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 3차년도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원주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7
청구기호
577.7 -18-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06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NPRI ; 2017-3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491322
제어번호
MONO1201860915
주기사항
연구책임: 이창래
부록: 1.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마린저 조사) 정점 위·경도 좌표 ; 2.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 3.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외
참고문헌: p. 269-280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16

Ⅰ. 조사개요 20

1. 조사배경 20

2. 조사목적 20

3. 조사분야 및 조사시기 20

4. 조사해역의 물리적 해황 23

Ⅱ. 분야별 조사결과 25

1. 물리환경 25

가. 서론 25

나. 조사내용 및 방법 26

다. 결과 30

라. 고찰 62

2. 해양지질 66

가. 서론 66

나. 조사내용 및 방법 67

다. 결과 71

라. 고찰 94

3. 식물플랑크톤 97

가. 서론 97

나. 조사내용 및 방법 97

다. 결과 99

라. 고찰 104

4. 중형동물플랑크톤 108

가. 서론 108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09

다. 결과 110

라. 고찰 126

5.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130

가. 서론 130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30

다. 결과 134

라. 고찰 184

6. 해조류 186

가. 서론 186

나. 조사내용 및 방법 187

다. 결과 189

라. 고찰 205

7. 해초류 210

가. 서론 210

나. 조사내용 및 방법 210

다. 결과 213

라. 고찰 222

8. 해양어류 224

가. 서론 224

나. 조사내용 및 방법 225

다. 결과 228

라. 고찰 260

Ⅲ.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279

1.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79

2. 평가결과 279

가. 한려해상국립공원 282

나. 다도해해상국립공원 283

다. 태안해안국립공원 284

라. 변산반도국립공원 285

마. 해양생태계 건강성 변동 285

3. 토의 287

참고문헌 288

[부록 1]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마린저 조사) 정점 위ㆍ경도 좌표 300

[부록 2]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301

[부록 3]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목록 305

[부록 4]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 목록 307

[부록 5]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해조류 출현종 목록 318

판권기 326

[표 Ⅰ.3.1]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조사분야 21

[표 Ⅰ.3.2] 국립공원 해양생태측 기본조사 각 분야별 조사시기 및 정점 수 23

[표 Ⅱ.1.1] 해양 9개 분야 조사시기 및 정점 수 26

[표 Ⅱ.1.2] SBE 9Plus 제원 27

[표 Ⅱ.1.3] 기상관측장비(AWS) 제원 27

[표 Ⅱ.1.4] 2017년 계절별 바람 및 기온 자료 29

[표 Ⅱ.1.5] 2015~2017년 동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결과 비교 31

[표 Ⅱ.1.6] 2015~2017년 춘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결과 비교 39

[표 Ⅱ.1.7] 2015~2017년 하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결과 비교 47

[표 Ⅱ.1.8] 2015~2017년 추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염분 결과 비교 55

[표 Ⅱ.2.1] 해양퇴적물 분석방법 69

[표 Ⅱ.2.2] 해양퇴적물 입자크기 분류표 70

[표 Ⅱ.2.3] 해양퇴적물 분급도의 분류 및 그에 따른 각각의 표현법 70

[표 Ⅱ.2.4] 해양퇴적물 왜도 분류법 71

[표 Ⅱ.2.5]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2

[표 Ⅱ.2.6]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춘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3

[표 Ⅱ.2.7]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하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4

[표 Ⅱ.2.8]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추계 해양퇴적물의 입도조직 및 조성 75

[표 Ⅱ.2.9]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와 춘계 해양퇴적물의 강열감량, COD, AVS 77

[표 Ⅱ.2.10]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하계와 추계 해양퇴적물의 강열감량, COD, AVS 78

[표 Ⅱ.2.11]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춘계 해양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82

[표 Ⅱ.2.12]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 부유물질 총 체적농도(TVC)와 입도 조성 88

[표 Ⅱ.2.13]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 부유물질 평균입도 및 분급도, 광투과도와 광감쇠계수 89

