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동해·서해·남해·제주 : 조사연보. 1-4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2017
청구기호
577.7 -18-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46336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해양환경관리공단
주관연구책임자: 고병설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갯벌생태계 -- 2. 연안생태계 -- 3. 암반생태계 -- 4. 근해생태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조사개요 34

제1절 조사개요 36

II. 주요현황 40

제1절 퇴적환경 42

1. 갯벌지형 42

2. 입도 44

3. 유기물 45

4. 미량금속 45

제2절 저서생물 46

제3절 염생식물 48

제4절 타깃종 49

제5절 주민인식 50

III. 지역별 조사결과 52

제1절 경기/인천 54

1. GI-01 : 주문-볼음도 55

2. GI-03 : 장봉도 갯벌 62

3. GI-04 : 영종도 갯벌 69

4. GI-05 : 무의도 갯벌 76

5. GI-06 : 송도-시흥 갯벌 82

6. GI-07 :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88

7. GI-08 : 대이작-승봉도 갯벌 96

8. GI-09 : 탄도-남양만 갯벌 103

9. GI-10 : 아산만 갯벌 109

제2절 충남 113

1. CN-02 : 이원-원북 갯벌 114

2. CN-03 : 근소만-남해포 갯벌 120

3. CN-04 : 안면도 갯벌 129

4. CN-05 : 천수만 갯벌 142

5. CN-06 : 대천천하구 갯벌 147

6. CN-07 : 비인-장항 갯벌 154

제3절 전북 161

1. JB-01 : 금강하구 갯벌 162

2. JB-02 : 금강하구 고군산군도 갯벌 167

3. JB-03 : 변산 갯벌 172

4. JB-04 : 곰소만 갯벌 177

제4절 전남 185

1. JN-01 : 영광 갯벌 187

2. JN-02 : 함평만 갯벌 193

3. JN-04 : 무안 갯벌 203

4. JN-05 : 자은-암태도 갯벌 211

5. JN-06 : 압해도 갯벌 217

6. JN-07 : 비금-도초도 갯벌 224

7. JN-08 : 팔금-안좌도 갯벌 232

8. JN-09 : 화원반도 갯벌 238

9. JN-10 : 진도 갯벌 245

10. JN-11 : 해남 갯벌 252

11. JN-12 : 완도 갯벌 258

12. JN-13 : 도암만 갯벌 266

13. JN-14 :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275

14. JN-15 : 금당도 갯벌 282

15. JN-16 : 득량만 갯벌 286

16. JN-17 : 거금도 갯벌 297

17. JN-19 : 여자만 갯벌 302

18. JN-20 : 나로도 갯벌 310

19. JN-21 : 광양만 갯벌 317

20. JN-22 : 가막만 갯벌 323

제5절 경남 329

1. GN-01 : 사천-진주만 갯벌 330

2. GN-02 : 강진만 갯벌 338

3. GN-03 : 고성만 갯벌 345

4. GN-04 : 통영 갯벌 351

5. GN-05 : 진해-마산만 갯벌 358

6. GN-06 : 거제도 갯벌 367

7. GN-07 : 낙동강하구 갯벌 374

제6절 갯끈풀속(Spartina) 식물의 분포 현황 380

1. 인천광역시 강화군 380

2. 인천광역시 중구 383

3. 경기도 안산시 384

4. 충청남도 서천군 385

5. 전라남도 진도군 386

IV. 주민인식 조사 388

제1절 조사개요 390

1. 개요 390

2. 조사내용 392

3. 설문항목 393

4. 조사문안 자료 395

5. 응답자 특성자료 399

제2절 설문항목 평가 402

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및 인지경로 402

2. 습지보호지역 지정 주민 홍보 정도 411

3. 습지보호지역 지정 적절성 및 고가치 요소 413

4.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지역에 미친 영향 416

5.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생활에 미친 영향 418

6.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보전 및 관리 평가 422

7. 습지보호지역 보전의 위협요소 428

8. 습지보호지역의 람사르 습지 등록에 대한 동의 여부 432

9. 습지보호지역의 확대 동의 여부 433

제3절 연도별 설문항목 평가와의 비교(2015년~2017년) 438

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438

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 438

3.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 경로 439

4. 습지보호지역 지정 주민 홍보 정도 439

5. 습지보호지역 지정 적절성 440

6. 습지보호지역의 람사르 습지 등록에 대한 동의 여부 441

7. 습지보호지역의 확대 동의 여부 441

8.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의 경우 필요한 사업 442

제4절 주민 만족도 평가 443

1. 평가목적 443

2. 평가항목 443

3. 평가방법 444

4. 평가결과 444

5. 2015년~2017년 주민 만족도와의 비교 446

제5절 고찰 448

제6절 결론 및 제언 450

V. 핵심공간 452

제1절 강화도 454

1. 퇴적환경 454

2. 저서생물 460

3. 염생식물 464

4. 타깃종 468

제2절 가로림만 471

1. 퇴적환경 471

2. 저서동물 477

3. 염생식물 482

4. 타깃종 486

제3절 증도 489

1. 퇴적환경 489

2. 저서동물 494

3. 염생식물 498

4. 타깃종 502

제4절 순천만 504

1. 퇴적환경 504

2. 저서생물 509

3. 염생식물 513

4. 타깃종 518

VI. 바닷새 522

제1절 조사개요 및 방법 524

1. 조사개요 524

2. 조사방법 526

제2절 조사결과 530

1. 기본조사 530

2. 우리나라 대표갯벌 603

참고문헌 616

〈표 1-1-1〉 퇴적환경, 저서생태, 염생식물 조사정점 및 조사시기 37

〈표 1-1-2〉 타깃종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 38

〈표 2-1-1〉 권역별 갯벌 평균 지형분포 42

〈표 2-1-2〉 권역별 퇴적물 평균 조성 44

〈표 2-1-3〉 권역별 표층퇴적물 내 유기물 농도 45

〈표 2-1-4〉 권역별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농도 45

〈표 3-1-1〉 주문-볼음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56

〈표 3-1-2〉 2017년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58

〈표 3-1-3〉 2017년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58

〈표 3-1-4〉 2017년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58

〈표 3-1-5〉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표징종 및 수반종 59

〈표 3-1-6〉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60

〈표 3-1-7〉 장봉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63

〈표 3-1-8〉 2017년 장봉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65

〈표 3-1-9〉 2017년 장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66

〈표 3-1-10〉 2017년 장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66

〈표 3-1-11〉 장봉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67

〈표 3-1-12〉 장봉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67

〈표 3-1-13〉 영종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70

〈표 3-1-14〉 2017년 영종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72

〈표 3-1-15〉 2017년 영종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73

〈표 3-1-16〉 2017년 영종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73

〈표 3-1-17〉 영종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74

〈표 3-1-18〉 영종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74

〈표 3-1-19〉 무의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77

〈표 3-1-20〉 2017년 무의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79

〈표 3-1-21〉 2017년 무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79

〈표 3-1-22〉 2017년 무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79

〈표 3-1-23〉 무의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80

〈표 3-1-24〉 무의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81

〈표 3-1-25〉 송도-시흥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83

〈표 3-1-26〉 2017년 송도-시흥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85

〈표 3-1-27〉 2017년 송도-시흥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85

〈표 3-1-28〉 2017년 송도-시흥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85

〈표 3-1-29〉 송도-시흥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86

〈표 3-1-30〉 송도-시흥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87

〈표 3-1-31〉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89

〈표 3-1-32〉 2017년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91

〈표 3-1-33〉 2017년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92

〈표 3-1-34〉 2017년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92

〈표 3-1-35〉 영흥-선재-대부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93

〈표 3-1-36〉 영흥-선재-대부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93

〈표 3-1-37〉 대이작-승봉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97

〈표 3-1-38〉 2017년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99

〈표 3-1-39〉 2017년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99

〈표 3-1-40〉 2017년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99

〈표 3-1-41〉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00

〈표 3-1-42〉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01

〈표 3-1-43〉 탄도-남양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04

〈표 3-1-44〉 2017년 탄도-남양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06

〈표 3-1-45〉 2017년 탄도-남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06

〈표 3-1-46〉 2017년 탄도-남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06

〈표 3-1-47〉 탄도-남양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07

〈표 3-1-48〉 탄도-남양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08

〈표 3-1-49〉 아산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10

〈표 3-1-50〉 2017년 아산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1

〈표 3-1-51〉 2017년 아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11

〈표 3-1-52〉 2017년 아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12

〈표 3-2-1〉 이원-원북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15

〈표 3-2-2〉 2017년 이원-원북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7

〈표 3-2-3〉 2017년 이원-원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17

〈표 3-2-4〉 2017년 이원-원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17

〈표 3-2-5〉 이원-원북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18

〈표 3-2-6〉 이원-원북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19

〈표 3-2-7〉 근소만-남해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22

〈표 3-2-8〉 2017년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24

〈표 3-2-9〉 2017년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24

〈표 3-2-10〉 2017년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25

〈표 3-2-11〉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26

〈표 3-2-12〉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26

〈표 3-2-13〉 안면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31

〈표 3-2-14〉 2017년 안면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35

〈표 3-2-15〉 2017년 안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35

〈표 3-2-16〉 2017년 안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36

〈표 3-2-17〉 안면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37

〈표 3-2-18〉 안면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38

〈표 3-2-19〉 천수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43

〈표 3-2-20〉 2017년 천수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44

〈표 3-2-21〉 2017년 천수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44

〈표 3-2-22〉 2017년 천수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45

〈표 3-2-23〉 천수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46

〈표 3-2-24〉 천수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46

〈표 3-2-25〉 대천천하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48

〈표 3-2-26〉 2017년 대천천하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50

〈표 3-2-27〉 2017년 대천천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51

〈표 3-2-28〉 2017년 대천천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51

〈표 3-2-29〉 대천천하구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52

〈표 3-2-30〉 대천천하구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52

〈표 3-2-31〉 비인-장항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55

〈표 3-2-32〉 2017년 비인-장항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57

〈표 3-2-33〉 2017년 비인-장항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57

〈표 3-2-34〉 2017년 비인-장항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57

〈표 3-2-35〉 비인-장항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59

〈표 3-2-36〉 비인-장항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59

〈표 3-3-1〉 금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63

〈표 3-3-2〉 2017년 금강하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4

〈표 3-3-3〉 2017년 금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64

〈표 3-3-4〉 2017년 금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65

〈표 3-3-5〉 금강하구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66

〈표 3-3-6〉 금강하구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66

〈표 3-3-7〉 고군산군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68

〈표 3-3-8〉 2017년 고군산군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9

〈표 3-3-9〉 2017년 고군산군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69

〈표 3-3-10〉 2017년 고군산군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70

〈표 3-3-11〉 고군산군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71

〈표 3-3-12〉 고군산군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71

〈표 3-3-13〉 변산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73

〈표 3-3-14〉 2017년 변산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74

〈표 3-3-15〉 2017년 변산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74

〈표 3-3-16〉 2017년 변산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75

〈표 3-3-17〉 변산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76

〈표 3-3-18〉 변산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76

〈표 3-3-19〉 곰소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78

〈표 3-3-20〉 2017년 곰소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80

〈표 3-3-21〉 2017년 곰소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81

〈표 3-3-22〉 2017년 곰소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81

〈표 3-3-23〉 곰소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82

〈표 3-3-24〉 곰소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82

〈표 3-4-1〉 영광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88

〈표 3-4-2〉 2017년 영광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90

〈표 3-4-3〉 2017년 영광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90

〈표 3-4-4〉 2017년 영광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90

〈표 3-4-5〉 영광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91

〈표 3-4-6〉 영광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92

〈표 3-4-7〉 함평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94

〈표 3-4-8〉 2017년 함평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96

〈표 3-4-9〉 2017년 함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97

〈표 3-4-10〉 2017년 함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97

〈표 3-4-11〉 함평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198

〈표 3-4-12〉 함평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199

〈표 3-4-13〉 무안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04

〈표 3-4-14〉 2017년 무안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06

〈표 3-4-15〉 2017년 무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07

〈표 3-4-16〉 2017년 무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07

〈표 3-4-17〉 무안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08

〈표 3-4-18〉 무안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08

〈표 3-4-19〉 자은-암태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12

〈표 3-4-20〉 2017년 자은도-암태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14

〈표 3-4-21〉 2017년 자은도-암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14

〈표 3-4-22〉 2017년 자은도-암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14

〈표 3-4-23〉 자은-암태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15

〈표 3-4-24〉 자은-암태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16

〈표 3-4-25〉 압해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18

〈표 3-4-26〉 2017년 압해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20

〈표 3-4-27〉 2017년 압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21

〈표 3-4-28〉 2017년 압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21

〈표 3-4-29〉 압해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22

〈표 3-4-30〉 압해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22

〈표 3-4-31〉 비금-도초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26

〈표 3-4-32〉 2017년 비금-도초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28

〈표 3-4-33〉 2017년 비금-도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28

〈표 3-4-34〉 2017년 비금-도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29

〈표 3-4-35〉 비금-도초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30

〈표 3-4-36〉 비금-도초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30

〈표 3-4-37〉 팔금-안좌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33

〈표 3-4-38〉 2017년 팔금-안좌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35

〈표 3-4-39〉 2017년 팔금-안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35

〈표 3-4-40〉 2017년 팔금-안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35

〈표 3-4-41〉 팔금-안좌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36

〈표 3-4-42〉 팔금-안좌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37

〈표 3-4-43〉 화원반도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39

〈표 3-4-44〉 2017년 화원반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41

〈표 3-4-45〉 2017년 화원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41

〈표 3-4-46〉 2017년 화원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41

〈표 3-4-47〉 화원반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42

〈표 3-4-48〉 화원반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43

〈표 3-4-49〉 진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46

〈표 3-4-50〉 2017년 진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48

〈표 3-4-51〉 2017년 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49

〈표 3-4-52〉 2017년 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49

〈표 3-4-53〉 진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50

〈표 3-4-54〉 진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50

〈표 3-4-55〉 해남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53

〈표 3-4-56〉 2017년 해남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55

〈표 3-4-57〉 2017년 해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55

〈표 3-4-58〉 2017년 해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55

〈표 3-4-59〉 해남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56

〈표 3-4-60〉 해남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57

〈표 3-4-61〉 완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59

〈표 3-4-62〉 2017년 완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61

〈표 3-4-63〉 2017년 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62

〈표 3-4-64〉 2017년 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62

〈표 3-4-65〉 완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63

〈표 3-4-66〉 완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63

〈표 3-4-67〉 도암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68

〈표 3-4-68〉 2017년 강진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70

〈표 3-4-69〉 2017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70

〈표 3-4-70〉 2017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71

〈표 3-4-71〉 도암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72

〈표 3-4-72〉 도암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72

〈표 3-4-73〉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76

〈표 3-4-74〉 2017년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78

〈표 3-4-75〉 2017년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79

〈표 3-4-76〉 2017년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79

〈표 3-4-77〉 고금-약산-신지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80

〈표 3-4-78〉 고금-약산-신지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80

〈표 3-4-79〉 금당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83

〈표 3-4-80〉 2017년 금당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84

〈표 3-4-81〉 2017년 금당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84

〈표 3-4-82〉 2017년 금당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85

〈표 3-4-83〉 득량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88

〈표 3-4-84〉 2017년 득량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90

〈표 3-4-85〉 2017년 득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90

〈표 3-4-86〉 2017년 득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91

〈표 3-4-87〉 득량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292

〈표 3-4-88〉 득량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293

〈표 3-4-89〉 거금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297

〈표 3-4-90〉 2017년 거금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99

〈표 3-4-91〉 2017년 거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99

〈표 3-4-92〉 2017년 거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99

〈표 3-1-93〉 거금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00

〈표 3-1-94〉 거금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01

〈표 3-4-95〉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03

〈표 3-4-96〉 2017년 여자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05

〈표 3-4-97〉 2017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06

〈표 3-4-98〉 2017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06

〈표 3-4-99〉 여자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07

〈표 3-4-100〉 여자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07

〈표 3-4-101〉 나로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11

〈표 3-4-102〉 2017년 나로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13

〈표 3-4-103〉 2017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13

〈표 3-4-104〉 2017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13

〈표 3-4-105〉 나로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14

〈표 3-4-106〉 나로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15

〈표 3-4-107〉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18

〈표 3-4-108〉 2017년 광양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20

〈표 3-4-109〉 2017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20

〈표 3-4-110〉 2017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20

〈표 3-4-111〉 광양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21

〈표 3-4-112〉 광양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22

〈표 3-4-113〉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24

〈표 3-4-114〉 2017년 가막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26

〈표 3-4-115〉 2017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26

〈표 3-4-116〉 2017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26

〈표 3-4-117〉 가막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27

〈표 3-4-118〉 가막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28

〈표 3-5-1〉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31

〈표 3-5-2〉 2017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33

〈표 3-5-3〉 2017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34

〈표 3-5-4〉 2017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34

〈표 3-5-5〉 사천-진주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35

〈표 3-5-6〉 사천-진주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35

〈표 3-5-7〉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39

〈표 3-5-8〉 2017년 남해 강진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41

〈표 3-5-9〉 2017년 남해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42

〈표 3-5-10〉 2017년 남해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42

〈표 3-5-11〉 강진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43

〈표 3-5-12〉 강진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43

〈표 3-5-13〉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46

〈표 3-5-14〉 2017년 고성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48

〈표 3-5-15〉 2017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48

〈표 3-5-16〉 2017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정종(생체량 기준) 348

