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저수지 정량적 위험도분석 및 보수보강 우선순위 평가기술 개발 = Evaluation technology of reservoirs maintenance priority based on risk analysis : 최종보고서. [1-2] / 행정안전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행정안전부, 2018
청구기호
627.86 -18-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서식 ; 27 cm
총서사항
MOIS-재난 ; 2015-04
재난예측 및 저감연구 개발사업
제어번호
MONO1201851454
주기사항
v.2는 부록임
주관연구기관: 농어촌연구원 ; 협동연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융합연구원,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최병한
참고문헌: p. 649-665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최종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통합 안전 기술 개발 56

1.1. 위험도 평가기반 저수지(댐) 안정성 평가방안 수립 56

1.1.1. 현행 저수지(댐) 안정성 평가방안 검토 56

1.1.2. 위험도 기반 저수지(댐) 안정성 평가방안 수립 80

1.2. 저수지(댐) 통합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106

1.2.1. 시범지구 대상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를 위해 다양한 현장조사 및 분석 106

1.2.2. 저수지(댐) 수리수문학적/지반공학적/구조적 위험인자간 상호연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110

1.2.3. 저수지의 공학적 평가(Engineering Assessment) 135

1.2.4. 지반공학적 저수지 위험도 평가방안 137

1.3. 시범지구 위험도 평가 기술 적용 및 평가 150

1.3.1. 연구대상 저수지 선정 150

1.3.2. 지반공학적 위험도 분석 결과 153

1.3.3. 수문학적 저수지 위험도 분석결과 161

1.3.4. Bayesian Network(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해석 모형 제시 172

1.3.5. 저수지 DB 구축 Portfolio 모형 제시 181

1.3.6. 결론 184

제2장 수리수문학적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모형 및 하류 피해해석 기술 개발 186

2.1. 저수지(댐) 붕괴에 따른 재산/인명 피해 평가 방안 개발 186

2.1.1. 저수지(댐) 붕괴 원인 조사 189

2.1.2. 국내외 저수지(댐) 붕괴에 따른 재산 및 인명 피해 평가 방안 조사 193

2.1.3. GIS기반 하류부 피해해석 프로그램 개발 208

2.2. 수리수문학적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217

2.1.2. 저수지(댐) 제원 및 수리수문학적 조건과 연계한 위험도 해석 모형 개발 217

2.2.2. Bayesian Network기반 수리수문학적 저수지(댐) 위험도 분석 모형 개발 235

2.3. 저수지(댐) DB를 활용한 저수지 붕괴 해석 250

2.3.1. 대표지구에 대한 저수지 붕괴 해석 실시 250

2.4. 결론 320

제3장 지반공학적 저수지 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322

3.1. 지반공학적 위험인자 도출 및 DB 항목 구성 322

3.1.1. 저수지 지반공학적 위험도 인자 도출 322

3.1.2. 지반공학적 위험도 평가 방법 조사 및 최적 방안 도출 337

3.1.3. 지반공학적 저수지 DB 설계 345

3.1.4. 지반공학적 저수지 위험인자 DB 구축 365

3.1.5. 지진에 대한 위험도 평가 대표물성 선정 384

3.2. 저수지 형식별 지반공학적 파괴 모드 개발 391

3.2.1.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평가 모형 및 위험인자 391

3.2.2. 국내·외 댐 파괴 및 손상 원인 분석 393

3.2.3. 저수지 형식별 파괴 모드 398

3.3. 지자체 저수지 지반공학적 위험도 시나리오 개발 408

3.3.1. 지자체 저수지 조건에 맞는 파괴 모드 도출 408

3.2.2. 지자체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시나리오 413

3.4. 저수지 지반공학적 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419

3.4.1. 내부침식에 의한 파괴 419

3.4.2. 지진에 의한 액상화 및 비액상화 파괴확률 산정 기법 424

3.4.3. 국내 저수지 특성을 고려한 지반공학적 저수지 파괴 확률 산정 기법 429

3.5. 시범지구 저수지 위험도 해석 470

3.5.1. 지반공학적 저수지 파괴확률 산정기법을 이용한 위험도 평가 470

3.5.2. 내부침식 평가 Tool을 이용한 위험도 평가 487

3.5.3. 시범지구 저수지 위험도 평가 결론 분석 495

3.6. 국내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평가 방안 497

3.6.1. 국내 저수지 대표 파괴 시나리오 497

3.6.2. 저수지 지반공학적 파괴 확률 제시 방안 499

제4장 구조공학적 저수지 지진위험도 평가 모형 개발 502

4.1. 부속구조물의 주요 파괴모드별 지진 위험도 평가 알고리즘 개발 502

4.2. 부속시설물의 구성요소별 파괴모드들 간의 연관성 평가 511

4.3. 부속시설물의 파괴모드를 통합한 지진위험도 평가 513

4.4. 적용성 검토를 위한 실제 시설물의 지진위험도 평가(사리저수지) 535

제5장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및 보수보강 우선순위 선정 Tool 개발 544

5.1.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 계획 수립 544

5.1.1. 시스템 개발 개요 544

5.1.2. 시스템 개발 계획 수립 및 설계 561

5.2.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통합 활용 DB 구축 583

5.2.1. 기초 자료 수집 583

5.2.2. 통합 활용 DB 구축 585

5.3.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안정화 604

5.3.1. 시스템 개발 환경 구축 604

5.3.2. 시스템 기능 구현 607

5.3.3. 시스템 운영 테스트 및 안정화 619

5.3.4. 시스템 실무 적용 방안 627

5.4. 결론 631

제6장 무인항공 시스템을 활용한 모니터링 기술 개발 634

6.1. 무인항공 시스템을 활용한 지자체 저수지 DB 보완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634

