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7
제1편 새정부 산업정책 19
제1장 새정부 산업정책 방향 19
1. 새정부 산업정책 방향 19
2. 신산업 혁신성장 20
3. 주력산업 발전전략 29
4. 중견기업 2280 37
5. 신산업 R&D 투자방향 및 규제혁신 39
6. 국가균형발전 42
7. 구조조정 46
8. 청년일자리 대책 51
9. 표준정책 방향 52
제1편 새정부 산업정책 59
제1장 산업정책 61
제1절 우리 산업경제의 현 주소 / 박환준 61
제2절 새정부 산업정책 방향 / 박환준 63
제2장 신산업 혁신성장 69
제1절 미래자동차 / 김기열 69
제2절 반도체·디스플레이 / 이정남 ; 이태욱 73
제3절 IoT가전 / 임기홍 88
제4절 바이오헬스 / 형건우 94
제5절 에너지신산업 / 오종희 100
제3장 주력산업 발전전략 145
제1절 석유화학산업 / 김성은 145
제2절 로봇산업 / 문성용 153
제3절 섬유패션산업 / 이영열 159
제4절 조선산업 / 김완상 164
제4장 중견기업 비전 2280 174
제1절 중견기업 현황 / 김정미 174
제2절 중견기업 정책 추진 현황 / 전수하 ; 윤용석 180
제3절 「중견기업 비전 2280」 주요 내용 / 윤용석 ; 홍기웅 ; 김성준 ; 이혜숙 184
제5장 신산업 R&D 투자방향 및 규제혁신 199
제1절 전략적인 산업기술개발 추진 / 우석중 199
제2절 기술 이전 및 사업화 / 김수희 207
제3절 산업융합 분야 규제샌드박스 도입 / 김종락 216
제4절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 / 김학배 221
제5절 산업기술 국제협력 / 전소원 224
제6절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 / 양재원 227
제6장 국가 균형발전 229
제1절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정책 / 여수항 229
제2절 지역경제 진흥 정책 / 김다은 232
제3절 산업단지 혁신 및 산업입지 정책 / 최재홍 237
제4절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 / 여수항 247
제2편 구조조정 251
제1장 새정부 구조조정 정책 253
제1절 새 정부 구조조정 정책 / 전두민 253
제2절 주요 현안 / 김완상 255
제3절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이하, 기업활력법) / 조정희 262
제3편 청년 일자리 269
제1장 청년일자리 정책 271
제4편 표준정책 279
제1장 기술표준정책 281
제1절 국가기술표준 정책방향 / 임완빈 281
제2절 제4차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 / 전설 293
제3절 국제표준화 활동 / 이용헌 302
제4절 유망 신산업 분야 표준화 로드맵 구축 / 이국호 310
제2장 제품안전정책 317
제1절 제품안전관리제도 / 박종섭 317
제2절 제품안전관리 주요 업무 / 정연태 330
제3절 제품 위해확산 방지를 위한 제품사고 조사 / 박현영 339
제4절 리콜제품에 대한 이행점검 / 남효재 343
제5절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 김홍준 346
제3장 적합성 정책 355
제1절 시험인증 신뢰성 제고 정책 현황 / 김용득 355
제2절 한국인정기구(KOLAS) 운영 / 김소미 360
제3절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제도 / 김효중 380
제4절 법정계량제도 / 이원식 385
제4장 기술규제대응정책 397
제1절 WTO 무역기술장벽 대응 / 이보하 397
제2절 FTA TBT 협상대응 및 협정이행 / 강영식 412
제3절 기술규제영향평가 / 최영진 418
제4절 신흥시장국과의 표준협력 / 류지영 425
제5절 기술규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e-나라표준인증) / 유용재 428