〈표 3-5-17〉 고성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49

〈표 3-5-18〉 고성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50

〈표 3-5-19〉 통영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52

〈표 3-5-20〉 2017년 통영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54

〈표 3-5-21〉 2017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55

〈표 3-5-22〉 2017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55

〈표 3-5-23〉 통영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56

〈표 3-5-24〉 통영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56

〈표 3-5-25〉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60

〈표 3-5-26〉 2017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62

〈표 3-5-27〉 2017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63

〈표 3-5-28〉 2017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63

〈표 3-5-29〉 진해-마산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65

〈표 3-5-30〉 진해-마산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65

〈표 3-5-31〉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68

〈표 3-5-32〉 2017년 거제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70

〈표 3-5-33〉 2017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71

〈표 3-5-34〉 2017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71

〈표 3-5-35〉 거제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72

〈표 3-5-36〉 거제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72

〈표 3-5-37〉 낙동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75

〈표 3-5-38〉 2017년 낙동강하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77

〈표 3-5-39〉 2017년 낙동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78

〈표 3-5-40〉 2017년 낙동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78

〈표 3-5-41〉 낙동강하구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379

〈표 3-5-42〉 낙동강하구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379

〈표 4-2-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세부결과 자료 403

〈표 4-2-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 세부결과 자료 405

〈표 4-2-3〉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경로 세부결과 자료 406

〈표 4-2-4〉 습지보호 필요성 인식도 세부결과 자료 408

〈표 4-2-5〉 습지보호 필요성 사유 세부결과 자료 409

〈표 4-2-6〉 습지보호지역 지정 주민 홍보 정도 세부결과 자료 412

〈표 4-2-7〉 습지보호지역 지정 적절성 세부결과 자료 414

〈표 4-2-8〉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가치 요소 세부결과 자료 415

〈표 4-2-9〉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지역에 미친 영향 세부결과 자료 417

〈표 4-2-10〉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소득 변화 세부결과 자료 419

〈표 4-2-11〉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생활에 미친 영향 세부결과 자료 421

〈표 4-2-12〉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보전 및 관리 정도 세부결과 자료 423

〈표 4-2-13〉 습지보호지역 관리가 잘되고 있는 이유 세부결과 자료 425

〈표 4-2-14〉 습지보호지역 관리가 잘되고 있지 않은 이유 세부결과 자료 427

〈표 4-2-15〉 습지보호지역의 위협요소 세부결과 자료 429

〈표 4-2-16〉 습지보호지역 보전을 위한 우선사업 세부결과 자료 431

〈표 4-2-17〉 습지보호지역의 람사르 습지 등록에 대한 동의여부 세부결과 자료 433

〈표 4-2-18〉 습지보호지역 확대 동의여부 세부결과 자료 434

〈표 4-2-19〉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의 경우 필요한 사업 세부결과 자료 436

〈표 4-4-1〉 전체 지역의 항목별 환산점수 444

〈표 4-4-2〉 문항별, 지역별 환산점수 445

〈표 4-4-3〉 2015년~2017년 주민 만족도 평가결과 비교 446

〈표 5-1-1〉 강화남단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456

〈표 5-1-2〉 2017년 춘계 강화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60

〈표 5-1-3〉 2017년 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61

〈표 5-1-4〉 2017년 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61

〈표 5-1-5〉 2017년 하계 강화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63

〈표 5-1-6〉 2017년 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63

〈표 5-1-7〉 2017년 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63

〈표 5-1-8〉 강화도 갯벌의 표징종 및 수반종 465

〈표 5-1-9〉 강화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465

〈표 5-1-10〉 흰이빨참갯지렁이 기준좌표 및 서식지 현황 468

〈표 5-1-11〉 강화도 장흥리(조사 1지역) 기준좌표 및 참이빨갯지렁이 서식밀도 469

〈표 5-1-12〉 강화도 동막리(조사 2지역) 기준좌표 및 흰이빨참갯지렁이 서식밀도 469

〈표 5-1-13〉 강화도 장화리(조사 3지역) 기준좌표 및 흰이빨참갯지렁이 서식밀도 470

〈표 5-2-1〉 가로림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474

〈표 5-2-2〉 2017년 춘계 가로림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77

〈표 5-2-3〉 2017년 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78

〈표 5-2-4〉 2017년 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78

〈표 5-2-5〉 2017년 하계 가로림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80

〈표 5-2-6〉 2017년 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80

〈표 5-2-7〉 2017년 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80

〈표 5-2-8〉 가로림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482

〈표 5-2-9〉 가로림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483

〈표 5-2-10〉 가로림만 갯벌내 흰발농게 출현지역 좌표 및 서식지 현황 486

〈표 5-2-11〉 가로림만 갯벌 내 흰발농게 출현지역 서식지 면적 및 개체수 487

〈표 5-2-12〉 가로림만 갯벌 내 흰발농게 출현지역의 먹이활동 전후의 잔존물질 분석결과 488

〈표 5-3-1〉 증도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491

〈표 5-3-2〉 2017년 춘계 증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94

〈표 5-3-3〉 2017년 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95

〈표 5-3-4〉 2017년 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95

〈표 5-3-5〉 2017년 하계 증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497

〈표 5-3-6〉 2017년 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497

〈표 5-3-7〉 2017년 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497

〈표 5-3-8〉 증도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499

〈표 5-3-9〉 증도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499

〈표 5-4-1〉 순천만 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506

〈표 5-4-2〉 2017년 춘계 순천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509

〈표 5-4-3〉 2017년 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510

〈표 5-4-4〉 2017년 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510

〈표 5-4-5〉 2017년 하계 순천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512

〈표 5-4-6〉 2017년 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512

〈표 5-4-7〉 2017년 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512

〈표 5-4-8〉 순천만 갯벌의 위치별 표징종 및 수반종 514

〈표 5-4-9〉 순천만 갯벌의 식생면적 및 건중량 514

〈표 5-4-10〉 순천만 갯벌의 붉은발말똥게 출현지역 좌표 및 서식지 현황 518

〈표 5-4-11〉 순천만 갯벌의 붉은발말똥게 방형구 좌표 및 서식밀도 519

〈표 6-1-1〉 갯벌 점수화 기준 529

〈표 6-1-2〉 점수에 의한 5 등급화 529

〈표 6-2-1〉 기본조사 결과 권역별 법적보호종 현황 531

〈표 6-2-2〉 경기 권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34

〈표 6-2-3〉 경기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34

〈표 6-2-4〉 볼음/주문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35

〈표 6-2-5〉 볼음/주문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36

〈표 6-2-6〉 영종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37

〈표 6-2-7〉 영종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38

〈표 6-2-8〉 송도/시흥 일대의 바닷새 현황 539

〈표 6-2-9〉 송도/시흥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0

〈표 6-2-10〉 영흥/선재/대부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41

〈표 6-2-11〉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2

〈표 6-2-12〉 화성 일대의 바닷새 현황 543

〈표 6-2-13〉 화성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4

〈표 6-2-14〉 충청 권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6

〈표 6-2-15〉 충청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46

〈표 6-2-16〉 원북 일대의 바닷새 현황 547

〈표 6-2-17〉 원북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8

〈표 6-2-18〉 안면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49

〈표 6-2-19〉 안면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49

〈표 6-2-20〉 대천천하구 일대의 바닷새 현황 550

〈표 6-2-21〉 대천천하구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51

〈표 6-2-22〉 비인/장항 일대의 바닷새 현황 552

〈표 6-2-23〉 비인/장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54

〈표 6-2-24〉 전라 권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55

〈표 6-2-25〉 전라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55

〈표 6-2-26〉 변산 일대의 바닷새 현황 557

〈표 6-2-27〉 변산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58

〈표 6-2-28〉 곰소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558

〈표 6-2-29〉 곰소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59

〈표 6-2-30〉 영광 일대의 바닷새 현황 560

〈표 6-2-31〉 영광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61

〈표 6-2-32〉 함평 일대의 바닷새 현황 562

〈표 6-2-33〉 함평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63

〈표 6-2-34〉 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564

〈표 6-2-35〉 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65

〈표 6-2-36〉 압해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66

〈표 6-2-37〉 압해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67

〈표 6-2-38〉 진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68

〈표 6-2-39〉 진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69

〈표 6-2-40〉 해남 일대의 바닷새 현황 570

〈표 6-2-41〉 해남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71

〈표 6-2-42〉 강진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572

〈표 6-2-43〉 강진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73

〈표 6-2-44〉 고금/약산/신지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574

〈표 6-2-45〉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75

〈표 6-2-46〉 득량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576

〈표 6-2-47〉 득량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77

〈표 6-2-48〉 경남 권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79

〈표 6-2-49〉 경남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79

〈표 6-2-50〉 낙동강하구 일대의 바닷새 현황 580

〈표 6-2-51〉 낙동강하구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81

〈표 6-2-52〉 당항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582

〈표 6-2-53〉 당항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83

〈표 6-2-54〉 봉암 갯벌(경남 갯벌 1) 일대의 바닷새 현황 584

〈표 6-2-55〉 봉암 갯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85

〈표 6-2-56〉 사천만(경남 갯벌2) 일대의 바닷새 현황 586

〈표 6-2-57〉 사천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87

〈표 6-2-58〉 제주(제주/성산) 일대의 바닷새 현황 589

〈표 6-2-59〉 제주/성산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0

〈표 6-2-60〉 제주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90

〈표 6-2-61〉 동해안 권역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2

〈표 6-2-62〉 동해안 권역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592

〈표 6-2-63〉 거진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593

〈표 6-2-64〉 거진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4

〈표 6-2-65〉 강릉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595

〈표 6-2-66〉 강릉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6

〈표 6-2-67〉 묵호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597

〈표 6-2-68〉 묵호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7

〈표 6-2-69〉 대진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598

〈표 6-2-70〉 대진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599

〈표 6-2-71〉 월포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600

〈표 6-2-72〉 월포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00

〈표 6-2-73〉 장안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601

〈표 6-2-74〉 장안해안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02

〈표 6-2-75〉 강화도 남단 갯벌 일대의 바닷새 현황 603

〈표 6-2-76〉 강화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05

〈표 6-2-77〉 강화도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605

〈표 6-2-78〉 가로림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607

〈표 6-2-79〉 가로림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08

〈표 6-2-80〉 가로림만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609

〈표 6-2-81〉 증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610

〈표 6-2-82〉 증도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11

〈표 6-2-83〉 증도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612

〈표 6-2-84〉 순천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613

〈표 6-2-85〉 순천만 갯벌 평가 기준 획득 점수에 의한 등급화 결과(점수) 615

〈표 6-2-86〉 순천만의 기조사 자료와의 비교 615

[그림 1-1-1] 갯벌 권역별 조사지역도 38

[그림 1-1-2] 핵심공간 조사지역도 38

[그림 2-1-1] 권역별 갯벌 지형 43

[그림 2-1-2] 갯벌 퇴적물 공간분포 44

[그림 2-1-3] 갯벌 퇴적물 조위에 따른 분포 44

[그림 2-2-1] 2017년 서남해안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46

[그림 2-2-2] 2017년 서남해 갯벌의 권역별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비교 47

[그림 2-2-3] 2017년 서남해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동물군 조성비 47

[그림 2-3-1] 염생식물 주요 분포현황 48

[그림 2-4-1] 타깃종 조사 현황 49

[그림 2-5-1] 주민인식 설문조사 주요결과 50

[그림 3-1-1] 경기/인천지역 조사정점도 54

[그림 3-1-2] 주문도-볼음도 정점좌표 및 지도 55

[그림 3-1-3] 주문-볼음도갯벌 지형단면 특성 55

[그림 3-1-4] 주문-볼음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56

[그림 3-1-5] 주문-볼음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57

[그림 3-1-6]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57

[그림 3-1-7] 2017년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59

[그림 3-1-8] 2017년 주문도-볼음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59

[그림 3-1-9]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60

[그림 3-1-10] 주문도 뒷장술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60

[그림 3-1-11] 주문도-볼음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61

[그림 3-1-12] 장봉도 정점좌표 및 지도 62

[그림 3-1-13] 장봉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62

[그림 3-1-14] 장봉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4

[그림 3-1-15] 장봉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64

[그림 3-1-16] 장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65

[그림 3-1-17] 2017년 장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66

[그림 3-1-18] 2017년 장봉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66

[그림 3-1-19] 장봉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68

[그림 3-1-20] 장봉도 북부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68

[그림 3-1-21] 장봉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68

[그림 3-1-22] 영종도 정점좌표 및 지도 69

[그림 3-1-23] 영종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69

[그림 3-1-24] 영종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1

[그림 3-1-25] 영종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1

[그림 3-1-26] 영종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72

[그림 3-1-27] 2017년 영종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73

[그림 3-1-28] 2017년 영종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73

[그림 3-1-29] 영종도 마시안 갯벌의 현존식생도 75

[그림 3-1-30] 영종도 마시안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75

[그림 3-1-31] 영종도 마시안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75

[그림 3-1-32] 무의도 정점좌표 및 지도 76

[그림 3-1-33] 무의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76

[그림 3-1-34] 무의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7

[그림 3-1-35] 무의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8

[그림 3-1-36] 무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78

[그림 3-1-37] 2017년 무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80

[그림 3-1-38] 2017년 무의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80

[그림 3-1-39] 무의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81

[그림 3-1-40] 무의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81

[그림 3-1-41] 송도-시흥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82

[그림 3-1-42] 송도-시흥 갯벌 지형단면 특성 82

[그림 3-1-43] 송도-시흥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83

[그림 3-1-44] 송도-시흥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4

[그림 3-1-45] 송도-시흥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84

[그림 3-1-46] 2017년 송도-시흥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86

[그림 3-1-47] 2017년 송도-시흥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86

[그림 3-1-48] 송도-시흥 갯벌의 현존식생도 87

[그림 3-1-49] 송도-시흥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87

[그림 3-1-50] 영흥-선재-대부도 정점좌표 및 지도 88

[그림 3-1-51]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88

[그림 3-1-52]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0

[그림 3-1-53] 영흥-선재-대부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0

[그림 3-1-54]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91

[그림 3-1-55] 2017년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92

[그림 3-1-56] 2017년 영흥도/선재도/대부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92