6.1.1. 무인항공시스템(UAV)구성 및 관련자료 조사 635

6.1.2. 무인항공시스템(UAVS)을 이용한 위험 저수지 DB구축 방법 646

6.1.3. 무인항공촬영 위험저수지 선정 650

6.1.4. 위험저수지 3D지형모델 및 DEM생성 658

6.1.5. 재난관리스시템(NDMS)의 저수지 DB고도화 673

6.2. 관련지침 및 제도 개선방안 마련 676

6.2.1. 지자체 저수지(댐) 관리체계 및 현황 파악 676

6.2.2. 국내 재해위험저수지 현황 693

제7장 종합 결론 698

참고문헌 704

[부록] 722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724

기술 요약서 738

표 1.1.1. 제체의 형식 56

표 1.1.2. 저수지의 준공시기 57

표 1.1.3. 제체의 길이 58

표 1.1.4. 제체의 높이 58

표 1.1.5. 제체의 폭 60

표 1.1.6. 제체의 경사 60

표 1.1.7. 제체의 사면보호공 형식 61

표 1.1.8. 여수토 형식 61

표 1.1.9. 방수로 구조 62

표 1.1.10. 상하류부 주변 지형 62

표 1.1.11. 중국 저수지(댐)의 분류 63

표 1.1.12. HAZUS-MH의 저수지(댐)분류 체계(FEMA, 2012) 65

표 1.1.13. 국내 저수지(댐) 붕괴 대표 사례 67

표 1.1.14. 국외 저수지(댐) 붕괴 대표 사례 70

표 1.1.15. 필댐의 형식별 붕괴사건 72

표 1.1.16. 콘크리트 댐의 형식별 붕괴사건 72

표 1.1.17. 저수지(댐)의 붕괴원인 73

표 1.1.18. 저수지(댐)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범위(국토해양부, 2011) 74

표 1.1.19. 저수지(댐) 상태평가 항목(측수로형) 76

표 1.1.20. 인근 지역 인구수 기준 89

표 1.1.21. 총저수량 기준 90

표 1.1.22. 저수지(댐)와의 이격거리 기준 90

표 1.1.23. 저수지(댐) 종합등급 기준 90

표 1.1.24. 대상 저수지(댐) 최종 분석 결과 91

표 1.1.25. 현장조사 및 시험조사표 94

표 1.1.26. 저수지(댐) 피해액 산정을 위한 DB항목(안) 103

표 1.2.1.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지구 106

표 1.2.2. 활용자료 현황 109

표 1.2.3. 기존 저수지(댐) 안정성 평가와 위험도 해석기반 안정성 평가 방안 비교 111

표 1.2.4. 내부 침식과 관련된 지반공학적 위험 파괴모드의 유발인자 139

표 1.2.5. 내부 침식에 대한 분기 확률 흐름도 143

표 1.2.6. 내부 침식을 유발시키는 초기 사건 I... 144

표 1.2.7. 내부 침식을 유발시키는 초기 사건 II... 145

표 1.2.8. 내부 침식을 유발시키는 초기 사건 III... 147

표 1.2.9. 내부 침식을 유발시키는 초기 사건 IV... 148

표 1.3.1. 장성호 저수지 문제사항(정밀안전진단 및 현장조사) 152

표 1.3.2. 파괴모드에 따른 장성호 저수지의 예상 침식 경로 157

표 1.3.3. 장성호의 홍수위에 따른 지반공학적 SRP 산정결과 158

표 1.3.4. 장성호의 지진 발생빈도 따른 지반공학적 SRP 산정결과 159

표 1.3.5. 장성호 저수지 하류부 자산피해액 산정 결과 168

표 2.1.1. 1986년까지 11,192개 필댐에 대한 붕괴 현황 190

표 2.1.2. 필댐 붕괴의 빈도비교 190

표 2.1.3. Fatality Rates in Dam Failures(Graham, 2004) 205

표 2.1.4. U.S. Dams that Caused More Than 50 Fatalities 206

표 2.1.5. Dams that released up to 2,000 acre-feet of water during their... 207

표 2.1.6.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 행정구역별 일반자산 피해항목... 208

표 2.1.7. 공간자료의 종류 및 활용 213

표 2.2.1. 수리수문학적 저수지(댐) 위험인자 231

표 2.2.2. 수리수문학적 Bayesian Network 저수지(댐) 위험도 모형 노드 237

표 2.2.3. 초과확률 노드 조건부확률 239

표 2.2.4. 미계측유역 홍수량 노드 조건부확률(영산강유역) 240

표 2.2.5. 유량계수 노드 조건부확률 241

표 2.2.6. 방(여)수로 노드 조건부확률 242

표 2.2.7. 월류수심 노드 조건부확률 243

표 2.2.8. 풍파로 인한 파괴 실행함수 노드 조건부확률 245

표 2.2.9. 바람 수면 상승 노드 조건부확률 246

표 2.2.10. 저수지(댐) 여수로 높이 노드 조건부확률 247

표 2.2.11. 저수지(댐) 댐마루 표고 노드 조건부확률 248

표 2.2.12. 저수지(댐) 월류 노드 조건부확률 249

표 2.3.1. 연구대상 선정 저수지 현황 259

표 3.1.1. 존 분포에 따른 준공년도별 필댐 파괴 개수 324

표 3.1.2. 원인별 필댐에 대한 파괴 통계 325

표 3.1.3. 준공년도에 따른 필댐의 파괴 평균빈도 326

표 3.1.4. 존 분포에 따른 파괴모드별 필댐의 파괴 통계 327

표 3.1.5. 존 분포에 따른 제체 파이핑으로 인한 평균파괴빈도 328

표 3.1.6. 댐 코어 다짐에 대한 파이핑 통계 328

표 3.1.7. 기초를 통한 파이핑 사고 329

표 3.1.8. 기초 필터 상태와 파괴 개수 329

표 3.1.9. 하류사면활동에 대한 파괴 및 사고 330

표 3.1.10. Zone 분포에 따른 하류사면활동 종류에 대한 사고(파괴개수) 330

표 3.1.11. 상류사면에 대한 파괴 및 사고 통계 331

표 3.1.12. 상류사면활동 사고 수 331

표 3.1.13. 제체를 통한 파이핑 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2

표 3.1.14. 하류사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3

표 3.1.15. 상류사면의 초기 사고 및 파괴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34