판권기 439
〈그림 1.1.1.1〉 세계 경제성장률 61
〈그림 1.1.1.2〉 세계 교역규모 증가율 61
〈그림 1.1.1.3〉 대 중소기업간 격차 62
〈그림 1.1.1.4〉 수도권 집중도 62
〈그림 1.1.2.1〉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 추진기조 63
〈그림 1.2.2.1〉 디스플레이산업의 전후방 연관효과 79
〈그림 1.2.3.1〉 IoT가전 산업 생태계 모습 88
〈그림 1.2.3.2〉 IoT가전 기술요소와 스마트홈 서비스 확산 모습 89
〈그림 1.2.4.1〉 바이오산업 세부분야 95
〈그림 1.2.4.2〉 2016년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과 내수규모 96
〈그림 1.2.5.1〉 재생에너지 설비용량(누적) 102
〈그림 1.2.5.2〉 재생에너지 발전량·비중 102
〈그림 1.2.5.3〉 '16년 원별 발전량·비중 102
〈그림 1.2.5.4〉 '16년 원별 설비용량(누적) 102
〈그림 1.2.5.5〉 태양광 대여사업 사업 구조 106
〈그림 1.2.5.6〉 태양광 대여사업 사업 절차 106
〈그림 1.2.5.7〉 연료전지자동차 모니터링 사업에 투입된 연료전지승용차 및 연료전지버스 130
〈그림 1.2.5.8〉 에너지신산업 주요 구성요소 137
〈그림 1.2.5.9〉 에너지신산업 서비스 창출 139
〈그림 1.2.5.10〉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의 개념도 144
〈그림 1.3.1.1〉 유가 상승 時 국내 NCC와 저원가 설비의 경쟁력 변화 146
〈그림 1.3.1.2〉 제조업 내 수출 비중 148
〈그림 1.3.1.3〉 정밀화학산업 수출입동향 148
〈그림 1.3.2.1〉 로봇의 산업 범위(Convergence & Divergence) 154
〈그림 1.3.3.1〉 섬유패션산업의 특성 159
〈그림 1.3.3.2〉 4차 산업혁명시대로 도래 : 의류의 스마트화, 개인맞춤형 확산 161
〈그림 1.3.3.3〉 「섬유패션산업 발전전략」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162
〈그림 1.4.1.1〉 중견기업 규모기준 175
〈그림 1.4.1.2〉 중견기업 경제 기여도('15) 175
〈그림 1.4.1.3〉 중견기업 수위탁거래 비중 175
〈그림 1.4.1.4〉 신산업 분야별 수출 비중('15) 176
〈그림 1.4.1.5〉 독일 사례 176
〈그림 1.4.1.6〉 중소·중견기업 일자리 비교 176
〈그림 1.4.1.7〉 미국 사례 176
〈그림 1.4.1.8〉 금융위기 이후 매출액 증가율 177
〈그림 1.4.1.9〉 일본 사례 177
〈그림 1.4.2.1〉 「중견기업 정책혁신 워크숍」개요 183
〈그림 1.4.3.1〉 「중견기업 비전 2280」정책 목표 및 추진 전략 184
〈그림 1.4.3.2〉 「제 1차 중견기업 캠퍼스 스카우트」행사장 전경 193
〈그림 1.4.3.3〉 중소기업 회귀 검토 유무 195
〈그림 1.4.3.4〉 기업 성장부담 완화 방향 196
〈그림 1.4.3.5〉 중견기업특별법 주요 내용 196
〈그림 1.5.1.1〉 세계 경제와 한국경제의 성장률 추이 200
〈그림 1.5.1.2〉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04~'16년) 200
〈그림 1.5.1.3〉 하프 스마일 커브 201
〈그림 1.5.1.4〉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202
〈그림 1.5.1.5〉 13대 혁신성장동력 분야 203
〈그림 1.5.2.1〉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정책의 범주 207
〈그림 1.5.3.1〉 금융분야 규제 샌드박스 도입 현황 217
〈그림 1.5.4.1〉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의 사업체제 개편 221
〈그림 1.5.4.2〉 연도별 기반의 권역별 분포 222