[그림 3-1-57] 영흥-선재-대부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94

[그림 3-1-58] 영흥-선재-대부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95

[그림 3-1-59] 영흥-선재-대부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95

[그림 3-1-60] 대이작-승봉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96

[그림 3-1-61] 대이작-승봉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96

[그림 3-1-62] 대이작-승봉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7

[그림 3-1-63] 대이작-승봉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8

[그림 3-1-64]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98

[그림 3-1-65] 2017년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00

[그림 3-1-66] 2017년 대이작도-승봉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00

[그림 3-1-67]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101

[그림 3-1-68] 승봉도 이일레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101

[그림 3-1-69] 대이작도-승봉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02

[그림 3-1-70] 탄도-남양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03

[그림 3-1-71] 탄도-남양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103

[그림 3-1-72] 탄도-남양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04

[그림 3-1-73] 탄도-남양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05

[그림 3-1-74] 탄도-남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05

[그림 3-1-75] 2017년 탄도-남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07

[그림 3-1-76] 2017년 탄도-남양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07

[그림 3-1-77] 탄도-남양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108

[그림 3-1-78] 탄도-남양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08

[그림 3-1-79] 아산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09

[그림 3-1-80] 아산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109

[그림 3-1-81] 아산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10

[그림 3-1-82] 아산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10

[그림 3-1-83] 아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11

[그림 3-1-84] 2017년 아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12

[그림 3-1-85] 2017년 아산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12

[그림 3-2-1] 충남지역 조사정점도 113

[그림 3-2-2] 아산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14

[그림 3-2-3] 이원-원북 갯벌 지형단면 특성 114

[그림 3-2-4] 이원-원북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15

[그림 3-2-5] 이원-원북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16

[그림 3-2-6] 이원-원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16

[그림 3-2-7] 2017년 이원-원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18

[그림 3-2-8] 2017년 이원-원북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18

[그림 3-2-9] 이원-원북 갯벌의 현존식생도 119

[그림 3-2-10] 태안군 신두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119

[그림 3-2-11] 이원-원북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19

[그림 3-2-12] 근소만-남해포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20

[그림 3-2-13] 근소만-남해포 갯벌 지형단면 특성 121

[그림 3-2-14] 근소만-남해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22

[그림 3-2-15] 근소만-남해포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23

[그림 3-2-16]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24

[그림 3-2-17] 2017년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25

[그림 3-2-18] 2017년 근소만-남해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25

[그림 3-2-19]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현존식생도 128

[그림 3-2-20] 근소만-남해포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28

[그림 3-2-21] 안면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29

[그림 3-2-22] 안면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130

[그림 3-2-23] 안면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32

[그림 3-2-24] 안면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33

[그림 3-2-25] 안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34

[그림 3-2-26] 2017년 안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36

[그림 3-2-27] 2017년 안면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36

[그림 3-2-28] 안면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139

[그림 3-2-29] 안면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140

[그림 3-2-30] 안면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41

[그림 3-2-31] 천수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42

[그림 3-2-32] 천수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142

[그림 3-2-33] 천수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43

[그림 3-2-34] 천수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43

[그림 3-2-35] 천수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44

[그림 3-2-36] 2017년 천수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45

[그림 3-2-37] 2017년 천수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45

[그림 3-2-38] 홍성군 궁리의 현존식생도와 주요 염생식물 146

[그림 3-2-39] 대천천하구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47

[그림 3-2-40] 대천천하구 갯벌 지형단면 특성 147

[그림 3-2-41] 대천천하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49

[그림 3-2-42] 대천천하구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49

[그림 3-2-43] 대천천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50

[그림 3-2-44] 2017년 대천천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1

[그림 3-2-45] 2017년 대천천하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1

[그림 3-2-46] 보령시 송학리의 현존식생도 153

[그림 3-2-47] 보령시 송학리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53

[그림 3-2-48] 비인-장항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54

[그림 3-2-49] 비인-장항 갯벌 지형단면 특성 154

[그림 3-2-50] 비인-장항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55

[그림 3-2-51] 비인-장항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56

[그림 3-2-52] 비인-장항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56

[그림 3-2-53] 2017년 비인-장항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8

[그림 3-2-54] 2017년 비인-장항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8

[그림 3-2-55] 비인-장항 갯벌의 현존식생도 159

[그림 3-2-56] 비인-장항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60

[그림 3-3-1] 전북지역 조사정점도 161

[그림 3-3-2] 금강하구 내흥동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62

[그림 3-3-3] 금강하구 갯벌 지형단면 특성 162

[그림 3-3-4] 금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63

[그림 3-3-5] 금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63

[그림 3-3-6] 금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64

[그림 3-3-7] 2017년 금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65

[그림 3-3-8] 2017년 금강하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65

[그림 3-3-9] 군산시 내흥동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166

[그림 3-3-10] 금강하구 고군산군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67

[그림 3-3-11] 금강하구 고군산군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167

[그림 3-3-12] 고군산군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68

[그림 3-3-13] 고군산군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68

[그림 3-3-14] 고군산군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69

[그림 3-3-15] 2017년 고군산군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70

[그림 3-3-16] 2017년 고군산군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70

[그림 3-3-17] 군산시 고군산군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171

[그림 3-3-18] 변산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72

[그림 3-3-19] 변산 갯벌 지형단면 특성 172

[그림 3-3-20] 변산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73

[그림 3-3-21] 변산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73

[그림 3-3-22] 변산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74

[그림 3-3-23] 2017년 변산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75

[그림 3-3-24] 2017년 변산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75

[그림 3-3-25] 부안군 대항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176

[그림 3-3-26] 곰소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77

[그림 3-3-27] 곰소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177

[그림 3-3-28] 곰소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79

[그림 3-3-29] 곰소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79

[그림 3-3-30] 곰소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80

[그림 3-3-31] 2017년 곰소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81

[그림 3-3-32] 2017년 곰소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81

[그림 3-3-33] 곰소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183

[그림 3-3-34] 부안군 줄포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183

[그림 3-3-35] 곰소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84

[그림 3-4-1] 전남서부지역 조사 정점도 185

[그림 3-4-2] 전남동부지역 조사 정점도 186

[그림 3-4-3] 영광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87

[그림 3-4-4] 영광 갯벌 지형단면 특성 187

[그림 3-4-5] 영광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88

[그림 3-4-6] 영광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89

[그림 3-4-7] 영광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89

[그림 3-4-8] 2017년 영광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91

[그림 3-4-9] 2017년 영광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91

[그림 3-4-10] 영광 갯벌의 현존식생도 192

[그림 3-4-11] 영광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192

[그림 3-4-12] 함평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193

[그림 3-4-13] 함평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193

[그림 3-4-14] 함평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95

[그림 3-4-15] 함평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95

[그림 3-4-16] 함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196

[그림 3-4-17] 2017년 함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97

[그림 3-4-18] 2017년 함평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97

[그림 3-4-19] 함평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200

[그림 3-4-20] 함평만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01

[그림 3-4-21] 함평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02

[그림 3-4-22] 무안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03

[그림 3-4-23] 무안 갯벌 지형단면 특성 203

[그림 3-4-24] 무안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05

[그림 3-4-25] 무안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05

[그림 3-4-26] 무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06

[그림 3-4-27] 2017년 무안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07

[그림 3-4-28] 2017년 무안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07

[그림 3-4-29] 무안 갯벌의 현존식생도 210

[그림 3-4-30] 무안군 연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10

[그림 3-4-31] 무안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10

[그림 3-4-32] 자은-암태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11

[그림 3-4-33] 자은-암태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11

[그림 3-4-34] 자은-암태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12

[그림 3-4-35] 자은-암태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13

[그림 3-4-36] 자은도-암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13

[그림 3-4-37] 2017년 자은도-암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15

[그림 3-4-38] 2017년 자은도-암태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15

[그림 3-4-39] 자은-암태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16

[그림 3-4-40] 자은-암태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16

[그림 3-4-41] 압해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17

[그림 3-4-42] 압해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17

[그림 3-4-43] 압해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19

[그림 3-4-44] 압해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19

[그림 3-4-45] 압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20

[그림 3-4-46] 2017년 압해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21

[그림 3-4-47] 2017년 압해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21

[그림 3-4-48] 압해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223

[그림 3-4-49] 압해도 신용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23

[그림 3-4-50] 비금-도초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24

[그림 3-4-51] 비금-도초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25

[그림 3-4-52] 비금-도초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26

[그림 3-4-53] 비금-도초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27

[그림 3-4-54] 비금-도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28

[그림 3-4-55] 2017년 비금-도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29

[그림 3-4-56] 2017년 비금-도초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29

[그림 3-4-57] 비금-도초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31

[그림 3-4-58] 비금-도초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31

[그림 3-4-59] 팔금-안좌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32

[그림 3-4-60] 팔금-안좌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32

[그림 3-4-61] 팔금-안좌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33

[그림 3-4-62] 팔금-안좌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34

[그림 3-4-63] 팔금-안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34

[그림 3-4-64] 2017년 팔금-안좌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36

[그림 3-4-65] 2017년 팔금-안좌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36

[그림 3-4-66] 팔금도 당고리의 현존식생도와 주요 염생식물 237

[그림 3-4-67] 화원반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38

[그림 3-4-68] 화원반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38

[그림 3-4-69] 화원반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39

[그림 3-4-70] 화원반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40

[그림 3-4-71] 화원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40

[그림 3-4-72] 2017년 화원반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42

[그림 3-4-73] 2017년 화원반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42

[그림 3-4-74] 화원반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43

[그림 3-4-75] 해남군 무고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44

[그림 3-4-76] 화원반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44

[그림 3-4-77] 진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45

[그림 3-4-78] 진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45

[그림 3-4-79] 진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47

[그림 3-4-80] 진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47

[그림 3-4-81] 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48

[그림 3-4-82] 2017년 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49

[그림 3-4-83] 2017년 진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49

[그림 3-4-84] 진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51

[그림 3-4-85] 진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51

[그림 3-4-86] 해남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52

[그림 3-4-87] 해남 갯벌 지형단면 특성 252

[그림 3-4-88] 해남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53

[그림 3-4-89] 해남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54

[그림 3-4-90] 해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54

[그림 3-4-91] 2017년 해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56

[그림 3-4-92] 2017년 해남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56

[그림 3-4-93] 해남 갯벌의 현존식생도 257

[그림 3-4-94] 해남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57

[그림 3-4-95] 완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58

[그림 3-4-96] 완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58

[그림 3-4-97] 완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60

[그림 3-4-98] 완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60

[그림 3-4-99] 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61

[그림 3-4-100] 2017년 완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62

[그림 3-4-101] 2017년 완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62

[그림 3-4-102] 완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64

[그림 3-4-103] 완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65

[그림 3-4-104] 완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65

[그림 3-4-105] 도암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66

[그림 3-4-106] 도암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267

[그림 3-4-107] 도암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68

[그림 3-4-108] 도암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69

[그림 3-4-109]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70

[그림 3-4-110] 2017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71

[그림 3-4-111] 2017년 강진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71

[그림 3-4-112] 도암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273

[그림 3-4-113] 강진군 송천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74

[그림 3-4-114] 도암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74

[그림 3-4-115]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75

[그림 3-4-116]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75

[그림 3-4-117]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77

[그림 3-4-118] 고금-약산-신지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77

[그림 3-4-119]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78

[그림 3-4-120] 2017년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79

[그림 3-4-121] 2017년 고금도/약산도/신지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79