표 3.1.16. 흙댐의 파괴 발생 원인 335

표 3.1.17. 댐 파괴와 노후도의 관계 336

표 3.1.18. 통일분류법 341

표 3.1.19. 투수계수의 추정 (Ratrick Powers, 1992) 342

표 3.1.20. 불확실성의 요인 346

표 3.1.21. 시간특성이 고려된 지반공학적 매개변수 348

표 3.1.22. 가시리, 미촌, 회령, 산제 저수지의 제체지반 물성 357

표 3.1.23. 성내, 축내, 용강 저수지의 제체지반 물성 358

표 3.1.24. 지반공학적 파괴 메커니즘 359

표 3.1.25. 지반공학적 저수지 손상 원인 분류(154개 저수지 대상) 363

표 3.1.26. 균일형 저수지 내부 침식 파괴모드 유형 364

표 3.1.27. 존형 저수지 내부 침식 파괴모드 유형 364

표 3.1.28. 저수지 지반공학적 파괴모드 우선순위 및 조사방법 365

표 3.1.29. 위험도 요인 선정을 위한 지반공학적 DB 항목 및 조사방법 367

표 3.1.30. 농어촌공사 저수지 자료 현황 370

표 3.1.31. 시료 채취 대상 저수지 현황 371

표 3.1.32. 10개 저수지의 투수계수, LL, PI, 흙 함유율, 분류기호 374

표 3.1.33. 10개 저수지의 시료의 LL, PI, 흙 함유율의 범위 378

표 3.1.34. 재해위험저수지 7개소 점토, 성토, 하류부 시료 비교 381

표 3.2.1. 저수지 지반공학적 파괴모드 392

표 3.2.2. 국내 댐의 손상 및 파괴 모드에 따른 분류 394

표 3.2.3. 국외 댐의 구조물 위치에 따른 붕괴 개수 분류... 395

표 3.2.4. 국외 댐의 결함 원인에 따른 붕괴 개수 분류... 396

표 3.2.5. 지자체 저수지 154개소 파괴 모드별 분류 397

표 3.2.6. 국내외 지반공학적 손상 및 붕괴에 대한 위치에 따른 분류 398

표 3.3.1. 체크리스트의 평가 지표 409

표 3.3.2. 지반공학적 현장 체크리스트 410

표 3.3.3. 지자체 4개 저수지 손상 특징 분류 411

표 3.3.4. 국내 저수지의 5개 파괴 시나리오 413

표 3.4.1. 대댐에서 발생한 파괴 사례 (Forster et al., 2000) 419

표 3.4.2. 댐별 붕괴 메커니즘 423

표 3.4.3. Probability of transverse cracking and maximum likely crack... 427

표 3.4.4. Maximum likely depth of cracking from the top of the crest... 428

표 3.4.5. 위험도 분석을 위한 선정된 5개의 지반공학적 저수지 파괴 케이스 430

표 3.4.6. 5개 저수지 파괴 시나리오와 관련된 파괴모드 분류 431

표 3.4.7. 분기확률에 따른 필요 데이터 432

표 3.4.8. 분기확률 산정을 위한 필요 데이터의 입력 방안 433

표 3.4.9. 다짐에 따른 균열 발생 확률 영향인자 435

표 3.4.10. 복통시공에 따른 균열 발생 확률 영향인자 436

표 3.4.11. 다짐장비에 따른 균열 발생 확률 영향인자 436

표 3.4.12. 방류관 주변 특성에 따른 균열 발생 확률 영향인자 437

표 3.4.13. 여수로 주변 다짐 특성에 따른 균열 발생 확률 영향인자 437

표 3.4.14. 결함확률 산정 특성에 따른 RF×LF 확률 추정 438

표 3.4.15. 복통 균열 여부에 따른 결함 확률 추정 438

표 3.4.16. 균열 보정 계수 438

표 3.4.17. 누수 보정 계수 438

표 3.4.18. RF*LF 값에 따른 최대 균열 폭 440

표 3.4.19. 최대 균열 폭에 따른 최대 균열 깊이 440

표 3.4.20. 누수 위치 및 균열 폭 440

표 3.4.21. Factor에 따른 균열 폭 보정 계수 440

표 3.4.22. SC(세립분 40% 이상)의 내부 침식 시작 확률 추정 440

표 3.4.23. 침식 지속 확률 추정 441

표 3.4.24. 침식 지속 확률 추정 441

표 3.4.25. 상류 재료 및 차수벽 유무에 따른 침식의 진전 확률 추정 442

표 3.4.26. 하류 재료에 따른 침식굴 확장될 확률 추정 443

표 3.4.27. 사면 불안정에 의해 발생하는 사면 파괴의 영향인자 443

표 3.4.28. 사면 불안정에 의해 발생하는 여유고 유실의 영향인자 443

표 3.4.29. 하류 재료에 따른 침식굴 확장될 확률 추정 444

표 3.4.30. 싱크홀 혹은 침하에 의한 여유고 유실의 영향인자 444

표 3.4.31. 싱크홀 혹은 침하에 의한 붕괴 확률 추정 445

표 3.4.32. 대상 댐 기본제원 457

표 3.4.33. 대상댐의 재현주기 별 PGA 산정 결과 457

표 3.4.34. 지진하중에 의한 시스템 파괴확률 산정 예시 (선암댐) 459

표 3.4.35. Velocity distribution formulae (Sawade & Takahashi, 1975) 463

표 3.4.36. 월류심도에 따른 월류에 의한 시스템파괴확률 469

표 3.5.1. 시범지구 대상 저수지 현황 471

표 3.5.2. 현천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2

표 3.5.3. 봉동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3

표 3.5.4. 오도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4

표 3.5.5. 산학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5

표 3.5.6. 송정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6

표 3.5.7. 구두 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체크리스트) 477

표 3.5.8. 구두저수지 표준관입시험 결과 479

표 3.5.9. 구두저수지 표준관입시험 결과 480

표 3.5.10. 조사내역 총괄표 482

표 3.5.11. 물리탐사 결과 단면의 분류 483

표 3.5.12. 물리탐사 결과 484

표 3.5.13. 지반공학적 파괴 확률 결과 485

표 3.5.14. 지반공학적 파괴 확률 결과(추가검토) 486

표 3.5.15. 시범지구 저수지별 초기 메커니즘(IM) 선정 493

표 3.6.1. 국내 저수지의 5개 파괴 시나리오 498

표 4.3.1. 지진원 모델에 사용된 변수 522

표 4.3.2. 여수로 모델의 재료 물성치 525

표 4.3.3. 한계상태 527

표 4.4.1. 콘크리트 구조물 현장시험 결과 536

표 5.1.1. 국내 주요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548

표 5.1.2.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구성(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552

표 5.1.3. 국외 주요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554

표 5.1.4.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주요 기능 565

표 5.1.5. 통합 활용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명 566

표 5.1.6. 저수지(댐) 위치정보 테이블 명세서 567

표 5.1.7. 시설물 개요 및 주요 제원 테이블 명세서 568

표 5.1.8. 저수지(댐) 세부정보 항목 572

표 5.2.1. 통합 활용 DB 구축을 위한 원시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 584

