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립공원 주요 섬 수중생태계 조사 : 3차년도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원주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7
청구기호
577.7 -18-1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25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NPRI ; 2017-04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491339
제어번호
MONO1201860918
주기사항
연구책임: 신상호
부록: 1. 2015∼2017년 조사연도별, 주요 섬별 해조류 종조성표 ; 2. 2015∼2017년 조사연도별, 주요 섬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표
참고문헌: p. 97-9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12

Ⅰ. 서론 13

Ⅱ. 연구지역 및 방법 15

1. 연구 지역 15

2. 연구 방법 17

가. 조하대 생물다양성 17

나. 물리환경 21

다. 3D 전자생태지도 23

라. 3D 생물표본 30

마. 연속수온자료 분석 33

Ⅲ. 조사 결과 34

1. 소다포도(한려해상국립공원) 34

가. 생물다양성 34

나. 물리환경 45

다. 3D 전자생태지도 47

2. 소매물도(한려해상국립공원) 48

가. 생물다양성 48

나. 물리환경 60

3. 곡두도(다도해해상국립공원) 62

가. 생물다양성 62

나. 물리환경 72

다. 3D 전자생태지도 74

4. 두억도(다도해해상국립공원) 75

가. 생물다양성 75

나. 물리환경 85

5. 3D 생물표본 제작 87

6. 연속수온자료 분석 88

가. 수온변동 특성 88

나. 에너지 스펙트럼 분석 95

Ⅳ. 결론 및 고찰 97

1. 해조류 97

2. 저서무척추동물 100

가. 주요 섬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 특성 100

나. 생물다양성 평가 101

다. 저서무척추동물 확증표본 및 종목록 확보의 어려움 102

3. 어류 104

4. 핵심서식지 선정 평가(안) 106

참고문헌 109

[부록 1] 2015~2017년 조사연도별, 주요 섬별 해조류 종조성표 113

[부록 2] 2015~2017년 조사연도별, 주요 섬별 저서무척추동물 종조성표 122

판권기 139

[표 1] 해조류, 저서무척추동물 및 어류분야의 조사시기 및 조사지선 시작점의 위ㆍ경도 18

[표 2] 4개 주요 섬의 물리환경 조사정점 위ㆍ경도 및 수심 22

[표 3] 수심측량 장비 및 소형보트 장비 설치 26

[표 4]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에서 HOBO 조사기간 33

[표 5] 소다포도 조사지선별 해조류 종조성표 34

[표 6] 소다포도 수심별 주요 해조류 평균 생물량 36

[표 7] 소다포도 저서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평균 서식밀도 37

[표 8] 소다포도 저서무척추동물의 목록 및 조사지선별 평균 서식밀도 38

[표 9] 소다포도 주요 저서무척추동물의 평균 피도 및 출현빈도 40

[표 10] 소다포도 저서성 해양 외래종 목록 41

[표 11] 소다포도 분류군별 어류현황 42

[표 12] 소다포도 주변 해역 물리환경 조사 결과 45

[표 13] 소매물도 조사지선별 해조류 종조성표 48

[표 14] 소매물도 수심별 주요 해조류 평균 생물량 50

[표 15] 소매물도 저서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평균 서식밀도 51

[표 16] 소매물도 저서무척추동물의 목록 및 조사지선별 평균 서식밀도 52

[표 17] 소매물도 주요 저서무척추동물의 평균 피도 및 출현빈도 55

[표 18] 소매물도 기후변화 지표종 및 저서성 해양 외래종 목록 55

[표 19] 소매물도 분류군별 어류현황 57

[표 20] 소매물도 주변 해역 물리환경 조사 결과 60

[표 21] 곡두도 조사지선별 해조류 종조성표 62

[표 22] 곡두도 수심별 주요 해조류 평균 생물량 63

[표 23] 곡두도 저서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평균 서식밀도 64

[표 24] 곡두도 저서무척추동물의 목록 및 조사지선별 평균 서식밀도 65

[표 25] 곡두도 주요 저서무척추동물의 평균 피도 및 출현빈도 68

[표 26] 곡두도 조하대 암반에서 출현한 국가보호종 및 기후변화 지표종, 저서성 해양 외래종 목록 68

[표 27] 곡두도 분류군별 어류현황 70

[표 28] 곡두도 주변 해역 물리환경 조사 결과 72

[표 29] 두억도 조사지선별 해조류 종조성표 75

[표 30] 두억도 수심별 주요 해조류 평균 생물량 77

[표 31] 두억도 저서무척추동물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평균 서식밀도 78

