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낙동강수계 호소환경 및 생태조사 = Survey of lake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the Nakdong River system : 3년차보고서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창원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2018
청구기호
333.9163 -18-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 xxxvii, 886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2017년도)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 3년차
제어번호
MONO120185212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강미아
부록: 1. 낙동강 호소 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출현종 사진 ; 2. 낙동강 호소 동물플랑크톤의 주요 출현종 사진 ; 3. 조사 대상호소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외
참고문헌: p. 815-820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58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59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63

3.1. 연구내용 63

3.1.1. 조사대상 호소 63

3.1.2. 조사 시기 64

3.1.3. 조사내용 64

3.2. 연구방법 65

3.2.1. 호소환경 및 수리수문 현황조사 65

3.2.2. 오염원현황 및 오염부하량 조사 65

3.2.3. 발생부하량 산정방법 65

3.2.4. 배출부하량 산정방법 67

3.2.5.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조사방법 69

3.2.6. 수생식물 조사방법 78

3.2.7.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방법 84

3.2.8. 어류 조사방법 90

제4장 중점조사 대상호소 조사 결과 96

4.1. 경천호 96

4.1.1. 호소개황 96

4.1.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97

4.1.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98

4.1.4. 수질 101

4.1.5. 식물플랑크톤 106

4.1.6. 동물플랑크톤 111

4.1.7. 수생식물 113

4.1.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22

4.1.9. 어류 128

4.2. 낙동강하구언 135

4.2.1. 호소개황 135

4.2.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136

4.2.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137

4.2.4. 수질 140

4.2.5. 식물플랑크톤 145

4.2.6. 동물플랑크톤 150

4.2.7. 수생식물 152

4.2.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62

4.2.9. 어류 174

4.3. 번개늪 181

4.3.1. 호소개황 181

4.3.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183

4.3.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183

4.3.4. 수질 186

4.3.5. 식물플랑크톤 191

4.3.6. 동물플랑크톤 196

4.3.7. 수생식물 197

4.3.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6

4.3.9. 어류 213

4.4. 영천호 220

4.4.1. 호소개황 220

4.4.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222

4.4.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222

4.4.4. 수질 225

4.4.5. 식물플랑크톤 229

4.4.6. 동물플랑크톤 235

4.4.7. 수생식물 237

4.4.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45

4.4.9. 어류 253

4.5. 오태지 260

4.5.1. 호소개황 260

4.5.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261

4.5.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262

4.5.4. 수질 264

4.5.5. 식물플랑크톤 269

4.5.6. 동물플랑크톤 274

4.5.7. 수생식물 275

4.5.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84

4.5.9. 어류 291

4.6. 운문호 297

4.6.1. 호소개황 297

4.6.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299

4.6.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299

4.6.4. 수질 303

4.6.5. 식물플랑크톤 307

4.6.6. 동물플랑크톤 312

4.6.7. 수생식물 314

4.6.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322

4.6.9. 어류 333

4.7. 장척호 339

4.7.1. 호소개황 339

4.7.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340

4.7.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341

4.7.4. 수질 344

4.7.5. 식물플랑크톤 349

4.7.6. 동물플랑크톤 354

4.7.7. 수생식물 356

4.7.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365

4.7.9. 어류 372

4.8. 정양늪 378

4.8.1. 호소개황 378

4.8.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379

4.8.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380

4.8.4. 수질 383

4.8.5. 식물플랑크톤 388

4.8.6. 동물플랑크톤 392

4.8.7. 수생식물 394

4.8.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04

4.8.9. 어류 411

4.9. 진양호 417

4.9.1. 호소개황 417

4.9.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419

4.9.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419

4.9.4. 수질 423

4.9.5. 식물플랑크톤 427

4.9.6. 동물플랑크톤 432

4.9.7. 수생식물 434

4.9.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43

4.9.9. 어류 455

4.10. 질날늪 462

4.10.1. 호소개황 462

4.10.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464

4.10.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464

4.10.4. 수질 467

4.10.5. 식물플랑크톤 472

4.10.6. 동물플랑크톤 476

4.10.7. 수생식물 478

4.10.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488

4.10.9. 어류 494

제5장 일반조사 대상호소 조사 결과 501

5.1. 가창호 501

5.1.1. 호소개황 501

5.1.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02

5.1.3. 수질 503

5.1.4. 식물플랑크톤 507

5.1.5. 동물플랑크톤 513

5.2. 구천호 515

5.2.1. 호소개황 515

5.2.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15

5.2.3. 수질 516

5.2.4. 식물플랑크톤 521

