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메타게놈 정보 활용 면(점)오염 악취 및 메탄 동시 저감 소재 실용 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practical technology for simultaneous removal of odor and methane from area (point) sources using metagenome information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2017
청구기호
628.53 -18-3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ii, 329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R&D ; 2015001640003
환경융합신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 2차년도
제어번호
MONO1201847355
주기사항
총괄연구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조경숙
참고문헌: p. 323-329
영어 요약 있음
공동발행: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5

1-1. 연구개발 목적 37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0

가. 기술적 중요성 40

나. 경제·사회·산업적 중요성 42

다. 선행연구 정보 및 주요 결과 43

1-3. 연구개발 범위 50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1

2-1. 해외 기술 개발 현황 53

가. 악취 저감 기술 53

나. 메탄 저감 기술 57

2-2. 국내 기술 개발 현황 61

가. 악취 저감 기술 61

나. 메탄 저감 기술 63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65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67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67

나. 연도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68

다. 연도별 연구개발의 추진일정 70

라.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71

마. 연차별 추진체계 73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74

가. 현장 연구 대상 매립지의 악취 및 메탄 발생 정보 구축 74

나. Prototype 바이오커버 현장 1단계 연구 109

다. Prototype 바이오커버 현장 2단계 연구 174

라. 파일럿 규모 고집약 바이오커버 현장 연구 196

마. 고집약 바이오커버의 면/점오염 동시 처리 현장 연구 250

바. 생물복합섬유 개발을 위한 요소 기술 구축 263

사. Prototype 생물복합섬유 현장 연구 282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308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313

4-1. 목표달성도 315

4-2. 관련분야 기여도 319

가. 기술분야 기여도 319

나. 환경분야 기여도 319

다. 경제·산업분야 기여도 319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21

5-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323

5-2. 사업화계획 및 효과 324

가. 사업화계획 324

나. 기대효과 326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29

6-1. 바이오필터 기술 331

6-2. 바이오윈도우 기술 332

6-3. 대체 복토재 기술 333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335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39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43

9-1. 기술적 위험 요소 분석 345

9-2. 안전 관리 대책 345

가. 연구실 안전 점검 체계 및 실시 345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47

11. 기타사항 351

12. 참고문헌 355

부록(기타 부록, 지침서, 매뉴얼, 안내서, 핸드북 등)(내용없음) 18

〈표 2.1.1〉 악취저감기술 종류 및 장단점 53

〈표 2.1.2〉 악취저감기술 종류 및 특성 55

〈표 2.1.3〉 실험실 규모와 현장 규모의 바이오 커버 메탄 제거성능 비교 59

〈표 2.2.1〉 악취 방지 종합 시책 세부 실천 추진 전략 63

〈표 3.1.1〉 최종 목표 세부연구개발 내용 및 목표치 67

〈표 3.2.1〉 악취물질 시료채취 및 분석장비 요약 75

〈표 3.2.2〉 황화합물 분석 조건 76

〈표 3.2.3〉 알데하이드류 분석 조건 76

〈표 3.2.4〉 트리메틸아민 분석 조건 77

〈표 3.2.5〉 VOCs 분석 조건 77

〈표 3.2.6〉 유기산 분석조건 78

〈표 3.2.7〉 메탄 분석조건 79

〈표 3.2.8〉 광양시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현황 81

〈표 3.2.9〉 광양시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침... 82

〈표 3.2.10〉 광양시 생활폐기물 물리적... 82

〈표 3.2.11〉 매립단계별 악취 배출 농도 측정 결과 86

〈표 3.2.12〉 매립 단계 별 악취 배출 flux 측정 결과 87

〈표 3.2.13〉 측정장소 1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농도 분석 결과 89

〈표 3.2.14〉 측정장소 2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농도 분석 결과 90

〈표 3.2.15〉 측정장소 3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농도 분석 결과 91

〈표 3.2.16〉 계절별 매립지 배경 악취 농도 분석 결과 93

〈표 3.2.17〉 측정장소 1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flux 측정 결과 97

〈표 3.2.18〉 측정장소 2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flux 측정 결과 98