[표 Ⅱ.2.14]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하계 부유물질 체적농도(TVC)와 입도 조성 90

[표 Ⅱ.2.15]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하계 부유물질 평균입도 및 분급도, 광투과도와 광감쇠계수 91

[표 Ⅱ.2.16] 해양환경관리법 제8조에 따른 해양환경기준(해저퇴적물) 96

[표 Ⅱ.2.17] 한국 연안의 미량금속(As, Cd, Cr, Cu, Hg, Pb, Zn, Mn) 평균농도 (Hwang et al., 2006, 2014, 2015) 96

[표 Ⅱ.3.1]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의 계절에 따른 공원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수 101

[표 Ⅱ.3.2] 2017년 해상ㆍ해안 국립공원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03

[표 Ⅱ.3.3] 태안해안국립공원 유사정점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출현종수 비교 106

[표 Ⅱ.3.4]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유해성 적조종의 계절별 출현종 수 및 평균 출현 비율 107

[표 Ⅱ.4.1]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1

[표 Ⅱ.4.2]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2

[표 Ⅱ.4.3] 2017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3

[표 Ⅱ.4.4] 2017년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5

[표 Ⅱ.4.5] 2017년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6

[표 Ⅱ.4.6] 2017년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별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18

[표 Ⅱ.4.7] 2017년 동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19

[표 Ⅱ.4.8] 2017년 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0

[표 Ⅱ.4.9] 2017년 하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0

[표 Ⅱ.4.10] 2017년 추계에 출현한 주요 우점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 121

[표 Ⅱ.4.11] 2017년 주요 우점분류군과 환경요인과의 RDA(Redundancy analysis) 결과 124

[표 Ⅱ.4.12]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8

[표 Ⅱ.4.13] 2015~2017년 해상ㆍ해안공원별 내 중형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 128

[표 Ⅱ.5.1] 2017년 저서무척추동물 분야 조사시기 및 조사정점수 131

[표 Ⅱ.5.2] AMBI와 BPI 저서 건강도 지수의 분류 기준 133

[표 Ⅱ.5.3] 2017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총 출현종수 135

[표 Ⅱ.5.4] 2017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정점당 저서무척추동물 평균 출현종수 135

[표 Ⅱ.5.5] 2017년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35

[표 Ⅱ.5.6] 동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39

[표 Ⅱ.5.7] 동계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40

[표 Ⅱ.5.8] 동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40

[표 Ⅱ.5.9] 동계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41

[표 Ⅱ.5.10] 동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41

[표 Ⅱ.5.11]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46

[표 Ⅱ.5.12]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46

[표 Ⅱ.5.13]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46

[표 Ⅱ.5.14] 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0

[표 Ⅱ.5.15] 춘계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1

[표 Ⅱ.5.16] 춘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1

[표 Ⅱ.5.17] 춘계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2

[표 Ⅱ.5.18] 춘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52

[표 Ⅱ.5.19]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57

[표 Ⅱ.5.20]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57

[표 Ⅱ.5.21]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57

[표 Ⅱ.5.22] 하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1

[표 Ⅱ.5.23] 하계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2

[표 Ⅱ.5.24] 하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2

[표 Ⅱ.5.25] 하계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3

[표 Ⅱ.5.26] 하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63

[표 Ⅱ.5.27]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68

[표 Ⅱ.5.28]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 168

[표 Ⅱ.5.29]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저서무척추동물 서식밀도 168

[표 Ⅱ.5.30] 추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2

[표 Ⅱ.5.31] 추계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3

[표 Ⅱ.5.32] 추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3

[표 Ⅱ.5.33] 추계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4

[표 Ⅱ.5.34] 추계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우점종(상위 2% 이상)의 서식밀도와 점유율 174

[표 Ⅱ.5.35]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 저서무척추동물의 정점군별 환경 및 생태적 특성 180

[표 Ⅱ.5.36] 국토해양부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결과와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 비교 184