[그림 3-4-122] 고금-약산-신지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281

[그림 3-4-123] 약산도 장용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81

[그림 3-4-124] 고금-약산-신지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81

[그림 3-4-125] 금당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82

[그림 3-4-126] 금당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82

[그림 3-4-127] 금당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83

[그림 3-4-128] 금당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83

[그림 3-4-129] 금당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84

[그림 3-4-130] 2017년 금당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85

[그림 3-4-131] 2017년 금당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85

[그림 3-4-132] 득량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86

[그림 3-4-133] 득량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287

[그림 3-4-134] 득량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88

[그림 3-4-135] 득량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89

[그림 3-4-136] 득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90

[그림 3-4-137] 2017년 득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91

[그림 3-4-138] 2017년 득량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91

[그림 3-4-139] 득량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294

[그림 3-4-140] 득량만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295

[그림 3-4-141] 득량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296

[그림 3-4-142] 거금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297

[그림 3-4-143] 거금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297

[그림 3-4-144] 거금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98

[그림 3-4-145] 거금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98

[그림 3-4-146] 거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298

[그림 3-4-147] 2017년 거금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00

[그림 3-4-148] 2017년 거금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00

[그림 3-1-149] 거금도 석정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01

[그림 3-1-150] 거금도 석정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01

[그림 3-4-151] 여자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02

[그림 3-4-152] 여자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02

[그림 3-4-153]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04

[그림 3-4-154]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04

[그림 3-4-155]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05

[그림 3-4-156] 2017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06

[그림 3-4-157] 2017년 여자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06

[그림 3-4-158] 여자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308

[그림 3-4-159] 고흥군 신흥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08

[그림 3-4-160] 여자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09

[그림 3-4-161] 나로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10

[그림 3-4-162] 나로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310

[그림 3-4-163] 나로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11

[그림 3-4-164] 나로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12

[그림 3-4-165]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12

[그림 3-4-166] 2017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14

[그림 3-4-167] 2017년 나로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14

[그림 3-4-168] 나로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315

[그림 3-4-169] 고흥군 백양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15

[그림 3-4-170] 나로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16

[그림 3-4-171] 광양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17

[그림 3-4-172] 광양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17

[그림 3-4-173]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18

[그림 3-4-174]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19

[그림 3-4-175]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19

[그림 3-4-176] 2017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21

[그림 3-4-177] 2017년 광양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21

[그림 3-4-178] 여수시 조화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22

[그림 3-4-179] 여수시 조화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22

[그림 3-4-180] 가막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23

[그림 3-4-181] 가막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23

[그림 3-4-182]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24

[그림 3-4-183]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25

[그림 3-4-184]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25

[그림 3-4-185] 2017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27

[그림 3-4-186] 2017년 가막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27

[그림 3-4-187] 가막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328

[그림 3-4-188] 가막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28

[그림 3-5-1] 경남지역 조사정점도 329

[그림 3-5-2] 사천-진주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30

[그림 3-5-3] 사천-진주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30

[그림 3-5-4]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32

[그림 3-5-5]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32

[그림 3-5-6]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33

[그림 3-5-7] 2017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34

[그림 3-5-8] 2017년 사천-진주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34

[그림 3-5-9] 사천-진주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336

[그림 3-5-10] 사천시 다평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37

[그림 3-5-11] 사천-진주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37

[그림 3-5-12] 강진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38

[그림 3-5-13] 강진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38

[그림 3-5-14]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40

[그림 3-5-15]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40

[그림 3-5-16] 남해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41

[그림 3-5-17] 2017년 남해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42

[그림 3-5-18] 2017년 남해 강진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42

[그림 3-5-19] 남해군 대사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44

[그림 3-5-20] 고성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45

[그림 3-5-21] 고성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45

[그림 3-5-22]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46

[그림 3-5-23]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47

[그림 3-5-24]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47

[그림 3-5-25] 2017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49

[그림 3-5-26] 2017년 고성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49

[그림 3-5-27] 고성군 신월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50

[그림 3-5-28] 통영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51

[그림 3-5-29] 통영 갯벌 지형단면 특성 351

[그림 3-5-30] 통영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53

[그림 3-5-31] 통영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53

[그림 3-5-32]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54

[그림 3-5-33] 2017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55

[그림 3-5-34] 2017년 통영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55

[그림 3-5-35] 통영 갯벌의 현존식생도 357

[그림 3-5-36] 통영시 도선리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57

[그림 3-5-37] 통영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57

[그림 3-5-38] 진해-마산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58

[그림 3-5-39] 진해-마산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59

[그림 3-5-40]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61

[그림 3-5-41]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61

[그림 3-5-42]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62

[그림 3-5-43] 2017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64

[그림 3-5-44] 2017년 진해-마산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64

[그림 3-5-45] 진해-마산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366

[그림 3-5-46] 창원시 봉암동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366

[그림 3-5-47] 진해-마산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366

[그림 3-5-48] 거제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67

[그림 3-5-49] 거제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367

[그림 3-5-50]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69

[그림 3-5-51]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69

[그림 3-5-52]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70

[그림 3-5-53] 2017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71

[그림 3-5-54] 2017년 거제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71

[그림 3-5-55] 거제시 외간리 갯벌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73

[그림 3-5-56] 낙동강하구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374

[그림 3-5-57] 낙동강하구 갯벌 지형단면 특성 374

[그림 3-5-58] 낙동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76

[그림 3-5-59] 낙동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76

[그림 3-5-60] 낙동강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377

[그림 3-5-61] 2017년 낙동강하구 갯벌의 대형자서동물 우점종 378

[그림 3-5-62] 2017년 낙동강하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78

[그림 3-5-63] 부산시 을숙도의 현존식생도 및 주요 염생식물 379

[그림 3-6-1] 강화군 동막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0

[그림 3-6-2] 강화군 사기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1

[그림 3-6-3] 강화군 사기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1

[그림 3-6-4] 강화군 동검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2

[그림 3-6-5] 인천시 운북동(영종도)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3

[그림 3-6-6] 안산시 대부남동(대부도)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4

[그림 3-6-7] 서천군 송림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5

[그림 3-6-8] 진도군 남동리의 갯끈풀 분포 현황 386

[그림 4-1-1] 응답자 성비 399

[그림 4-1-2] 응답자 연령비 399

[그림 4-1-3] 응답자 직업 399

[그림 4-1-4] 어가 중 어업이 차지하는 비율 399

[그림 4-1-5] 응답자의 가구주와의 관계 399

[그림 4-1-6] 응답자의 연간 총 가구소득 399

[그림 4-1-7] 응답자의 거주기간 399

[그림 4-1-8] 응답자의 학력 399

[그림 4-2-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403

[그림 4-2-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 404

[그림 4-2-3]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 경로 406

[그림 4-2-4] 습지보호 필요성 인식도 407

[그림 4-2-5] 습지보호 필요성 인식도의 사유 409

[그림 4-2-6] 습지보호지역 지정 주민 홍보 정도 411

[그림 4-2-7] 습지보호지역 지정의 적절성 413

[그림 4-2-8]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가치 요소 415

[그림 4-2-9]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지역에 미친 영향 417

[그림 4-2-10]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소득변화 419

[그림 4-2-11]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생활에 미친 영향 420

[그림 4-2-12] 습지보호지역 지정이후 보전 및 관리 정도 423

[그림 4-2-13] 습지보호지역의 관리가 잘되고 있는 이유 424

[그림 4-2-14] 습지보호지역의 관리가 잘되고 있지 않은 이유 426

[그림 4-2-15] 습지보호지역의 위협요소 429

[그림 4-2-16] 습지보호지역 보전을 위한 우선 사업 430

[그림 4-2-17] 람사르 습지 등록 동의 여부(시흥시) 432

[그림 4-2-18] 습지보호지역 확대 동의 여부 434

[그림 4-2-19]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의 경우 필요 사업 435

[그림 4-3-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연도별) 438

[그림 4-3-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연도별) 438

[그림 4-3-3]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 경로(연도별) 439

[그림 4-3-4] 습지보호지역 지정 주민홍보 정도(연도별) 440

[그림 4-3-5] 습지보호지역 지정의 적절성(연도별) 440

[그림 4-3-6] 국제 람사르 습지 등록 동의 여부-시흥시(연도별) 441

[그림 4-3-7] 습지보호지역 확대 동의 여부(연도별) 441

[그림 4-3-8]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 시 필요한 사업(연도별) 442

[그림 4-4-1] 습지보호지역 주민인식조사 현장(2017년) 447

[그림 5-1-1] 강화남단 갯벌 표층퇴적물 분포 454

[그림 5-1-2] 강화남단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455

[그림 5-1-3] 강화남단 갯벌 지형단면 특성 456

[그림 5-1-4] 강화남단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58

[그림 5-1-5] 강화남단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59

[그림 5-1-6]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60

[그림 5-1-7] 2017년 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61

[그림 5-1-8] 2017년 춘계 강화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62

[그림 5-1-9]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62

[그림 5-1-10] 2017년 하계 강화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64

[그림 5-1-11] 2017년 하계 강화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64

[그림 5-1-12] 강화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466

[그림 5-1-13] 강화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466

[그림 5-1-14] 강화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467

[그림 5-1-15]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정선도 468

[그림 5-1-16]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현장(조사 1지역) 드론사진 469

[그림 5-1-17]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현장(조사 2지역) 드론사진 469

[그림 5-1-18]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조사현장(조사 3지역) 드론사진 470

[그림 5-1-19] 강화도 흰이빨참갯지렁이 개체 및 먹이흔적 사진 470

[그림 5-2-1] 가로림만 갯벌 표층퇴적물 분포 471

[그림 5-2-2] 가로림만 갯벌 정점좌표 및 자도 472

[그림 5-2-3] 가로림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473

[그림 5-2-4] 가로림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75

[그림 5-2-5] 가로림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76

[그림 5-2-6]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77

[그림 5-2-7] 2017년 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78

[그림 5-2-8] 2017년 춘계 가로림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79

[그림 5-2-9]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79

[그림 5-2-10] 2017년 하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81

[그림 5-2-11] 2017년 하계 가로림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81

[그림 5-2-12] 가로림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484

[그림 5-2-13] 가로림만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485

[그림 5-2-14] 가로림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485

[그림 5-2-15] 가로림만 갯벌 내 흰발농게 출현정점 487

[그림 5-2-16] 가로림만 갯벌 내 흰발농게 서식지 및 개체사진 488

[그림 5-3-1] 증도 갯벌 표층퇴적물 분포 489

[그림 5-3-2] 증도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489

[그림 5-3-3] 증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490

[그림 5-3-4] 증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92

[그림 5-3-5] 증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93

[그림 5-3-6]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94

[그림 5-3-7] 2017년 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96

[그림 5-3-8] 2017년 춘계 증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96

[그림 5-3-9]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496

[그림 5-3-10] 2017년 하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498

[그림 5-3-11] 2017년 하계 증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498

[그림 5-3-12] 증도 갯벌의 현존식생도 500

[그림 5-3-13] 증도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500

[그림 5-3-14] 증도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501

[그림 5-3-15] 증도 달랑게 출현지역 502

[그림 5-3-16] 증도 달랑게 서식지 고도측량 결과 502

[그림 5-3-17] 증도 달랑게 서식지 및 개체 사진 503

[그림 5-4-1] 순천만 갯벌 표층퇴적물 분포 504

[그림 5-4-2] 순천만 갯벌 정점좌표 및 지도 504

[그림 5-4-3] 순천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505

[그림 5-4-4] 순천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507

[그림 5-4-5] 순천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508

[그림 5-4-6]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509

[그림 5-4-7] 2017년 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510

[그림 5-4-8] 2017년 춘계 순천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511

[그림 5-4-9]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 비율 511

[그림 5-4-10] 2017년 하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513

[그림 5-4-11] 2017년 하계 순천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513

[그림 5-4-12] 순천만 갯벌의 현존식생도 515

[그림 5-4-13] 순천만 갯벌의 기준점 식생단면도 516

[그림 5-4-14] 순천만 갯벌의 주요 염생식물 517

[그림 5-4-15] 순천만 갯벌의 붉은발말똥게 출현지점도 519

[그림 5-4-16] 순천만 갯벌의 붉은발말똥게 방형구 조사 및 개체사진 520

[그림 5-4-17] 순천만 갯벌의 붉은발말똥게 출현도 520

[그림 6-1-1] 바닷새 조사정점도 525

[그림 6-1-2] 기본조사지역 예시(영광) 526

[그림 6-1-3] 핵심공간조사 예시(강화도) 526

[그림 6-1-4] 바닷새 현장조사 전경 및 선조사법과 점조사법 예시 527

[그림 6-1-5] 핵심공간조사 격자별 분포도의 예시 528

[그림 6-1-6] 핵심공간조사 법적보호종의 분포도 예시 528

[그림 6-2-1] 기본 조사지역 전체 종/개체수(A) 및 우점종(B), 종다양도 현황(C) 530

[그림 6-2-2] 기본조사 결과 권역별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531

[그림 6-2-3]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 분포 현황 532

[그림 6-2-4] 경기 권역 조사 정점도 533

[그림 6-2-5] 경기 권역 지역별 종수/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34

[그림 6-2-6] 경기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34

[그림 6-2-7] 볼음/주문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35

[그림 6-2-8] 볼음/주문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36

[그림 6-2-9] 영종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37

[그림 6-2-10] 영종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38

[그림 6-2-11] 송도/시흥 정점 좌표 및 지도 539

[그림 6-2-12] 송도/시흥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0

[그림 6-2-13] 영흥/선재/대부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41

[그림 6-2-14] 영흥/선재/대부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2

[그림 6-2-15] 화성 정점 좌표 및 지도 543

[그림 6-2-16] 화성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4

[그림 6-2-17] 충청 권역 조사 정점도 545

[그림 6-2-18] 충청 권역 지역별 종수/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5

[그림 6-2-19] 충청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46

[그림 6-2-20] 원북 정점 좌표 및 지도 547

[그림 6-2-21] 원북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8

[그림 6-2-22] 안면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48

[그림 6-2-23] 안면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49

[그림 6-2-24] 대천천하구 정점 좌표 및 지도 550

[그림 6-2-25] 대천천하구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51

[그림 6-2-26] 비인/장항 정점 좌표 및 지도 552

[그림 6-2-27] 비인/장항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54

[그림 6-2-28] 전라 권역 조사 정점도 554

[그림 6-2-29] 전라 권역 지역별 종수/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55

[그림 6-2-30] 전라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56

[그림 6-2-31] 변산 정점 좌표 및 지도 556

[그림 6-2-32] 변산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57

[그림 6-2-33] 곰소만 정점 좌표 및 지도 558

[그림 6-2-34] 곰소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59

[그림 6-2-35] 영광 정점 좌표 및 지도 560

[그림 6-2-36] 영광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61

[그림 6-2-37] 함평 정점 좌표 및 지도 562

[그림 6-2-38] 함평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63

[그림 6-2-39] 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64

[그림 6-2-40] 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65

[그림 6-2-41] 압해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66

[그림 6-2-42] 압해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67

[그림 6-2-43] 진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68

[그림 6-2-44] 진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69

[그림 6-2-45] 해남 정점 좌표 및 지도 570

[그림 6-2-46] 해남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71

[그림 6-2-47] 강진만 정점 좌표 및 지도 572

[그림 6-2-48] 강진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73

[그림 6-2-49] 고금/약산/신지도 정점 좌표 및 지도 574

[그림 6-2-50] 고금/약산/신지도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75

[그림 6-2-51] 득량만 정점 좌표 및 지도 576

[그림 6-2-52] 득량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77

[그림 6-2-53] 경남 권역 조사 정점도 578

[그림 6-2-54] 경남 권역 지역별 종수/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78

[그림 6-2-55] 경남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79

[그림 6-2-56] 낙동강하구 정점 좌표 및 지도 580

[그림 6-2-57] 낙동강하구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81

[그림 6-2-58] 당항만 정점 좌표 및 지도 582

[그림 6-2-59] 당항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83

[그림 6-2-60] 봉암 갯벌(경남 갯벌) 정점 좌표 및 지도 584

[그림 6-2-61] 봉암 갯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85

[그림 6-2-62] 사천만(경남갯벌) 정점 좌표 및 지도 586

[그림 6-2-63] 사천만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87

[그림 6-2-64] 제주 권역(제주/성산) 조사 정점도 588

[그림 6-2-65] 제주/성산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0

[그림 6-2-66] 제주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90

[그림 6-2-67] 동해안 권역 조사 정점도 591

[그림 6-2-68] 동해안 권역 지역별 종수/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1

[그림 6-2-69] 동해안 권역 기조사 자료 비교 592

[그림 6-2-70] 거진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93

[그림 6-2-71] 거진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4

[그림 6-2-72] 강릉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95

[그림 6-2-73] 강릉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6

[그림 6-2-74] 묵호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96

[그림 6-2-75] 묵호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7

[그림 6-2-76] 대진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98

[그림 6-2-77] 대진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599

[그림 6-2-78] 월포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599

[그림 6-2-79] 월포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600

[그림 6-2-80] 장안해안 정점 좌표 및 지도 601

[그림 6-2-81] 장안해안 계절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602

[그림 6-2-82] 강화도 정점 좌표 및 지도 603

[그림 6-2-83] 강화도 월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위) 604

[그림 6-2-84] 강화도의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605

[그림 6-2-85] 강화도 기조사 자료 비교 606

[그림 6-2-86] 가로림만 정점 좌표 및 지도 606

[그림 6-2-87] 가로림만 월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608

[그림 6-2-88] 가로림만의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608

[그림 6-2-89] 가로림만 기조사 자료 비교 609

[그림 6-2-90] 증도 정점 좌표 및 지도 609

[그림 6-2-91] 증도 월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611

[그림 6-2-92] 증도의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611

[그림 6-2-93] 증도 기조사 자료 비교 612

[그림 6-2-94] 순천만 정점 좌표 및 지도 612

[그림 6-2-95] 순천만 월별 종/개체수(좌), 우점종 현황(우) 614

[그림 6-2-96] 순천만의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614

[그림 6-2-97] 증도 기조사 자료 비교 615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조사개요 642

제1절 조사개요 644

II. 주요현황 658

제1절 해양환경 660

제2절 부유생태 669

제3절 저서생태 673

제4절 유영생태 677

제5절 해양생태등급 682

1. 서론 682

2. 재료 및 방법 683

3. 결과 694

4. 결론 및 제언 698

III. 기본조사 조사결과 716

제1절 서해 718

제2절 남해 850

제3절 동해 936

제4절 제주 1003

IV. 핵심공간조사 결과 1046

제1절 한강하구 1048

제2절 금강 하구 1104

제3절 낙동강하구 1163

제4절 동해 용승해역 1227

〈표 1-1-1〉 기본/핵심조사(춘계) 조사정점 및 조사시기 648

〈표 1-1-2〉 기본/핵심조사(하계) 조사정점 및 조사시기 653

〈표 2-5-1〉 해양생태계보전법 제12조에 따른 해양생태계 등급 기준 682

〈표 2-5-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현황(정점수 및 조사횟수) 683

〈표 2-5-3〉 해양생태계 핵심조사 현황(정점수 및 조사횟수) 683

〈표 2-5-4〉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단위격자 현황 684

〈표 2-5-5〉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핵심조사) 단위격자 현황 684

〈표 2-5-6〉 서해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 구성(2015~2016년) 688

〈표 2-5-7〉 남해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 구성(2015~2016년) 688

〈표 2-5-8〉 동해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구성(2015~2016년) 689

〈표 2-5-9〉 제주도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 구성(2015~2016년) 689

〈표 2-5-10〉 단위격자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 구성(2015~2016년) 689

〈표 2-5-11〉 '나'목 해양생태계 우수성에 선정된 지표 691

〈표 2-5-12〉 '나'목 기준치 691

〈표 2-5-13〉 기준치 등급 설정 692

〈표 2-5-14〉 '라'목 해양생태계 우수성에 선정된 지표 692

〈표 2-5-15〉 '라'목 기준치 693

〈표 2-5-16〉 종합평가 등급 693

〈표 2-5-17〉 2014년, 2015~2016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결과를 이용한 생태등급의 판정결과 694