〈표 3.2.19〉 측정장소 3에서 매립지 배경 악취 flux 측정 결과 99

〈표 3.2.20〉 계절별 매립지 배경 악취 flux 측정 결과 100

〈표 3.2.21〉 측정장소 1에서 매립지 배경 VOCs 농도 분석 결과 103

〈표 3.2.22〉 측정장소 2에서 매립지 배경 VOCs 농도 분석 결과 104

〈표 3.2.23〉 측정장소 3에서 매립지 배경 VOCs 농도 분석 결과 105

〈표 3.2.24〉 계절별 매립지 배경 VOCs 분석 결과 106

〈표 3.2.25〉 계절별 메탄의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 평균값 및 표준편차 107

〈표 3.2.26〉 메탄 flux 측정값, 최대값, 최소값, 중간값, 평균값 및 표준편차 108

〈표 3.2.27〉 Prototype 바이오커버 충전 조건 112

〈표 3.2.28〉 대조군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 결과 119

〈표 3.2.29〉 대조군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120

〈표 3.2.30〉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122

〈표 3.2.31〉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123

〈표 3.2.32〉 Prototype 바이오커버 A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125

〈표 3.2.33〉 Prototype 바이오커버 A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결과 126

〈표 3.2.34〉 Prototype 바이오커버 A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127

〈표 3.2.35〉 Prototype 바이오커버 B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129

〈표 3.2.36〉 Prototype 바이오커버 B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결과 130

〈표 3.2.37〉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131

〈표 3.2.38〉 Prototype 바이오커버 C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133

〈표 3.2.39〉 Prototype 바이오커버 C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결과 134

〈표 3.2.40〉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135

〈표 3.2.41〉 Prototype 바이오커버 D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137

〈표 3.2.42〉 Prototype 바이오커버 D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결과 138

〈표 3.2.43〉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139

〈표 3.2.44〉 대조군(복토층 표면)과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배출되는 메탄 농도 140

〈표 3.2.45〉 바이오커버 A, B, C, D의 메탄 제거능 141

〈표 3.2.46〉 바이오커버 충전재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147

〈표 3.2.47〉 1단계 바이오커버의 계절별 물리화학적 특성 148

〈표 3.2.48〉 NMS 배지 조성 149

〈표 3.2.49〉 Trace element 조성 149

〈표 3.2.50〉 악취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결과(120일 차) 151

〈표 3.2.51〉 악취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결과(178일차) 153

〈표 3.2.52〉 사용된 MlD 프라이머의 열기서열 정보 155

〈표 3.2.53〉 MID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155

〈표 3.2.54〉 qRT-PCR의 master mix 조... 155

〈표 3.2.55〉 일반 PCR용 1.5% agarose... 155

〈표 3.2.56〉 2% low melting agarose... 155

〈표 3.2.57〉 MID primer를 이용한 PCR의 각 진행단계 별 온도 / 지속시간 156

〈표 3.2.58〉 qPCR의 각 진행단계 별 온도 / 지속시간 158

〈표 3.2.59〉 바이오커버 A 메타게놈 분석 결과 159

〈표 3.2.60〉 바이오커버 B 메타게놈 분석 결과 161

〈표 3.2.61〉 바이오커버 C 메타게놈 분석 결과 163

〈표 3.2.62〉 바이오커버 D 메타게놈 분석 결과 165

〈표 3.2.63〉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결과 (2단계 바이오커버) 177

〈표 3.2.64〉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농도 측정 결과(2단계 바이오커버) 178

〈표 3.2.65〉 Prototype 바이오커버 B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 결과(2단계 바이오커버) 180

〈표 3.2.66〉 Prototype 바이오커버 B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단계 바이오커버) 181

〈표 3.2.67〉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2단계 바이오커버) 182

〈표 3.2.68〉 Prototype 바이오커버 C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 결과 (2단계바이오커버) 184

〈표 3.2.69〉 Prototype 바이오커버 C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단계 바이오커버) 185

〈표 3.2.70〉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2단계 바이오커버) 186

〈표 3.2.71〉 Prototype 바이오커버 D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 결과(2단계 바이오커버) 188