[표 Ⅱ.5.37]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정보 요약 185

[표 Ⅱ.6.1] 해조류 조사일정 및 지점 189

[표 Ⅱ.6.2]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4계절) 189

[표 Ⅱ.6.3] 동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195

[표 Ⅱ.6.4] 춘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197

[표 Ⅱ.6.5] 하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200

[표 Ⅱ.6.6] 추계 정점별 중요종(Ⅳ〉10이상) 202

[표 Ⅱ.6.7] 조사 정점에 따른 계절별 군집지수 변화 204

[표 Ⅱ.6.8] 태안해안국립공원 유사조사정점 해조류 출현종수 비교 206

[표 Ⅱ.7.1] 해초류 조사일정 및 지점 211

[표 Ⅱ.7.2] 해초류 분포 및 생육환경 214

[표 Ⅱ.7.3] 해양생태축 조사 거머리말의 평균(± 표준편차) 생육밀도와 생물량 215

[표 Ⅱ.7.4] 해양생태축 조사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평균 ± 표준편차) 217

[표 Ⅱ.7.5] 거머리말의 생물계절학적 변동 양상 222

[표 Ⅱ.8.1]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227

[표 Ⅱ.8.2]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28

[표 Ⅱ.8.3] 태안해안국립공원(연포해안)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29

[표 Ⅱ.8.4] 태안해안국립공원(연포해안)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7년) 229

[표 Ⅱ.8.5]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30

[표 Ⅱ.8.6]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31

[표 Ⅱ.8.7]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7) 232

[표 Ⅱ.8.8]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33

[표 Ⅱ.8.9]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34

[표 Ⅱ.8.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조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7) 234

[표 Ⅱ.8.11]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36

[표 Ⅱ.8.1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38

[표 Ⅱ.8.13] 다도해해상국립공원(소안도ㆍ청산도지구) 내 어류 출현 현황(2016~2017) 239

[표 Ⅱ.8.14]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42

[표 Ⅱ.8.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44

[표 Ⅱ.8.16] 다도해해상국립공원(거문도ㆍ백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45

[표 Ⅱ.8.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나로도/거문도백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 246

[표 Ⅱ.8.18]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49

[표 Ⅱ.8.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50

[표 Ⅱ.8.20]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지구)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7) 252

[표 Ⅱ.8.21]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어류 조사지점 및 개황 255

[표 Ⅱ.8.22]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분류군별 어류 출현 현황 257

[표 Ⅱ.8.23]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어류 출현 현황(2016~2017) 258

[표 Ⅱ.8.24]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지역의 공원미기록종 및 확증표본 현황 261

[표 Ⅲ.2.1]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별 결과 280

[표 Ⅲ.2.2] 2017년 국립공원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별 결과 281

[표 Ⅲ.2.3] 2017년 한려해상국립공원 지구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82

[표 Ⅲ.2.4] 2017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구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83

[표 Ⅲ.2.5] 2017년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84

[표 Ⅲ.2.6] 2017년 변산반도국립공원 지역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285

[표 Ⅲ.2.7] 국립공원 연도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변동 285

[표 Ⅲ.2.8] 국립공원별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변동 286

[그림 Ⅰ.3.1]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조사정점 21

[그림 Ⅰ.4.1]/[그림 Ⅰ.4.2] 한국 인근의 수심도 및 해류 분포((Peng et al., 2004; 배상완과 김동선, 2012) 24

[그림 Ⅱ.1.1]/[그림 Ⅱ.1.2] 2017년 해양생태축 연구해역 및 해양물리 조사 정점 26

[그림 Ⅱ.1.2]/[그림 Ⅱ.1.3] 2017년도 관측기간 한반도 주변 인공위성 기상자료. (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국립수산과학원 2017a, 2017b, 2017c, 2017d) 28

[그림 Ⅱ.1.3]/[그림 Ⅱ.1.4] 2017년도 4계절 관측기간 바람 장미도. (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29

