[그림 2-5-12] 습지보호지역 관리가 잘되고 있는 이유 설문결과 83

[그림 2-5-13] 습지보호지역 관리가 잘되고 있지 않는 이유 설문결과 84

[그림 2-5-14] 습지보호지역의 위협요소 설문결과 84

[그림 2-5-15] 습지보호지역 보전을 위한 우선사업 85

[그림 2-5-16] 습지보호지역의 람사르 습지 등록에 대한 동의여부 설문결과 85

[그림 2-5-17] 습지보호지역 확대 동의여부 설문결과 86

[그림 2-5-18]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의 경우 필요한 사업 설문결과 86

[그림 2-6-1] 핵심공간 조사결과 지역별 종수 및 개체수 비교 92

[그림 2-6-2] 핵심공간 갯벌의 바닷새 분포 현황 92

[그림 2-6-3] 핵심공간 갯벌의 종수 및 개체수 비교 94

[그림 2-6-4] 핵심공간 갯벌의 법적보호종 출현 비교 94

[그림 2-6-5] 우리나라 4대 갯벌의 저서생물 현황(2015~2017) 95

[그림 2-6-6] 드론을 활용한 핵심공간 갯벌의 생물서식지 탐색(2017년 5월) 105

[그림 2-6-7] 강화도 여차리 갯벌의 대규모 굴 서식지 105

[그림 2-6-8] 가로림만 서부 내리 갯벌의 대규모 굴 양식지 106

[그림 2-6-9] 가로림만 동부 환성리 갯벌의 가시파래 서식지 106

[그림 2-6-10] 증도 증서지 갯벌의 칠게, 달랑게, 엽낭게, 황해비단고둥 서식지 107

[그림 2-6-11] 증도 화도 서부 갯벌의 굴-갈파래 서식지 107

[그림 2-6-12] 순천만 서북부 갯벌에 만연한 칠게잡이 어구들 108

[그림 2-6-13] 순천만 남부 갯벌의 건간망시설과 저서규조류 군집 108

[그림 2-6-14] 핵심공간의 출현 종수 및 식생 면적 109

[그림 2-6-15] 핵심공간의 식생 구성 109

[그림 2-6-16]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정선도 114

[그림 2-6-17] 강화도 장흥리 조사지역(조사 1지역) 115

[그림 2-6-18] 강화도 장흥리 조사지역 갯벌단면 116

[그림 2-6-19] 강화도 동막리 조사지역(조사 2지역) 117

[그림 2-6-20] 강화도 장화리 조사지역(조사 3지역) 118

[그림 2-6-21]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개체 및 먹이흔적 사진 119

[그림 2-6-22] 흰이빨참갯지렁이 서식지 고도 119

[그림 2-6-23] 가로림만 흰발농게 서식위치 121

[그림 2-6-24] 가로림만 흰발농게 서식지 표층고도 측량도 122

[그림 2-6-25] 가로림만 흰발농게 서식지 및 개체 사진 123

[그림 2-6-26] 증도 달랑게 출현지역 124

[그림 2-6-27] 증도해안 표층고도 측량도 124

[그림 2-6-28] 증도 달랑게 서식지 및 개체 사진 125

[그림 2-6-29] 순천만 붉은발말똥게 출현지점도 126

[그림 2-6-30] 순천만 붉은발말똥게 서식도 127

[그림 2-6-31] 방형구 조사 및 개체 사진 128

[그림 2-7-1] 서, 남해 갯벌의 대표 식생 131

[그림 3-1-1] 우리나라 연안 춘계 및 하계의 수온 및 염분 분포 특성(2015-2017년 표층) 141

[그림 3-1-2] 용존산소 분포 현황 142

[그림 3-1-3] 남해해역에서 용존산소와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3

[그림 3-1-4] 2017년 해양 수질의 용존무기질소 분포 현황 143

[그림 3-1-5] 서해해역에서 용존무기질소와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4

[그림 3-1-6] 남해해역에서 용존무기질소와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5