〈그림 1.6.2.1〉 2단계 협력산업 구성 현황 232
〈그림 1.6.2.2〉 커뮤니티비즈니스 22개 품목 현황 234
〈그림 1.6.3.1〉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 대상단지 확대 242
〈그림 1.6.4.1〉 균형발전특별회계 예산편성 과정 248
〈그림 1.6.4.2〉 지역발전투자협약 기대효과 250
〈그림 2.1.2.1〉 신용보증기금 부분보증 구조도 256
〈그림 2.1.3.1〉 업종별, 규모별, 지역별 사업재편계획 승인기업('18.4. 누적 기준) 263
〈그림 2.1.3.2〉 사업재편계획 신청 및 승인 절차도 266
〈그림 4.1.1.1〉 4차 산업혁명 시대 표준과 안전·기술규제와의 관계 282
〈그림 4.1.1.2〉 연도별 KS(한국산업표준) 현황 286
〈그림 4.1.1.3〉 KS인증제도 개선 실적 287
〈그림 4.1.1.4〉 표준개발협력기관(COSD)제도 운영 현황 289
〈그림 4.1.1.5〉 단체표준 운영 현황 289
〈그림 4.1.2.1〉 제4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의 비전과 중점추진과제 294
〈그림 4.1.2.2〉 국가참조표준의 운영 체계 변화 299
〈그림 4.1.2.3〉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산·학·연 얼라이언스의 예시 300
〈그림 4.1.3.1〉 연도별 ISO / IEC 의장·간사 현황 304
〈그림 4.1.4.1〉 R&D-표준 연계의 필요성 310
〈그림 4.2.1.1〉 제품안전관리 체계도 318
〈그림 4.2.1.2〉 전기용품·공산품·어린이용품 안전관리 3단계 319
〈그림 4.2.1.3〉 비관리제품 안전관리체계 323
〈그림 4.2.2.1〉 중점관리 대상 품목 공산품·전기용품 안전위해사례신고 현황 330
〈그림 4.2.2.2〉 사전예방적 자율안전관리 방안 331
〈그림 4.2.2.3〉 제품안전 모니터링 추진체계 332
〈그림 4.2.2.4〉 제품 안전성조사 업무처리 절차 335
〈그림 4.2.2.5〉 공산품·전기용품 중점관리 대상품목 336
〈그림 4.2.2.6〉 사업자의 리콜조치 절차 337
〈그림 4.2.4.1〉 리콜이행점검 세부절차 344
〈그림 4.2.4.2〉 리콜명령 불이행 기업에 대한 형사고발 조치 절차 344
〈그림 4.2.4.3〉 연도별 어린이 인구대비 안전사고 추세 346
〈그림 4.2.4.4〉 안전관리범위 확대 348
〈그림 4.2.4.5〉 법 제정 전후 비교 349
〈그림 4.2.4.6〉 제1차 어린이제품 안전관리 기본계획 352
〈그림 4.3.1.1〉 신뢰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및 내용 요약 358
〈그림 4.3.2.1〉 ILAC-MRA 기구현황 362
〈그림 4.3.3.1〉 적합성인증 제도 절차 382
〈그림 4.3.3.2〉 적합성인증 제도 절차 383
〈그림 4.3.4.1〉 서울지역 단지규모 100호 이상 Apt대상 조사결과 387
〈그림 4.3.4.2〉 정량표시 상품 종류 388
〈그림 4.3.4.3〉 법정계량기 12종 389
〈그림 4.3.4.4〉 계량사업자 등록 관리 390
〈그림 4.3.4.5〉 형식승인 현황 391
〈그림 4.3.4.6〉 검정 현황 392
〈그림 4.3.4.7〉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계량기 394
〈그림 4.4.1.1〉 연도별 전체 통보문 수 399
〈그림 4.4.1.2〉 1995~2017년 전체 TBT 통보문 발행 건수 상위 10개국 400
〈그림 4.4.1.3〉 연도별 특정무역현안 제기 현황(기존 / 신규) 401
〈그림 4.4.1.4〉 해외 기술규제 대응절차 402
〈그림 4.4.1.5〉 TBT 대응 컨소시엄 구성도 403
〈그림 4.4.3.1〉 기술규제영향평가 절차도 421
〈그림 4.4.5.1〉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단계별 시스템 개발현황(2014-2016) 429
〈그림 4.4.5.2〉 e나라표준인증 포털 자동검색어 추천서비스 432