5.2.5. 동물플랑크톤 526

5.3. 기동지 528

5.3.1. 호소개황 528

5.3.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29

5.3.3. 수질 530

5.3.4. 식물플랑크톤 534

5.3.5. 동물플랑크톤 539

5.4. 대암호 541

5.4.1. 호소개황 541

5.4.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42

5.4.3. 수질 542

5.4.4. 식물플랑크톤 547

5.4.5. 동물플랑크톤 552

5.5. 덕동호 554

5.5.1. 호소개황 554

5.5.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55

5.5.3. 수질 556

5.5.4. 식물플랑크톤 560

5.5.5. 동물플랑크톤 565

5.6. 박실지 567

5.6.1. 호소개황 567

5.6.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67

5.6.3. 수질 568

5.6.4. 식물플랑크톤 572

5.6.5. 동물플랑크톤 577

5.7. 보문호 579

5.7.1. 호소개황 579

5.7.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80

5.7.3. 수질 581

5.7.4. 식물플랑크톤 585

5.7.5. 동물플랑크톤 589

5.8. 사연호 592

5.8.1. 호소개황 592

5.8.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593

5.8.3. 수질 594

5.8.4. 식물플랑크톤 598

5.8.5. 동물플랑크톤 603

5.9. 선암지 606

5.9.1. 호소개황 606

5.9.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07

5.9.3. 수질 607

5.9.4. 식물플랑크톤 612

5.9.5. 동물플랑크톤 617

5.10. 안계호 620

5.10.1. 호소개황 620

5.10.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21

5.10.3. 수질 621

5.10.4. 식물플랑크톤 626

5.10.5. 동물플랑크톤 631

5.11. 안동호 633

5.11.1. 호소개황 633

5.11.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34

5.11.3. 수질 634

5.11.4. 식물플랑크톤 639

5.11.5. 동물플랑크톤 644

5.12. 연초호 646

5.12.1. 호소개황 646

5.12.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47

5.12.3. 수질 647

5.12.4. 식물플랑크톤 652

5.12.5. 동물플랑크톤 657

5.13. 용연지 659

5.13.1. 호소개황 659

5.13.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60

5.13.3. 수질 661

5.13.4. 식물플랑크톤 665

5.13.5. 동물플랑크톤 670

5.14. 우포늪 673

5.14.1. 호소개황 673

5.14.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74

5.14.3. 수질 674

5.14.4. 식물플랑크톤 679

5.14.5. 동물플랑크톤 683

5.15. 임하호 685

5.15.1. 호소개황 685

5.15.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86

5.15.3. 수질 686

5.15.4. 식물플랑크톤 691

5.15.5. 동물플랑크톤 696

5.16. 주남지 698

5.16.1. 호소개황 698

5.16.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699

5.16.3. 수질 699

5.16.4. 식물플랑크톤 704

5.16.5. 동물플랑크톤 708

5.17. 풍락지 711

5.17.1. 호소개황 711

5.17.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712

5.17.3. 수질 713

5.17.4. 식물플랑크톤 717

5.17.5. 동물플랑크톤 722

5.18. 합천호 725

5.18.1. 호소개황 725

5.18.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726

5.18.3. 수질 727

5.18.4. 식물플랑크톤 731

5.18.5. 동물플랑크톤 736

5.19. 회동호 738

5.19.1. 호소개황 738

5.19.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739

5.19.3. 수질 739

5.19.4. 식물플랑크톤 744

5.19.5. 동물플랑크톤 749

5.20. 회야호 752

5.20.1. 호소개황 752

5.20.2.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753

5.20.3. 수질 753

5.20.4. 식물플랑크톤 758

5.20.5. 동물플랑크톤 763

제6장 호소 관리대책 766

6.1. 수질분야 766

6.2. 동·식물플랑크톤 분야 796

6.3. 수생식물 분야 811

6.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야 821

6.5. 어류 분야 826

제7장 결론 832

7.1. 호소현황 및 수질 결론 832

7.1.1. 호소 환경, 기상 및 수리수문 현황 832

7.1.2. 호소유역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현황 835

7.1.3. 호소 수질 836

7.2. 호소 생물상 결론 842

7.2.1. 식물플랑크톤 842

7.2.2. 동물플랑크톤 850

7.2.3. 수생식물 857

7.2.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865

7.2.5. 어류 866

참고문헌 872

부록 878

부록 1. 낙동강 호소 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출현종 사진 878

부록 2. 낙동강 호소 동물플랑크톤의 주요 출현종 사진 879

부록 3. 조사 대상호소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880

부록 4. 중점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3월) 924

부록 5. 중점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6월) 925

부록 6. 중점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9월, 1/2) 926

부록 7. 중점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12월) 928

부록 8. 일반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3월, 1/2) 929

부록 9. 일반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6월, 1/2) 931

부록 10. 일반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9월, 1/4) 933

부록 11. 일반조사 대상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종조성(12월, 1/2) 937

부록 12. 호소별 어류 종 목록(2017년 상반기) 939

부록 13. 호소별 어류 종 목록(2017년 하반기) 940

부록 14. 호소별 어류 종 목록(2017년 합계) 942

표 3.1.1. 2017년 조사대상 호소 63

표 3.2.1.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66

표 3.2.2. 축산분뇨 발생부하원단위 66

표 3.2.3.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원단위 67

표 3.2.4. 양식장 사료투여량 대비 발생부하비 67

표 3.2.5.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중점조사 지점 69

표 3.2.6.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일반 조사 지점 70

표 3.2.7. 측정항목 및 분석방법 75

표 3.2.8.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 산정방법(이미지참조) 76

표 3.2.9.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를 이용한 영양상태 판정기준(이미지참조) 76