[그림 3-1-7] 2017년 해양 수질의 용존무기인 분포 현황 145

[그림 3-1-8] 서해해역에서 용존무기인과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6

[그림 3-1-9] 남해해역에서 용존무기인과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7

[그림 3-1-10] 2017년 해양 수질의 규산염 규소 분포 현황 147

[그림 3-1-11] 서해해역에서 규산염 규소와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8

[그림 3-1-12] 남해해역에서 규산염 규소와 염분(표층), AOU(저층)의 상관성분석 149

[그림 3-1-13] 2017년 해양 수질의 니켈(Ni) 분포 현황 150

[그림 3-1-14] 서해해역에서 니켈(Ni)와 염분의 상관성분석 151

[그림 3-1-15] 남해해역에서 니켈(Ni)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1

[그림 3-1-16] 2017년 해양 수질의 구리(Cu) 분포 현황 152

[그림 3-1-17] 서해해역에서 구리(Cu)와 염분의 상관성분석 152

[그림 3-1-18] 남해해역에서 구리(Cu)와 염분의 상관성분석 153

[그림 3-1-19] 2017년 해양 수질의 아연(Zn) 분포 현황 153

[그림 3-1-20] 서해해역에서 아연(Zn)와 염분의 상관성분석 154

[그림 3-1-21] 남해해역에서 아연(Zn)와 염분의 상관성분석 154

[그림 3-1-22] 동해해역에서 아연(Zn)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4

[그림 3-1-23] 2017년 해양 수질의 카드뮴(Cd) 분포 현황 155

[그림 3-1-24] 서해해역에서 카드뮴(Cd)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5

[그림 3-1-25] 남해해역에서 카드뮴(Cd)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6

[그림 3-1-26] 동해해역에서 카드뮴(Cd)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6

[그림 3-1-27] 제주해역에서 카드뮴(Cd)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6

[그림 3-1-28] 2017년 해양 수질의 납(Pb) 분포 현황 157

[그림 3-1-29] 서해해역에서 납(Pb)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7

[그림 3-1-30] 제주해역에서 납(Pb)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8

[그림 3-1-31] 2017년 해양 수질의 크롬(Cr) 분포 현황 158

[그림 3-1-32] 서해해역에서 크롬(Cr)과 염분의 상관성분석 159

[그림 3-1-33] 2017년 해양 수질의 비소(As) 분포 현황 159

[그림 3-1-34] 서해해역에서 비소(As) 염분의 상관성분석 160

[그림 3-1-35] 2017년 해양 수질의 수은(Hg) 분포 현황 160

[그림 3-1-36] 서해해역에서 수은(Hg) 염분의 상관성분석 161

[그림 3-1-37] 남해해역에서 수은(Hg) 염분의 상관성분석 161

[그림 3-1-38] 동해해역에서 수은(Hg) 염분의 상관성분석 161

[그림 3-1-39] 춘계 조사에서의 제한 영양염 분포 163

[그림 3-1-40] 하계 조사에서의 제한 영양염 분포 164

[그림 3-1-41] 2017년 해양 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 현황 165