〈그림 4.4.5.3〉 품목별 인증길잡이 검색화면 433
〈그림 4.4.5.4〉 e나라표준인증 모바일서비스(예시 : KS 표준 열람) 434
〈그림 4.4.5.5〉 e나라표준인증 포털 개편 홈페이지(2016.12.31) 434
〈그림 4.4.5.6〉 표준·인증 협업시스템 업무 초기화면 435
〈그림 4.4.5.7〉 범부처 표준업무지원시스템 처리화면 예시 436
〈그림 4.4.5.8〉 유사중복 검증시스템 처리화면(예시 : 이륜자전거) 437
〈그림 4.4.5.9〉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기대효과 분석 438
표제지
목차
요약 451
제1장 새 정부의 통상정책 방향 453
제1절 글로벌 통상 환경의 변화와 도전 과제 453
제2절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통상정책 방향 453
제3절 통상 역량 강화 454
제2장 미·중 통상 현안에 적극 대응 및 경제협력 강화 455
제1절 대미 통상 현안 대응 및 경제협력 고도화 455
제2절 대중 실질 경제협력 강화 457
제3장 주요국 경제협력 강화 459
제1절 신남방정책 구현 459
제2절 신북방정책 구현 460
제3절 전략시장과의 경제협력 강화 461
제4장 보호무역주의 대응 및 통상애로 해소 지원 463
제1절 수입규제 및 비관세장벽 대응 463
제2절 WTO 통상분쟁 대응 463
제3절 무역구제기관 간 협력 강화 465
제5장 혁신·포용적 수출·투자정책 추진 467
제1절 무역 1조불 회복을 통한 경제성장 견인 467
제2절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전략적 투자 유치 추진 468
제3절 FTA를 통한 수출 확대 및 국내 보완대책 469
제1장 새 정부의 통상정책 방향 473
제1절 글로벌 통상 환경의 변화와 도전 과제 / 김준겸 475
제2절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통상정책 방향 / 김준겸 480
제3절 통상 역량 강화 / 신현우 482
제2장 미·중 통상 현안에 적극 대응 및 경제협력 강화 485
제1절 대미 통상 현안 대응 및 경제협력 고도화 / 조진화 487
제2절 대중 실질 경제협력 강화 / 조민지 498
제3장 주요국 경제협력 강화 503
제1절 신남방정책 구현 / 김진수 505
제2절 신북방정책 구현 / 엄길용 514
제3절 전략시장과의 경제협력 강화 / 정연수 524
제4장 보호무역주의 대응 및 통상애로 해소 지원 537
제1절 수입규제 및 비관세장벽 대응 / 천서현 539
제2절 WTO 통상분쟁 대응 / 장정주 549
제3절 무역구제기관 간 협력 강화 / 정재욱 ; 김영재 554
제5장 혁신·포용적 수출·투자정책 추진 567
제1절 무역 1조불 회복을 통한 경제성장 견인 / 정민규 569
제2절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전략적 투자 유치 추진 / 성다은 582
제3절 FTA를 통한 수출 확대 및 국내 보완대책 / 신영수 600
부록 617
판권기 625
〈그림 1.1.1〉 연도별 GDP, 1인당 GDP(명목) 475
〈그림 1.1.2〉 연도별 우리나라 교역액 475
〈그림 1.1.3〉 선진/신흥시장 GDP 비중(PPP기준) 478
〈그림 1.1.4〉 선진/신흥시장 경제성장률 추이 478
〈그림 1.1.5〉 상품, 서비스 수출 비중 추이 478
〈그림 1.1.6〉 국경간 전자상거래 규모 전망 478
〈그림 1.1.7〉 ASEAN 자동차시장 점유율('16) 479
〈그림 1.1.8〉 한·중·일의 對ASEAN FDI 추이 479
〈그림 1.3.1〉 통상교섭본부 기구도 483
〈그림 3.1.1〉 아세안 경제성장률 505
〈그림 3.1.2〉 인도(브릭스) 성장률 505
〈그림 3.2.1〉 동북아 수퍼그리드 연계도 516
〈그림 3.2.2〉 2016년 우리나라 LNG 도입 현황 517
〈그림 3.2.3〉 2016년 러시아 천연가스 현황 517
〈그림 3.2.4〉 에너지 수송선박 수주 현황 518
〈그림 4.1.1〉 전세계 TBT 통보문 건수 542