표 3.2.10. 호소 수질 기준 76

표 3.2.11. 조사대상 호소의 수생식물 조사지점 78

표 3.2.12. 식물군집 조사에서 우점도 등급 기준 79

표 3.2.1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84

표 3.2.14. 어류 조사지점 및 조사시기 90

표 4.1.1. 경천호 시설 현황 96

표 4.1.2. 경천호 유역의 기상 현황 98

표 4.1.3. 경천호 생활계 오염원 현황 99

표 4.1.4. 경천호 축산계 오염원 현황 99

표 4.1.5. 경천호 산업계 오염원 현황 99

표 4.1.6. 경천호 토지계 오염원 현황 100

표 4.1.7. 경천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106

표 4.1.8. 경천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107

표 4.1.9. 경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08

표 4.1.10. 경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109

표 4.1.11. 경천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12

표 4.1.12. 경천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13

표 4.1.13. 창포 군락(Acorus calamus var. angusstatus Community)의 식생표 116

표 4.1.14. 경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117

표 4.1.15. 경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118

표 4.1.16. 경천호 식물상 목록 120

표 4.1.17. 경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124

표 4.1.18. 경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125

표 4.1.19. 경천호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126

표 4.1.20. 경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127

표 4.1.21.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129

표 4.1.22.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130

표 4.1.23.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131

표 4.1.24.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132

표 4.1.25.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134

표 4.2.1. 낙동강하구언 시설 현황 135

표 4.2.2. 낙동강하구언 유역의 기상 현황 137

표 4.2.3. 낙동강하구언 생활계 오염원 현황 138

표 4.2.4. 낙동강하구언 축산계 오염원 현황 138

표 4.2.5. 낙동강하구언 산업계 오염원 현황 138

표 4.2.6. 낙동강하구언 토지계 오염원 현황 139

표 4.2.7. 낙동강하구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145

표 4.2.8. 낙동강하구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146

표 4.2.9. 낙동강하구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47

표 4.2.10. 낙동강하구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148

표 4.2.11. 낙동강하구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51

표 4.2.12. 낙동강하구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52

표 4.2.13. 갈대 군락 (Phragmites communis Trin. Community)의 식생표 155

표 4.2.14. 낙동강 하구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156

표 4.2.15. 낙동강 하구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157

표 4.2.16. 낙동강 하구언 식물상 목록 159

표 4.2.17. 낙동강하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164

표 4.2.18. 낙동강하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165

표 4.2.19. 낙동강하구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167

표 4.2.20. 낙동강하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168

표 4.2.21.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175

표 4.2.22.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176

표 4.2.23.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177

표 4.2.24.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178

표 4.2.25.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179

표 4.3.1. 번개늪 시설 현황 181

표 4.3.2. 번개늪 유역의 기상 현황 183

표 4.3.3. 번개늪 생활계 오염원 현황 184

표 4.3.4. 번개늪 축산계 오염원 현황 184

표 4.3.5. 번개늪 산업계 오염원 현황 184

표 4.3.6. 번개늪 토지계 오염원 현황 185

표 4.3.7. 번개늪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191

표 4.3.8. 번개늪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192

표 4.3.9. 번개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92

표 4.3.10. 번개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193

표 4.3.11. 번개늪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96

표 4.3.12. 번개늪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97

표 4.3.13. 마름 군락(Trapa japonica Flerov. Community)의 식생표 200

표 4.3.14. 번개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01

표 4.3.15. 번개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02

표 4.3.16. 번개늪 식물상 목록 204

표 4.3.17. 번개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209

표 4.3.18. 번개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209

표 4.3.19. 번개늪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210

표 4.3.20. 번개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211

표 4.3.21.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214

표 4.3.22.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216

표 4.3.23.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217

표 4.3.24.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218

표 4.3.25.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219

표 4.4.1. 영천호 시설 현황 220

표 4.4.2. 영천호 유역의 기상 현황 222

표 4.4.3. 영천호 생활계 오염원 현황 223

표 4.4.4. 영천호 축산계 오염원 현황 223

표 4.4.5. 영천호 산업계 오염원 현황 224

표 4.4.6. 영천호 토지계 오염원 현황 224

표 4.4.7. 영천호 부영양화도 평가 229

표 4.4.8. 영천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231

표 4.4.9. 영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32

표 4.4.10. 영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233

표 4.4.11. 영천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36

표 4.4.12. 영천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237

표 4.4.13. 물피 군락(Echinochloa crus-gali var. oryzicola Ohwi Community)의 식생표 240

표 4.4.14. 영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41

표 4.4.15. 영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42

표 4.4.16. 영천호 식물상 목록 244

표 4.4.17. 영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248

표 4.4.18. 영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248

표 4.4.19. 영천호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250

표 4.4.20. 영천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251

표 4.4.21.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253

표 4.4.22.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255

표 4.4.23.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256

표 4.2.24.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257

표 4.4.25.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258

표 4.5.1. 오태지 시설 현황 260

표 4.5.2. 오태지 유역의 기상 현황 262

표 4.5.3. 오태지 생활계 오염원 현황 262

표 4.5.4. 오태지 축산계 오염원 현황 263

