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추진 개요 3
I. 추진배경 및 경과 5
가. 추진배경 5
나. 추진경과 5
II. 추진절차 및 체계 6
III.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개요 7
제2장 생물다양성 관련 주요 동향 9
I. 국외 주요 정책 동향 11
1. 생물다양성협약 관련 국제 동향 11
2. 각국의 생물다양성전략(NBSAP) 동향 18
II. 국내 주요 정책 동향 23
1. 생물다양성 관련 법제 동향 23
2.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동향 25
제3장 2018년도 시행계획 주요 내용 31
I. 2017년도 시행계획 추진 실적 33
II. 2018년도 전략 및 목표별 시행계획 35
전략 1.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35
전략 2. 생물다양성의 보전 강화 37
전략 3. 생물다양성 위협요인 저감 41
전략 4. 생태계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이용 44
전략 5. 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체계 구축 46
전략 6. 생물다양성 국제협력 강화 49
제4장 투자계획 및 추진일정 51
I. 2018년도 투자계획 53
II. 추진일정 62
I.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62
II. 생물다양성의 보전 강화 63
III. 생물다양성의 위협 요인 저감 67
IV. 생태계서비스 지속가능 이용 70
V. 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 체계 구축 72
VI. 생물다양성 국제협력 강화 75
부록 : 2018년도 시행계획 세부내용 77
I.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79
[1] 생물다양성 정책의 추진기반 강화 79
[2] 국민의 인식제고와 참여 활성화 92
[3] 생물다양성에 유익한 재정 확대 118
II. 생물다양성의 보전 강화 121
[4] 야생생물 보호·관리 강화 121
[5] 멸종위기종 등 주요 생물과 서식지 보호 132
[6] 보호지역의 확대 및 효과적 관리 148
[7] 유전다양성 연구 및 보전 167
III. 생물다양성 위협 요인 저감 204
[8] 외래생물과 LMO에 대한 생물안전 확보 204
[9]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생물다양성 보전체계 구축 245
[10] 개발로 인한 생물다양성 영향 저감과 복원 283
IV. 생태계서비스 지속가능 이용 293
[11] 농림·수산·산림 생물 다양성 증대 293
[12] 생물자원 전통지식 보호 및 활용 304
[13] 생태계서비스 가치 확대 325
V. 생물다양성 연구 및 관리 체계 구축 350
[14] 생물다양성 조사, 평가 및 모니터링 350
[15] 생물다양성 과학적 관리능력 제고 388
[16]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 공유 체제 구축 413
VI. 생물다양성 국제협력 강화 434
[17]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남북협력사업 발굴 434
[18] 생물다양성 국제협력의 활성화 43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30815 | 333.95 -18-2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430816 | 333.95 -18-2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