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2017 충청남도교육연수원 기본 방향

시간표(Schedule)

목차

학교 교육과 진로전담교사(중) / 김현진 10

I. 학교 교육에서의 진로교육 10

1. 진로전담교사의 정의 및 자격 11

2. 중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11

II. 학교 진로교육의 실제 12

1. 진로교육 추진 정책의 변화에 대한 성찰 12

2. 진로진학상담(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성찰 14

3. 학교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성찰 20

4. 학부모의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성찰 22

5. 진로진학상담(진로전담)교사로써의 성찰 24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자기성찰(고) / 박주병 28

I. 진로교육법 28

1. 「진로교육법」의 제정 의의 28

2. 「진로교육법」의 주요 내용 29

3. 「진로교육법」, 진로교육법 시행령, 진로교육법 시행규칙의 내용 구조 29

4. 「진로교육법」의 성과와 과제 30

II. 2018 진로전담교사 배치 및 운영지침 33

III. 일반고 진로교육의 현황 35

1. 일반고 고등학생 설문조사 결과 35

2. 일반고 일반교사 설문조사 결과 36

3. 일반고 진로진학상담교사 설문조사 결과 36

IV. 단위학교의 진로교육의 실제(일반고) 37

1. 비전 37

2. 중점 추진 과제 37

3. 주요 프로그램 38

진로와 직업 교과 : 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사례 39

V.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되돌아보며 40

1. 진로진학상담교사 되어가는 과정 40

2.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41

3.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의 제언 42

참고문헌 43

마을·지역·학교가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만들기 / 임경수 44

I. 완주군의 농촌활력사업 44

II.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46

III. 완주군의 농촌활력사업의 성과와 성공요인 48

IV. 교육공동체 만들기 50

기업가 정신 기반 체험교육 프로그램 운영하기 / 오기영 54

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의 방향 54

2. 창의, 융합, 사고의 유연함을 위한 교육의 방향 63

3. 역량 중심의 융합적 교육의 방향 66

참고자료 67

참고사이트 67

미래사회와 청소년 기업가 정신 / 안광배 68

4차 산업혁명 ICT NEW TREND(미래를 선도할 주요 기술) 74

1. 포스트모바일세계, 디지털 그물망 74

2. 초 연결사회, 사물인터넷(IoTIoE) 75

3. 세상을 바꿀 마법, 3D 프린팅 75

4. 온오프의 장점 결함, 020 76

5. 현실과 비현실의 무경계, 가상현실 76

6. 금융과 IT의 결함, 핀테크 77

7. 미래가 현실로, 인공지능(AI) 77

8. 스스로 학습하는, 머신러닝 딥러닝 78

4차 산업혁명 무엇을 뜻하는가? 79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 탈노동사회와 미래시민을 위한 진로교육 / 김도훈 90

1. 직업의 미래 90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로봇이 몰려온다! 91

화이트칼라, 전문직도 위험! 91

다가오는 전통적 노동의 종말 92

일의 미래 : 무엇이, 왜 바뀌는가? 92

2. 미래사회 핵심역량 93

OECD 핵심역량 93

필요한 미래 역량 94

'문송'합니까? 94

A급 인재와 B급 인재의 조화 95

3. 미래 사회와 현행 교육체제 95

과학 핵심역량 관련 전문가 미래 전망 및 현행 교육체계 평가 96

각 고등학교 현황 분석 97

현재의 장애와 필요 대응 역량 97

4. 대안의 모색 98

외국 상황 : 교육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 함양에 심혈을 기울임 98

한국 상황 : 교육과정에 기업가 정신 함양 크게 미흡 99

더 심각한 문제 : 도구화된 지식과 "gamesmanship" 99

누가 실제 부가가치를 창조하는가? 100

다양한 지식 트랙의 축적을 통해 교육(학습)의 유용성을 회복해야 100

4. 덧붙여서... 101

모노트랙에서 멀티트랙으로 : 교육 과정에서 가치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새로운 도전을 고취해야 101

우리가 지향하고, 키운 '엘리트'의 자화상 102

어떤 주체를 육성하고 고무할 것인가? 102

미래의 대안 : 경쟁을 넘어 협력적 리더십으로 103

상담자의 소진예방과 대처 방안 / 방혜진 104

Part 1. 상담자가 직면하는 문제 이해 105

Part 2. 상담자의 자기 이해를 통한 소진 예방 108

Part 3. 성장하는 상담자 되기 118

1. 진로상담에 대해 다양한 시도해보기 119

2. 다양한 상담 이론 공부하기 119

3. 자신의 상담사례를 녹음하여 들어보기 120

4. 상담사례 수퍼비전 받기 120

5. 새로운 진로상담 프로그램 구상해보기 122

6. 나를 필요로 하는 여러 학생 & 학부모 생각하기 123

가치 있는 삶을 위한 노동 인권 생각나누기 / 김민호 126

I. '헌법'과 '현실' 속의 청소년 노동인권 126

1. 우리 헌법은 청소년의 노동은 특별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천명하고 있습니다. 126