표 4.5.5. 오태지 토지계 오염원 현황 263

표 4.5.6. 오태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269

표 4.5.7. 오태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271

표 4.5.8. 오태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71

표 4.5.9. 오태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272

표 4.5.10. 오태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75

표 4.5.11. 부들 군락(Typha orientalis Presl Community)의 식생표 278

표 4.5.12. 오태지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79

표 4.5.13. 오태지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80

표 4.5.14. 오태지 식물상 목록 282

표 4.5.15. 오태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286

표 4.5.16. 오태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286

표 4.5.17. 오태지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288

표 4.5.18. 오태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289

표 4.5.19.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292

표 4.5.20.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293

표 4.5.21.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294

표 4.5.22.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295

표 4.5.23.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296

표 4.6.1. 운문호 시설 현황 297

표 4.6.2. 운문호 유역의 기상 현황 299

표 4.6.3. 운문호 생활계 오염원 현황 300

표 4.6.4. 운문호 축산계 오염원 현황 300

표 4.6.5. 운문호 산업계 오염원 현황 301

표 4.6.6. 운문호 토지계 오염원 현황 301

표 4.6.7. 운문호 부영양화도 평가 307

표 4.6.8. 운문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308

표 4.6.9. 운문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09

표 4.6.10. 운문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310

표 4.6.11. 운문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13

표 4.6.12. 운문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314

표 4.6.13. 이삭사초 군락(Carex dimorpholepis Steud Cornmunity)의 식생표 316

표 4.6.14. 운문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17

표 4.6.15. 운문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18

표 4.6.16. 운문호 식물상 목록 320

표 4.6.17. 운문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324

표 4.6.18. 운문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325

표 4.6.19. 운문호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327

표 4.6.20. 운문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328

표 4.6.21.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334

표 4.6.22.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335

표 4.6.23.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336

표 4.6.24.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337

표 4.6.25.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338

표 4.7.1. 장척호 시설 현황 339

표 4.7.2. 장척호 유역의 기상 현황 341

표 4.7.3. 장척호 생활계 오염원 현황 342

표 4.7.4. 장척호 축산계 오염원 현황 342

표 4.7.5. 장척호 산업계 오염원 현황 342

표 4.7.6. 장척호 토지계 오염원 현황 343

표 4.7.7. 장척호 부영양화도 평가 349

표 4.7.8. 장척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350

표 4.7.9. 장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50

표 4.7.10. 장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351

표 4.7.11. 장척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55

표 4.7.12. 장척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356

표 4.7.13. 마름 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의 식생표 359

표 4.7.14. 장척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60

표 4.5.15. 장척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61

표 4.7.16. 장척호 식물상 목록 363

표 4.7.17. 장척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367

표 4.7.18. 장척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368

표 4.7.19. 장척호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369

표 4.7.20. 장척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370

표 4.7.21.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373

표 4.7.22.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374

표 4.7.23.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375

표 4.2.24.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376

표 4.7.25.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377

표 4.8.1. 정양늪 시설 현황 378

표 4.8.2. 정양늪호 유역의 기상 현황 380

표 4.8.3. 정양늪 생활계 오염원 현황 380

표 4.8.4. 정양늪 축산계 오염원 현황 381

표 4.8.5. 정양늪 산업계 오염원 현황 381

표 4.8.6. 정양늪 토지계 오염원 현황 382

표 4.8.7. 정양늪 부영양화도 평가 388

표 4.8.8. 정양늪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389

표 4.8.9. 정양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89

표 4.8.10. 정양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390

표 4.8.11. 정양늪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393

표 4.8.12. 정양늪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394

표 4.8.13. 물피 군락(Echinochloa crus-gali var. oryzicola Ohwi Community)의 식생표 397

표 4.8.14. 정양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98

표 4.8.15. 정양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99

표 4.8.16. 정양늪 식물상 목록 401

표 4.8.17. 정양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406

표 4.8.18. 정양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407

표 4.8.19. 정양늪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408

표 4.8.20. 정양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409

표 4.8.21.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412

표 4.8.22.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413

표 4.8.23.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414

표 4.8.24.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415

표 4.8.25.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416

표 4.9.1. 진양호 시설 현황 417

표 4.9.2. 진양호 유역의 기상 현황 419

표 4.9.3. 진양호 생활계 오염원 현황 420

표 4.9.4. 진양호 축산계 오염원 현황 420

표 4.9.5. 진양호 산업계 오염원 현황 421

표 4.9.6. 진양호 토지계 오염원 현황 421

표 4.9.7. 진양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427

표 4.9.8. 진양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429

표 4.9.9. 진양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429

표 4.9.10. 진양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430

표 4.9.11. 진양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433

표 4.9.12. 물꼬챙이골 군락(Eleocharis mamilata Lindb. fil. var. cyclocarpa Kitagaw... 436