〈표 2-5-18〉 2015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에 기반한 핵심조사 단위격자 생태등급 평가결과 697

〈표 2-5-19〉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에 기반한 핵심조사 단위격자 생태등급 평가결과 697

〈표 2-5-20〉 서해해역 707

〈표 2-5-21〉 남해해역 709

〈표 2-5-22〉 동해해역 711

〈표 2-5-23〉 제주도해역 712

〈표 2-5-24〉 한강하구 712

〈표 2-5-25〉 금강하구 713

〈표 2-5-26〉 낙동강하구 713

〈표 2-5-27〉 동해용승해역 713

〈표 2-5-28〉 서해해역 714

〈표 2-5-29〉 남해해역 715

〈표 3-1-1〉 서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719

〈표 3-1-2〉 서해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722

〈표 3-1-3〉 서해 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표층) 728

〈표 3-1-4〉 서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732

〈표 3-1-5〉 서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736

〈표 3-1-6〉 서해해역의 춘·하계 미생물 총균수(표층) 742

〈표 3-1-7〉 서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743

〈표 3-1-8〉 서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754

〈표 3-1-9〉 서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759

〈표 3-1-10〉 서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770

〈표 3-1-11〉 서해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778

〈표 3-1-12〉 서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및 우점종 780

〈표 3-1-13〉 서해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및 종 다양성 지수(H') 783

〈표 3-1-14〉 서해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786

〈표 3-1-15〉 서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789

〈표 3-1-16〉 서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798

〈표 3-1-17〉 서해해역의 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812

〈표 3-1-18〉서해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생태학적 제지수 820

〈표 3-1-19〉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822

〈표 3-1-20〉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825

〈표 3-1-21〉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위 내용물 829

〈표 3-1-22〉 서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830

〈표 3-1-23〉 서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832

〈표 3-1-24〉 서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835

〈표 3-1-25〉 서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836

〈표 3-1-26〉 서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842

〈표 3-1-27〉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848

〈표 3-1-28〉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848

〈표 3-2-1〉 남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851

〈표 3-2-2〉 남해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853

〈표 3-2-3〉 남해해역의 춘·하계 해양 수질 미량금속(표층) 856

〈표 3-2-4〉 남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858

〈표 3-2-5〉 남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860

〈표 3-2-6〉 남해해역의 춘·하계 미생물 총균수(표층) 863

〈표 3-2-7〉 남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864

〈표 3-2-8〉 남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869

〈표 3-2-9〉 남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872

〈표 3-2-10〉 남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879

〈표 3-2-11〉 남해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883

〈표 3-2-12〉 남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및 우점종 885

〈표 3-2-13〉 남해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및 종 다양성 지수 (H') 887

〈표 3-2-14〉 남해해역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889

〈표 3-2-15〉 남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91

〈표 3-2-16〉 남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897

〈표 3-2-17〉 남해해역의 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906

〈표 3-2-18〉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생태학적 제지수 911

〈표 3-2-19〉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13

〈표 3-2-20〉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15

〈표 3-2-21〉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위 내용물 918

〈표 3-2-22〉 남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19

〈표 3-2-23〉 남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20

〈표 3-2-24〉 남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22

〈표 3-2-25〉 남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23

〈표 3-2-26〉 남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929

〈표 3-2-27〉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934

〈표 3-2-28〉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934

〈표 3-3-1〉 동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937

〈표 3-3-2〉 동해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939

〈표 3-3-3〉 동해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표층) 941

〈표 3-3-4〉 동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942

〈표 3-3-5〉 동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943

〈표 3-3-6〉 동해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944

〈표 3-3-7〉 동해해역의 춘·하계 미생물 총균수(표층) 946

〈표 3-3-8〉 동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947

〈표 3-3-9〉 동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950

〈표 3-3-10〉 동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952

〈표 3-3-11〉 동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955

〈표 3-3-12〉 동해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957

〈표 3-3-13〉 동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및 우점종 959

〈표 3-3-14〉 동해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및 종 다양성 지수(H') 961

〈표 3-3-15〉 동해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962

〈표 3-3-16〉 동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963

〈표 3-3-17〉 동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966

〈표 3-3-18〉 동해해역의 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973

〈표 3-3-19〉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생태학적 제지수 977

〈표 3-3-20〉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78

〈표 3-3-21〉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80

〈표 3-3-22〉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정치망) 981

〈표 3-3-23〉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위 내용물 983

〈표 3-3-24〉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84

〈표 3-3-25〉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85

〈표 3-3-26〉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정치망) 986

〈표 3-3-27〉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987

〈표 3-3-28〉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988

〈표 3-3-29〉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정치망) 989

〈표 3-3-30〉 동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996

〈표 3-3-31〉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001

〈표 3-3-32〉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001

〈표 3-4-1〉 제주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003

〈표 3-4-2〉 제주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004

〈표 3-4-3〉 제주해역의 춘·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표층) 1005

〈표 3-4-4〉 제주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006

〈표 3-4-5〉 제주해역의 춘·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006

〈표 3-4-6〉 제주해역의 춘·하계 미생물 총균수(표층) 1008

〈표 3-4-7〉 제주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009

〈표 3-4-8〉 제주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1010

〈표 3-4-9〉 제주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012

〈표 3-4-10〉 제주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014

〈표 3-4-11〉 제주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종 다양도 지수 1015

〈표 3-4-12〉 제주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및 우점종 1017

〈표 3-4-13〉 제주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및 종 다양성 지수(H') 1018

〈표 3-4-14〉 제주해역의 춘·하계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1019

〈표 3-4-15〉 제주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020

〈표 3-4-16〉 제주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021

〈표 3-4-17〉 제주해역의 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1027

〈표 3-4-18〉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생태학적 제지수 1029

〈표 3-4-19〉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30

〈표 3-4-20〉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30

〈표 3-4-21〉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위 내용물 1032

〈표 3-4-22〉 제주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32

〈표 3-4-23〉 제주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33

〈표 3-4-24〉 제주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34

〈표 3-4-25〉 제주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34

〈표 3-4-26〉 제주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1039

〈표 3-4-27〉 제주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이상치가 제시된 정점 및 지역 1040

〈표 3-4-28〉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044

〈표 3-4-29〉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044

〈표 4-1-1〉 한강하구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048

〈표 4-1-2〉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050

〈표 4-1-3〉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미량금속(표층) 1052

〈표 4-1-4〉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053

〈표 4-1-5〉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054

〈표 4-1-6〉 한강하구역의 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057

〈표 4-1-7〉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1060

〈표 4-1-8〉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062

〈표 4-1-9〉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066

〈표 4-1-10〉 한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1069

〈표 4-1-11〉 한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의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071

〈표 4-1-12〉 한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074

〈표 4-1-13〉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출현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1081

〈표 4-1-14〉 한강하구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1086

〈표 4-1-15〉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87

〈표 4-1-16〉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87

〈표 4-1-17〉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89

〈표 4-1-18〉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90

〈표 4-1-19〉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092

〈표 4-1-20〉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092

〈표 4-1-21〉 고정정점(한강하구)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 1100

〈표 4-1-22〉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102

〈표 4-1-23〉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102

〈표 4-2-1〉 금강하구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104

〈표 4-2-2〉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106

〈표 4-2-3〉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108

〈표 4-2-4〉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109

〈표 4-2-5〉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110

〈표 4-2-6〉 금강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113

〈표 4-2-7〉 금강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Chl-a 1116

〈표 4-2-8〉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118

〈표 4-2-9〉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122

〈표 4-2-10〉 금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1125

〈표 4-2-11〉 금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127

〈표 4-2-12〉 금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130

〈표 4-2-13〉 금강하구역의 동·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1139

〈표 4-2-14〉 금강하구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1144

〈표 4-2-15〉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145

〈표 4-2-16〉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145

〈표 4-2-17〉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147

〈표 4-2-18〉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148

〈표 4-2-19〉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149

〈표 4-2-20〉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150

〈표 4-2-21〉 고정정점(금강하구)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 1157

〈표 4-2-22〉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161

〈표 4-2-23〉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162

〈표 4-3-1〉 낙동강하구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163

〈표 4-3-2〉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165

〈표 4-3-3〉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167

〈표 4-3-4〉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168

〈표 4-3-5〉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169

〈표 4-3-6〉 낙동강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172

〈표 4-3-7〉 낙동강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1175

〈표 4-3-8〉 낙동강하구역의 동·춘 ·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177

〈표 4-3-9〉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181

〈표 4-3-10〉 낙동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1184

〈표 4-3-11〉 낙동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186

〈표 4-3-12〉 낙동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189

〈표 4-3-13〉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1199

〈표 4-3-14〉 낙동강하구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1206

〈표 4-3-15〉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08

〈표 4-3-16〉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09

〈표 4-3-17〉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11

〈표 4-3-18〉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11

〈표 4-3-19〉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13

〈표 4-3-20〉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13

〈표 4-3-21〉 고정정점(낙동강하구)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현존량 및 우점종 1222

〈표 4-3-22〉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225

〈표 4-3-23〉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225

〈표 4-4-1〉 동해용승해역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227

〈표 4-4-2〉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228

〈표 4-4-3〉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230

〈표 4-4-4〉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231

〈표 4-4-5〉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232

〈표 4-4-6〉 동해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235

〈표 4-4-7〉 동해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Chl-a 1238

〈표 4-4-8〉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240

〈표 4-4-9〉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244

〈표 4-4-10〉 동해용승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다양도 지수 1246

〈표 4-4-11〉 동해용승해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249

〈표 4-4-12〉 동해용승해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252

〈표 4-4-13〉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출현량 1261

〈표 4-4-14〉 동해용승해역에서의 생태학적 제지수 1266

〈표 4-4-15〉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67

〈표 4-4-16〉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67

〈표 4-4-17〉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69

〈표 4-4-18〉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70

〈표 4-4-19〉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자망) 1271

〈표 4-4-20〉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통발) 1271

〈표 4-4-21〉 조사시기별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281

〈표 4-4-22〉 조사시기별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의 경년변화 1281

[그림 1-1-1] 연안생태 조사지역도 646

[그림 1-1-2] 유영생물 조사지역도 647

[그림 2-1-1] 표층 수온(℃) 분포현황(수질환경) 660

[그림 2-1-2] 표층 염분(psu) 분포현황(수질환경) 661

[그림 2-1-3] 표층 용존무기질소(DIN, μM) 분포현황(수질환경) 662

[그림 2-1-4] 표층 용존무기인(DIP, μM) 분포현황(수질환경) 662

[그림 2-1-5] 저층 용존산소(DO, mg·L-1) 분포현황(수질환경)(이미지참조) 663

[그림 2-1-6] 표층 용존 니켈(Ni, μg·L-1) 분포현황(수질환경)(이미지참조) 663

[그림 2-1-7] 표층 용존 구리(Cu, μg·L-1) 분포현황(수질환경)(이미지참조) 664

[그림 2-1-8] 표층 용존 납(Pb, μg·L-1) 분포현황(수질환경)(이미지참조) 664

[그림 2-1-9] 퇴적물 평균입도(Ø) 분포현황(퇴적 환경) 665

[그림 2-1-10] 퇴적물 총유기탄소(TOC, %) 분포현황(퇴적환경) 666

[그림 2-1-11] 퇴적물 알루미늄(Al, %) 분포현황(퇴적 환경) 666

[그림 2-1-12] 퇴적물 구리(Cu, mg·kg-1) 분포현황(퇴적 환경)(이미지참조) 667

[그림 2-1-13] 퇴적물 수은 (Hg, mg·kg-1) 분포현황(퇴적 환경)(이미지참조) 667

[그림 2-1-14] 퇴적물 납 (Pb, mg·kg-1) 분포현황(퇴적 환경)(이미지참조) 668

[그림 2-2-1] 미생물 분포현황 669

[그림 2-2-2] 식물플랑크톤 주요 분포현황 670

[그림 2-2-3] 동물플랑크톤의 주요 분포현황 672

[그림 2-3-1] 중형저서동물 주요 분포현황 673

[그림 2-3-2]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주요 분포현황 674

[그림 2-3-3]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 주요 분포현황 674

[그림 2-3-4] 대형저서동물 생물량 주요 분포현황 675

[그림 2-3-5]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지수 주요 분포현황 675

[그림 2-3-6] 대형저서동물 건강도 지수(ISEP) 주요 분포현황 676

[그림 2-4-1] 기본 조사 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분포현황 678

[그림 2-4-2] 핵심공간 조사 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분포현황 679

[그림 2-4-3] 유영생태 주요 분포현황 680

[그림 2-4-4] 갑각류 및 두족류 주요 분포현황 681

[그림 2-5-1] 전국 해양생태도 단위격자- 대해구번호 685

[그림 2-5-2]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기본조사) 정점도-대해구 기준 686

[그림 2-5-3]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핵심조사) 정점도-대해구 기준 687

[그림 2-5-4] 2015~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기본조사 정점 해양생태도-'나'목, '라'목만 포함) 698

[그림 2-5-5] 2015~2016년 기본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699

[그림 2-5-6] 2015~2016년 기본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700

[그림 2-5-7] 2015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핵심조사 정점 해양생태도-'나'목, '라'목만 포함) 701

[그림 2-5-8] 2015년 핵심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702

[그림 2-5-9] 2015년 핵심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703

[그림 2-5-10]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에 따른 핵심조사 정점 해양생태도-'나'목, '라'목만 포함) 704

[그림 2-5-11] 2016년 핵심조사 정점 '나'목의 세부평가지표(환경분야, 생물분야) 등급 현황 705

[그림 2-5-12] 2016년 핵심조사 정점 '라'목의 세부평가지표 등급 현황 706

[그림 3-1-1] 서해 조사지역 정점도 718

[그림 3-1-2] 서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753

[그림 3-1-3] 서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758

[그림 3-1-4] 서해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758

[그림 3-1-5] 서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769

[그림 3-1-6] 서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777

[그림 3-1-7] 서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 조성 782

[그림 3-1-8] 서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주요 우점종 782

[그림 3-1-9] 서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798

[그림 3-1-10] 서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807

[그림 3-1-11] 서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 및 출현량 810

[그림 3-1-12] 서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출현량 811

[그림 3-1-13] 서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818

[그림 3-1-14] 서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818

[그림 3-1-15] 서해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어란 819

[그림 3-1-16] 서해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자치어 819

[그림 3-1-17]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자망) 827

[그림 3-1-18]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통발) 828

[그림 3-1-19] 서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828

[그림 3-1-20] 서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834

[그림 3-1-21] 서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834

[그림 3-1-22] 서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834

[그림 3-1-23] 서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자망) 837

[그림 3-1-24] 서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837

[그림 3-1-25] 서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837

[그림 3-1-26] 서해해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38

[그림 3-1-27] 서해해역의 입자성 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38

[그림 3-1-28] 서해해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39

[그림 3-1-29] 서해해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39

[그림 3-1-30] 서해해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39

[그림 3-1-31] 서해해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40

[그림 3-1-32] 서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40

[그림 3-1-33] 서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841

[그림 3-1-34] 서해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변화 842

[그림 3-1-35] 서해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와 개체수, 다양도 지수 843

[그림 3-1-36] 서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844

[그림 3-1-37] 서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845

[그림 3-1-38] 서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변화 845

[그림 3-1-39] 서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지수 846

[그림 3-1-40] 서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847

[그림 3-1-41] 서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847

[그림 3-1-42]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849

[그림 3-1-43] 서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849

[그림 3-1-44] 서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849

[그림 3-2-1] 남해 조사지역 정점도 850

[그림 3-2-2] 남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868

[그림 3-2-3] 남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871

[그림 3-2-4]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871

[그림 3-2-5] 남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878

[그림 3-2-6] 남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882

[그림 3-2-7] 남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 조성 886

[그림 3-2-8] 남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주요 우점종 886

[그림 3-2-9] 남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896

[그림 3-2-10] 남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901

[그림 3-2-11]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및 하계 어란의 분포현황 904