2. 하지만 현실에서 청소년은 노동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126

3. 사건이 터질 때만 되풀이되는 중앙정부의 형식적인 개선대책 129

4. 청소년 노동인권은 당사자인 청소년과 함께, 교사·학부모·사업주·노동자 등 지역사회... 129

II. 청소년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지역사회의 움직임 130

1. 충남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발족 130

2. 청소년노동인권지킴이 양성, 노동인권교육·노동법률상담·권리찾기지원, 실태조사 및 수첩 발간, 캠페인 등 130

3. 청소년 노동인권 정책 제안 131

4. 청소년 노동인권 조례 제정 제안 132

충청남도 청소년 노동인권 보호 등에 관한 조례 134

III. 충남청소년노동인권센터 운영 현황 138

1. 충남청소년노동인권센터 개요 138

2. 청소년 노동인권 사업계획 및 추진현황(2017.11.24. 기준) 139

3. 충남청소년노동인권센터 운영 평가 결과 : "적합" 139

IV. 노동인권 생각나누기 140

1. '노동'과 '인권'에 대한 혐오 140

2. '법률지식'보다 '인권의식'이 더 중요 140

3. 노동인권, '투쟁성'과 '감수성'의 조화 141

학교혁신과 참학력 생각나누기 / 윤여준 160

I. 들어가는 말 160

II. 교육의 방향 161

1. 충남 혁신교육의 방향 161

2. 왜 학교혁신인가? 162

3. 학교혁신 바로보기 164

4. 학교혁신의 출발 170

III. 나가는 말 174

발달단계에 따른 진로상담기법 활용하기 / 이순희 176

I. 청소년들이 마주할 미래의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176

1. 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 176

2. 인공지능(로봇)의 역할과 능력 강화 177

3. 사물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발달로 다양한 빅데이터 생성 177

4. 직업창출과 소멸, 직무변화를 통한 직업세계의 변화 177

5. 생산과 소비패턴 변화 178

6. 고용형태 양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 심화 178

II. 제4차 산업혁명과 진로진학상담 교육의 연결 178

1. 자기표현 및 자아실현 욕구(가치) 관련 일자리 증대 178

2. 청소년기에 국한된 진로진학교육이 아닌 전생애적 관점 전환 178

3. 청소년 진로진학교육의 내용, 방법, 시기의 변화 필요 179

4.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필요한 인재상 변화 179

III. 몰입과 동기강화를 위한 다중지능 탐색 179

1. 다중지능이란? 180

2. 기존지능과 다중지능이론의 차이점은? 180

3. Gardner의 다중지능 181

4.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론 184

IV.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185

참고문헌 186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을 위한 비폭력대화 / 이성재 188