표 4.9.13. 진양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437

표 4.9.14. 진양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438

표 4.9.15. 진양호 식물상 목록 440

표 4.9.16. 진양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446

표 4.9.17. 진양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446

표 4.9.18. 진양호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448

표 4.9.19. 진양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449

표 4.9.20.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456

표 4.9.21.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457

표 4.9.22.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458

표 4.9.23.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459

표 4.9.24.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460

표 4.10.1. 질날늪 시설 현황 462

표 4.10.2. 질날늪 유역의 기상 현황 464

표 4.10.3. 질날늪 생활계 오염원 현황 465

표 4.10.4. 질날늪 축산계 오염원 현황 465

표 4.10.5. 질날늪 산업계 오염원 현황 465

표 4.10.6. 질날늪 토지계 오염원 현황 466

표 4.10.7. 질날늪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472

표 4.10.8. 질날늪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473

표 4.10.9. 질날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473

표 4.10.10. 질날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474

표 4.10.11. 질날늪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477

표 4.10.12. 질날늪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478

표 4.10.13. 줄 군락(Zizania latifolia Turcz. community)의 식생표 481

표 4.10.14. 질날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482

표 4.10.15. 질날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483

표 4.10.16. 질날늪 식물상 목록 485

표 4.10.17. 질날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현황 490

표 4.10.18. 질날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490

표 4.10.19. 질날늪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건중량 491

표 4.10.20. 질날늪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목록 492

표 4.10.21.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496

표 4.10.22.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군집지수 분석 결과 497

표 4.10.23.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어종별 생체량(g) 비교 498

표 4.10.24.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499

표 4.10.25.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 종 목록 500

표 5.1.1. 가창호 시설 현황 501

표 5.1.2. 가창호 유역의 기상 현황 502

표 5.1.3. 가창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07

표 5.1.4. 가창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09

표 5.1.5. 가창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09

표 5.1.6. 가창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10

표 5.1.7. 가창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13

표 5.1.8. 가창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14

표 5.2.1. 구천호 시설 현황 515

표 5.2.2. 구천호 유역의 기상 현황 516

표 5.2.3. 구천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21

표 5.2.4. 구천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22

표 5.2.5. 구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23

표 5.2.6. 구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24

표 5.2.7. 구천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27

표 5.2.8. 구천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27

표 5.3.1. 기동지 시설 현황 528

표 5.3.2. 기동지 유역의 기상 현황 529

표 5.3.3. 기동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34

표 5.3.4. 기동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35

표 5.3.5. 기동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35

표 5.3.6. 기동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36

표 5.3.7. 기동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39

표 5.3.8. 기동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40

표 5.4.1. 대암호 시설 현황 541

표 5.4.2. 대암호 유역의 기상 현황 542

표 5.4.3. 대암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47

표 5.4.4. 대암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48

표 5.4.5. 대암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49

표 5.4.6. 대암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50

표 5.4.7. 대암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53

표 5.4.8. 대암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53

표 5.5.1. 덕동호 시설 현황 554

표 5.5.2. 덕동호 유역의 기상 현황 555

표 5.5.3. 덕동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60

표 5.5.4. 덕동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62

표 5.5.5. 덕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62

표 5.5.6. 덕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63

표 5.5.7. 덕동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66

표 5.5.8. 덕동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66

표 5.6.1. 박실지 유역의 기상 현황 567

표 5.6.2. 박실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72

표 5.6.3. 박실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73

표 5.6.4. 박실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73

표 5.6.5. 박실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74

표 5.6.6. 박실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77

표 5.7.1. 보문호 시설 현황 579

표 5.7.2. 보문호 유역의 기상 현황 580

표 5.7.3. 보문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85

표 5.7.4. 보문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86

표 5.7.5. 보문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86

표 5.7.6. 보문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587

표 5.7.7. 보문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590

표 5.7.8. 보문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591

표 5.8.1. 사연호 시설 현황 592

표 5.8.2. 사연호 유역의 기상 현황 593

표 5.8.3. 사연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598

표 5.8.4. 사연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599

표 5.8.5. 사연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00

표 5.8.6. 사연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01

표 5.8.7. 사연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04

표 5.8.8. 사연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05

표 4.9.1. 선암지 시설 현황 606

표 4.9.2. 선암지 유역의 기상 현황 607

표 5.9.3. 선암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12

표 4.9.4. 선암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13

표 4.9.5. 선암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14

표 4.9.6. 선암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15

표 5.9.7. 선암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18

표 5.9.8. 선암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19

표 5.10.1. 안계호 시설 현황 620

표 5.10.2. 안계호 유역의 기상 현황 621

표 5.10.3. 안계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26

표 5.10.4. 안계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27

표 5.10.5. 안계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28

표 5.10.6. 안계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29

표 5.10.7. 안계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32

표 5.11.1. 안동호 시설 현황 633

표 5.11.2. 안동호 유역의 기상 현황 634

표 5.11.3. 안동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39

표 5.11.4. 안동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41

표 5.11.5. 안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41

표 5.11.6. 안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42

표 5.11.7. 안동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45

표 5.12.1. 연초호 시설 현황 646

표 5.12.2. 연초호 유역의 기상 현황 647

표 5.12.3. 연초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52

표 5.12.4. 연초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53

표 5.12.5. 연초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54

표 5.12.6. 연초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55

표 5.12.7. 연초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58

표 5.12.8. 연초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58

표 5.13.1. 용연지 시설 현황 659

표 5.13.2. 용연지 유역의 기상 현황 660

표 5.13.3. 용연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65

표 5.13.4. 용연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67

표 5.13.5. 용연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67

표 5.13.6. 용연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68

표 5.13.7. 용연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71

표 5.13.8. 용연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72

표 5.14.1. 우포늪 시설 현황 673

표 5.14.2. 우포늪 유역의 기상 현황 674

표 5.14.3. 우포늪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79

표 5.14.4. 우포늪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80

표 5.14.5. 우포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80

표 5.14.6. 우포늪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81

표 5.14.7. 우포늪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84

표 5.14.8. 우포늪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84

표 5.15.1. 임하호 시설 현황 685

표 5.15.2. 임하호 유역의 기상 현황 686

표 5.15.3. 임하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691

표 5.15.4. 임하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692

표 5.15.5. 임하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93

표 5.15.6. 임하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694

표 5.15.7. 임하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697

표 5.15.8. 임하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697

표 5.16.1. 주남지 시설 현황 698

표 5.16.2. 주남지 유역의 기상 현황 699

표 5.16.3. 주남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704

표 5.16.4. 주남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705

표 5.16.5. 주남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05

표 5.16.6. 주남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706

표 5.16.7. 주남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09

표 5.16.8. 주남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710

표 5.17.1. 풍락지 시설 현황 711

표 5.17.2. 풍락지 유역의 기상 현황 712

표 5.17.3. 풍락지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717

표 5.17.4. 풍락지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718

표 5.17.5. 풍락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19

표 5.17.6. 풍락지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720

표 5.17.7. 풍락지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23

표 5.17.8. 풍락지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724

표 5.18.1. 합천호 시설 현황 725

표 5.18.2. 합천호 유역의 기상 현황 726

표 5.18.3. 합천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731

표 5.18.4. 합천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733

표 5.18.5. 합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33

표 5.18.6. 합천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734

표 5.18.7. 합천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37

표 5.19.1. 회동호 시설 현황 738

표 5.19.2. 회동호 유역의 기상 현황 739

표 5.19.3. 회동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744

표 5.19.4. 회동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746

표 5.19.5. 회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46

표 5.19.6. 회동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747

표 5.19.7. 회동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50

표 5.19.8. 회동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751

표 5.20.1. 회야호 시설 현황 752

표 5.20.2. 회야호 유역의 기상 현황 753

표 5.20.3. 회야호 부영양화도 평가(한국형 부영양화지수) 758

표 5.20.4. 회야호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종조성 현황 760

표 5.20.5. 회야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60

표 5.20.6. 회야호 표층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지수 761

표 5.20.7. 회야호 동물플랑크톤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764

표 5.20.8. 회야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765

표 6.3.1. 생태계 교란식물별 유해성 및 관리방법 815

표 6.3.2. 국내 4대강의 기후권 및 환경구배별 선정대상 군락유형 818

표 6.3.3. 생태계교란 및 외래식물 특성 및 활용방안 819

표 6.5.1. 호소별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826

표 6.5.2. 생태계교란 생물의 관리방안 828

표 6.5.3. 호소별 생태계교란 생물 출현 현황 829

표 7.1.1. 조사기간 중 중점 조사대상 10개 호소의 수질 및 수질등급 838

표 7.1.2. 조사기간 중 일반 조사대상 20개 호소의 수질 및 수질등급 839

표 7.2.1. 조사대상 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대출현빈도(전체) 854

표 7.2.2. 조사대상 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대출현빈도(3월) 854

표 7.2.3. 조사대상 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대출현빈도(6월) 855

표 7.2.4. 조사대상 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대출현빈도(9월) 855

표 7.2.5. 조사대상 호소의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수 및 상대출현빈도(12월) 856