[그림 3-2-12]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및 하계 자치어의 분포현황 905

[그림 3-2-13] 남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910

[그림 3-2-14] 남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910

[그림 3-2-15] 남해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자치어 910

[그림 3-2-16]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자망) 917

[그림 3-2-17]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통발) 917

[그림 3-2-18] 남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917

[그림 3-2-19] 남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921

[그림 3-2-20] 남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921

[그림 3-2-21] 남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921

[그림 3-2-22] 남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자망) 924

[그림 3-2-23] 남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924

[그림 3-2-24] 남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924

[그림 3-2-25] 남해해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5

[그림 3-2-26] 남해해역의 입자성 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5

[그림 3-2-27] 남해해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6

[그림 3-2-28] 남해해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6

[그림 3-2-29] 남해해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6

[그림 3-2-30] 남해해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7

[그림 3-2-31] 남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7

[그림 3-2-32] 남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928

[그림 3-2-33] 남해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변화 929

[그림 3-2-34] 남해해역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와 개체수, 다양도 지수 930

[그림 3-2-35] 남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931

[그림 3-2-36] 남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931

[그림 3-2-37] 남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변화 932

[그림 3-2-38] 남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지수 932

[그림 3-2-39] 남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933

[그림 3-2-40] 남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933

[그림 3-2-41]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934

[그림 3-2-42] 남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935

[그림 3-2-43] 남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935

[그림 3-3-1] 동해 조사지역 정점도 936

[그림 3-3-2] 동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949

[그림 3-3-3] 동해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951

[그림 3-3-4]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951

[그림 3-3-5] 동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954

[그림 3-3-6] 동해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957

[그림 3-3-7] 동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 조성 960

[그림 3-3-8] 동해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주요 우점종 960

[그림 3-3-9] 동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965

[그림 3-3-10] 동해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968

[그림 3-3-11]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및 하계 어란의 분포현황 971

[그림 3-3-12]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하계 자치어의 분포현황 972

[그림 3-3-13] 동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975

[그림 3-3-14] 동해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975

[그림 3-3-15]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어란 975

[그림 3-3-16] 동해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자치어 976

[그림 3-3-17]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자망) 982

[그림 3-3-18]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통발) 982

[그림 3-3-19]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정치망) 982

[그림 3-3-20] 동해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983

[그림 3-3-21]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986

[그림 3-3-22]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986

[그림 3-3-23] 동해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987

[그림 3-3-24]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자망) 990

[그림 3-3-25]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990

[그림 3-3-26]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종 조성(정치망) 990

[그림 3-3-27] 동해해역의 춘·하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991

[그림 3-3-28] 동해해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2

[그림 3-3-29] 동해해역의 입자성 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2

[그림 3-3-30] 동해해역의 입자성 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2

[그림 3-3-31] 동해해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3

[그림 3-3-32] 동해해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3

[그림 3-3-33] 동해해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4

[그림 3-3-34] 동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4

[그림 3-3-35] 동해해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995

[그림 3-3-36] 동해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변화 996

[그림 3-3-37] 동해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와 개체수, 다양도 지수 997

[그림 3-3-38] 동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998

[그림 3-3-39] 동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998

[그림 3-3-40] 동해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변화 999

[그림 3-3-41] 동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지수 999

[그림 3-3-42] 동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000

[그림 3-3-43] 동해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000

[그림 3-3-44]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002

[그림 3-3-45] 동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002

[그림 3-3-46] 동해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002

[그림 3-4-1] 제주 조사지역 정점도 1003

[그림 3-4-2] 제주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1010

[그림 3-4-3] 제주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1011

[그림 3-4-4]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011

[그림 3-4-5] 제주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1013

[그림 3-4-6] 제주해역의 춘·하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015

[그림 3-4-7] 제주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종 조성 1017

[그림 3-4-8] 제주해역의 춘계 선충류, 요각류 주요 우점종 1018

[그림 3-4-9] 제주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021

[그림 3-4-10] 제주해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1022

[그림 3-4-11]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및 하계 어란의 분포현황 1025

[그림 3-4-12]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춘계 및 하계 자치어의 분포현황 1026

[그림 3-4-13] 제주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1028

[그림 3-4-14] 제주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028

[그림 3-4-15] 제주해역에서 출현한 춘·하계 주요 어란 1028

[그림 3-4-16] 제주해역의 춘·하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029

[그림 3-4-17]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자망) 1030

[그림 3-4-18]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종 조성(통발) 1031

[그림 3-4-19] 제주해역의 춘·하계 어류 주요 우점종 1031

[그림 3-4-20] 제주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1033

[그림 3-4-21] 제주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1033

[그림 3-4-22] 제주해역의 춘·하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1034

[그림 3-4-23] 제주해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2016~2017년) 1035

[그림 3-4-24] 제주해역의 입자성 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5

[그림 3-4-25] 제주해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6

[그림 3-4-26] 제주해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6

[그림 3-4-27] 제주해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6

[그림 3-4-28] 제주해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7

[그림 3-4-29] 제주해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7

[그림 3-4-30] 제주해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038

[그림 3-4-31] 제주해역 식물플랑크톤 변화 1039

[그림 3-4-32] 제주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수와 개체수, 다양도 지수 1040

[그림 3-4-33] 제주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1041

[그림 3-4-34] 제주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1041

[그림 3-4-35] 제주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출현 종수 변화 1042

[그림 3-4-36] 제주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지수 1042

[그림 3-4-37] 제주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043

[그림 3-4-38] 제주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043

[그림 3-4-39]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045

[그림 3-4-40] 제주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045

[그림 3-4-41] 제주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045

[그림 4-1-1] 조사지역 정점도 1048

[그림 4-1-2]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비율 1059

[그림 4-1-3]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비율 1059

[그림 4-1-4] 한강하구역의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061

[그림 4-1-5]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의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 1065

[그림 4-1-6]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068

[그림 4-1-7] 한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분류군 수 1069

[그림 4-1-8] 한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073

[그림 4-1-9] 한강하구역의 동·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1076

[그림 4-1-10]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 현황 1079

[그림 4-1-11]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량 현황 1079

[그림 4-1-12]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 현황 1080

[그림 4-1-13]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량 현황 1080

[그림 4-1-14] 한강하구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1083

[그림 4-1-15]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084

[그림 4-1-16]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계 주요 어란 1084

[그림 4-1-17] 한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자치어 1085

[그림 4-1-18]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자망) 1088

[그림 4-1-19]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통발) 1088

[그림 4-1-20]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주요 우점종 1089

[그림 4-1-21]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1090

[그림 4-1-22]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1091

[그림 4-1-23]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1091

[그림 4-1-24]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자망) 1092

[그림 4-1-25]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1093

[그림 4-1-26] 한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1093

[그림 4-1-27] 한강하구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4

[그림 4-1-28] 한강하구역의 입자성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5

[그림 4-1-29] 한강하구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5

[그림 4-1-30] 한강하구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5

[그림 4-1-31] 한강하구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6

[그림 4-1-32] 한강하구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6

[그림 4-1-33] 한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7

[그림 4-1-34] 한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098

[그림 4-1-35] 조사기간별 식물플랑크톤 변화 1099

[그림 4-1-36] 한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 수와 개체수 및 다양도 지수 1100

[그림 4-1-37] 한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101

[그림 4-1-38] 한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101

[그림 4-1-39]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103

[그림 4-1-40] 한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103

[그림 4-1-41] 한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103

[그림 4-2-1] 조사지역 정점도 1104

[그림 4-2-2] 금강하구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비율 1115

[그림 4-2-3] 금강하구역의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비율 1117

[그림 4-2-4] 금강하구역의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117

[그림 4-2-5]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 1121

[그림 4-2-6]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124

[그림 4-2-7] 금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분류군 수 1125

[그림 4-2-8] 금강하구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129

[그림 4-2-9] 금강하구역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1132

[그림 4-2-10]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 현황 1135

[그림 4-2-11]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량 현황 1136

[그림 4-2-12]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 현황 1137

[그림 4-2-13]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량 현황 1138

[그림 4-2-14] 금강하구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1141

[그림 4-2-15] 금강하구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142

[그림 4-2-16]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어란 1142

[그림 4-2-17] 금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자치어 1143

[그림 4-2-18]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자망) 1146

[그림 4-2-19]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통발) 1146

[그림 4-2-20]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주요 우점종 1147

[그림 4-2-21]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1148

[그림 4-2-22]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1148

[그림 4-2-23]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1149

[그림 4-2-24]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자망) 1150

[그림 4-2-25]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1150

[그림 4-2-26] 금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1151

[그림 4-2-27] 금강하구역의 용존산소 포화도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2

[그림 4-2-28] 금강하구역의 입자성 유기탄소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3

[그림 4-2-29] 금강하구역의 입자성 유기질소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3

[그림 4-2-30] 금강하구역의 용존무기질소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3

[그림 4-2-31] 금강하구역의 용존무기인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4

[그림 4-2-32] 금강하구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4

[그림 4-2-33] 금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5

[그림 4-2-34] 금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의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156

[그림 4-2-35] 금강하구역의 조사기간별 식물플랑크톤 변화 1158

[그림 4-2-36] 금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수 및 개체수, 다양도 지수 1159

[그림 4-2-37] 금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160

[그림 4-2-38] 금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및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160

[그림 4-2-39]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162

[그림 4-2-40] 금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162

[그림 4-2-41] 금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162

[그림 4-3-1] 조사지역 정점도 1163

[그림 4-3-2] 낙동강하구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비율 1174

[그림 4-3-3]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176

[그림 4-3-4]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 1180

[그림 4-3-5]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183

[그림 4-3-6] 낙동강하구역의 고정정점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와 분류군 수 1184

[그림 4-3-7]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188

[그림 4-3-8] 낙동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1192

[그림 4-3-9]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 현황 1195

[그림 4-3-10]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량 현황 1196

[그림 4-3-11]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 현황 1197

[그림 4-3-12]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량 현황 1198

[그림 4-3-13] 낙동강하구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1203

[그림 4-3-14] 낙동강하구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203

[그림 4-3-15]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어란 1204

[그림 4-3-16] 낙동강하구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자치어 1205

[그림 4-3-17]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자망) 1209

[그림 4-3-18]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통발) 1210

[그림 4-3-19]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주요 우점종 1210

[그림 4-3-20]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자망) 1212

[그림 4-3-21]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1212

[그림 4-3-22]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1213

[그림 4-3-23]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1214

[그림 4-3-24] 낙동강하구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1215

[그림 4-3-25] 낙동강하구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16

[그림 4-3-26] 낙동강하구역의 입자성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17

[그림 4-3-27] 낙동강하구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17

[그림 4-3-28] 낙동강하구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17

[그림 4-3-29] 낙동강하구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18

[그림 4-3-30] 낙동강하구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218

[그림 4-3-31] 낙동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219

[그림 4-3-32] 낙동강하구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220

[그림 4-3-33] 낙동강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변화 1221

[그림 4-3-34] 낙동강하구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와 분류군 수, 다양도 지수 1223

[그림 4-3-35] 낙동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224

[그림 4-3-36] 낙동강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224

[그림 4-3-37]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226

[그림 4-3-38] 낙동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226

[그림 4-3-39] 낙동강하구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226

[그림 4-4-1] 조사지역 정점도 1227

[그림 4-4-2] 동해용승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비율 1237

[그림 4-4-3] 동해용승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비율 1237

[그림 4-4-4] 동해용승해역의 춘·하계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239

[그림 4-4-5]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종 조성 1243

[그림 4-4-6]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1246

[그림 4-4-7] 동해용승해역의 2017년 동·춘·하·추계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251

[그림 4-4-8] 동해용승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 1254

[그림 4-4-9]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 종수 현황 1257

[그림 4-4-10]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출현량 현황 1258

[그림 4-4-11]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 종수 현황 1259

[그림 4-4-12]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출현량 현황 1260

[그림 4-4-13] 동해용승해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1263

[그림 4-4-14] 동해용승해역에서의 동·춘·하·추계 조사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1264

[그림 4-4-15]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어란 1264

[그림 4-4-16] 동해용승해역에서 출현한 동·춘·하·추계 주요 자치어 1265

[그림 4-4-17]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자망) 1268

[그림 4-4-18]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종 조성(통발) 1268

[그림 4-4-19]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어류 주요 우점종 1269

[그림 4-4-20]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종 조성(통발) 1270

[그림 4-4-21]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갑각류 주요 우점종 1271

[그림 4-4-22]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종 조성(통발) 1272

[그림 4-4-23] 동해용승해역의 동·춘·하·추계 두족류 주요 우점종 1272

[그림 4-4-24] 동해용승해역의 용존산소 포화도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3

[그림 4-4-25] 동해용승해역의 입자성유기탄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4

[그림 4-4-26] 동해용승해역의 입자성유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4

[그림 4-4-27] 동해용승해역의 용존무기질소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4

[그림 4-4-28] 동해용승해역의 용존무기인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5

[그림 4-4-29] 동해용승해역의 해양 수질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5

[그림 4-4-30] 동해용승해역의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시계열 변화(2015~2017년) 1276

[그림 4-4-31] 동해용승해역의 해양 퇴적물 중금속 항목 시계열 변화(2016~2017년) 1277

[그림 4-4-32] 조사기간별 식물플랑크톤 변화 1278

[그림 4-4-33] 동해용승해역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및 분류군 수, 다양도 지수 1279

[그림 4-4-34] 동해용승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 종수(좌) 및 서식밀도(우)의 변화 1280

[그림 4-4-35] 동해용승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생물량(좌), 다양도 지수(우)의 변화 1280

[그림 4-4-36] 조사시기별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 종수 및 총 출현량 변화 1282

[그림 4-4-37] 동해용승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자망) 1282

[그림 4-4-38] 동해용승해역 어류의 개체수(좌) 및 생체량(우) 변화(통발) 1282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조사개요 1302