표 5.2.2. 저수지(댐) 위치정보 확인 결과 589

표 5.2.3. 예상피해정보 구축을 위한 원시 데이터의 내용 및 형식 596

표 5.2.4. 피해액 산정 대상자산 항목 및 예상피해요소 596

표 5.2.5. 피해액 단가 개선(안) 및 예상피해인명 산출 기준 599

표 5.2.6. 침수심별 피해율 600

표 5.2.7. 저수지(댐) 노후화 및 침수예상구역 내 예상피해요소 601

표 5.2.8. 저수지(댐) 노후화 및 침수예상구역 내 예상피해액 602

표 5.3.1. 위험도 평가 시스템 주요 하드웨어 구성 604

표 5.3.2. 위험도 평가 시스템 주요 소프트웨어 구성 606

표 5.3.3. 시설물 현황 테스트 시나리오 및 결과 확인 619

표 5.3.4. 위험도 평가 테스트 시나리오 및 결과 확인 622

표 5.3.5. 사용자 지원 테스트 시나리오 및 결과 확인 624

표 5.3.6. 시설물 현황 UI 개선사항 625

표 5.3.7. 위험도 평가 UI 개선사항 626

표 5.3.8. 권장 서버 제원 629

표 6.1.1. 항공법 시행령 및 규칙(국토교통부, 2009) 638

표 6.1.2. 항공촬영 및 영상관련 규정 및 법규 639

표 6.1.3. 정사영상 제작 관련규정(국토지리정보원, 2009) 639

표 6.1.4. 유인 및 무인항공기 비교표 640

표 6.1.5. 재해 유형별 UAV의 적용성(김민규 등, 2010) 643

표 6.1.6. 경과년수별 저수지 현황(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통계연보, 2014) 650