I. 비폭력대화 188

1. 비폭력대화란... 188

2. 비폭력대화 모델 190

3. 폭력적인 대화 191

II. 마음을 나누는 대화 연습 193

1. 관찰로 말해요. 193

2. 느낌으로 말해요. 195

3. 내 욕구를 찾아요. 198

4. 부탁해요. 199

5. 한국 비폭력대화 센터 안내 199

참고문헌 199

미래 생존 전략-직업과 교육에 던져진 과제 / 김영생 200

I. 4차 산업혁명 201

1. 4차 산업혁명의 의미 201

2.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 203

II. 직업세계의 변화 211

1. 일자리의 변화 212

2. 일자리 전망 215

3. 필요한 직무역량 216

4. 첨단 직업 218

5. 국내 직업별 일자리 전망 221

III. 미래 교육 전망 224

1. 교육 변화의 필요성 225

2. 미래 교육 변화의 요인 226

3. 미래 교육 변화의 내용 227

4. 미래학교 교육의 변화 227

5. 미래 학교의 역할과 특징 228

6. 미래의 교육평가 229

맥킨지식 기획사고법, 문제해결 로직트리 / 이호철 232

프레디저를 활용한 진로/학습 설계 / 지수근 246

I. 변화하는 시대 변화하는 진로 교육 246

1. 진로 교육에 대한 새로운 생각 246

2. 생산구조도 진로구조도 인간에 대한 시각도 변했다. 247

3. 존재가 아닌 생성을 보기 시작하다. 248

4. 진로 지도는 정답 찾기가 아니다. 252

II. 진로의 키워드, 사랑 254

1. 진로 교육에 대한 새로운 생각 254

2. 프레디저 진단 프로그램이란? 254

III. 프레디저 프로그램에 대하여 255

1. 직업의 육하원칙 255

2. 나 되기와 나 아닌 것 되기 257

상처없이 마음을 나누는 스킬, 감정코칭과 회복탄력성(중) / 박응식 ; 윤지영 260

I. 공감적 대화 방법 260

1. 단정 대신 미러링(경청)하기 261

2. 감정을 탐색하기 262

3. "왜" 대신 "무엇 때문에" 263

4. 타당성 인정하기 264

5. 감정과 상황을 정리해주기 265

II. 행동을 선도한다. 266

1. 바람직한 행동으로 수정한다. 267

2. 선생님은 말 그대로 코치! 268

3. 한계를 지어주세요. 268

4. 학생이 제시한 문제 해결방식을 지지해주세요. 269

5. 해결법을 다시 확인해주세요. 269

III. 맺음말 270

배움과 성장이 있는 협동학습 / 소은숙 274

4차 산업혁명 온다 274

교육에 닥친 4차산업혁명 275

21세기 학습자 핵심역량 276

2015 교육과정 276

2015 교육과정 핵심역량 277

협동학습의 개념 277

협동학습의 필요성 278

협동학습의 한계 279

협동학습의 의미와 가치 280

협동학습 7가지 열쇠 280

질문이 살아 움직이는 진로수업, 하브루타 / 장수덕 298

유대인 이야기 299

유대인 Havruta 교육방법 300

Meta認知란 301

Havruta的 수업방법 306

학생과 함께하는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로 탐색하기 / 조미경 314

I. 왜, 프로젝트 학습인가? 314

1. 4차 산업혁명과 미래 학교 314

2. 프로젝트 학습의 중요성 315

II. 프로젝트 학습 운영 318

1. 프로젝트 수업 모형(운영계획) 318

2.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 319

III. 프로젝트 학습 실제 320

1. 프로젝트 학습 활동 흐름도 320

2. 활동계획(총 10회, 20시간) 320

3. 세부 활동 322

4. 활동 실제 323

비쥬얼 씽킹을 활용한 진로교육 / 서흥석 328

I. Visual Thinking의 이해 328

1. Visual Thinking이란? 328

2. 도해 사고 330

II. 씽킹 맵 333

1. 씽킹 맵(Thinking Maps) 333

III. Visual Thinking의 실천 338

1. 도구의 준비 338

2. Visual Thinking 시각 언어 338

3. Visual Thinking 적용 사례 339

IV. Visual Thinking을 사랑하자 346

참고문헌 347

인문의학, 인문의 창으로 본 건강 / 김종성 348

I. 들어가며 348

1. 인문학의 등대 퇴계와의 즐거운 여행 348

2. 명품 한국선비정신 349

II. 퇴계사상과 현대의학의 융합적 관점 350

1.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350

2. 퇴계 사상의 성(性), 심(心), 정(情), 경(敬) 개념 351

3. 퇴계 사상과 현대의학의 융합적 관점이 현대인들에게 제시하는 인문학적 내용 352

III. 나가며 362

참고문헌 363

고입 전형 실제와 진학 지도 / 이상원 364

I. 여는 글 364

1. 대학으로 가는 고등학교 선택에서의 고민 364

2. 대학 입시 분석과 고교 선택 365

II. 고등학교 유형과 특성 365

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서의 위계 365

2. 고등학교의 유형과 특징 367

III. 고등학교 선택을 위한 방안 소고 375

1. 다양한 경우와 고교 선택 375

2. 고등학교 입학 전형의 변화 376

IV. 닫으며 377

참고문헌 377

청렴, 생각 나누기 / 정현철 378

I. 충청남도교육청 공무원행동강령 378

공무원 행동강령이란? 378

공무원 행동강령 운영체계 379

행동강령 책임관 지정 현황 379

행동강령 책임관의 역할 380

행동강령 3대 행위기준 380

부당한 업무지시에 대한 처리절차 381

특혜의 배제 381

예산의 목적 외 사용 금지 382

인사 청탁 등의 금지 382

금품 등을 받는 행위의 제한 383

금품 등을 받을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 383

협찬 요구 제한 384

외부강의 및 회의 등의 신고 385

금전의 차용 금지 등 385

경조사의 통지 제한 386

경조금품의 수수 제한 등 386

II.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387

법률 적용 대상기관 387

법률 적용 대상자 388

부정청탁 금지 388

금품등 수수 금지 392

III. 공무원 비위사건 처리 규정 396

목적 396

근거 397

적용대상 397

비위사건 처리 기준 398

수사기관이 통보한 공무원 범죄사건 398

처분의 감경 400

가중 처벌 401

감경 제외 대상 401

처분권자 402

기타 사항 402

처리기준 403

대입전형 실제와 진학·취업 지도 / 최진규 410

I. 학생부종합전형의 이해 410

1. 들어가면서 410

2. 대학이 요구하는 인재상 411

3. 고등학교 교육과정 412

4. 서류의 핵심은 학생부 413

5. 항목 간 일관성과 역동성이 중요함 413

6.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 414

II. 취업 중심의 특성화학과 426

부록 446

연수안내 448

교육과정 운영 및 강사평가 설문응답지(예시) 450

사전과제물 제출 및 분임토의 계획 452

원격연수 수강 방법 455

반부패 청렴 서약 456

시설안내 및 비상대피로 457

연수생 명단 458

판권기 459

이용현황보기

진로진학상담1급 정교사 자격연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34791 371.425 -18-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4792 371.425 -18-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