표 7.2.6. 연도별 호소 수생식물의 생활형 분포 식생표 859

표 7.2.7. 호소별 귀화식물 출현종 목록 862

표 7.2.8. 귀화식물 제거 방법 864

표 7.2.9. 귀화식물별 적정 제거 시기 864

표 7.2.10. 멸종위기 야생생물(장척호, 정양늪, 낙동강하구언)쇠채아재비 865

표 7.2.11. 전체 호소에서 관찰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867

표 7.2.12. 호소별 우점종 및 군집지수, 생체량 비교 870

그림 2.1.1. TOC와 COD의 상관성 60

그림 3.2.1.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중점 조사 지점 72

그림 3.2.2. 수질 및 동·식물플랑크톤 일반 조사 지점 74

그림 3.2.3. 호소별 수생식물 중점조사지역 83

그림 3.2.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86

그림 3.2.5.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89

그림 3.2.6. 어류 조사지점 95

그림 4.1.1. 경천호 유역도 97

그림 4.1.2. 경천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100

그림 4.1.3. 경천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101

그림 4.1.4. 경천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102

그림 4.1.5. 경천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103

그림 4.1.6. 경천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103

그림 4.1.7. 경천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105

그림 4.1.8. 경천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108

그림 4.1.9. 경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110

그림 4.1.10. 경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111

그림 4.1.11. 경천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112

그림 4.1.12. 경천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113

그림 4.1.13. 경천호 연도별 식생도 변화 115

그림 4.1.14. 창포 군락(Acorus calamus var. angusstatus Community) 단면도 116

그림 4.1.15. 경천호 창포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117

그림 4.1.16. 경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117

그림 4.1.17. 경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118

그림 4.1.18. 경천호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119

그림 4.1.19. 경천호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122

그림 4.1.20. 경천호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123

그림 4.1.21. 경천호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124

그림 4.1.22. 경천호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125

그림 4.1.23.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129

그림 4.1.24.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130

그림 4.1.25.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131

그림 4.1.26. 경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133

그림 4.2.1. 낙동강하구언 유역도 136

그림 4.2.2. 낙동강하구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139

그림 4.2.3. 낙동강하구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140

그림 4.2.4. 낙동강하구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141

그림 4.2.5. 낙동강하구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142

그림 4.2.6. 낙동강하구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142

그림 4.2.7. 낙동강하구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144

그림 4.2.8. 낙동강하구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147

그림 4.2.9. 낙동강하구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149

그림 4.2.10. 낙동강하구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150

그림 4.2.11. 낙동강하구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151

그림 4.2.12. 낙동강 하구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152

그림 4.2.13. 낙동강 하구언 연도별 식생도 변화 154

그림 4.2.14. 갈대 군락 (Phragmites communis Trin. Community) 단면도 155

그림 4.2.15. 낙동강 하구언 갈대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156

그림 4.2.16. 낙동강 하구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157

그림 4.2.17. 낙동강 하구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157

그림 4.2.18. 낙동강 하구언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158

그림 4.2.19. 낙동강하구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162

그림 4.2.20. 낙동강하구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163

그림 4.2.21. 낙동강하구 지점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164

그림 4.2.22. 낙동강하구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 수(우) 분포 비율... 166

그림 4.2.23.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175

그림 4.2.24.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175

그림 4.2.25.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비교 177

그림 4.2.26. 낙동강하구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179

그림 4.3.1. 번개늪 유역도 182

그림 4.3.2. 번개늪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185

그림 4.3.3. 번개늪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186

그림 4.3.4. 번개늪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187

그림 4.3.5. 번개늪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188

그림 4.3.6. 번개늪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188

그림 4.3.7. 번개늪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190

그림 4.3.8. 번개늪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193

그림 4.3.9. 번개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194

그림 4.3.10. 번개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195

그림 4.3.11. 번개늪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197

그림 4.3.12. 번개늪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198

그림 4.3.13. 번개늪 연도별 식생도 변화 199

그림 4.3.14. 마름 군락(Trapa japonica Flerov. Community) 단면도 200

그림 4.3.15. 번개늪 마름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201

그림 4.3.16. 번개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01

그림 4.3.17. 번개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02

그림 4.3.18. 번개늪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203

그림 4.3.19. 번개늪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207

그림 4.3.20. 번개늪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08

그림 4.3.21. 번개늪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08

그림 4.3.22. 번개늪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209

그림 4.3.23.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215

그림 4.3.24.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215

그림 4.3.25.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216

그림 4.3.26. 번개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218

그림 4.4.1. 영천호 유역도 221

그림 4.4.2. 영천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225

그림 4.4.3. 영천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225

그림 4.4.4. 영천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226

그림 4.4.5. 영천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227

그림 4.4.6. 영천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227

그림 4.4.7. 영천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229

그림 4.4.8. 영천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232

그림 4.4.9. 영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234

그림 4.4.10. 영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235

그림 4.4.11. 영천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236

그림 4.4.12. 영천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237

그림 4.4.13. 영천호 연도별 식생도 변화 239

그림 4.4.14. 물피 군락(Echinochloa crus-gali var. oryzicola Ohwi Community) 단면도 240

그림 4.4.15. 영천호 물피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241

그림 4.4.16. 영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41

그림 4.4.17. 영천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42

그림 4.4.18. 영천호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243

그림 4.4.19. 영천호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246

그림 4.4.20. 영천호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47

그림 4.4.21. 영천호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47

그림 4.4.22. 영천호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249

그림 4.4.23.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254

그림 4.4.24.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254

그림 4.4.25.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255

그림 4.4.26. 영천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257

그림 4.5.1. 오태지 유역도 261

그림 4.5.2. 오태지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264

그림 4.5.3. 오태지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264

그림 4.5.4. 오태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265

그림 4.5.5. 오태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266

그림 4.5.6. 오태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267

그림 4.5.7. 오태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268

그림 4.5.8. 오태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271

그림 4.5.9. 오태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273

그림 4.5.10. 오태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274

그림 4.5.11. 오태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275

그림 4.5.12. 오태지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276

그림 4.5.13. 오태지 연도별 식생도 변화 277

그림 4.5.14. 부들 군락(Typha orientalis Presl Community) 단면도 278

그림 4.5.15. 오태지 부들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279

그림 4.5.16. 오태지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280

그림 4.5.17. 오태지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280

그림 4.5.18. 오태지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281

그림 4.5.19. 오태지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285

그림 4.5.20. 오태지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85

그림 4.5.21. 오태지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286

그림 4.5.22. 오태지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287

그림 4.5.23.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292

그림 4.5.24.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292

그림 4.5.25.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비교 293

그림 4.5.26. 오태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295

그림 4.6.1. 운문호 유역도 298

그림 4.6.2. 운문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302

그림 4.6.3. 운문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302

그림 4.6.4. 운문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303

그림 4.6.5. 운문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304

그림 4.6.6. 운문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305

그림 4.6.7. 운문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306

그림 4.6.8. 운문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309

그림 4.6.9. 운문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311

그림 4.6.10. 운문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312

그림 4.6.11. 운문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313

그림 4.6.12. 운문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314

그림 4.6.13. 운문호 연도별 식생도 변화 315

그림 4.6.14. 이삭사초 군락(Carex dimorpholepis Steud Cornmunity) 단면도 316

그림 4.6.15. 운문호 이삭사초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317

그림 4.6.16. 운문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18

그림 4.6.17. 운문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18

그림 4.6.18. 운문호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319

그림 4.6.19. 운문호의 목(目)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右) 비율... 322

