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참여 연구진]
목차
연구요약 12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내용 및 방법 17
가. 연구내용 17
나. 연구방법 18
II. 무용영재에 관한 이론적 고찰 19
1. 무용영재의 개념 19
2. 무용영재교육의 개념 22
가. 무용영재교육의 목표 22
나. 무용영재교육의 특징 24
3. 무용영재교육의 구성 요인 26
가. 실행 : 탐구, 수행 26
나. 창작 : 표현, 창의, 감상 28
다. 소통 : 융합, 공유, 인성 31
4. 무용영재교육과정 36
가. 일반무용교육과정 36
나. 국내의 무용영재교육과정 41
다. 국외의 무용영재교육과정 71
III.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탐색 82
1.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82
가. 국내 영재교육의 등장 배경 82
나.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의미 85
다.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기능 87
2. 국내·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현황 89
가. 국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89
나.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103
3.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130
IV. 무용영재 교육프로그램 기준(안)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134
1. 연구방법 134
가. 조사대상 134
나. 조사도구 137
다. 조사절차 138
라. 자료분석 138
2. 연구결과 140
가. 델파이 조사 분석 140
V.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체계 213
1. 무용영재교육을 위한 개념정립 213
가. 무용영재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 213
나.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조작적 정의 215
다. 무용영재교육의 목표 217
라. 무용영재교육을 통한 인재상 218
2.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구성 219
가. 일반무용 교육과정 고려 219
나.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구성요소 220
다.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수준별 분류체계 224
3.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세부내용 226
가. 실행영역 226
나. 창작영역 228
다. 소통영역 229
VI. 결론 및 제언 232
참고문헌 235
부록 246
【부록 1】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1차) 248
【부록 2】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2차) 258
판권기 264
[그림 II-1] 무용영재성의 구성 요인 20
[그림 III-1] 미국영재학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미국영재학회, 2010 ; 서예원, 2014) 90
[그림 III-2] 영국의 영재교육기관의 질 기준의 구성 92
[그림 III-3]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개발 모형 112
[그림 III-4]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대영역 체계 114
[그림 III-5]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하위영역 체계 114
[그림 III-6] 음악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모형(김성혜, 2016) 127
[그림 III-7]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구성요소(김선아, 2017) 129
[그림 III-8]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 모형(이진효, 2017) 132
[그림 IV-1] 무용영재의 개념에 대한 1, 2차 분석 결과 그래프 141
[그림 IV-2]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대영역에 대한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55
[그림 IV-3]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하위영역에 대한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57
[그림 IV-4] 실행요인 중 탐구요인의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60
[그림 IV-5] 실행요인 중 수행요인의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66
[그림 IV-6] 1차 분석결과 그래프 177
[그림 IV-7]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77
[그림 IV-8] 창작요인 중 창의요인의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83
[그림 IV-9] 창작요인 중 감상요인의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89
[그림 IV-10] 1차 분석결과 그래프 196
[그림 IV-1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197
[그림 IV-12] 1차 분석결과 그래프 202
[그림 IV-13] 2차 분석결과 그래프 202
[그림 IV-14] 인성요인 중 도덕적 인성과 창의적 인성 요인의 1, 2차 분석결과 그래프 208
[그림 V-1]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구성요소 220
[그림 V-2]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수준별 체계 224
[그림 V-3] 무용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의 세부내용 22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25570 | 371.95 -18-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425571 | 371.95 -18-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