[그림 3-1-42] 2017년 해양 퇴적물의 총유기탄소 분포 현황 165

[그림 3-1-43] 2017년 해양퇴적물의 총질소 분포 현황 166

[그림 3-1-44] 2017년 해양퇴적물 중 알루미늄(Al) 분포 현황 168

[그림 3-1-45] 2017년 해양퇴적물 중 철(Fe) 분포 현황 168

[그림 3-1-46] 서해해역에서 철(Fe)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69

[그림 3-1-47] 2017년 해양퇴적물 중 크롬(Cr) 분포 현황 169

[그림 3-1-48] 2017년 해양퇴적물 중 니켈(Ni) 분포 현황 169

[그림 3-1-49] 서해해역에서 니켈(Ni)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0

[그림 3-1-50] 2017년 해양퇴적물 중 비소(As)분포 현황 170

[그림 3-1-51] 서해해역에서 비소(As)와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1

[그림 3-1-52] 남해해역에서 비소(As)와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1

[그림 3-1-53] 2017년 해양퇴적물 중 카드뮴(Cd) 분포 현황 172

[그림 3-1-54] 남해해역에서 카드뮴(Cd)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2

[그림 3-1-55] 2017년 해양퇴적물 중 구리(Cu) 분포 현황 173

[그림 3-1-56] 남해해역에서 구리(Cu)와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3

[그림 3-1-57] 동해해역에서 구리(Cu)와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4

[그림 3-1-58] 2017년 해양퇴적물 중 아연(Zn) 분포 현황 174

[그림 3-1-59] 서해해역에서 아연(Zn)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5

[그림 3-1-60] 남해해역에서 아연(Zn)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5

[그림 3-1-61] 동해해역에서 아연(Zn)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5

[그림 3-1-62] 2017년 해양퇴적물 중 수은(Hg) 분포 현황 176

[그림 3-1-63] 서해해역에서 수은(Hg)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6

[그림 3-1-64] 남해해역에서 수은(Hg)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7

[그림 3-1-65] 2017년 해양퇴적물 중 납(Pb) 분포 현황 177

[그림 3-1-66] 서해해역에서 납(Pb)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8

[그림 3-1-67] 남해해역에서 납(Pb)과 세슘(Cs)의 상관성분석 178

[그림 3-2-1] 서해 기본조사 미생물 생물량 181

[그림 3-2-2] 남해 기본조사 미생물 생물량 181

[그림 3-2-3] 동해 기본조사 미생물 생물량 182

[그림 3-2-4] 제주 기본조사 미생물 생물량 182

[그림 3-2-5] 연도별-해역별-시기별 채집된 미생물 생물량 183

[그림 3-2-6] 계통학적 분석을 통한 분리 균주의 분류학적 위치(강/문) 및 분포도 190

[그림 3-2-7] 계통학적 분석을 통한 분리 균주의 분류학적 위치(속) 및 분포도(분리균수) 190

[그림 3-2-8] 계통학적 분석을 통한 분리 균주의 분류학적 위치(종) 및 분포도(분리균수) 190

[그림 3-2-9]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미생물 계통수 191

[그림 3-2-10] 서해, 남해, 동해,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비율 194

[그림 3-2-11] 서해, 남해, 동해, 제주해역에서 춘계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194

[그림 3-2-12] 서해, 남해, 동해, 제주해역에서 하계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195

[그림 3-2-13] 기본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분포도(춘계, 하계) 195

[그림 3-2-14] 기본조사 출현 종수 빈도 196

[그림 3-2-15] 서해, 남해, 동해,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출현량 197

[그림 3-2-16] 기본조사해역에서 춘계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출현량 197

[그림 3-2-17] 기본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도(춘계, 하계) 198

[그림 3-2-18] 기본조사 현존량 빈도 198

[그림 3-2-19] 기본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누적그래프(춘계, 하계) 200