〈표 3.2.72〉 Prototype 바이오커버 D에서 발생하는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단계 바이오커버) 189

〈표 3.2.73〉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VOCs 배출 제거 효율 (2단계 바이오커버) 190

〈표 3.2.74〉 2단계 바이오커버의 계절별 물리화학적 특성 194

〈표 3.2.75〉 2단계 바이오커버 악취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결과 195

〈표 3.2.76〉 고집약 바이오커버 유입가스의 주요 악취 물질 농도 210

〈표 3.2.77〉 고집약 바이오커버 유입가스의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11

〈표 3.2.78〉 고집약 바이오커버 주요 악취 물질 농도 측정 결과 214

〈표 3.2.79〉 고집약 바이오커버 주요 악취 물질 제거 효율 계산 결과 215

〈표 3.2.80〉 고집약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16

〈표 3.2.81〉 고집약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53개 VOCs 제거효율 계산 결과 217

〈표 3.2.82〉 고집약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의 메탄 농도 측정 결과 219

〈표 3.2.83〉 고집약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메탄 농도 측정 결과 및 메탄 제거 효율 219

〈표 3.2.84〉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악취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결과 223

〈표 3.2.85〉 사용된 MID primer의 열기서열 정보 225

〈표 3.2.86〉 Amplicon PCR의 master... 225

〈표 3.2.87〉 Index PCR의 master mix 조... 225

〈표 3.2.88〉 사용된 MID primer의 열기서열 정보 225

〈표 3.2.89〉 Amplicon PCR의 각 진행단계 별 온도 / 지속시간 226

〈표 3.2.90〉 Index PCR의 각 진행단계 별 온도 / 지속시간 227

〈표 3.2.91〉 Index primer의 선택 기준 228

〈표 3.2.92〉 qRT-PCR의 master mix... 228

〈표 3.2.93〉 qPCR의 각 진행단계 별 온도 /... 228

〈표 3.2.94〉 2차 년도 대조군 메타게놈 분석 결과 229

〈표 3.2.95〉 대조군내 미생물 군집 구성 230

〈표 3.2.96〉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0-15 cm 메타게놈 분석 결과 231

〈표 3.2.97〉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0-15 cm에서 미생물 군집 변화 232

〈표 3.2.98〉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15-30 cm 메타게놈 분석 결과 233

〈표 3.2.99〉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15-30 cm에서 미생물 군집 변화 234

〈표 3.2.100〉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30-50 cm 메타게놈 분석 결과 235

〈표 3.2.101〉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30-50 cm에서 미생물 군집 변화 236

〈표 3.2.102〉 메탄 저감을 위한 바이오커버 및 매립지 토양에서의 메탄산화 세균의 군집 연구 244

〈표 3.2.103〉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유입가스의 주요 악취 물질 농도 254

〈표 3.2.104〉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유입가스의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55

〈표 3.2.105〉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주요 악취 물질 농도 257

〈표 3.2.106〉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주요 악취 물질 제거효율 계산 결과 258

〈표 3.2.107〉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53개 VOCs 농도 측정 결과 260

〈표 3.2.108〉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표면에서의 53개 VOCs 제거효율 계산 결과 261