〈그림 4.1.2〉 수입규제 대응 종합 체계도 543
〈그림 4.1.3〉 비관세장벽 대응체계 547
〈그림 4.1.4〉 통합무역정보서비스 내 비관세조치 DB 화면 549
〈그림 4.3.1〉 세이프가드 조사절차 561
〈그림 5.2.1〉 외국인투자 유입 실적 및 추정치 583
〈그림 5.2.2〉 한국의 시장성 및 FTA 경제영토 587
〈그림 5.2.3〉 2018년 외국인투자유치 정책방향 588
〈그림 5.2.4〉 12대 신산업 주요 타겟분야 예시 589
〈그림 5.2.5〉 외국인투자기업 및 주한상의 간담회 활동 590
〈그림 5.2.6〉 12대 신산업별 주요 타겟기업 예시 591
〈그림 5.2.7〉 다변화 방안 592
〈그림 5.2.8〉 업종별, 목적별 해외직접투자 현황 595
〈그림 5.2.9〉 북한산 반입 추이 597
〈그림 5.2.10〉 '한반도신경제지도' 구상 개요 599
〈그림 5.3.1〉 '17년도 협정별 수출 활용률 600
〈그림 5.3.2〉 '17년도 협정별/기업규모별 수출활용률 601
〈그림 5.3.3〉 '17년도 산업별 수출활용률 601
〈그림 5.3.4〉 FTA 콜센터 1380 602
〈그림 5.3.5〉 FTA 활용(원산지증명서 발급) 리플릿 605
〈그림 5.3.6〉 분야별 FTA 국내보완대책 집행실적(2008~2017년 합계) 606
〈그림 5.3.7〉 2017년 FTA 국내보완대책 예산 및 집행현황 607
〈그림 5.3.8〉 한-아세안 FTA 10주년 기념행사 612
〈그림 5.3.9〉 대학생 통상정책 토론대회 612
〈그림 5.3.10〉 무역·통상 잡페어 613
표제지
목차
요약 643
제1편 원자력 산업 645
제1장 에너지전환(원전의 단계적 감축) 로드맵 수립 및 이행 / 홍충완 645
제1절 추진배경 645
제2절 추진 경과 및 주요 내용 646
제3절 향후 계획 650
제2장 원전 해외진출 확대 / 김성건 651
제1절 추진배경 651
제2절 UAE 원전사업 진행현황 652
제3절 국가별 신규 원전사업 추진현황 653
제4절 향후 계획 655
제2편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 656
제1장 제8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 권순목 656
제1절 개요 및 기본방향 656
제2절 8차 전력수급계획의 주요 내용 656
제3절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의견수렴과정 및 향후 추진계획 659
제2장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전력시장으로 전환 / 김창완 661
제1절 법적 근거 마련 : 전기사업법 및 하위규정 개정 661
제2절 전력시장 제도 개선 662
제3절 DR제도 개선과 운영 현황 / 박광일 663
제3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665
제1장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 665
제1절 추진배경 및 추진경과 665
제2절 보급목표 및 이행방안 665
제3절 재생에너지 산업육성 방안 668
제2장 에너지신산업 선도국가로 도약 669
제1절 에너지신산업 개요 669
제2절 에너지신산업 육성 670
제3장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전환 672
제4편 해외자원개발 675
제1절 개요 675
제2절 해외자원개발 혁신TF 운영 676
제3절 광물자원공사 통폐합 677
제4절 해외자원개발 사업 현황 678
제1편 원자력 산업 681
제1장 에너지전환(원전의 단계적 감축) 로드맵 수립 및 이행 / 홍충완 683
제1절 추진배경 683
제2절 추진 경과 및 주요 내용 685
제3절 향후 계획 690
제2장 발전소 주변지역 수용성 제고 / 나한균 691
제1절 추진목적 691
제2절 추진경과 691
제3절 주요내용 692
제4절 향후계획 695
제3장 원전 기술경쟁력 제고 / 홍충완 697
제1절 원자력 연구개발 개황 697