그림 4.6.20. 운문호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323

그림 4.6.21. 운문호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323

그림 4.6.22. 운문호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325

그림 4.6.23.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334

그림 4.6.24.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334

그림 4.6.25.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335

그림 4.6.26. 운문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337

그림 4.7.1. 장척호 유역도 340

그림 4.7.2. 장척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343

그림 4.7.3. 장척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344

그림 4.7.4. 장척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345

그림 4.7.5. 장척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346

그림 4.7.6. 장척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346

그림 4.7.7. 장척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348

그림 4.7.8. 장척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351

그림 4.7.9. 장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352

그림 4.7.10. 장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354

그림 4.7.11. 장척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355

그림 4.7.12. 장척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356

그림 4.7.13. 장척호 연도별 식생도 변화 358

그림 4.7.14. 마름 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 단면도 359

그림 4.7.15. 장척호 마름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360

그림 4.7.16. 장척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60

그림 4.7.17. 장척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61

그림 4.7.18. 장척호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362

그림 4.7.19. 정척호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366

그림 4.7.20. 장척호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366

그림 4.7.21. 장척호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367

그림 4.7.22. 장척호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368

그림 4.7.23.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373

그림 4.7.24.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374

그림 4.7.25.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375

그림 4.7.26. 장척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376

그림 4.8.1. 정양늪 유역도 379

그림 4.8.2. 정양늪 유역 BC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382

그림 4.8.3. 정양늪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383

그림 4.8.4. 정양늪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384

그림 4.8.5. 정양늪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385

그림 4.8.6. 정양늪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385

그림 4.8.7. 정양늪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387

그림 4.8.8. 정양늪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390

그림 4.8.9. 정양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391

그림 4.8.10. 정양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392

그림 4.8.11. 정양늪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394

그림 4.8.12. 정양늪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395

그림 4.8.13. 정양늪 연도별 식생도 변화 396

그림 4.8.14. 물피 군락(Echinochloa crus-gali var. oryzicola Ohwi community) 단면도 397

그림 4.8.15. 정양늪 물피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398

그림 4.8.16. 정양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399

그림 4.8.17. 정양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399

그림 4.8.18. 정양늪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400

그림 4.8.19. 정양늪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405

그림 4.8.20. 정양늪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05

그림 4.8.21. 정양늪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06

그림 4.8.22. 정양늪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407

그림 4.8.23.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412

그림 4.8.24.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413

그림 4.8.25. 정양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414

그림 4.8.26.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415

그림 4.9.1. 진양호 유역도 418

그림 4.9.2. 진양호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422

그림 4.9.3. 진양호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422

그림 4.9.4. 진양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423

그림 4.9.5. 진양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424

그림 4.9.6. 진양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425

그림 4.9.7. 진양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426

그림 4.9.8. 진양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429

그림 4.9.9. 진양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431

그림 4.9.10. 진양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432

그림 4.9.11. 진양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433

그림 4.9.12. 진양호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434

그림 4.9.13. 진양호 연도별 식생도 변화 435

그림 4.9.14. 물꼬챙이골 군락(Eleocharis mamilata Lindb. fil. var. cyclocarpa Kitagaw... 436

그림 4.9.15. 진양호 물꼬챙이골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437

그림 4.9.16. 진양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438

그림 4.9.17. 진양호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438

그림 4.9.18. 진양호 주요 조사지점 및 현황(군락)사진(하계 조사 시) 439

그림 4.9.19. 진양호의 목(目)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右) 비율... 444

그림 4.9.20. 진양호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45

그림 4.9.21. 진양호 수심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45

그림 4.9.22. 진양호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447

그림 4.9.23.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456

그림 4.9.24.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456

그림 4.9.25.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비교 458

그림 4.9.26. 진양호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460

그림 4.10.1. 질날늪 유역도 463

그림 4.10.2. 질날늪 유역 BOD, TN, TP 발생부하량 현황 466

그림 4.10.3. 질날늪 유역 BOD, TN, TP 배출부하량 현황 467

그림 4.10.4. 질날늪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468

그림 4.10.5. 질날늪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469

그림 4.10.6. 질날늪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469

그림 4.10.7. 질날늪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471

그림 4.10.8. 질날늪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474

그림 4.10.9. 질날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475

그림 4.10.10. 질날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476

그림 4.10.11. 질날늪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478

그림 4.10.12. 질날늪 습생·수생식물 생활형별(좌) 및 과별(우) 출현현황 479

그림 4.10.13. 질날늪 연도별 식생도 변화 480

그림 4.10.14. 줄 군락(Zizania latifolia Turcz. community)단면도 481

그림 4.10.15. 질날늪 줄 군락 우점도 및 식물생산량 482

그림 4.10.16. 질날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분류군별) 483

그림 4.10.17. 질날늪 연도별 식물상 변화(생활형별) 483

그림 4.10.18. 질날늪 주요 군락 및 현황사진 484

그림 4.10.19. 질날늪의 목(目)별 출현 종수(左) 및 개체수(右) 비율... 488

그림 4.10.20. 질날늪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89

그림 4.10.21. 질날늪 지점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비율 변화 489

그림 4.10.22. 질날늪 섭식기능군 종수(좌) 및 개체수(우) 분포 비율... 490

그림 4.10.23.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비교 496

그림 4.10.24.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현황 비교 496

그림 4.10.25.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군집지수 비교 497

그림 4.10.26. 질날늪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의 연도별 출현 현황 비교 499