〈표 3.2.109〉 섬유소재의 특성 263

〈표 3.2.110〉 Nitrate mineral salt (NMS) 배지 조성 264

〈표 3.2.111〉 Trace element 조성 264

〈표 3.2.112〉 N 농축액 조성 264

〈표 3.2.113〉 P 농축액 조성 264

〈표 3.2.114〉 세균 고정화 담체의 특성 269

〈표 3.2.115〉 세균 고정화 담체의 수분함량 변화 272

〈표 3.2.116〉 미생물담체 별 생물복합섬유에서 CH₄ / DMS 동시분해 consortium의 활성 273

〈표 3.2.117〉 미생물담체별 생물복합섬유를 적용한 반응기의 qRT-PCR 결과 281

〈표 3.2.118〉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충전물 구성 283

〈표 3.2.119〉 환경부 지정 악취물질 22종의 특성 284

〈표 3.2.120〉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악취물질 제거효율 287

〈표 3.2.121〉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VOCs 제거효율 291

〈표 3.2.122〉 생물복합섬유내 미생물군집의 파이로시퀀싱 결과와 알파다양성 (α-diversity) 303

〈표 5.2.1〉 참여기업(그린환경종합센터)의 사업화전략 324

〈표 5.2.2〉 사업화가능성 SWOT분석 325

〈표 6.1.1〉 바이오필터 / 바이오윈도우와 바이오타프의 메탄 산화속도의 비교 332

〈표 9.1.1〉 보험 가입 현황 346

〈그림 1.1.1〉 악취 및 메탄 동시 저감 실용 기술 개발 개념도 38

〈그림 1.1.2〉 안정화 단계 매립지 악취 및 메탄 동시 관리를 위한... 38

〈그림 1.1.3〉 안정화 단계 매립지 악취 및 메탄 동시 관리를 위한... 39

〈그림 1.1.4〉 안정화 단계 매립지 악취 및 메탄 동시 관리를 위한... 39

〈그림 1.1.5〉 사용 단계 매립지 악취 및 메탄 동시 관리를 위한... 40

〈그림 1.2.1〉 악취 민원 발생 현황 및 주요 악취 발생원 41

〈그림 1.2.2〉 악취와 메탄의 통합관리기술 개발의 필요성 41

〈그림 1.2.3〉 토버모라이트, 펄라이트 및 폴리우레탄이 메탄산화속도와 메탄산화균수에 미치는 영향 44

〈그림 1.2.4〉 Methylocystis sp. M6의 메탄 및 악취 분해 특성 45

〈그림 1.2.5〉 Cupriavidus sp. MBT14의 메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 특성 46

〈그림 1.2.6〉 Sphingomonas sp. MD2의 메탄 / 악취 특성 및 성장 특성 46

〈그림 1.2.7〉 메탄 산화 생물막의 특성 47

〈그림 1.2.8〉 실험실 규모 바이오커버의 메탄 및 악취 제거 특성 48

〈그림 1.2.9〉 실험실 규모 바이오커버의 메탄 및 악취 제거 특성 48

〈그림 1.2.10〉 선행 연구와 후속 연구의 차별성 및 연계성 49

〈그림 2.1.1〉 악취 처리를 위해 제안된 Biotrickling filter-광촉매반응기 공정 시스템 54

〈그림 2.1.2〉 메탄제거를 위한 생물공정 시스템 57

〈그림 2.2.1〉 국내 사업장의 악취방지기술 적용 비율 61

〈그림 2.2.2〉 점오염원과 면오염원 악취 배출 사업장의 악취방지기술 도입 현황 62

〈그림 2.2.3〉 악취 방지 종합 시책 추진 체계 62

〈그림 3.1.1〉 현장 연구 장소 '광양시 생활쓰레기 매립시설' 활용에 대한... 71

〈그림 3.1.2〉 단계별 연구개발 추진 전략 72

〈그림 3.1.3〉 연차별 추진체계 73

〈그림 3.2.1〉 연구 대상 매립지 위치 및 위성사진 74

〈그림 3.2.2〉 악취 물질 분석 장비 75

〈그림 3.2.3〉 메탄 분석기기 및 시료 채취 과정 79

〈그림 3.2.4〉 Dynamic Flux Chamber를 이용한 배출량 측정 방법 80

〈그림 3.2.5〉 광양시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전경 및 단면도 81

〈그림 3.2.6〉 광양시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매립 연혁 및 매립 단계별 시료 채취장소 82

〈그림 3.2.7〉 계절 별 악취 배출 농도 및 flux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 장소 88