[그림 Ⅱ.1.4]/[그림 Ⅱ.1.5] 2015년(a), 2016년(b), 2017년(c) 동계 표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32

[그림 Ⅱ.1.5]/[그림 Ⅱ.1.6] 2015년(a), 2016년(b), 2017년(c) 동계 저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33

[그림 Ⅱ.1.6]/[그림 Ⅱ.1.7] 2017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34

[그림 Ⅱ.1.7]/[그림 Ⅱ.1.8] 2017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35

[그림 Ⅱ.1.8]/[그림 Ⅱ.1.9] 2017년 동계 각 정점 수심별 시그마티(σt) 분포 36

[그림 Ⅱ.1.9]/[그림 Ⅱ.1.10] 2017년 동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내 35개) 37

[그림 Ⅱ.1.10]/[그림 Ⅱ.1.11] 2017년 동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외 43개) 38

[그림 Ⅱ.1.11]/[그림 Ⅱ.1.12] 2015년(a), 2016년(b), 2017년(c) 춘계 표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40

[그림 Ⅱ.1.12]/[그림 Ⅱ.1.13] 2015년(a), 2016년(b), 2017년(c) 춘계 저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41

[그림 Ⅱ.1.13]/[그림 Ⅱ.1.14] 2017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42

[그림 Ⅱ.1.14]/[그림 Ⅱ.1.15] 2017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43

[그림 Ⅱ.1.15]/[그림 Ⅱ.1.16] 2017년 춘계 각 정점 수심별 시그마티(σt) 분포 44

[그림 Ⅱ.1.16]/[그림 Ⅱ.1.17] 2017년 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내 38개) 45

[그림 Ⅱ.1.17]/[그림 Ⅱ.1.18] 2017년 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외 43개) 46

[그림 Ⅱ.1.18]/[그림 Ⅱ.1.19] 2015년(a), 2016년(b), 2017년(c) 하계 표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48

[그림 Ⅱ.1.19]/[그림 Ⅱ.1.20] 2015년(a), 2016년(b), 2017년(c) 하계 저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49

[그림 Ⅱ.1.20]/[그림 Ⅱ.1.21] 2017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50

[그림 Ⅱ.1.21]/[그림 Ⅱ.1.22] 2017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51

[그림 Ⅱ.1.22]/[그림 Ⅱ.1.23] 2017년 하계 각 정점 수심별 시그마티(σt) 분포 52

[그림 Ⅱ.1.23]/[그림 Ⅱ.1.24] 2017년 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내 38개) 53

[그림 Ⅱ.1.24]/[그림 Ⅱ.1.25] 2017년 하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외 43개) 54

[그림 Ⅱ.1.25]/[그림 Ⅱ.1.26] 2015년(a), 2016년(b), 2017년(c) 추계 표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56

[그림 Ⅱ.1.26]/[그림 Ⅱ.1.27] 2015년(a), 2016년(b), 2017년(c) 추계 저층수온, 염분 수평분포 비교 57

[그림 Ⅱ.1.27]/[그림 Ⅱ.1.28]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수온 분포 58

[그림 Ⅱ.1.28]/[그림 Ⅱ.1.29]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염분 분포 59

[그림 Ⅱ.1.29]/[그림 Ⅱ.1.30] 2017년 추계 각 정점 수심별 시그마티(σt) 분포 60

[그림 Ⅱ.1.30]/[그림 Ⅱ.1.31] 2017년 추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내 38개) 61

[그림 Ⅱ.1.31]/[그림 Ⅱ.1.32] 2017년 추계 수온-염분도(TS diagram, 국립공원 구역외 43개) 62

[그림 Ⅱ.1.32]/[그림 Ⅱ.1.33] 2017년 계절별 표층, 저층 밀도(σt) 수평분포 63

[그림 Ⅱ.1.33]/[그림 Ⅱ.1.34] 2015~2017년 계절별(동계, 춘계, 하계, 추계) 수온, 염분의 평균(●) 및 표준편차(⌶). ▲는 최대, ▼는 최소를 표현 64