표 6.1.7. 지역별 재해위험저수지 현황 651

표 6.1.8. 지역별 55개소 재해위험저수지 652

표 6.1.9. 현행 저수지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항목 조사 654

표 6.1.10. 재해위험저수지 사업 조사 655

표 6.1.11. 1차년도 무인항공촬영 조사 저수지 현황 657

표 6.1.12. 신기 저수지 일반현황 659

표 6.1.13. 신기 저수지 비행계획 및 획득데이터 660

표 6.1.14. 신기 저수지 지상기준점 관측 결과 661

표 6.1.15. 신기 저수지의 가상측량시스템을 활용한 제체 제원정보 663

표 6.1.16. 신기 저수지 제체의 단면정보 664

표 6.1.17.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간격 666

표 6.1.18.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국토지리정보원, 2015) 667

표 6.1.19. 신기 저수지 수치지형도의 위치오차 667

표 6.2.1. 저수지(댐) 안전관리 법제 678

표 6.2.2. 저수지(댐)안전관리에 관한 세부조항 679

표 6.2.3. 미국의 댐 및 저수지 안전진단 법제 681

표 6.2.4. 2016년 재해위험저수지 지정현황(2016.12.30. 기준) 694

그림 1.1.1. 지자체 저수지(댐)의 구조적 유형 분포 57

그림 1.1.2. 지자체 저수지(댐)의 준공연도별 제체 높이 분포 현황 59

그림 1.1.3. 지자체 저수지(댐)의 준공시기별 제체 높이 분포 59

그림 1.1.4. 미국 저수지(댐)의 준공연도별 현황 63

그림 1.1.5. 미국 저수지(댐)의 제체높이별 현황 64

그림 1.1.6. 미국 저수지(댐)의 형식별 현황 64

그림 1.1.7. 연천댐 붕괴 68

그림 1.1.8. 장현저수지 붕괴(좌) 동막저수지(우) 붕괴 68

그림 1.1.9. 조산저수지 붕괴(좌) 산대저수지(우) 붕괴 68

그림 1.1.10. South Fork Dam(좌) Vaiont Dam(우) 붕괴 70

그림 1.1.11. 필댐의 형식별 붕괴사건 72

그림 1.1.12. 콘크리트 댐의 형식별 붕괴사건 72

그림 1.1.13. 저수지(댐)의 붕괴원인 73

그림 1.1.14. 기존 안전진단 결과(정성적 결과)와 하류부 재해영향인자... 79

그림 1.1.15. 위험도 해석 체계 82

그림 1.1.16. 해외 관련 기술 및 산업 동향 83

그림 1.1.17. 국내외 저수지(댐) 위험도 해석 방안 조사 및 분류 84

그림 1.1.18. 현장조사지구 선정 방안 89

그림 1.1.19.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Tool 모델 연계과정 100

그림 1.1.20.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MD-FDA) 개념도 102

그림 1.1.21. 수문학적 분석 결과 및 인명피해율 산정(안) 104

그림 1.1.22. 저수지(댐) DB 기반 Portfolio 산정 결과(안) 105

그림 1.2.1. ETA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모형화의 예 115

그림 1.2.2. ETA 수행흐름도 116

그림 1.2.3. 결함수분석(FTA)의 기본 구성 118

그림 1.2.4. FTA 모형 개념도 118

그림 1.2.5. FTA에서의 AND 및 OR 게이트의 발생확률 119

그림 1.2.6. 저수지(댐) 파괴의 원인에 관한 Fault Tree(예) 120

그림 1.2.7. 저수지(댐) 월류에 의한 Fault Tree(예) 120

그림 1.2.8. 저수지(댐) 기초부 불안정에 의한 Fault Tree(예) 121

그림 1.2.9. Monte Carlo Simulation의 모의 방법 개념도 122

그림 1.2.10. 위험도 해석에서 MCS기법의 흐름도 124

그림 1.2.11. Bayesian Network 개념도 127

그림 1.2.12. Gibbs Sampling 방법을 이용한 Bayesian MCMC 개념도 131

그림 1.2.13. Bayesian Network 기반의 저수지(댐) 위험도 해석 구성도 132

그림 1.2.14. Bayesian Network 기반의 저수지(댐) 위험도 해석 모형 예시 133

그림 1.2.15. Bayesian Network 기반의 저수지(댐) 파괴확률 134

그림 1.2.16. 소규모 저수지(댐) 파괴모드별 확률부여 방안 및 위험도 평가 기준 134

그림 1.2.17. 저수지의 공학적인 평가 개념 예시 136

그림 1.2.18. 댐체의 지반공학적 파괴모드 137

그림 1.2.19. IM 1~24 알고리즘 138

그림 1.2.20. 저수지(댐)의 주요 파괴모드를 고려한 Event Tree 작성 예시 140

그림 1.2.21. 미공병단의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기법 141

그림 1.2.22. 지반공학적 저수지 위험도 평가기법 분석 절차 142

그림 1.2.23. 지반공학적 SRP을 위한 사건수 분석(예) 149

그림 1.2.24. 각 파괴모드 별 저수위에 따른 지반공학적 SRP 적용(예) 149

그림 1.3.1. 연구대상저수지 - 장성호 150

그림 1.3.2. 장성호 현장조사(15.07.29) 151

그림 1.3.3. 장성호 문제사항(제체, 여수로) 152

그림 1.3.4. PFMA 작성 예시 154

그림 1.3.5. 장성호 - Initial Mechanism (IM) Summary 155

그림 1.3.6. Suggested Potential Failure Modes(장성호) 156

그림 1.3.7. 지반공학적 파괴모드 분석 과정 156

그림 1.3.8. 저수지의 수위에 따른 지반공학적 SRP 159

그림 1.3.9. 저수지의 지진에 의한 지반공학적 SRP 160

그림 1.3.10. 영산강유역의 재현기간에 따른 계층적 지점빈도해석 결과 161

그림 1.3.11. 장성호유역 재현기간에 따른 계층적 지점빈도해석 결과 162

그림 1.3.12. 장성호유역 12시간 최대 확률강우량 모의결과 163

그림 1.3.13. 장성호유역 확률홍수량 산정 결과 164

그림 1.3.14. 장성호유역 확률홍수량 모의 결과 164

그림 1.3.15. 장성호유역 BHEC-1 매개변수 모의 산정 결과 165

그림 1.3.16. 장성호유역 BHEC-5 저수지 운영모의 결과 166

그림 1.3.17. GIS 기반 장성호유역 홍수 범람도 167

그림 1.3.18. GIS 기반 홍수피해액 분석시스템 167

그림 1.3.19. 전남 장성군 인구밀도 169

그림 1.3.20. 장성호 하류부 피해구역 분류 170

그림 1.3.21. GIS TooI을 이용한 피해액 산정 결과 171

그림 1.3.22. Bayesian Network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 모형(기본형) 172

그림 1.3.23.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1 173

그림 1.3.24.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2 174

그림 1.3.25.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3 175

그림 1.3.26. Bayesian Network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 모형(확장형) 176

그림 1.3.27.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4 177

그림 1.3.28.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5 178

그림 1.3.29.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6 179

그림 1.3.30. 시나리오에 따른 BN 기반 장성호 위험도 평가 해석모형 - 7 180

그림 1.3.31. 저수지 DB 구축 Portfolio 예 181

그림 1.3.32. 저수지 DB 구축 Portfolio 예 182

그림 1.3.33. 장성호 최종 Portfolio 산정 결과 183

그림 2.1.1. 오로빌 댐의 붕괴된 여수로(2017) 187

그림 2.1.2. 산대저수지(좌, 2013), 괴연저수지(우, 2014) 붕괴 188

그림 2.1.3. 국내 치수경제성 분석 연혁 194

그림 2.1.4. 각국의 홍수피해-손실 모형 개발 현황 197

그림 2.1.5. HAZUS-MH의 피해추정 절차 및 내용(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197