〈그림 3.2.8〉 계절별 매립지 주요 악취 배출 농도 분포 94

〈그림 3.2.9〉 계절별 매립지 배출 악취물질의 상대 기여도 95

〈그림 3.2.10〉 매립지 표면에서 배출되는 주요 악취물질의 계절별 flux 분포 101

〈그림 3.2.11〉 매립지 표면에서 배출되는 메탄 농도 분포 107

〈그림 3.2.12〉 Prototype 바이오커버 설치에 사용한 자재 및 재료 109

〈그림 3.2.13〉 Prototype 바이오커버 설치를 위한 굴착 과정 110

〈그림 3.2.14〉 Prototype 바이오커버 설치를 위한 굴착 및 cell 틀 설치 과정 110

〈그림 3.2.15〉 Prototype 바이오커버 설치를 위한 cell 틀 설치 과정 111

〈그림 3.2.16〉 Prototype 바이오커버 하단 다공관 설치 및 자갈층 조성 111

〈그림 3.2.17〉 Prototype 바이오커버 충전재 높이 112

〈그림 3.2.18〉 Prototype 바이오커버 A(P-BC A) 설치 과정 113

〈그림 3.2.19〉 바이오커버 충진재 배합 과정 113

〈그림 3.2.20〉 바이오커버 충진재 주입 과정 114

〈그림 3.2.21〉 Prototype 바이오커버에 flux chamber 설치 과정 114

〈그림 3.2.22〉 완성된 Prototype 바이오커버 전경 115

〈그림 3.2.23〉 Prototype 바이오커버의 악취 및 메탄 제거능 평가를 위한... 116

〈그림 3.2.24〉 1단계 바이오커버 운영 중 현장 기온 및 강수량 117

〈그림 3.2.25〉 대조군(매립지 복토 표면)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 118

〈그림 3.2.26〉 바이오커버 유입구의 공기희석 배수 및 SOAV 121

〈그림 3.2.27〉 Prototype 바이오커버 A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24

〈그림 3.2.28〉 Prototype 바이오커버 A의 대조군 대비 제거효율 및 유입구 대비... 127

〈그림 3.2.29〉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28

〈그림 3.2.30〉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대조군 대비 제거효율 및 유입구 대비... 131

〈그림 3.2.31〉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32

〈그림 3.2.32〉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대조군 대비 제거효율 및 유입구 대비... 135

〈그림 3.2.33〉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36

〈그림 3.2.34〉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대조군 대비 제거효율 및 유입구 대비... 139

〈그림 3.2.35〉 대조군(복토층 표면)과 바이오커버 유입구에서 배출되는 메탄 농도 140

〈그림 3.2.36〉 Prototype 바이오커버 A의 메탄 제거 효율 142

〈그림 3.2.37〉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메탄 제거 효율 142

〈그림 3.2.38〉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메탄 제거 효율 143

〈그림 3.2.39〉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메탄 제거 효율 143

〈그림 3.2.40〉 매립지 현장에서 시료 채취 과정 144

〈그림 3.2.41〉 시료 전처리 과정(좌)과 전처리 후 1차 시료(우) 145

〈그림 3.2.42〉 전처리 후 2차(봄) 시료 145

〈그림 3.2.43〉 강열감량 측정 후 시료 (좌 : 1차 겨울 시료, 우 : 2차 봄 시료) 147

〈그림 3.2.44〉 혈청병을 이용한 악취(DMS)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실험 150

〈그림 3.2.45〉 악취 및 메탄 분해 잠재능 평가 결과(120일차) 152

〈그림 3.2.46〉 Pyrosequencing을 통한 metagenome 분석 방법 개요 154

〈그림 3.2.47〉 바이오커버 A의 계절별 미생물 군집 변화 160

〈그림 3.2.48〉 바이오커버 B의 계절별 미생물 군집 변화 162

〈그림 3.2.49〉 바이오커버 C의 계절별 미생물 군집 변화 164

〈그림 3.2.50〉 바이오커버 D의 계절별 미생물 군집 변화 166

〈그림 3.2.51〉 바이오커버 C의 미생물 군집의 계절에 따른 주성분분석(principal... 168

〈그림 3.2.52〉 네트워크 분석 과정 170

〈그림 3.2.53〉 공기희석배수 복합악취 제거능과 연관성이 높은 미생물(p〈0.05) 171

〈그림 3.2.54〉 황화합물 제거능과 연관성이 높은 미생물(p〈0.1) 172

〈그림 3.2.55〉 butyl acetate, i-valeraldehyde, n-valeraldehyde, methyl isobutylketone,... 172