그림 5.1.1. 가창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03

그림 5.1.2. 가창호 BOD, COD, TOC 및 도도의 계절별 변화 504

그림 5.1.3. 가창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05

그림 5.1.4. 가창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06

그림 5.1.5. 가창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10

그림 5.1.6. 가창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11

그림 5.1.7. 가창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12

그림 5.1.8. 가창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14

그림 5.2.1. 구천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17

그림 5.2.2. 구천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18

그림 5.2.3. 구천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18

그림 5.2.4. 구천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20

그림 5.2.5. 구천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23

그림 5.2.6. 구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25

그림 5.2.7. 구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26

그림 5.2.8. 구천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27

그림 5.3.1. 기동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30

그림 5.3.2. 기동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31

그림 5.3.3. 기동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32

그림 5.3.4. 기동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33

그림 5.3.5. 기동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36

그림 5.3.6. 기동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37

그림 5.3.7. 기동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38

그림 5.3.8. 기동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40

그림 5.4.1. 대암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43

그림 5.4.2. 대암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44

그림 5.4.3. 대암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45

그림 5.4.4. 대암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46

그림 5.4.5. 대암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49

그림 5.4.6. 대암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51

그림 5.4.7. 대암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52

그림 5.4.8. 대암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53

그림 5.5.1. 덕동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56

그림 5.5.2. 덕동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57

그림 5.5.3. 덕동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58

그림 5.5.4. 덕동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59

그림 5.5.5. 덕동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62

그림 5.5.6. 덕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64

그림 5.5.7. 덕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65

그림 5.5.8. 덕동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66

그림 5.6.1. 박실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68

그림 5.6.2. 박실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69

그림 5.6.3. 박실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70

그림 5.6.4. 박실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71

그림 5.6.5. 박실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74

그림 5.6.6. 박실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75

그림 5.6.7. 박실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76

그림 5.6.8. 박실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78

그림 5.7.1. 보문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81

그림 5.7.2. 보문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82

그림 5.7.3. 보문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83

그림 5.7.4. 보문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84

그림 5.7.5. 보문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587

그림 5.7.6. 보문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588

그림 5.7.7. 보문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589

그림 5.7.8. 보문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590

그림 5.8.1. 사연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594

그림 5.8.2. 사연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595

그림 5.8.3. 사연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596

그림 5.8.4. 사연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597

그림 5.8.5. 사연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00

그림 5.8.6. 사연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02

그림 5.8.7. 사연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03

그림 5.8.8. 사연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04

그림 4.9.1. 선암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08

그림 4.9.2. 선암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09

그림 4.9.3. 선암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09

그림 4.9.4. 선암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11

그림 4.9.5. 선암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14

그림 4.9.6. 선암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16

그림 4.9.7. 선암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17

그림 5.9.8. 선암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18

그림 5.10.1. 안계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22

그림 5.10.2. 안계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23

그림 5.10.3. 안계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24

그림 5.10.4. 안계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25

그림 5.10.5. 안계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28

그림 5.10.6. 안계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30

그림 5.10.7. 안계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31

그림 5.10.8. 안계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32

그림 5.11.1. 안동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35

그림 5.11.2. 안동호 BC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36

그림 5.11.3. 안동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37

그림 5.11.4. 안동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38

그림 5.11.5. 안동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41

그림 5.11.6. 안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43

그림 5.11.7. 안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44

그림 5.11.8. 안동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45

그림 5.12.1. 연초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48

그림 5.12.2. 연초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49

그림 5.12.3. 연초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50

그림 5.12.4. 연초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51

그림 5.12.5. 연초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54

그림 5.12.6. 연초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56

그림 5.12.7. 연초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57

그림 5.12.8. 연초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58

그림 5.13.1. 용연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61

그림 5.13.2. 용연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62

그림 5.13.3. 용연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63

그림 5.13.4. 용연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64

그림 5.13.5. 용연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67

그림 5.13.6. 용연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69

그림 5.13.7. 용연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70

그림 5.13.8. 용연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71

그림 5.14.1. 우포늪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75

그림 5.14.2. 우포늪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76

그림 5.14.3. 우포늪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77

그림 5.14.4. 우포늪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78

그림 5.14.5. 우포늪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80

그림 5.14.6. 우포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82

그림 5.14.7. 우포늪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83

그림 5.14.8. 우포늪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84

그림 5.15.1. 임하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687

그림 5.15.2. 임하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688

그림 5.15.3. 임하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689

그림 5.15.4. 임하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690

그림 5.15.5. 임하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693

그림 5.15.6. 임하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695

그림 5.15.7. 임하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696

그림 5.15.8. 임하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697

그림 5.16.1. 주남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700

그림 5.16.2. 주남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701

그림 5.16.3. 주남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702

그림 5.16.4. 주남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703

그림 5.16.5. 주남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706

그림 5.16.6. 주남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707

그림 5.16.7. 주남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708

그림 5.16.8. 주남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709

그림 5.17.1. 풍락지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713

그림 5.17.2. 풍락지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714

그림 5.17.3. 풍락지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715

그림 5.17.4. 풍락지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716

그림 5.17.5. 풍락지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719

그림 5.17.6. 풍락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721

그림 5.17.7. 풍락지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722

그림 5.17.8. 풍락지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723

그림 5.18.1. 합천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727

그림 5.18.2. 합천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728

그림 5.18.3. 합천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729

그림 5.18.5. 합천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733

그림 5.18.6. 합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735

그림 5.18.7. 합천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736

그림 5.18.8. 합천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737

그림 5.19.1. 회동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740

그림 5.19.2. 회동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741

그림 5.19.3. 회동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742

그림 5.19.4. 회동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743

그림 5.19.5. 회동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746

그림 5.19.6. 회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748

그림 5.19.7. 회동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749

그림 5.19.8. 회동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750

그림 5.20.1. 회야호 수온, pH, 전기전도도 및 용존산소의 계절별 변화 754

그림 5.20.2. 회야호 BOD, COD, TOC 및 SS의 계절별 변화 755

그림 5.20.3. 회야호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의 계절별 변화 755

그림 5.20.4. 회야호 TN, NH₃-N, NO₃-N, TP, PO₄-P 및 Chl-a의 계절별 변화 757

그림 5.20.5. 회야호 식물플랑크톤의 수심별 강별 현존량 760

그림 5.20.6. 회야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762

그림 5.20.7. 회야호의 2015~2017년 식물플랑크톤 출현세포수 변화 763

그림 5.20.8. 회야호 동물플랑크톤의 시기별 종수 및 현존량 764

그림 6.5.1. 법정보호종 안내 표지판 설치 예 827

그림 7.1.1. 중점조사대상 호소의 연평균 저수율 현황 834

그림 7.1.2. 일반조사대상 호소의 연평균 저수율 현황 834

그림 7.1.3. 조사대상 30개 호소의 수질변화 841

그림 7.2.1. 2017년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총출종수 비율 비교 842

그림 7.2.2. 2017년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총출현량 비율 비교 843

그림 7.2.3. 2017년 3월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출현량, 생태지수 비교 844

그림 7.2.4. 2017년 6월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출현량, 생태지수 비교 845

그림 7.2.5. 2017년 9월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출현량, 생태지수 비교 846

그림 7.2.6. 2017년 12월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출현량, 생태지수 비교 847

그림 7.2.7.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에 대한 유사도 분석 849

그림 7.2.8. 조사대상 10개 호소의 수생식물 생활형 분포 857

그림 7.2.9. 조사대상 각 호소의 연도별 수생식물 생활형 분포 860

그림 7.2.10. 조사대상 각 호소의 연도별 수생식물 생활형 분포 비교 861

그림 7.2.11. 전체 호소에서 관찰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현황 868

그림 7.2.12. 전체 호소에서 관찰된 어류의 종별 개체수 비율 869

그림 7.2.13. 호소별 군집지수 비교 871

그림 7.2.14. 호소별 생체량(g) 비교 8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35237 333.9163 -18-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35238 333.9163 -18-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