[그림 3-2-20] 기본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200

[그림 3-2-21] 기본조사 다양도 지수 빈도 201

[그림 3-2-22] 기본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202

[그림 3-2-23] 서해 기본조사 정점별 Chl-a 농도 202

[그림 3-2-24] 남해 기본조사 정점별 Chl-a 농도 203

[그림 3-2-25] 동해 기본조사 정점별 Chl-a 농도 203

[그림 3-2-26] 제주 기본조사 정점별 Chl-a 농도 203

[그림 3-2-27] 기본조사 Chl-a 빈도 204

[그림 3-2-28] 연도별-시기별-해역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205

[그림 3-2-29] 연도별-시기별-해역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06

[그림 3-2-30] 연도별-시기별-해역별 식물플랑크톤 다양도 지수 207

[그림 3-2-31] 연도별-시기별-해역별 식물플랑크톤 Chl-a 208

[그림 3-2-32]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 210

[그림 3-2-33]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의 빈도분포 211

[그림 3-2-34] 조사해역에 출현한 우점 동물플랑크톤 212

[그림 3-2-35]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213

[그림 3-2-36]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빈도분포 214

[그림 3-2-37]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지수 215

[그림 3-2-38]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지수의 빈도분포 216

[그림 3-2-39] 조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집괴분석 217

[그림 3-2-40] 연도별-해역별-시기별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218

[그림 3-2-41] 연도별-해역별-시기별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 220

[그림 3-2-42] 연도별-해역별-시기별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다양도 지수 221

[그림 3-2-43] 이상치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다양도 지수의 분산분석 222

[그림 3-2-44] 연구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우점종과 환경요인과의 정준상관분석 223

[그림 3-3-1] 2017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224

[그림 3-3-2] 서해남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정점 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26

[그림 3-3-3] 서해중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정점 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29

[그림 3-3-4] 남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정점 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31

[그림 3-3-5] 동해북부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정점 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33

[그림 3-3-6] 2017년 선충류 종 조성 234

[그림 3-3-7] 해역별 선충류 주요 종 조성 누적바 그래프 234

[그림 3-3-8] 2017년 요각류 종 조성 235

[그림 3-3-9] 해역별 요각류 주요 종 조성 누적바 그래프 236

[그림 3-3-10] 2017년 서해해역에서 시기별로 우점한 저서동물 상위 5종의 변화 239

[그림 3-3-11] 2017년 남해해역에서 시기별로 우점한 저서동물 상위 5종의... 239

[그림 3-3-12] 2017년 동해해역에서 시기별로 우점한 저서동물 상위 5종의 변화 240

[그림 3-3-13] 2017년 제주해역에서 시기별로 우점한 저서동물 상위 5종의 변화 240

[그림 3-3-14] 전제해역에서 출현한 상위 우점종의 빈도 분포 241

[그림 3-3-15] 2017년 춘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242

[그림 3-3-16] 2017년 하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243

[그림 3-3-17] 대형저서동물의... 245

[그림 3-3-18] 2017년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와 다양도 지수의 상관관계 246

[그림 3-4-1] 2017년 춘계 조사 시 각 해역별 어란의 유사도 분석 결과 248

[그림 3-4-2] 2017년 하계 조사 시 각 해역별 어란의 유사도 분석 결과 249

[그림 3-4-3] 2017년 춘계 조사 시 각 해역별 자치어의 유사도 분석 결과 249

[그림 3-4-4] 2017년 하계 조사 시 각 해역별 자치어의 유사도 분석 결과 250

[그림 3-4-5] 서해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250

[그림 3-4-6] 남해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251

[그림 3-4-7] 동해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251

[그림 3-4-8] 제주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252

[그림 3-4-9] 서해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253

[그림 3-4-10] 남해해역에서의 조사 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254

[그림 3-4-11] 동해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254

[그림 3-4-12] 제주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255

[그림 3-4-13] 조사해역에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의 빈도분포 257

[그림 3-4-14] 조사해역에 출현한 어란의 출현량의 빈도분포 258

[그림 3-4-15] 조사해역에 출현한 어란의 종 다양도 지수의 빈도분포 258

[그림 3-4-16] 조사해역에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의 빈도분포 259

[그림 3-4-17] 조사해역에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량의 빈도분포 260

[그림 3-4-18] 조사해역에 출현한 자치어의 종 다양도 지수의 빈도분포 260

[그림 3-4-19] 기본조사에 출현한 어란의 계통수 267

[그림 3-4-20]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정점별 분포양상 275

[그림 3-4-21]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정점별 분포양상(정치망 포함) 275