그림 2.1.6. 파이핑 붕괴 시나리오에 대한 경보 및 대피 타임라인(예) 199

그림 2.1.7. 건물별 홍수심에 따른 사망률 201

그림 2.1.8. 인명손실 추정을 위한 재해지대(Jonkman, 2007) 201

그림 2.1.9. 빠른 수위상승 지점에서 수심에 대한 사망률 함수 203

그림 2.1.10. 보존지대에서 수심에 대한 사망률 함수 204

그림 2.1.11. 수심, 수위상승률 및 유속함수로써의 사망률 함수 204

그림 2.1.12.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법의 구성요소 209

그림 2.1.13. 다차원법의 피해추정 절차 210

그림 2.1.14.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MD-FDA) 개념도 211

그림 2.1.15. GIS를 활용한 홍수피해산정방법의 절차도 216

그림 2.1.16. GIS 기반 다차원 홍수피해산정 프로그램 216

그림 2.2.1. 베이지안 네트워크 예시 217

그림 2.2.2. Bayesian Network 개념 219

그림 2.2.3. A Conceptual Diagram of Bayesian Network Risk Model 220

그림 2.2.4. Bayesian Network Risk 모델 확률 연계 과정 221

그림 2.2.5.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모형 223

그림 2.2.6.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분석과정 224

그림 2.2.7. 한강유역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결과 226

그림 2.2.8. 낙동강유역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결과 227

그림 2.2.9. 영산강유역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결과 228

그림 2.2.10. 금강유역 미계측유역 홍수량 산정식 결과 229

그림 2.2.11. 수문학적 파괴인자의 확률분포형 도시 결과 231

그림 2.2.12. 위험도 분석 Tool GUI 232

그림 2.2.13. 초기수위에 따른 저수지(댐) 월류확률 분석 결과 234

그림 2.2.14. 수리수문학적 Bayesian Network 저수지(댐) 위험도 모형 236

그림 2.2.15. 저수지(댐) 파괴확률 산정 개념도 242

그림 2.3.1. 시간에 따른 고립파의 범람 과정... 254

그림 2.3.2. 실험 모식도 255

그림 2.3.3. 수위계 위치도 255

그림 2.3.4. 구조물 주변의 범람과정 수치모의 결과 (ε=0.18) 256

그림 2.3.5.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비교... 256

그림 2.3.6. 이차원 댐붕괴파 실험 수조제원 (Aureli 등,... 257

그림 2.3.7. 계산수위 분포 (t=3.05sec) 258

그림 2.3.8.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 비교 258

그림 2.3.9. 대관저수지 위치도 260

그림 2.3.10. 대관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61

그림 2.3.11. 대관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62

그림 2.3.12. 산대저수지 위치도 263

그림 2.3.13. 산대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64

그림 2.3.14. 산대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65

그림 2.3.15. 지소저수지 위치도 266

그림 2.3.16. 지소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67

그림 2.3.17. 지소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68

그림 2.3.18. 내덕저수지 위치도 269

그림 2.3.19. 내덕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70

그림 2.3.20. 내덕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71

그림 2.3.21. 괴연저수지 위치도 272

그림 2.3.22. 괴연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73

그림 2.3.23. 괴연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74

그림 2.3.24. 구천저수지 위치도 275

그림 2.3.25. 구천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76

그림 2.3.26. 구천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77

그림 2.3.27. 화본저수지 위치도 278

그림 2.3.28. 화본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79

그림 2.3.29. 화본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80

그림 2.3.30. 갈치저수지 위치도 281

그림 2.3.31. 갈치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82

그림 2.3.32. 갈치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83

그림 2.3.33. 도하저수지 위치도 284

그림 2.3.34. 도하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85

그림 2.3.35. 도하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86

그림 2.3.36. 진우저수지 위치도 287

그림 2.3.37. 진우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88

그림 2.3.38. 진우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89

그림 2.3.39. 월곡저수지 위치도 290

그림 2.3.40. 월곡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91

그림 2.3.41. 월곡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92

그림 2.3.42. 도장골저수지 위치도 293

그림 2.3.43. 도장골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94

그림 2.3.44. 도장골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95

그림 2.3.45. 금곡2저수지 위치도 296

그림 2.3.46. 금곡2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297

그림 2.3.47. 금곡2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298

그림 2.3.48. 사리저수지 위치도 299

그림 2.3.49. 사리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00

그림 2.3.50. 사리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01

그림 2.3.51. 도골저수지 위치도 302

그림 2.3.52. 도골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03

그림 2.3.53. 도골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04

그림 2.3.54. 대대웃못저수지 위치도 305

그림 2.3.55. 대대웃못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06

그림 2.3.56. 대대웃못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07

그림 2.3.57. 되넘어저수지 위치도 308

그림 2.3.58. 되넘어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09

그림 2.3.59. 되넘어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10

그림 2.3.60. 산학(은용)저수지 위치도 311

그림 2.3.61. 산학(은용)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12

그림 2.3.62. 산학(은용)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13

그림 2.3.63. 현천저수지 위치도 314

그림 2.3.64. 현천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15

그림 2.3.65. 현천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16

그림 2.3.66. 구두저수지 위치도 317

그림 2.3.67. 구두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318

그림 2.3.68. 구두저수지 붕괴 후 침수구역 319

그림 3.1.1. 필댐(Filldam)의 구분 323

그림 3.1.2. 파이핑 및 내부침식으로 인한 파괴 351

그림 3.1.3. 파괴 확률과 확률지수 353

그림 3.1.4. 저수지 주요 파괴 유형 360

그림 3.1.5. 댐 내부 침식 유형(Initial Mechanism 1~28) 362

그림 3.1.6. 지반공학적 DB 구성 프로세스 366

그림 3.1.7. 국내 재해위험저수지 위치 (285개소) 369

그림 3.1.8. 현장 조사 수행한 저수지 위치 369

그림 3.1.9. 시료 채취 사진 372

그림 3.1.10. 청계 저수지 및 남동1 저수지 시료 채취 위치 372

그림 3.1.11. 시료 준비 373

그림 3.1.12. 비중 시험, 입도 시험, 액소성 시험 수행 373

그림 3.1.13. 10개 저수지의 상대깊이에 따른 LL 및 PI 376

그림 3.1.14. 10개 저수지의 상대깊이에 따른 흙의 함유율 377

그림 3.1.15. 6개 저수지의 입도분포 380

그림 3.1.16. 7개 재해 위험 저수지... 382

그림 3.1.17. 7개 재해 위험... 382

그림 3.1.18. 농어촌공사 점토, 성토 입도분포 382

그림 3.1.19. K-water 자체 수행 하류 및 주변 시료 입도분포 383

그림 3.1.20. 데이터별 성토, 점토 입도분포 데이터 비교 383

그림 3.1.21. 96개 재해위험저수지의 높이에 따른 여유고율 385

그림 3.1.22. 19개 필댐형 대댐의 높이에 따른 여유고율 386

그림 3.2.1. 댐의 위험도 평가 절차 및 위험도 모델 구성 프로세스 391

그림 3.2.2. 균일형 필댐의 위치에 따른 잠재적 파괴 모드 Tree 400

그림 3.2.3. 존형 필댐의 위치에 따른 잠재적 파괴 모드 Tree 401

그림 3.2.4. 균일형/존형 필댐의 위치에 따른 위치별 파괴 모드 Tree 402

그림 3.2.5. 균일형 필댐의 지진하중 조건에 따른 위치별 파괴 모드 Tree 403

그림 3.2.6. 존형 필댐의 지진하중 조건에 따른 위치별 파괴 모드 Tree 404

그림 3.2.7. 균일형 필댐의 정상운영 조건에 따른 제체의 파괴 모드 Tree 405

그림 3.2.8. 존형 필댐의 정상운영 조건에 따른 제체의 파괴 모드 Tree 406

그림 3.2.9. 균일형/존형 필댐의 정상운영 조건에 따른 기초, 복통, 여수로의 파괴 모드 Tree 407

그림 3.3.1. 대댐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408

그림 3.3.2. 지자체 저수지 특성에 맞는 지반공학적 파괴 412

그림 3.3.3. 제체 침하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4

그림 3.3.4. 제체 재료 불량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5

그림 3.3.5. 복통 균열 및 주변부 다짐 불량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6