[그림 Ⅱ.1.34]/[그림 Ⅱ.1.35] 2012~2016년 해양생태축 수온-염분도(T-S 다이어그램). 등치선은 σt(시그마티)를 나타냄 65

[그림 Ⅱ.2.1]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 해양퇴적물 조사정점 67

[그림 Ⅱ.2.2]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평균입도 분포도 76

[그림 Ⅱ.2.3]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표층퇴적물의 강열감량 분포도 79

[그림 Ⅱ.2.4]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해양퇴적물의 중금속 원소(As) 농도 분포도 84

[그림 Ⅱ.2.5]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비교 85

[그림 Ⅱ.2.6] 2017년 해상ㆍ해안공원별 부유물질 농도의 시ㆍ공간 분포 92

[그림 Ⅱ.2.7]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계절별 표층과 저층 부유물질 농도 분포 92

[그림 Ⅱ.2.8]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와 하계의 표층과 저층에서 실험실에서 분석한 부유물질 농도 92

[그림 Ⅱ.2.9] 동계와 하계 현장부유물질 체적농도와 광 감쇠계수 사이의 상관관계 비교 93

[그림 Ⅱ.2.10] 2017년해상ㆍ해안국립공원 동계와 하계의 표층과 저층에서 현장 부유입자 체적농도와 평균입도 비교 93

[그림 Ⅱ.3.1] 식물플랑크톤의 조사정점 98

[그림 Ⅱ.3.2] 2017년 해상ㆍ해안국립공원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 100

[그림 Ⅱ.3.3] 2017년 해상ㆍ해안 국립공원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102

[그림 Ⅱ.4.1] 중형동물플크톤 조사정점 109

[그림 Ⅱ.4.2] 2017년 동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출현종수) 114

[그림 Ⅱ.4.3] 2017년 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출현종수) 115

[그림 Ⅱ.4.4] 2017년 하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출현종수) 117

[그림 Ⅱ.4.5] 2017년 추계에 출현한 주요 중형동물플랑크톤 분포(a: 야광충, b: 전체 중형동물플랑크톤, c: 요각류, d: 출현종수) 118

[그림 Ⅱ.4.6] 다차원척도분석(MDS)(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22

[그림 Ⅱ.4.7] 조사기간 동안 환경요인과 주요우점분류군간 RDA결과 도시(a: 동계, b: 춘계, c: 하계, d: 추계) 125

[그림 Ⅱ.5.1] 저서무척추동물의 조사정점도 132

[그림 Ⅱ.5.2]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37

[그림 Ⅱ.5.3]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38

[그림 Ⅱ.5.4] 동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43

[그림 Ⅱ.5.5] 동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44

[그림 Ⅱ.5.6] 동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44

[그림 Ⅱ.5.7]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48

[그림 Ⅱ.5.8]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49

[그림 Ⅱ.5.9] 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제반지수 변동 154

[그림 Ⅱ.5.10] 춘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55

[그림 Ⅱ.5.11] 춘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55

[그림 Ⅱ.5.12]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59

[그림 Ⅱ.5.13]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60

[그림 Ⅱ.5.14] 하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제반지수 변동 165

[그림 Ⅱ.5.15] 하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66

[그림 Ⅱ.5.16] 하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66

[그림 Ⅱ.5.17]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70

[그림 Ⅱ.5.18]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서식밀도 공간분포(○: 공원 내, ●: 공원 외) 171

[그림 Ⅱ.5.19] 추계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76

[그림 Ⅱ.5.20] 추계 국립공원 지구별 AMB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77

[그림 Ⅱ.5.21] 추계 국립공원 지구별 BPI 지수(저서생태계 건강도) 분포(종수가 5종 이하, 개체수가 100개체/㎡이하는 계산에서 제외) 177