[그림 3-4-22] 2017년 해역별 조사시기에 따른 어류의 개체수 276

[그림 3-4-23] 2017년 해역별 조사시기에 따른 어류의 생체량 276

[그림 3-4-24]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정점별 분포양상 279

[그림 3-4-25]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정점별 분포양상 280

[그림 3-4-26]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정점별 분포양상 282

[그림 3-4-27]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정점별 분포양상 282

[그림 3-5-1] 전국 해양생태도 단위격자-대해구번호 285

[그림 3-5-2]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도-대해구 기준 286

[그림 3-5-3]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핵심조사) 정점도-대해구 기준 287

[그림 3-5-4] 2015-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기본조사 정점 해양생태도-'나'목, '라'목만 포함) 296

[그림 3-5-5] 2015-2016년 기본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297

[그림 3-5-6] 2015-2016년 기본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298

[그림 3-5-7] 2015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핵심조사 정점 해양생태도-'나'목, '라'목만 포함) 299

[그림 3-5-8] 2015년 핵심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300

[그림 3-5-9] 2015년 핵심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301

[그림 3-5-10]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핵심조사 정점 해양생태도 - '나'목, '라'목만 포함) 302

[그림 3-5-11] 2016년 핵심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303

[그림 3-5-12] 2016년 핵심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304

[그림 3-5-13] 우리나라 해역의 생태구별 구분한 정점도 318

[그림 3-5-14] 생태구별 주성분분석 성분행렬 318

[그림 3-5-15] 생태구별 주성분분석 결과 319

[그림 3-5-16] 생태구별 지수 간 유사도 결과 319

[그림 3-5-17] 생태구별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0

[그림 3-5-18] 생태구별 5등급 체계 생태등급 지수 321

[그림 3-5-19]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2

[그림 3-5-20]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2

[그림 3-5-21]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3

[그림 3-5-22]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3

[그림 3-5-23] 1/234/5등급 → 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4

[그림 3-5-24] 1/234/5등급 → 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4

[그림 3-5-25] 12/3/45등급 → 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5

[그림 3-5-26]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5

[그림 3-5-27] 12/34/5등급 → 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6

[그림 3-5-28]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6

[그림 3-5-29]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27

[그림 3-5-30] 123/4/5등급→1/2/3등급 변환 시 생태등급 지수 327

[그림 3-5-31] 생태구별 생태등급 지수 328

[그림 3-5-32] 생태구별 퇴적물 환경요인과 생태등급 지수 329

[그림 3-5-33] 우리나라 해역의 핵심공간 정점도 329

[그림 3-5-34] 핵심공간별 지수 간 유사도 결과 330

[그림 3-5-35] 핵심공간별 생태등급 지수의 등급분포 331

[그림 3-5-36] 핵심공간별 5등급 체계 생태등급 지수 결과 332

[그림 3-5-37] 핵심공간별 생태등급 지수 332

[그림 3-6-1] 2017년 핵심조사의 용존산소 분포 현황 334

[그림 3-6-2] 2017년 핵심조사의 용존무기질소 분포 현황 335

[그림 3-6-3] 2017년 핵심조사의 용존무기인 분포 현황 336

[그림 3-6-4] 2017년 핵심조사의 규산염 규소 분포 현황 336

[그림 3-6-5] 2017년 핵심조사의 니켈(Ni) 분포 현황 338

[그림 3-6-6] 2017년 핵심조사의 구리(Cu) 분포 현황 338

[그림 3-6-7] 2017년 핵심조사의 아연(Zn) 분포 현황 339

[그림 3-6-8] 2017년 핵심조사의 카드뮴(Cd) 분포 현황 339

[그림 3-6-9] 2017년 핵심조사의 납(Pb) 분포 현황 340

[그림 3-6-10] 2017년 핵심조사의 크롬(Cr) 분포 현황 341

[그림 3-6-11] 2017년 핵심조사의 비소(As) 분포 현황 341

[그림 3-6-12] 2017년 핵심조사의 수은(Hg) 분포 현황 342

[그림 3-6-13] 2017년 핵심조사의 평균입경 분포 현황 343

[그림 3-6-14] 2017년 핵심 공간의 총유기탄소 분포 현황 343

[그림 3-6-15] 2017년 핵심공간의 총질소 분포 현황 344