제1절 조사개요 1304

제2절 조사내용 및 범위 1304

II. 주요현황 1308

제1절 기본조사 1310

1. 암반무척추동물 1310

2. 해조류 1311

3. 해조류(잘피) 1312

제2절 핵심공간조사 1314

1. 암반무척추동물 1314

2. 산호 1315

3. 해조류 1316

4. 어류 1317

III. 지역별 조사결과 1318

제1절 서해 1320

1. 대이작도(WR-1) 1321

2. 태안 격렬비열도(WR-2) 1330

3. 보령 호도(WR-3) 1337

4. 군산 관리도(WR-4) 1344

5. 신안 우이도(WR-5) 1352

6. 신안 가거도(WR-6) 1359

제2절 남해 1366

1. 완도 청산도(SR-1) 1367

2. 고흥 거금도(SR-2) 1375

3. 여수 거문도(SR-3) 1383

4. 진도 상하조도(SR-5) 1392

5. 고흥 나로도(SR-6) 1400

6. 남해 미조도(SR-7) 1408

7. 거제 지심도(SR-9) 1416

제3절 제주 1423

1. 귀덕항(JR-2) 1424

2. 추자도(JR-6) 1431

제4절 동해 1439

1. 울진 나곡리(ER-4) 1440

2. 울진 거일리(ER-6) 1448

3. 경주 오류리(ER-9) 1456

4. 동섬(ER-11) 1463

5. 고성 초도(ER-12) 1471

6. 양양 기사문(ER-14) 1479

7. 삼척 후진(ER-16) 1487

IV. 핵심공간 1494

제1절 남형제섬 1496

제2절 문섬 1506

제3절 울진 왕돌초 1516

제4절 울릉도 1525

제5절 독도 1534

V. 참고문헌 1542

〈표 1-2-1〉 암반생태계 조사 세부내용 1304

〈표 1-2-2〉 2017년 암반생태계 조사정점 및 조사시기 1305

〈표 3-1-1〉 대이작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21

〈표 3-1-2〉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22

〈표 3-1-3〉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22

〈표 3-1-4〉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22

〈표 3-1-5〉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23

〈표 3-1-6〉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23

〈표 3-1-7〉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23

〈표 3-1-8〉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24

〈표 3-1-9〉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25

〈표 3-1-10〉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26

〈표 3-1-11〉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26

〈표 3-1-12〉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26

〈표 3-1-13〉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26

〈표 3-1-14〉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27

〈표 3-1-15〉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28

〈표 3-1-16〉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28

〈표 3-1-17〉 대이작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29

〈표 3-1-18〉 대이작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29

〈표 3-1-19〉 태안 격렬비열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30

〈표 3-1-20〉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31

〈표 3-1-21〉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31

〈표 3-1-22〉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31

〈표 3-1-23〉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32

〈표 3-1-24〉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32

〈표 3-1-25〉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32

〈표 3-1-26〉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33

〈표 3-1-27〉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34

〈표 3-1-28〉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35

〈표 3-1-29〉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35

〈표 3-1-30〉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35

〈표 3-1-31〉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35

〈표 3-1-32〉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36

〈표 3-1-33〉 보령 호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37

〈표 3-1-34〉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38

〈표 3-1-35〉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38

〈표 3-1-36〉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38

〈표 3-1-37〉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39

〈표 3-1-38〉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39

〈표 3-1-39〉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39

〈표 3-1-40〉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40

〈표 3-1-41〉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41

〈표 3-1-42〉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42

〈표 3-1-43〉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42

〈표 3-1-44〉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42

〈표 3-1-45〉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42

〈표 3-1-46〉 보령 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43

〈표 3-1-47〉 군산 관리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44

〈표 3-1-48〉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45

〈표 3-1-49〉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45

〈표 3-1-50〉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45

〈표 3-1-51〉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46

〈표 3-1-52〉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46

〈표 3-1-53〉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46

〈표 3-1-54〉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47

〈표 3-1-55〉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48

〈표 3-1-56〉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49

〈표 3-1-57〉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49

〈표 3-1-58〉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49

〈표 3-1-59〉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49

〈표 3-1-60〉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 위 우점종 1350

〈표 3-1-61〉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51

〈표 3-1-62〉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51

〈표 3-1-63〉 군산 관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51

〈표 3-1-64〉 군산 관리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51

〈표 3-1-65〉 신안 우이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52

〈표 3-1-66〉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53

〈표 3-1-67〉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53

〈표 3-1-68〉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53

〈표 3-1-69〉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54

〈표 3-1-70〉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54

〈표 3-1-71〉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54

〈표 3-1-72〉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55

〈표 3-1-73〉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56

〈표 3-1-74〉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57

〈표 3-1-75〉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57

〈표 3-1-76〉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57

〈표 3-1-77〉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57

〈표 3-1-78〉 신안 우이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58

〈표 3-1-79〉 신안 가거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59

〈표 3-1-80〉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60

〈표 3-1-81〉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60

〈표 3-1-82〉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61

〈표 3-1-83〉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61

〈표 3-1-84〉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61

〈표 3-1-85〉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62

〈표 3-1-86〉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62

〈표 3-1-87〉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63

〈표 3-1-88〉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64

〈표 3-1-89〉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64

〈표 3-1-90〉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64

〈표 3-1-91〉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64

〈표 3-1-92〉 신안 가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65

〈표 3-2-1〉 완도 청산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67

〈표 3-2-2〉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68

〈표 3-2-3〉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68

〈표 3-2-4〉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68

〈표 3-2-5〉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69

〈표 3-2-6〉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69

〈표 3-2-7〉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69

〈표 3-2-8〉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70

〈표 3-2-9〉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71

〈표 3-2-10〉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72

〈표 3-2-11〉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72

〈표 3-2-12〉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72

〈표 3-2-13〉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72

〈표 3-2-14〉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73

〈표 3-2-15〉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74

〈표 3-2-16〉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74

〈표 3-2-17〉 완도 청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74

〈표 3-2-18〉 완도 청산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74

〈표 3-2-19〉 고흥 거금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75

〈표 3-2-20〉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76

〈표 3-2-21〉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76

〈표 3-2-22〉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76

〈표 3-2-23〉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77

〈표 3-2-24〉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77

〈표 3-2-25〉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77

〈표 3-2-26〉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78

〈표 3-2-27〉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79

〈표 3-2-28〉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80

〈표 3-2-29〉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80

〈표 3-2-30〉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80

〈표 3-2-31〉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80

〈표 3-2-32〉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81

〈표 3-2-33〉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82

〈표 3-2-34〉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82

〈표 3-2-35〉 고흥 거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82

〈표 3-2-36〉 고흥 거금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82

〈표 3-2-37〉 여수 거문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83

〈표 3-2-38〉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84

〈표 3-2-39〉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84

〈표 3-2-40〉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84

〈표 3-2-41〉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85

〈표 3-2-42〉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85

〈표 3-2-43〉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85

〈표 3-2-44〉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86

〈표 3-2-45〉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87

〈표 3-2-46〉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88

〈표 3-2-47〉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88

〈표 3-2-48〉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88

〈표 3-2-49〉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88

〈표 3-2-50〉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89

〈표 3-2-51〉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90

〈표 3-2-52〉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90

〈표 3-2-53〉 여수 거문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91

〈표 3-2-54〉 여수 거문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91

〈표 3-2-55〉 진도 상하조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392

〈표 3-2-56〉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93

〈표 3-2-57〉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93

〈표 3-2-58〉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93

〈표 3-2-59〉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394

〈표 3-2-60〉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394

〈표 3-2-61〉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394

〈표 3-2-62〉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395

〈표 3-2-63〉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96

〈표 3-2-64〉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397

〈표 3-2-65〉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397

〈표 3-2-66〉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397

〈표 3-2-67〉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397

〈표 3-2-68〉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398

〈표 3-2-69〉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399

〈표 3-2-70〉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399

〈표 3-2-71〉 진도 상하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399

〈표 3-2-72〉 진도 상하조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399

〈표 3-2-73〉 고흥 나로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00

〈표 3-2-74〉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01

〈표 3-2-75〉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01

〈표 3-2-76〉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01

〈표 3-2-77〉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02

〈표 3-2-78〉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02

〈표 3-2-79〉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02

〈표 3-2-80〉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03

〈표 3-2-81〉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04

〈표 3-2-82〉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05

〈표 3-2-83〉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05

〈표 3-2-84〉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05

〈표 3-2-85〉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05

〈표 3-2-86〉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06

〈표 3-2-87〉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07

〈표 3-2-88〉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07

〈표 3-2-89〉 고흥 나로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07

〈표 3-2-90〉 고흥 나로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07

〈표 3-2-91〉 남해 미조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08

〈표 3-2-92〉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09

〈표 3-2-93〉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09

〈표 3-2-94〉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09

〈표 3-2-95〉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10

〈표 3-2-96〉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10

〈표 3-2-97〉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10

〈표 3-2-98〉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11

〈표 3-2-99〉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12

〈표 3-2-100〉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13

〈표 3-2-101〉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13

〈표 3-2-102〉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13

〈표 3-2-103〉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13

〈표 3-2-104〉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14

〈표 3-2-105〉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15

〈표 3-2-106〉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15

〈표 3-2-107〉 남해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15

〈표 3-2-108〉 남해 미조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15

〈표 3-2-109〉 거제 지심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16

〈표 3-2-110〉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17

〈표 3-2-111〉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17

〈표 3-2-112〉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17

〈표 3-2-113〉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18

〈표 3-2-114〉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18

〈표 3-2-115〉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18

〈표 3-2-116〉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19

〈표 3-2-117〉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20

〈표 3-2-118〉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21

〈표 3-2-119〉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21

〈표 3-2-120〉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21

〈표 3-2-121〉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21

〈표 3-2-122〉 거제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22

〈표 3-3-1〉 귀덕항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24

〈표 3-3-2〉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25

〈표 3-3-3〉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25

〈표 3-3-4〉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25

〈표 3-3-5〉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26

〈표 3-3-6〉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26

〈표 3-3-7〉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26

〈표 3-3-8〉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27

〈표 3-3-9〉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28

〈표 3-3-10〉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29

〈표 3-3-11〉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29

〈표 3-3-12〉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29

〈표 3-3-13〉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29

〈표 3-3-14〉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30

〈표 3-3-15〉 추자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31

〈표 3-3-16〉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32

〈표 3-3-17〉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32

〈표 3-3-18〉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32

〈표 3-3-19〉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33

〈표 3-3-20〉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33

〈표 3-3-21〉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33

〈표 3-3-22〉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34

〈표 3-3-23〉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35

〈표 3-3-24〉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36

〈표 3-3-25〉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36

〈표 3-3-26〉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36

〈표 3-3-27〉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36

〈표 3-3-29〉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38

〈표 3-3-30〉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38

〈표 3-3-31〉 추자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38

〈표 3-3-32〉 추자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38

〈표 3-4-1〉 울진 나곡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40

〈표 3-4-2〉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41

〈표 3-4-3〉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41

〈표 3-4-4〉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41

〈표 3-4-5〉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42

〈표 3-4-6〉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42

〈표 3-4-7〉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42

〈표 3-4-8〉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43

〈표 3-4-9〉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44

〈표 3-4-10〉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45

〈표 3-4-11〉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45

〈표 3-4-12〉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45

〈표 3-4-13〉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45

〈표 3-4-14〉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46

〈표 3-4-15〉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47

〈표 3-4-16〉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47

〈표 3-4-17〉 울진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47

〈표 3-4-18〉 울진 나곡리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47

〈표 3-4-19〉 울진 거일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48

〈표 3-4-20〉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49

〈표 3-4-21〉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49

〈표 3-4-22〉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49

〈표 3-4-23〉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50

〈표 3-4-24〉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50

〈표 3-4-25〉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50

〈표 3-4-26〉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51

〈표 3-4-27〉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52

〈표 3-4-28〉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53

〈표 3-4-29〉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53

〈표 3-4-30〉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53

〈표 3-4-31〉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53

〈표 3-4-32〉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54

〈표 3-4-33〉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55

〈표 3-4-34〉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55

〈표 3-4-35〉 울진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55

〈표 3-4-36〉 울진 거일리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55

〈표 3-4-37〉 경주 오류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56

〈표 3-4-38〉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57

〈표 3-4-39〉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57

〈표 3-4-40〉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57

〈표 3-4-41〉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58

〈표 3-4-42〉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58

〈표 3-4-43〉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58

〈표 3-4-44〉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59

〈표 3-4-45〉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60

〈표 3-4-46〉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61

〈표 3-4-47〉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61

〈표 3-4-48〉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61

〈표 3-4-49〉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61

〈표 3-4-50〉 경주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62

〈표 3-4-51〉 동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63

〈표 3-4-52〉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64

〈표 3-4-53〉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64

〈표 3-4-54〉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64

〈표 3-4-55〉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65

〈표 3-4-56〉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65

〈표 3-4-57〉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65

〈표 3-4-58〉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66

〈표 3-4-59〉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67

〈표 3-4-60〉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68

〈표 3-4-61〉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68

〈표 3-4-62〉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68

〈표 3-4-63〉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68

〈표 3-4-64〉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69

〈표 3-4-65〉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70

〈표 3-4-66〉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70

〈표 3-4-67〉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70

〈표 3-4-68〉 동섬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70

〈표 3-4-69〉 고성 초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71

〈표 3-4-70〉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72

〈표 3-4-71〉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72

〈표 3-4-72〉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72

〈표 3-4-73〉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73

〈표 3-4-74〉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73

〈표 3-4-75〉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73

〈표 3-4-76〉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74

〈표 3-4-77〉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75

〈표 3-4-78〉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76

〈표 3-4-79〉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76

〈표 3-4-80〉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76

〈표 3-4-81〉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76

〈표 3-4-82〉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77

〈표 3-4-83〉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78

〈표 3-4-84〉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78

〈표 3-4-85〉 고성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78

〈표 3-4-86〉 고성 초도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78

〈표 3-4-87〉 양양 기사문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79

〈표 3-4-88〉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80

〈표 3-4-89〉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80

〈표 3-4-90〉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80

〈표 3-4-91〉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81

〈표 3-4-92〉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81

〈표 3-4-93〉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81

〈표 3-4-94〉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82

〈표 3-4-95〉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83

〈표 3-4-96〉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84

〈표 3-4-97〉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84

〈표 3-4-98〉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84

〈표 3-4-99〉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84

〈표 3-4-100〉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85

〈표 3-4-101〉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서식밀도 1486

〈표 3-4-102〉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생체량 1486

〈표 3-4-103〉 양양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해초류의 형태적 특성 1486

〈표 3-4-104〉 양양 기사문 해역 해초류 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1486

〈표 3-4-105〉 삼척 후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87

〈표 3-4-106〉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88

〈표 3-4-107〉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88

〈표 3-4-108〉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88

〈표 3-4-109〉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양상 1489

〈표 3-4-110〉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1489

〈표 3-4-111〉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1489

〈표 3-4-112〉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1490

〈표 3-4-113〉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91

〈표 3-4-114〉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해조류의 생체량 1492

〈표 3-4-115〉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출현 종수 1492

〈표 3-4-116〉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해조류의 생체량 1492

〈표 3-4-117〉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생태지수 1492

〈표 3-4-118〉 삼척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해조류의 상위 3위 우점종 1493

〈표 4-1-1〉 남형제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496

〈표 4-1-2〉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497

〈표 4-1-3〉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497

〈표 4-1-4〉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498

〈표 4-1-5〉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498

〈표 4-1-6〉 남형제섬 해역의 단각류 수심별 우점종(개체수) 1498

〈표 4-1-7〉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시기별 평균피도, 생체량, 밀도 1498

〈표 4-1-8〉 남형제섬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00

〈표 4-1-9〉 남형제섬 해역에서 출현한 산호충류 보호대상해양생물 1500

〈표 4-1-10〉 남형제섬 해역의 산호충류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밀도 1501

〈표 4-1-11〉 남형제섬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501

〈표 4-1-12〉 남형제섬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조사시기별 출현 종수 1503

〈표 4-1-13〉 남형제섬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 1504

〈표 4-1-14〉 남형제섬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504

〈표 4-1-15〉 남형제섬 해역의 조하대 해조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504

〈표 4-1-16〉 남형제섬 해역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 종수 및 우점종 1505

〈표 4-2-1〉 문섬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506

〈표 4-2-2〉 문섬 해역의 암반 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07

〈표 4-2-3〉 문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507

〈표 4-2-4〉 문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507

〈표 4-2-5〉 문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508

〈표 4-2-6〉 문섬 해역의 단각류 수심별 우점종(개체수) 1508

〈표 4-2-7〉 문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생물량, 밀도 1508

〈표 4-2-8〉 문섬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10

〈표 4-2-9〉 문섬 해역에서 출현한 산호충류 보호대상해양생물 목록 1511

〈표 4-2-10〉 문섬 해역의 산호충류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밀도 1511

〈표 4-2-11〉 문섬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512

〈표 4-2-12〉 문섬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조사시기별 출현 종수 1513

〈표 4-2-13〉 문섬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 1514

〈표 4-2-14〉 문섬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514

〈표 4-2-15〉 문섬 해역의 조하대 해조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514

〈표 4-2-16〉 문섬 해역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 종수 및 우점종 1515

〈표 4-3-1〉 울진 왕돌초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516

〈표 4-3-2〉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17

〈표 4-3-3〉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517

〈표 4-3-4〉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518

〈표 4-3-5〉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518

〈표 4-3-6〉 울진 왕돌초 해역의 단각류 수심별 우점종(개체수) 1518

〈표 4-3-7〉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시기별 평균피도, 생물량, 밀도 1518