그림 3.3.6. 여수로 접합부 다짐 불량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7

그림 3.3.7. 지진에 의한 균열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8

그림 3.3.8. 지진에 의한 기초 지반 액상화에 따른 붕괴 시나리오 418

그림 3.4.1. 내부침식에 의한 파괴 모델 420

그림 3.4.2. 세립자 이탈과 접촉부 침식 모형 422

그림 3.4.3. Crest settlement definition (Swaisgood, 2003) 426

그림 3.4.4. Estimated crest settlement (Swaisgood, 2003) 426

그림 3.4.5. Incidence of transverse cracking versus seismic intensity... 427

그림 3.4.6. 균열 폭 산정 방법 439

그림 3.4.7. 균일형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분석... 446

그림 3.4.8. 존형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분석... 447

그림 3.4.9. Elevation of crack bottom and reservoir water level 448

그림 3.4.10. Comparison of freeboard percentage of 96 earthfill dams... 450

그림 3.4.11. Determination of hyperbola coefficient, k of... 452

그림 3.4.12. Correlation between seismic failure... 453

그림 3.4.13. Correlation between seismic failure... 453

그림 3.4.14. Incidence of transverse cracking versus seismic intensity... 455

그림 3.4.15. 1000/2400년 재현주기에 대한 지진파괴확률 영곡선과... 456

그림 3.4.16. 1000/2400년 재현주기에 대한 지진파괴확률... 456

그림 3.4.17. Determination of PGA at the Sunam dam site using... 458

그림 3.4.18. 지진시 시스템파괴확률 산정 결과 (선암, 안계댐) 460

그림 3.4.19. Comparison between the probabilities computed by... 461

그림 3.4.20. Comparison between shear wave velocity profile... 462

그림 3.4.21. 29개 저수지 56개 시추조사 결과 심도 10m 이하 평균 N값 465

그림 3.4.22. 필댐의 기초에 대한 정상부 증폭특성... 467

그림 3.4.23. 액상화된 모래의 정규화 잔류전단강도비 468

그림 3.4.24. 잔류전단강도에 따른 댐 정상부 침하량 468

그림 3.4.25. 저수지 지진위험도 분석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469

그림 3.5.1. 현천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3

그림 3.5.2. 봉동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4

그림 3.5.3. 오도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5

그림 3.5.4. 산학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6

그림 3.5.5. 송정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7

그림 3.5.6. 구두저수지 현장조사 결과(사진) 478

그림 3.5.7. 구두저수지 입도분포 시험 결과 479

그림 3.5.8. 구두저수지 시료채취 사진 480

그림 3.5.9. 배평전저수지 입도분포 시험 결과 481

그림 3.5.10. 배평전저수지 시료채취 사진 481

그림 3.5.11. 구두저수지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 482

그림 3.5.12. 구두저수지 전기비저항 탐사결과(시추결과 비교) 483

그림 3.5.13. 구두저수지 제체 전경 484

그림 4.1.1. 지진재해도 작성 5단계(Baker, 2008) 504

그림 4.1.2. 지진위험도 평가방법의 절차 508

그림 4.1.3. 지진재해도 곡선과 지진취약도 곡선을 합성한 취진위험도 산정... 510

그림 4.3.1. 취수탑 형상 514

그림 4.3.2. 취수탑 단면도 514

그림 4.3.3. 평균 취수탑 단면에 해당하는 원형면적 515

그림 4.3.4. 변위 역량을 갖는 취수탑 모델 516

그림 4.3.5. SPO2IDA를 사용하여 구한 대수정규분포 취약도 곡선 517

그림 4.3.6. 30번 시간이력해석으로 구한 대수정규분포의 취약도곡선 518

그림 4.3.7. 베이지안 추론과 MCMC 시뮬레이션을 사용한 취약도곡선의 개선 519

그림 4.3.8. 수위 변화가 취수탑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19

그림 4.3.9. 콘크리트 강도의 변화가 취수탑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20

그림 4.3.10. 지진재해도 곡선 작성에 사용한 지진원 모델 521

그림 4.3.11. 평균 PGS 지진재해도 곡선 522

그림 4.3.12. 지진원 분석 (50년 재현주기) 523

그림 4.3.13. 평균 지진위험도 곡선 523

그림 4.3.14. 강정 고령댐 여수로 524

그림 4.3.15. 2차원 여수로 모델 525

그림 4.3.16. 여수로의 지진취약도 곡선 528

그림 4.3.17. 수위 변화가 여수로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28

그림 4.3.18. 콘크리트 강도의 변화가 여수로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29

그림 4.3.19. 지진재해도 곡선 530

그림 4.3.20. 지진원 분석 (50년 재현주기) 530

그림 4.3.21. 지진위험도 곡선 531

그림 4.3.22. 사리저수지 복통의 구조 532

그림 4.3.23. 사리저수지 복통의 ABAQUS 모델 532

그림 4.3.24. 수위 변화가 복통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33

그림 4.3.25. 콘크리트 강도의 변화가 복통 지진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 534