[그림 3-6-16] 2017년 핵심공간의 알루미늄(Al) 분포 현황 344

[그림 3-6-17] 2017년 핵심공간의 철(Fe) 분포 현황 345

[그림 3-6-18] 2017년 핵심공간의 니켈(Ni) 분포 현황 345

[그림 3-6-19] 2017년 핵심공간의 크롬(Cr)분포 현황 345

[그림 3-6-20] 2017년 핵심공간의 비소(As) 분포 현황 346

[그림 3-6-21] 2017년 핵심공간의 카드뮴(Cd) 분포 현황 346

[그림 3-6-22] 2017년 핵심공간의 구리(Cu)분포 현황 347

[그림 3-6-23] 2017년 핵심공간의 아연(Zn) 분포 현황 348

[그림 3-6-24] 2017년 핵심공간의 수은(Hg) 분포 현황 348

[그림 3-6-25] 2017년 핵심공간의 납(Pb) 분포 현황 348

[그림 3-6-26] 핵심조사 해역별 우점종 누적그래프 349

[그림 3-6-27] 핵심조사 정점 별 Chl-a 농도 350

[그림 3-6-28] 핵심조사 연도별, 해역별,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352

[그림 3-6-29] 핵심조사 연도별, 해역별,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353

[그림 3-6-30] 핵심조사 연도별, 해역별,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성 353

[그림 3-6-31] 핵심조사 연도별, 해역별,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Chl-a 354

[그림 3-6-32] 한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변동계수 356

[그림 3-6-33] 금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변동계수 357

[그림 3-6-34] 낙동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변동계수 358

[그림 3-6-35] 동해용승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변동계수 359

[그림 3-6-36] 2015년-2017년 동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물량 363

[그림 3-6-37] 2015년-2017년 춘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물량 364

[그림 3-6-38] 2015년-2017년 하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물량 364

[그림 3-6-39] 2015년-2017년 추계에 조사된 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물량 365

[그림 3-6-40] 하구역 별 수온 및 염분에 따른 망둑어과 자치어의 출현분포 372

[그림 3-6-41] 한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373

[그림 3-6-42] 금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373

[그림 3-6-43] 낙동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374

[그림 3-6-44] 동해용승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어란의 출현량 374

[그림 3-6-45] 한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376

[그림 3-6-46] 금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376

[그림 3-6-47] 낙동강하구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377

[그림 3-6-48] 동해용승해역에서의 조사시기에 따른 자치어의 출현량 377

[그림 3-7-1] 한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항목 일변동 384

[그림 3-7-2] 한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중 미량금속 일변동표 386

[그림 3-7-3] 금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항목 일변동 388

[그림 3-7-4] 금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중 미량금속 일변동표 390

[그림 3-7-5] 낙동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항목 일변동 392

[그림 3-7-6] 낙동강 고정관측에서 해양 수질 중 미량금속 일변동표 394

[그림 3-7-7] 한강 고정조사 식물플랑크톤 변화 395

[그림 3-7-8] 금강 고정조사 식물플랑크톤 변화 396

[그림 3-7-9] 낙동강 고정조사 식물플랑크톤 변화 396

[그림 3-7-10] 한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분류군 수 396

[그림 3-7-11] 금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분류군 수 397

[그림 3-7-12] 낙동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와 분류군 수 398

[그림 3-7-13]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0

[그림 3-7-14]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0

[그림 3-7-15]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1

[그림 3-7-16]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1

[그림 3-7-17]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3

[그림 3-7-18]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시간대별 출현 종수 및 출현량 변화 403