〈표 4-3-8〉 울진 왕돌초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20

〈표 4-3-9〉 울진 왕돌초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521

〈표 4-3-10〉 울진 왕돌초 해역의 산호충류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밀도 1521

〈표 4-3-11〉 울진 왕돌초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22

〈표 4-3-12〉 울진 왕돌초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 1523

〈표 4-3-13〉 울진 왕돌초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523

〈표 4-3-14〉 울진 왕돌초 해역의 조하대 해조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523

〈표 4-3-15〉 울진 왕돌초 해역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524

〈표 4-4-1〉 울릉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525

〈표 4-4-2〉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26

〈표 4-4-3〉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526

〈표 4-4-4〉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527

〈표 4-4-5〉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527

〈표 4-4-6〉 울릉도 해역의 단각류 수심별 우점종(개체수) 1527

〈표 4-4-7〉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시기별 평균피도, 생체량, 밀도 1527

〈표 4-4-8〉 울릉도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29

〈표 4-4-9〉 울릉도 해역의 산호충류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밀도 1530

〈표 4-4-10〉 울릉도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530

〈표 4-4-11〉 울릉도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31

〈표 4-4-12〉 울릉도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 1532

〈표 4-4-13〉 울릉도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532

〈표 4-4-14〉 울릉도 해역의 조하대 해조류 조사 시기별 R/P와 (R+C)/P 값 1532

〈표 4-4-15〉 울릉도 해역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533

〈표 4-5-1〉 독도 조사해역의 위경도 및 정점도 1534

〈표 4-5-2〉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35

〈표 4-5-3〉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535

〈표 4-5-4〉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535

〈표 4-5-5〉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535

〈표 4-5-6〉 독도 해역의 단각류 수심별 우점종(개체수) 1536

〈표 4-5-7〉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시기별 평균피도, 생체량, 밀도 1536

〈표 4-5-8〉 독도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37

〈표 4-5-9〉 독도 해역의 산호충류 조사시기별 평균피도, 밀도 1538

〈표 4-5-10〉 독도 해역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538

〈표 4-5-11〉 독도 해역의 해조류의 분류군별, 정점별 출현 종수 1539

〈표 4-5-12〉 독도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 1540

〈표 4-5-13〉 독도 해역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540

〈표 4-5-14〉 독도 해역의 조하대 해조류 조사 시기별 R/P와 (R+C)/P 값 1540

〈표 4-5-15〉 독도 해역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541

[그림 1-2-1] 암반생태계 기본조사 정점도 1306

[그림 1-2-2] 암반생태계 핵심공간조사 정점도 1307

[그림 2-1-1] 기본조사 암반무척추동물 주요 분포현황 1310

[그림 2-1-2] 기본조사 해조류 주요 분포현황 1311

[그림 2-1-3] 기본조사 해초류 주요 분포현황(밀도) 1312

[그림 2-1-4] 기본조사 해초류 주요 분포현황(생체량) 1313

[그림 2-2-1] 핵심공간조사 암반무척추동물 주요 분포현황 1314

[그림 2-2-2] 핵심공간조사 산호충류 주요 분포현황 1315

[그림 2-2-3] 핵심공간조사 해조류 주요 분포현황 1316

[그림 2-2-4] 핵심공간조사 어류 주요 분포현황 1317

[그림 3-1-1] 서해 조사지역 정점도 1320

[그림 3-1-2] 대이작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24

[그림 3-1-3] 대이작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27

[그림 3-1-4] 대이작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29

[그림 3-1-5]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33

[그림 3-1-6] 태안 격렬비열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36

[그림 3-1-7] 보령 호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40

[그림 3-1-8] 보령 호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43

[그림 3-1-9] 군산 관리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47

[그림 3-1-10] 군산 관리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50

[그림 3-1-11] 군산 관리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51

[그림 3-1-12] 신안 우이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55

[그림 3-1-13] 신안 우이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58

[그림 3-1-14] 신안 가거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62

[그림 3-1-15] 신안 가거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65

[그림 3-2-1] 남해 조사지역 정점도 1366

[그림 3-2-2] 완도 청산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70

[그림 3-2-3] 완도 청산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73

[그림 3-2-4] 완도 청산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74

[그림 3-2-5] 고흥 거금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78

[그림 3-2-6] 고흥 거금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81

[그림 3-2-7] 고흥 거금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82

[그림 3-2-8] 여수 거문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86

[그림 3-2-9] 여수 거문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89

[그림 3-2-10] 여수 거문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91

[그림 3-2-11] 진도 상하조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395

[그림 3-2-12] 진도 상하조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398

[그림 3-2-13] 진도 상하조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399

[그림 3-2-14] 고흥 나로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03

[그림 3-2-15] 고흥 나로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06

[그림 3-2-16] 고흥 나로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07

[그림 3-2-17] 남해 미조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11

[그림 3-2-18] 남해 미조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14

[그림 3-2-19] 남해 미조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15

[그림 3-2-20] 거제 지심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19

[그림 3-2-21] 거제 지심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22

[그림 3-3-1] 제주 조사지역 정점도 1423

[그림 3-3-2] 귀덕항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27

[그림 3-3-3] 귀덕항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30

[그림 3-3-4] 추자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34

[그림 3-3-5] 추자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37

[그림 3-3-6] 추자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38

[그림 3-4-1] 동해 조사지역 정점도 1439

[그림 3-4-2] 울진 나곡리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43

[그림 3-4-3] 울진 나곡리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46

[그림 3-4-4] 울진 나곡리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47

[그림 3-4-5] 울진 거일리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51

[그림 3-4-6] 울진 거일리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54

[그림 3-4-7] 울진 거일리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55

[그림 3-4-8] 경주 오류리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59

[그림 3-4-9] 경주 오류리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62

[그림 3-4-10] 동섬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66

[그림 3-4-11] 동섬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69

[그림 3-4-12] 동섬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70

[그림 3-4-13] 고성 초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74

[그림 3-4-14] 고성 초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77

[그림 3-4-15] 고성 초도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78

[그림 3-4-16] 양양 기사문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82

[그림 3-4-17] 양양 기사문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85

[그림 3-4-18] 양양 기사문 해역 해초류 분포도 및 출현종 1486

[그림 3-4-19] 삼척 후진 해역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490

[그림 3-4-20] 삼척 후진 해역 해조류의 우점종 1493

[그림 4-1-1] 남형제섬 해역의 분류군별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비 1499

[그림 4-1-2] 남형제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수심별 우점종 피도 1499

[그림 4-1-3] 남형제섬 해역의 보호대상해양생물... 1501

[그림 4-1-4] 남형제섬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비 1502

[그림 4-1-5] 남형제섬 해역의 산호충류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02

[그림 4-1-6] 남형제섬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 종수 1503

[그림 4-1-7] 남형제섬 해역에서 우점하는 해조류(A : 부챗말(Padina arborescens), B : 곰피(Ecklonia stolonifera)) 1504

[그림 4-2-1] 문섬 해역의 분류군별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비 1508

[그림 4-2-2] 문섬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09

[그림 4-2-3] 문섬 해역에서 확인된 산호충류 보호대상해양생물 1511

[그림 4-2-4] 문섬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비 1512

[그림 4-2-5] 문섬 해역의 산호충류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12

[그림 4-2-6] 문섬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 종수 1513

[그림 4-2-7] 문섬 해역에서 우점하는 해조류(A : 감태(Ecklonia cava), B : 엔도오모자반(Sargassum yendoi)) 1514

[그림 4-3-1] 울진 왕돌초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나팔고둥(Charonia lampas)) 1517

[그림 4-3-2]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519

[그림 4-3-3] 울진 왕돌초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19

[그림 4-3-4] 울진 왕돌초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유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cribrosa)) 1520

[그림 4-3-5] 울진 왕돌초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비 1521

[그림 4-3-6] 울진 왕돌초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 종수 1522

[그림 4-3-7] 울진 왕돌초 해역에서 우점하는 해조류... 1523

[그림 4-4-1] 울릉도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나팔고둥(Charonia lampas)) 1526

[그림 4-4-2]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528

[그림 4-4-3] 울릉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28

[그림 4-4-4] 울릉도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유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cribrosa) 1529

[그림 4-4-5] 울릉도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비 1530

[그림 4-4-6] 울릉도 해역의 산호충류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30

[그림 4-4-7] 울릉도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 종수 1531

[그림 4-4-8] 울릉도 해역에서 우점하는 해조류(A : 줄의관말(Carpomitra costata), B : 옥덩굴(Caulerpa okamurae)) 1531

[그림 4-5-1]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536

[그림 4-5-2] 독도 해역의 암반무척추동물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36

[그림 4-5-3] 독도 해역에서 확인된 보호대상해양생물(유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cribrosa)) 1537

[그림 4-5-4] 독도 해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비 1538

[그림 4-5-5] 독도 해역의 산호충류의 수심별 우점종 피도 1538

[그림 4-5-6] 독도 해역의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 종수 1539

[그림 4-5-7] 독도 해역에서 우점하는 해조류(A : 감태(Ecklonia cava), B : 대황(Eisenia bicyclis)) 1540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조사개요 1559

제1절 조사개요 1561

II. 주요현황 1563

제1절 해양환경 1565

제2절 부유생물 1566

제3절 저서생태 1567

제4절 난·자치어 1568

III. 기본조사 조사결과 1569

제1절 서해(West Sea) 1571

제2절 남해(South Sea) 1583

제3절 동해(East Sea) 1594

제4절 동중국해(East China Sea, ECS) 1605

IV. 참고문헌 1617

〈표 1-1-1〉 근해조사(하계) 조사정점 및 조사시기 1561

〈표 1-1-2〉 2017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근해분야 조사항목 1562

〈표 3-1-1〉 서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572

〈표 3-1-2〉 서해의 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573

〈표 3-1-3〉 서해의 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573

〈표 3-1-4〉 서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573

〈표 3-1-5〉 서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574

〈표 3-1-6〉 서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위종(전체 현존량 〉 1%) 1575

〈표 3-1-7〉 서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엽록소-a 1576

〈표 3-1-8〉 서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577

〈표 3-1-9〉 서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577

〈표 3-1-10〉 서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서식밀도 및 생체량 1578

〈표 3-1-11〉 서해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579

〈표 3-1-12〉 서해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580

〈표 3-1-13〉 서해 근해 해역의 난·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현존량 1581

〈표 3-2-1〉 남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583

〈표 3-2-2〉 남해의 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584

〈표 3-2-3〉 남해의 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584

〈표 3-2-4〉 남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585

〈표 3-2-5〉 남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585

〈표 3-2-6〉 남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위종(전체 현존량 〉1%) 1586

〈표 3-2-7〉 남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엽록소-a 1587

〈표 3-2-8〉 남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588

〈표 3-2-9〉 남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588

〈표 3-2-10〉 남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서식밀도 및 생체량 1589

〈표 3-2-11〉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590

〈표 3-2-12〉 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591

〈표 3-2-13〉 남해 근해 해역의 난·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현존량 1592

〈표 3-3-1〉 동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594

〈표 3-3-2〉 동해의 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595

〈표 3-3-3〉 동해의 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596

〈표 3-3-4〉 동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596

〈표 3-3-5〉 동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596

〈표 3-3-6〉 동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위종(전체 현존량 〉1%) 1597

〈표 3-3-7〉 동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엽록소-a 1598

〈표 3-3-8〉 동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599

〈표 3-3-9〉 동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599

〈표 3-3-10〉 동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서식밀도 및 생체량 1600

〈표 3-3-11〉 동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601

〈표 3-3-12〉 동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602

〈표 3-3-13〉 동해 근해 해역의 춘·하계 난·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현존량 1603

〈표 3-4-1〉 동중국해 조사지역 위도 및 경도 1606

〈표 3-4-2〉 동중국해의 하계 해양수질 일반항목 1606

〈표 3-4-3〉 동중국해의 하계 해양수질 미량금속 1607

〈표 3-4-4〉 동중국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입도 특성 1607

〈표 3-4-5〉 동중국해의 하계 해양퇴적물 유기물 및 미량금속 1607

〈표 3-4-6〉 동중국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위종(전체 현존량 〉1%) 1608

〈표 3-4-7〉 동중국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엽록소-a 1609

〈표 3-4-8〉 동중국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우점종 1610

〈표 3-4-9〉 동중국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및 생체량 1610

〈표 3-4-10〉 동중국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종수, 종 다양성 지수(H'), 서식밀도 및 생체량 1611

〈표 3-4-11〉 동중국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612

〈표 3-4-12〉 동중국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및 생체량 우점종 1613

〈표 3-4-13〉 동중국해 해역의 난·자치어 종수, 우점종 및 현존량 1614

[그림 1-1-1] 근해생태계 조사지역도 1562

[그림 2-1-1] 해양환경 주요 분포현황 1565

[그림 2-2-1] 부유생물 주요 분포현황 1566

[그림 2-3-1] 저서생태 주요 분포현황 1567

[그림 2-4-1] 난·자치어 주요 분포현황 1568

[그림 3-1-1] 서해 조사지역 정점도 1571

[그림 3-1-2] 서해에서 관측된 수온과 염분의 관계 1574

[그림 3-1-3] 서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좌) 및 현존량(우) 조성비 1576

[그림 3-1-4] 서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종(좌) 및 개체수(우) 조성 1577

[그림 3-1-5] 서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조성 1579

[그림 3-1-6] 서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주요 분류군 및 우점종(서식밀도 기준) 1579

[그림 3-1-7] 서해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580

[그림 3-1-8] 서해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개체수 기준) 1580

[그림 3-1-9] 서해 근해 해역의 어란(좌) 및 자치어(우) 종 조성 1581

[그림 3-1-10] 서해 근해 해역의 주요 어란(위) 및 자치어(아래) 1582

[그림 3-2-1] 남해 조사지역 정점도 1583

[그림 3-2-2] 남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좌) 및 현존량(우) 조성비 1587

[그림 3-2-3] 남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종(좌) 및 개체수(우) 조성 1588

[그림 3-2-4] 남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조성 1590

[그림 3-2-5] 남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주요 분류군 및 우점종(서식밀도 기준) 1590

[그림 3-2-6] 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591

[그림 3-2-7] 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개체수 기준) 1591

[그림 3-2-8] 남해 근해 해역의 어란(좌) 및 자치어(우) 종 조성 1592

[그림 3-2-9] 남해 근해 해역의 주요 어란(위) 및 자치어(아래) 1593

[그림 3-3-1] 동해 조사지역 정점도 1594

[그림 3-3-2] 동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좌) 및 현존량(우) 조성비 1599

[그림 3-3-3] 동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종(좌) 및 개체수(우) 조성 1599

[그림 3-3-4] 동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조성 1601

[그림 3-3-5] 동해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분류군(서식밀도 기준) 1601

[그림 3-3-6] 동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602

[그림 3-3-7] 동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개체수 기준) 1602

[그림 3-3-8] 동해 근해 해역의 어란(좌) 및 자치어(우) 종 조성 1603

[그림 3-3-9] 동해 근해 해역의 주요 어란(위) 및 자치어(아래) 1604

[그림 3-4-1] 조사지역 정점도 1605

[그림 3-4-2] 동중국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좌) 및 현존량(우) 조성비 1609

[그림 3-4-3] 동중국해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종(좌) 및 개체수(우) 조성 1610

[그림 3-4-4] 동중국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조성 1612

[그림 3-4-5] 동중국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 주요 분류군(서식밀도 기준) 1612

[그림 3-4-6] 동중국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종 조성 1613

[그림 3-4-7] 동중국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주요 우점종(개체수 기준) 1613

[그림 3-4-8] 동중국해 해역의 어란(좌) 및 자치어(우) 종 조성 1615

[그림 3-4-9] 동중국해 해역의 주요 어란(위) 및 자치어(아래) 161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25229 577.7 -18-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5230 577.7 -18-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5231 577.7 -18-5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5232 577.7 -18-5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