제2절 최근 연구개발 추진 실적(2013년~2017년) 700
제3절 향후 계획 702
제4장 안전·투명한 원전 관리 / 안드레 703
제1절 추진배경 및 경과 703
제2절 주요 추진내용 704
제3절 향후계획 711
제5장 원전 해외진출 확대 / 김성건 713
제1절 추진배경 713
제2절 UAE 원전사업 진행현황 714
제3절 국가별 신규 원전사업 추진현황 716
제4절 향후 계획 722
제6장 방사성폐기물 관리 / 우경필 723
제1절 개요 723
제2절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724
제3절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건설·운영 727
제4절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유치지역 지원 733
제5절 고준위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관리 734
제7장 원전해체산업 육성 / 한주현 736
제1절 개요 736
제2절 전 세계 원전해체 전망 736
제3절 주요국 원전해체 현황 738
제4절 우리나라 원전해체 시장 및 현황 739
제5절 고리 1호기 해체 계획 740
제6절 원전해체산업 육성 방향 742
제2편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 747
제1장 제8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 권순목 749
제1절 개요 749
제2절 수립 기본방향 750
제3절 주요내용 751
제4절 의견수렴과정 763
제5절 향후 추진계획 763
제2장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전력시장으로 전환 / 김창완 765
제1절 전기사업법 개정 765
제2절 변동비반영시장(CBP) 개선 추진 / 김창완 766
제3절 DR제도 개선과 운영 현황 / 박광일 769
제4절 전력시장 운영실적 / 김창완 771
제5절 스마트그리드 확산 / 조현진 773
제3장 에너지전환을 위한 에너지원별 지원체계 확립 778
제1절 석유 / 조기훈 778
제2절 가스 / 이주형 792
제3절 석탄 / 김범수 806
제3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825
제1장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 827
제1절 추진배경 및 추진경과 / 오종희 827
제2절 보급현황 및 중장기 보급목표 / 오종희 829
제3절 보급목표 이행방안 / 민경미 831
제2장 에너지신산업 선도국가로 도약 876
제1절 에너지신산업 개요 / 박성수 876
제2절 에너지신산업 육성 / 김미연 879
제3장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전환 894
제1절 개요 / 최선혜 894
제2절 에너지 수요관리 시책 / 박재형 896
제4편 해외자원개발 및 에너지안전 · 복지 929
제1장 해외자원개발 / 김은성 931
제1절 개요 931
제2절 해외자원개발 정책 935
제3절 광물자원공사 통폐합 942
제4절 해외자원개발 사업 현황 944
제2장 에너지안전 및 복지 950
제1절 에너지 안전 / 민경원 950
제2절 에너지 복지 / 곽정란 968
제3장 에너지기술개발 및 기반조성 / 김형은 973
제1절 미래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전략 마련 973
제2절 에너지기술개발사업 975
제3절 에너지국 제공동연구사업 978
제4절 에너지인력양성 980
판권기 982
〈그림 1.1.2.1〉 재개/중단에 대한 의견변화 추이 686
〈그림 1.1.2.2〉 원전 정책방향에 대한 의견 추이 687
〈그림 1.1.2.3〉 에너지전환(원전의 단계적 감축) 로드맵 개요 688
〈그림 1.5.2.1〉 UAE 원전사업 추진 체계 715
〈그림 1.6.3.1〉 방사성폐기물 처분 절차 730
〈그림 1.6.3.2〉 방사성폐기물 분류체계 및 처분방식 732