[그림 3-8-1] 우리나라 전국 연안의 퇴적물 특성을 이용한 집괴분석 결과 405

[그림 3-8-2] 어류/패류 유생의 이동거리 및 유생에서 성어단계의 서식지 이동거리 분포 407

[그림 3-8-3] 삿갓조개 유생의 이동거리 결과 408

[그림 3-8-4] 뱀장어 이석의 Sr/Ca비율 에 따른 서식지 분포도 408

[그림 3-8-5] 국가 해양생계조사 정점 및 집중조사해역(붉은색). 409

[그림 3-8-6] 세 하구역에서의 수질 환경 및 부유 생물 분포 간 상호 관계 411

[그림 3-8-7] 하구의 물리적 희석효과를 제거 한 후의 특정 인자들의 상호관계 412

[그림 3-8-8] 세 하구의 주요 저서동물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변량분석 결과... 413

[그림 3-8-9] 한강, 금강, 만경강 세 하구의 주요 어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변량분석 413

[그림 3-8-10] 금강하구역 계절별 변동과 요인항목... 414

[그림 4-1-1]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평균 생물량 482

[그림 4-1-2]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종수 및 생물량 483

[그림 4-1-3]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평균 생물량 486

[그림 4-1-4]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종수 및 생물량 486

[그림 4-1-5] 해초류의 시기별 밀도 488

[그림 4-1-6] 해초류의 시기별 생체량 489

[그림 4-1-7] 해초류의 분포면적 489

[그림 4-1-8]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출현 종수 490

[그림 4-1-9]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평균 개체수 491

[그림 4-1-10] 조간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종수 및 개체수 491

[그림 4-1-11]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출현 종수 493

[그림 4-1-12]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평균 개체수 494

[그림 4-1-13]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종수 및 개체수 494

[그림 4-2-1] 핵심공간 5개 해역의 무척추동물 출현 종수 498

[그림 4-2-2] 핵심공간 5개 해역의 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조성비 499

[그림 4-2-3] 왕돌초(A)와 울릉도(B)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나팔고둥(Charonia lampas)) 499

[그림 4-2-4] 핵심공간 5개 해역의 무척추동물 피도, 생체량, 서식밀도(2015~2017년 평균) 500

[그림 4-2-5] 핵심공간 5개 해역의 무척추동물 군집유사도(피도) 501

[그림 4-2-6]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산호충류 출현 종수 502

[그림 4-2-7] 핵심공간 5개 해역에서 출현한 산호충류 보호대상해양생물(사진설명 표 4-2-2 참고) 503

[그림 4-2-8] 핵심공간 5개 해역별 산호충류 평균피도 503

[그림 4-2-9]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산호충류 군집유사도(피도) 504

[그림 4-2-10] 핵심공간 5개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505

[그림 4-2-11] 핵심공간 5개 해역의 해조류 우점종. 506

[그림 4-2-12] 핵심공간 5개 해역의 해조류 군집유사도 506

[그림 4-2-13] 울릉도(A)와 남형제섬(B)에서 촬영된 쏠배감펭(Pterois lunulata) 507

[그림 4-2-14] 핵심공간 5개 해역의 어류 군집유사도(개체수) 508

[그림 5-1-1] 2017년 근해생태계 조사지역도 511

[그림 5-1-2] 2017년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표층 수온(왼쪽) 및 염분(오른쪽) 분포 512

[그림 5-1-3] 2017년 서해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엽록소-a의 연직 분포... 513