그림 4.3.26. 지진위험도 곡선 534

그림 4.4.1. 사리저수지 취수탑의 내진 취약성 537

그림 4.4.2. 저수지 여수로의 내진 취약성 539

그림 4.4.3. 사리저수지의 복통 내진 취약성 541

그림 4.4.4. 사리저수지의 복통 지진 위험도 곡선 541

그림 5.1.1.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의 비전과 목표 546

그림 5.1.2.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 개념도 546

그림 5.1.3.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 흐름도 551

그림 5.1.4. DAMRAE 메뉴 바(왼쪽)와 확률 계산 출력 행렬 인터페이스(오른쪽) 555

그림 5.1.5. Risk Tool Piping Failure of Embankment Dam 556

그림 5.1.6. iPresas HidSimp 557

그림 5.1.7. 국외 주요 시스템 활용 기술 현황 559

그림 5.1.8. 저수지(댐) 실무자 참여 공청회 561

그림 5.1.9. 위험도 평가 시스템 설문조사 작성 결과(예시) 562

그림 5.1.10. 「위험도 평가」 메뉴의 화면 구성 방식 563

그림 5.1.11. 「평가 결과」 메뉴에 필요한 항목 564

그림 5.1.12. 「업무 지원」 메뉴에 필요한 항목 564

그림 5.1.13.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메뉴 구성도 571

그림 5.2.1.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통합 활용 DB 583

그림 5.2.2. 저수지(댐) 위치정보 구축 과정 586

그림 5.2.3. 추출된 지적도와 호수/저수지 레이어의 공간 결합(Spatial join) 587

그림 5.2.4. 저수지(댐) 위치정보 구축 결과 588

그림 5.2.5. 저수지(댐) 위치정보 확인 결과 589

그림 5.2.6. 수리수문 분석을 통한 저수지 붕괴 수치모의 결과 590

그림 5.2.7. 침수예상구역 구축 과정 591

그림 5.2.8. 하도 구축에 필요한 지형자료 추출 592

그림 5.2.9. 하도 구축 작업 예시 592

그림 5.2.10. 내덕 저수지 침수예상구역 구축 결과 비교 593

그림 5.2.11. 침수예상구역 구축 결과 594

그림 5.2.12. 침수예상구역 내 예상피해요소 구축 결과... 597

그림 5.2.13. 저수지(댐) 하류부 예상피해액 603

그림 5.3.1. 위험도 평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605

그림 5.3.2.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인트로 화면 607

그림 5.3.3. 시설물 현황(1) 메인 화면 608

그림 5.3.4. 시설물 현황(2) 시도/시군구 및 상세검색 결과 609

그림 5.3.5. 시설물 현황(3) 검색된 저수지의 기본정보 조회 609

그림 5.3.6. 시설물 현황(4) 검색된 저수지의 위치정보 오류 수정 610

그림 5.3.7. 시설물 현황(5) 검색된 저수지의 상세정보 조회 610

그림 5.3.8. 시설물 현황(6) 검색된 저수지의 하류부 현황정보 조회 611

그림 5.3.9. 시설물 현황(7) 검색된 저수지의 관리 이력정보 조회 611

그림 5.3.10. 시설물 현황(8) 공간정보 레이어 on/off 기능 612

그림 5.3.11. 시설물 현황(9) 위험도 평가 대상 저수지 선택 612

그림 5.3.12. 통합위험도 평가를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614

그림 5.3.13. 위험도 평가(1) 위험도 평가 대상 저수지 선택 614

그림 5.3.14. 위험도 평가(2) 위험도 평가 항목 입력 615

그림 5.3.15. 위험도 평가(3) 위험도 평가 결과 조회 및 F-N차트 615

그림 5.3.16. 위험도 평가(4) 위험도 평가 상세결과 조회 616

그림 5.3.17. 사용자 지원(1) 시스템 개요 617

그림 5.3.18. 사용자 지원(2) 사용자 가이드 618

그림 5.3.19. 사용자 지원(3) 용어사전 618

그림 5.3.20. 실무적용 시 필요 기능 구성도 628

그림 5.3.21. 실무 적용 시 예상 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629

그림 6.1.1. 재해위험 저수지 3D모델 활용 DB구축(김석구, 2014) 645

그림 6.1.2. 무인항공시스템 저수지 DB 취득 및 처리흐름 646

그림 6.1.3. eMotion2를 활용한 비행계획 수립 및 지상기준점 배치 647

그림 6.1.4. UAV 영상 입력 및 GCP 매칭 649

그림 6.1.5. 정사영상 및 DSM 생성 649

그림 6.1.6. 신기 저수지 비행계획 화면 660

그림 6.1.7. 신기 저수지 GCP계획 661

그림 6.1.8. 신기 저수지 정사영상 및 DSM 662

그림 6.1.9. 신기 저수지의 실감지적모델 및 수치지형도 662

그림 6.1.10. 신기 저수지 여수로의 3D모델 및 제원정보 665

그림 6.1.11. 1:5000수치지형도 666

그림 6.1.12. 신기 저수지 수치지형도 667

그림 6.1.13. Arc GIS 실행화면 669

그림 6.1.14. TIN을 이용 유무에 따른 수치지형도 비교 670

그림 6.1.15. 표고점과 등고선을 이용해 생성된 신기 저수지 TIN 670

그림 6.1.16. 신기 저수지 DEM 671

그림 6.1.17. 1:5000 DEM 672

그림 6.1.18. 신기 저수지 수계 구분 DEM 672

그림 6.1.19.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구성 및 기능 673

그림 6.1.20. 현행 NDMS 저수지 DB 현황(중리저수지) 674

그림 6.1.21. NDMS의 저수지 DB 고도화 자료 675

그림 6.2.1. 일본 댐 및 저수지 유지관리 PDCA 사이클 684

그림 6.2.2. 국토교통성 위험지도 포털사이트 691

그림 6.2.3. 재해위험저수지·댐 지정절차 696

표제지

목차

부록 1. 지자체 저수지 위험도 평가 DB 754

1) 충남 천안시 [삼성저수지] 756

2) 충남 세종시 [송정저수지] 760

3) 충북 보은군 [큰골저수지] 764

4) 충남 천안시 [안무중저수지] 768

5) 전남 무안군 [도골저수지] 771

6) 전남 장흥군 [교동제저수지] 775

7) 전남 보성군 [회령저수지] 779

8) 전남 장흥군 [용강저수지] 783

9) 전남 영암군 [선황저수지] 786

10) 강원 횡성군 [마옥저수지] 789

11) 강원 횡성군 [매일저수지] 793

12) 강원 원주시 [미촌저수지] 797

13) 충남 천안시 [상장저수지] 801

14) 경기 여주군 [옥촌저수지] 805

15) 강원 원주시 [칠통저수지] 809

16) 경기 용인시 [좌항2 저수지] 812

17) 경북 영천시 [마현 저수지] 815

18) 경북 영천시 [사리 저수지] 818

19) 경북 의성군 [송곡 저수지] 821

20) 경북 군위군 [신제 저수지] 823

21) 충남 공주시 [등대골 저수지] 826

22) 강원 양구군 [너분동저수지] 828

23) 전남 완도군 [양하] 832

24) 전남 해남군 [중리1 저수지] 836

25) 경남 함양군 [도장골] 840

26) 경남 함양군 [대대웃못] 844

27) 전북 고창군 [남동1 저수지] 848

28) 부산 기장군 [곽암 저수지] 850

29) 부산 기장군 [덕재 저수지] 852

30) 경북 청도군 [덕촌(오산)저수지] 854

31) 전남 화순군 [봉동저수지] 861

32) 전남 화순군 [오도저수지] 864

33) 전남 구례군 [현천저수지] 867

34) 전남 장흥군 [용강저수지] 872

35) 전남 완도군 [양하] 875

36) 경기 여주시 [가시리저수지] 878

부록 2.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설문조사 및 결과 882

부록 3. 통합 활용 DB 테이블 명세서 902

부록 4.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916

목차 919

1.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요 920

2. 저수지(댐) 위험도 평가 시스템 922

붙임. 위험도 평가 항목 입력 가이드라인(내용없음) 919

부록 5. 저수지(댐) 위험도 시스템 입력 항목 작성 가이드라인 948

부록 6. 무인항공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정보 수집 저수지 964

1. 1차년도 저수지 현황 964

1) 경기 용인시 [좌항 2저수지] 966

2) 경북 영친시 [마현 저수지] 974

3) 경북 영천시 [사리 저수지] 985

4) 경북 의성군 [송곡 저수지] 996

5) 경북 군위군 [신제 저수지] 1004

6) 충남 천안시 [삼성 저수지] 1011

7) 충남 공주시 [운암 저수지] 1021

8) 전북 완주군 [신풍 저수지] 1030

9) 충남 공주시 [등대골 저수지] 1037

10) 충남 태안군 [도내 저수지] 1046

2. 2차년도 저수지 현황 1053

11) 경남 함양군 [도장골 저수지] 1053

12) 경남 함양군 [대대웃못 저수지] 1063

13) 전북 완주시 [번대 저수지] 1071

14) 경기 안성시 [회암 저수지] 1079

15) 경기 여주시 [귀백2 저수지] 1088

3. 3차년도 저수지 현황 1099

16) 경기 용인시 [신기 저수지] 1099

17) 경기 용인시 [맹리 저수지] 1108

부록 7. 재해위험저수지 지정현황(2016.12.30.기준, 430개소) 111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34196 627.86 -18-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4197 627.86 -18-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4198 627.86 -18-3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4199 627.86 -18-3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