〈그림 3.2.56〉 미생물 군집내 미생물들간의 상호연관성(p〈0.05) 173

〈그림 3.2.57〉 Prototype 바이오커버 B, C, D의 충전 소재 혼합 및 가스 flux 챔버... 174

〈그림 3.2.58〉 Prototype 바이오커버 B, C, D의 유입구 및 표면 가스 채취 장소 175

〈그림 3.2.59〉 2단계 바이오커버 운영 중 현장 기온 및 강수량 175

〈그림 3.2.60〉 2단계 바이오커버 B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악취 제거... 179

〈그림 3.2.61〉 2단계 바이오커버 C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83

〈그림 3.2.62〉 2단계 바이오커버 D의 표면에서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187

〈그림 3.2.63〉 2단계 Prototype 바이오커버 B의 메탄 배출 제거 효율 191

〈그림 3.2.64〉 2단계 Prototype 바이오커버 C의 메탄 배출 제거 효율 192

〈그림 3.2.65〉 2단계 Prototype 바이오커버 D의 메탄 배출 제거 효율 192

〈그림 3.2.66〉 바이오커버 시료 채취 및 온도 측정 193

〈그림 3.2.67〉 파일럿 규모 고집약 바이오커버의 설계 197

〈그림 3.2.68〉 고집약 바이오커버 설치에 필요한 유공관, 매립가스 추출용 배관 및... 198

〈그림 3.2.69〉 가스 포집을 위한 자갈층... 198

〈그림 3.2.70〉 고집약 바이오커버... 198

〈그림 3.2.71〉 고집약 바이오커버 부지 확보 및 가스 추출공 설치를 위한 굴착과정 199

〈그림 3.2.72〉 가스 추출공 설치 과정 199

〈그림 3.2.73〉 가스 포집 배관 설치 과정(1) 200

〈그림 3.2.74〉 가스 포집 배관 설치 과정(2) 200

〈그림 3.2.75〉 가스 포집 배관 설치 과정(3) 201

〈그림 3.2.76〉 가스 포집 배관 설치 완료 전경 201

〈그림 3.2.77〉 가스 포집관 상부 자갈층, 부직포, 비닐시트 깔기 공사 과정 202

〈그림 3.2.78〉 고집약 바이오커버 시공 과정(1) 202

〈그림 3.2.79〉 고집약 바이오커버 시공 과정(2) 203

〈그림 3.2.80〉 고집약 바이오커버 주변 복토 과정 203

〈그림 3.2.81〉 고집약 바이오커버 시공 완료 후 현장 실험장치 전경 204

〈그림 3.2.82〉 고집약 바이오커버 : 면오염 대응 바이오커버 mode 운전 204

〈그림 3.2.83〉 고집약 바이오커버 가스 시료 채취점 205

〈그림 3.2.84〉 고집약 바이오커버 가스 시료 채취 과정 205

〈그림 3.2.85〉 고집약 바이오커버 운영 중 기온 및 강수량 변화 208

〈그림 3.2.86〉 고집약 바이오커버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악취 제거 효율 212

〈그림 3.2.87〉 메탄 유입 농도 및 고집약 바이오커버의 메탄 농도와 메탄 제거 효율 218

〈그림 3.2.88〉 고집약 바이오커버 시료 채취 및 온도 측정 과정 220

〈그림 3.2.89〉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의 시간별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221

〈그림 3.2.90〉 Miseq을 통한 metagenome 분석 방법 개요 224

〈그림 3.2.91〉 고집약 바이오커버의 깊이별 미생물 다양성 변화 237

〈그림 3.2.92〉 고집약 바이오커버 0-15 cm 에서의 미생물 군집 변화 238

〈그림 3.2.93〉 고집약 바이오커버 15-30 cm에서의 미생물 군집 변화 239

〈그림 3.2.94〉 고집약 바이오커버 30-50 cm에서의 미생물 군집 변화 240

〈그림 3.2.95〉 고집약 바이오커버에서의 메탄산화세균 군집 변화. (a) 바이오커버... 241

〈그림 3.2.96〉 고집약 바이오커버에서의 미생물 군집 PCA 분석결과 242

〈그림 3.2.97〉 고집약 바이오커버 0-15 cm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247