[그림 5-1-4] 2017년 서해 조사정점별 영양염의 연직분포(a: 인산 인, b: 질산 질소, c: 규산 규소) 514

[그림 5-1-5] 2017년 서해 조사정점별 표층의 질소와 인의 관게 514

[그림 5-1-6] 2017년 우리나라 주변해역 표층의 인산 인 농도 비교 514

[그림 5-1-7] 2017년 하계 서해 표층수의 미량금속 분포... 515

[그림 5-1-8] 2017년 하계 조사정점별 퇴적물 입도(a)와 강열감량(b) 515

[그림 5-1-9] 2017년 하계 서해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포... 516

[그림 5-1-10] 2017년 하계 남해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엽록소-a의 연직 분포... 517

[그림 5-1-11] 2017년 남해 조사정점별 영양염의 연직분포... 518

[그림 5-1-12] 2017년 하계 남해 표층수의 미량금속 분포... 518

[그림 5-1-13] 2017년 하계 남해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포... 519

[그림 5-1-14] 2017년 하계 동해 수온과 염분의 관계 520

[그림 5-1-15] 2017년 하계 동해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엽록소-a의 연직 분포... 520

[그림 5-1-16] 2017년 동해 조사정점별 영양염의 연직분포(a: 인산 인, b: 질산 질소, c: 규산 규소) 521

[그림 5-1-17] 2017년 하계 동해 표층수의 질산 질소, 규산 규소의 농도 특성 521

[그림 5-1-18] 2017년 하계 동해 표층수의 미량금속 분포... 522

[그림 5-1-19] 2017년 하계 동해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포... 523

[그림 5-1-20] 2017년 하계 동중국해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엽록소-a의 연직 분포... 524

[그림 5-1-21] 2017년 하계 동중국해 영양염의 연직 분포(a: 인산 인, b: 질산 질소, c: 규산 규소) 524

[그림 5-1-22] 2017년 하계 동중국해 표층수의 미량금속 분포... 525

[그림 5-1-23] 2017년 하계 동중국해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포... 525

[그림 5-2-1] 2017년 전체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a) 및 해역별 종조성(b) 526

[그림 5-2-2] 2017년에 전체 조사해역의 표층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a) 및 해역별 분포(b) 527

[그림 5-2-3] 2017년 조사해역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수직분포 특성... 527

[그림 5-2-4] 2017년 서부해역(W-line)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수직분포 특성 528

[그림 5-2-5] 2017년 동부해역(E-line)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수직분포 특성 529

[그림 5-2-6] 2017년 하계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 간... 531

[그림 5-2-7] 2017년 8월 조사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생체량 분포... 532

[그림 5-2-8] 2017년 8월 조사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 분포 533

[그림 5-2-9] 조사해역별 동물플랑크톤 전체 개체수 및 요각류 개체수 분포 533

[그림 5-2-10] 조사해역별 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결과 534

[그림 5-3-1] 2017년 8월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분포 536

[그림 5-3-2] 2017년 8월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분포 536

[그림 5-3-3] 2017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537

[그림 5-3-4] 2017년 8월 연구해역 선충류 종 조성 538

[그림 5-3-5] 선충류 주요 출현종 538

[그림 5-3-6] 2017년 8월 연구해역 저서성 요각류 종조성 539

[그림 5-3-7] 저서성 요각류 주요 출현종 539

[그림 5-3-8]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종수(왼쪽), 개체수(중간) 및... 541

[그림 5-3-9] 2017년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종수(위), 개체수(중간) 및 생체량(아래) 변화 541

[그림 5-4-1] 2017년 전체 조사해역의 어란 우점종 547

[그림 5-4-2] 2017년에 전체 조사해역의 어란 출현량 분포(a) 및 해역별 평균 분포(b) 547

[그림 5-4-3] 2017년 조사해역별 어란 조성 특성 548

[그림 5-4-4] 2017년 전체 조사해역의 어란 우점종 550

[그림 5-4-5] 2017년에 전체 조사해역의 어류 자치어 출현량 분포(a) 및 해역별 분포(b) 551

[그림 5-4-6] 2017년 조사해역별 어류 자치어 조성 특성 55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25228 577.7 -18-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