〈그림 1.6.3.3〉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운반절차 733
〈그림 2.3.1.1〉 석유제품 품질검사 실적 및 비정상제품 적발 현황 781
〈그림 2.3.1.2〉 오피넷 이용자 추이 785
〈그림 2.3.1.3〉 오일허브 개념도 787
〈그림 2.3.1.4〉 여수 저장시설 조감도 788
〈그림 2.3.1.5〉 울산 저장시설 조감도 789
〈그림 2.3.2.1〉 국가별 LNG 도입현황(2010~2017) 793
〈그림 2.3.3.1〉 현행 연탄 유통단계별 가격고시체계 813
〈그림 3.1.2.1〉 재생에너지 설비용량(누적) 829
〈그림 3.1.2.2〉 재생에너지 발전량·비중 829
〈그림 3.1.2.3〉 '16년 원별 발전량·비중 829
〈그림 3.1.2.4〉 '16년 원별 설비용량(누적) 829
〈그림 3.1.3.1〉 태양광 대여사업 사업 구조 833
〈그림 3.1.3.2〉 태양광 대여사업 사업 절차 834
〈그림 3.1.3.3〉 연료전지자동차 모니터링 사업에 투입된 연료전지승용차 및 연료전지버스 858
〈그림 3.1.3.4〉 '18-'19년도 IRENA 조직도 866
〈그림 3.1.3.5〉 IEA/CERT 조직도 867
〈그림 3.1.3.6〉 IPHE 조직도 868
〈그림 3.1.3.7〉 전세계 재생에너지 투자(2004~2017) 871
〈그림 3.1.3.8〉 2017년 재생에너지 투자액 상위 10개국 872
〈그림 3.2.1.1〉 에너지신산업 주요 구성요소 877
〈그림 3.2.1.2〉 에너지신산업 서비스 창출 879
〈그림 3.2.2.1〉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의 개념도 884
〈그림 3.2.2.2〉 에너지밸리의 정의 885
〈그림 3.2.2.3〉 에너지밸리 기업유치 성과 885
〈그림 3.3.2.1〉 에너지사용량 신고 세부절차 906
〈그림 3.3.2.2〉 업종별 신고업체수 현황(도표) 907
〈그림 3.3.2.3〉 산업부문 업종별 에너지사용현황(도표) 907
〈그림 3.3.2.4〉 건물부문 업종별 에너지사용현황(도표) 908
〈그림 3.3.2.5〉 수송부문 업종별 에너지사용현황(도표) 909
〈그림 3.3.2.6〉 에너지소비효율등급라벨 916
〈그림 3.3.2.7〉 인증신청절차 918
〈그림 3.3.2.8〉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라벨 922
〈그림 4.1.1.1〉 국제 유가 추이 932
〈그림 4.1.1.2〉 주요 광물가격 추이('15년1월 대비 변동폭) 933
〈그림 4.2.1.1〉 산업통상자원부 재난관리 체계 951
〈그림 4.2.2.1〉 저소득가구의 지역별 주택유형 분포 968
〈그림 4.2.2.2〉 소득분위별 가구당 연료비 지출비율 비교 및 연료비 지출 추이 969
〈그림 4.2.2.3〉 연도별 에너지복지 정책 흐름도 970
〈그림 4.3.1.1〉 청정에너지 13대 중점투자대상기술 974
〈그림 4.3.4.1〉 고급트랙 예시 9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34400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2434402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2434404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2434401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1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0002434403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2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0002434405 | R 354.5182 ㅅ198ㅅ | 2017-2018v.3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