[표 32] 두억도 저서무척추동물의 목록 및 조사지선별 평균 서식밀도 79

[표 33] 두억도 저서무척추동물의 평균 피도 및 출현빈도 81

[표 34] 두억도 분류군별 어류현황 83

[표 35] 두억도 주변 해역 물리환경 조사 결과 85

[표 36] 3D 생물표본 종 목록 87

[표 37]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에서 수심별 수온 측정 결과 90

[표 38]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에서 월별 수온 측정 결과 91

[표 39]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에서 계절별 수온 측정 결과 93

[표 40] 2015~2017년 주요 섬 해조류 생태지수 99

[표 41] 2015~2017년 주요 섬 수중암반 서식지별 저서무척동물 생태정보 요약 100

[표 42] 소다포도, 소매물도, 곡두여, 두억도에서 관찰된 어류 현황 104

[표 43] 주요 섬에 대한 분야별 평가방법 적용(예시) 107

[표 44] 주요섬 평가표(예시) 108

[그림 1] 국립공원 주요 섬 조사 로드맵(5년간) 14

[그림 2] 수중생태계 조사, 수온연속관측 및 수중생태지도 대상 도서 15

[그림 3] 수중생태계 조사대상 주요 섬 전경 16

[그림 4] 해조류, 저서무척추동물 및 어류 수중 암반 조사지선 위치도 18

[그림 5] 해조류를 이용한 지리적 분포 특성 19

[그림 6] 저서무척추동물 조사 정점 개념도(Q: 방형구, P: 사진촬영) 19

[그림 7] 영상보정 및 각 종별 피도 계산 절차 20

[그림 8] 어류 조사방법(A: 어류조사팀, B: 수중조사, C: 표본채집, D: 확증표본 제작) 21

[그림 9] 4개 주요 섬 수중생태계 물리환경 조사 위치도 22

[그림 10] 조사지역(소다포도, 곡두도) 23

[그림 11] 조사지 주변해역의 해수유동 24

[그림 12] 음속보정 시스템 구성도 25

[그림 13] 소형보트 이동항적 27

[그림 14] 조사지역의 수심 분포 27

[그림 15] 조사지역의 수치표고 모델 28

[그림 16] 조사지역의 육상지형 28

[그림 17] 곡두도를 중심으로 영상이 촬영된 위치 29

[그림 18] 곡두도 메쉬자료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 30

[그림 19] 3D 생물표본 제작 장비 및 시스템 31

[그림 20] 3D 생물표본 제작 과정 32

[그림 21] 소다포도 조사지선3의 저서무척추동물 수직 피도 분포 40

[그림 22] 소다포도 암반 생태 및 주요종(A: 범얼룩갯고사리 군락, B: 무쓰뿌리돌산호 군락 C: 부채뿔산호, D: 별불가사리) 41

[그림 23] 소다포도 어류 상위 10종의 상대 풍부도 43

[그림 24] 소다포도 출현어류(A: 볼락과 불볼락 유어 무리, B: 청베도라치, C: 가시망둑, D: 쥐노래미, E: 바닥문절) 44

[그림 25] 소다포도 각 정점별 수온, 염분, DO, NTU 수직 분포도 46

[그림 26] 소다포도 육상과 해상의 이미지 합성 결과물 47

[그림 27] 소매물도 각 조사지선의 저서무척추동물 수직 피도 분포 54

[그림 28] 소매물도 암반생태 및 주요종(A: 범얼룩갯고사리 군락, B: 호박해면, C: 부채뿔산호, D: 솜털석회관갯지렁이) 56

[그림 29] 소매물도 어류 상위 10종의 상대 풍부도 58

[그림 30] 소매물도 출현어류(A: 연지알롱양태, B: 비단망둑, C: 쭈굴감펭, D: 청황베도라치, E: 달고기, F: 방어, G: 청줄돔(유어), H: 양태, I: 쑤기미) 59

[그림 31] 소매물도 각 정점별 수온, 염분, DO, NTU 수직 분포도 61

[그림 32] 곡두도 조사지선별 저서무척추동물의 수직 피도 분포 67

[그림 33] 곡두도 암반생태 및 주요종(A: 부유물질이 많은 환경 속에 범얼룩갯고사리, B: 유착나무돌산호, C: 연구멍이끼벌레류, D: 부리조두체가시이끼벌레 69

[그림 34] 곡두도 어류 상위 10종의 상대 풍부도 70

[그림 35] 곡두도 출현어류(A. 두줄망둑; B. 가시망둑; C. 그물코쥐치; D. 쏨뱅이) 71

[그림 36] 곡두도 각 정점별 수온, 염분, DO, NTU 수직 분포도 73

[그림 37] 곡두도 육상과 해상의 이미지 합성 결과물 74

[그림 38] 두억도 조사지선별 저서무척추동물 수직 피도 분포 81

[그림 39] 두억도 암반생태 및 주요종(A: 우점종인 범얼룩갯고사리, B: 무쓰뿌리돌산호, C: 빨강해면맨드라미, D: 진홍혹해변말미잘) 82

[그림 40] 두억도 어류 상위 10종의 상대 풍부도 83

[그림 41] 두억도 출현어류(A: 망상어, B: 불볼락, C: 청줄돔(유어), D: 용치놀래기(유어)) 84

[그림 42] 두억도 각 정점별 수온, 염분, DO 수직 분포도 86

[그림 43] 3D 생물표본 87

[그림 44]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 수온 및 수심간(ΔT; 5m - 20m) 수온 차이 시계열 자료(5m, 20m) 89

[그림 45]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 월별 평균 수온 및 표준편차(5m, 20m) 92

[그림 46] 홍도, 세존도, 백도, 여서도 계절별 평균 수온 및 표준편차(5m, 20m) 94

[그림 47] 수온 주기성분 분석(홍도(a, b), 세존도(c, d), 백도(e, f), 여서도(g, h). 5m(a, c, e, g)와 20m(b, d, f, h)) 95

[그림 48] 2015~2017년 주요 섬 해조류 출현종수 97

[그림 49] 2015~2017년 주요 섬 수심별 해조류 생물량 98

[그림 50] 2015~2017년 주요 섬 집괴분석 결과 수지도 99

[그림 51] 2015~2017년 16개 주요 섬 저서무척추동물의 종수-면적 곡선 비교 102

[그림 52] 2015~2017년 16개 주요 섬 저서무척추동물의 생태지수 변동 10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40932 577.7 -18-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