〈그림 3.2.98〉 고집약 바이오커버 15-30 cm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248

〈그림 3.2.99〉 고집약 바이오커버 30-50 cm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248

〈그림 3.2.100〉 고집약 바이오커버에서의 네트워크 분석 249

〈그림 3.2.101〉 고집약 바이오커버 : 점오염 대응 바이오필터 mode 운전 250

〈그림 3.2.102〉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운영 중 현장 기온 및 강수량 252

〈그림 3.2.103〉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의 공기희석배수 및 SOAV와 악취 제거 효율 256

〈그림 3.2.104〉 유입구 및 고집약 하이브리드 바이오커버 표면에서 메탄 농도와 메탄 제거 효율 262

〈그림 3.2.105〉 유입가스와 바이오커버 배출가스의 메탄 농도 비교 262

〈그림 3.2.106〉 섬유소재 (좌 : 원예용 부직포, 우 : 토목섬유) 263

〈그림 3.2.107〉 섬유소재 활성측정 실험 265

〈그림 3.2.108〉 메탄 및 DMS 동시분해세균 consortium의 활성 266

〈그림 3.2.109〉 메탄 및 DMS 동시분해세균 consortium 활성에 미치는 섬유소재의 영향... 268

〈그림 3.2.110〉 세균 고정화 담체(좌 : 토버모라이트, 우 : 펄라이트) 269

〈그림 3.2.111〉 세균 고정화 방법별 생물복합섬유 시제품 제작과정 270

〈그림 3.2.112〉 실험실 규모 반응기 구조 274

〈그림 3.2.113〉 생물복합섬유를 적용한 실험실규모 매립지 모의 반응기. (A) 반응기 사진,... 275

〈그림 3.2.114〉 실험실 규모 반응기 설치과정 276

〈그림 3.2.115〉 생물복합섬유를 적용한 반응기에서 전체 운전시간동안의 메탄 농도 변화... 280

〈그림 3.2.116〉 생물복합섬유를 적용한 반응기에서 전체 운전시간동안의 메탄 및 DMS... 281

〈그림 3.2.117〉 Prototype 생물복합섬유 개념도 282

〈그림 3.2.118〉 Prototype 생물복합섬유 설치 과정. (1) 생물복합섬유 설치를 위한 매립지... 283

〈그림 3.2.119〉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복합악취 제거효율. (a) 공기희석배수 ; (b)... 286

〈그림 3.2.120〉 Prototype 생물복합섬유 유출부 메탄 농도 293

〈그림 3.2.121〉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메탄 제거 효율. (a) 대조군 매립지 복토 ; (b)... 293

〈그림 3.2.122〉 Prototype 생물복합섬유 시료 채취 및 온도 측정 과정 294

〈그림 3.2.123〉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환경인자 특성변화. (a) 주위 온도 ; (b) 내부... 297

〈그림 3.2.124〉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메탄 제거 잠재능 평가 결과. (a) 시간에... 300

〈그림 3.2.125〉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DMS 제거 잠재능 평가 결과. (a) 평균... 302

〈그림 3.2.126〉 Prototype생물복합섬유의 미생물 군집 변화. (a) 일반세균 ; (b) 메탄산화세균 ;... 304

〈그림 3.2.127〉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악취 저감 성능과 미생물 군집의 상관성 분석. (a)... 306

〈그림 3.2.128〉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악취 저감 성능과 미생물 군집의 상관성 분석. (b)... 307

〈그림 3.2.129〉 Prototype 생물복합섬유의 악취 저감 성능과 미생물 군집의 상관성 분석. (c)... 307

〈그림 5.2.1〉 매출처 특성에 따른 마케팅 전략 325

〈그림 5.2.2〉 도시생활폐기물 관련 시장 규모 326

〈그림 5.2.3〉 개발기술의 주요 사용처 정보 327

〈그림 9.1.1〉 실험실 안전 점검 체계 34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26984 628.53 -18-3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26985 628.53 -18-3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