[그림 Ⅱ.5.22] 통합(동계, 춘계, 하계, 추계) 국립공원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179

[그림 Ⅱ.5.23] 통합(동계, 춘계, 하계, 추계) 국립공원 해양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정점군 위치도 179

[그림 Ⅱ.5.24]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연도별 비교 183

[그림 Ⅱ.5.25]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평균 출현종수 비교 183

[그림 Ⅱ.5.26] 각 국립공원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연도별 평균 서식밀도 비교 183

[그림 Ⅱ.6.1] 해조류 조사정점 188

[그림 Ⅱ.6.2] 동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90

[그림 Ⅱ.6.3] 춘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90

[그림 Ⅱ.6.4] 하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91

[그림 Ⅱ.6.5] 추계 정점별 해조류 출현종수 192

[그림 Ⅱ.6.6] 계절별 해조류 생물량 193

[그림 Ⅱ.6.7] 동계 정점별 및 조위별 해조류 생물량 194

[그림 Ⅱ.6.8] 춘계 정점별 및 조위별 해조류 생물량 198

[그림 Ⅱ.6.9] 하계 정점별 및 조위별 해조류 생물량 199

[그림 Ⅱ.6.10] 추계 정점별 및 조위별 해조류 생물량 203

[그림 Ⅱ.6.11] 해조류 정점별 유사도(4계절 평균) 205

[그림 Ⅱ.6.12] 해조류 출현종 변화(2015-2017년) 206

[그림 Ⅱ.6.13] 해조류 생물량 변화(2015-2017년) 207

[그림 Ⅱ.6.14] 균등도 지수(J') 변화(2015-2017년) 207

[그림 Ⅱ.6.15] 풍부도 지수(R) 변화(2015-2017년) 208

[그림 Ⅱ.6.16] 종다양도 지수(H') 변화(2015-2017년) 209

[그림 Ⅱ.7.1] 해초류 조사정점 211

[그림 Ⅱ.7.2] 거머리말 외부 형태 212

[그림 Ⅱ.7.3] 계절별 거머리말 생육 밀도 및 생물량(A : 동계, B : 춘계, C : 하계, D : 추계) 216

[그림 Ⅱ.7.4] 계절별 거머리말 형태학적 특성(A : 동계, B : 춘계, C : 하계, D : 추계) 218

[그림 Ⅱ.7.5] 거머리말 평균 생육 밀도 및 정점별 평균 생육 밀도 변화 219

[그림 Ⅱ.7.6] 거머리말 평균 생물량 및 정점별 생물량 변화 220

[그림 Ⅱ.7.7] 거머리말 개체군의 잎 수 및 식물체 길이 변화 221

[그림 Ⅱ.7.8] 거머리말 개체군의 잎 너비 및 지하경 길이 변화 221

[그림 Ⅱ.7.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안도 해초 서식지 유형분석(다도해해상국립공원 제공) 223

[그림 Ⅱ.8.1] 조사 방법. A. 손뜰망; B. 수중조사; C. 투망; D. 족대; E. 지인망; F. 유인어망; G. 정치망; H. 어시장조사; I. 소형트롤조사; J. 낚시 K. 표본제작; L. 영상촬영 227

[그림 Ⅱ.8.2]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출현한 어류 A. 두툽상어(다도해); B. 홍살귀상어; C. 정어리; D. 샛줄멸; E. 쏠종개; F. 전력날치; G. 물동갈치; H. 쭈굴감펭; I. 점감펭; J. 꺽정이;... 268

[그림 Ⅲ.1.1]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 280

[그림 Ⅲ.1.2]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표시 280

[그림 Ⅲ.2.1] 2017년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표시 281

[그림 Ⅲ.2.2] 2017년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지구별 평가결과 282

[그림 Ⅲ.2.3] 2017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지구별 평가결과 283

[그림 Ⅲ.2.4] 2017년 태안해안 및 변산반도국립공원 해양생태계 건강성 지구별 평가결과 28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40931 577.7 -18-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