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 지침 =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7
청구기호
570 -18-1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ix, 306 p.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NIER-GP ; 2017-198
제어번호
MONO120186189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하천편 12

1. 부착돌말류 13

가. 조사방법 13

나. 평가방법 27

부록 1. 부착돌말지수(TDI)에 사용된 부착돌말류 종들의 오염민감도(s : sensitivities) 및 지표가중치(v : indicator values) 31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0

가. 조사방법 40

나. 평가방법 48

부록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 목록 59

3. 어류 78

가. 조사방법 78

나. 평가방법 83

부록 3. 어류 종 목록 87

4. 수변식생 91

가. 조사방법 91

나. 평가방법 96

부록 4. 수변식생 종 목록 100

5. 서식 및 수변환경 121

가. 조사방법 121

나. 평가방법 128

부록 5. 각 평가항목의 점수별 예시 사진 130

[별표 1] 부착돌말류 현지조사표 139

[별표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140

[별표 3] 어류 현지조사표 141

[별표 4] 수변식생(식물상) 현지조사표 142

[별표 5] 수변식생(군집조사) 현지조사표 143

[별표 6] 수변식생(하천단면) 현지조사표 144

[별표 7] 서식 및 수변환경 현지조사표 146

[별표 8] 하천 생물지수별 등급범위 기준 148

II. 보 구간편 149

1. 식물플랑크톤 151

가. 조사방법 151

2. 동물플랑크톤 152

가. 조사방법 152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57

가. 조사방법 157

4. 어류 167

가. 조사방법 167

5. 수변식생 171

가. 조사방법 171

6. 양서류 및 파충류 188

가. 조사방법 188

7. 포유류 195

가. 조사방법 195

III. 호소편 201

1. 식물플랑크톤 203

가. 조사방법 203

2. 동물플랑크톤 205

가. 조사방법 205

3. 수생식물 207

가. 조사내용 207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22

가. 조사방법 222

5. 어류 226

가. 조사방법 226

6. 양서류 238

가. 조사방법 238

[별표 1] 조사표 양식 242

IV. 하구편 267

1. 부착돌말류 269

가. 조사방법 269

나. 평가방법 278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81

가. 조사방법 281

나. 평가방법 290

3. 어류 292

가. 조사방법 292

나. 평가방법 296

다. 정도관리 299

4. 식생 305

가. 조사방법 305

나. 평가방법 310

[별표 1] 부착돌말 현지조사표 314

[별표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15

[별표 3] 어류 현지조사표 316

[별표 4] 식생 조사표 317

[별표 5] 하구 생물지수별 등급범위 기준 318

판권기 319

I. 하천편 6

〈표 1〉 하천에서 기질 형태별 부착돌말류 채집기법 17

〈표 2〉 부착돌말류 분류군별 기준 문헌 25

〈표 3〉 사례 지역에서 분석한 부착돌말류의 상대 밀도 및 부착돌말류 종들의 오염민감도... 28

〈표 4〉 부착돌말류 평가지수 등급 29

〈표 5〉 퇴적물 분류 기준표 42

〈표 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46

〈표 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 문헌 46

〈표 8〉 생물군집구조의 평가에 이용되는 지수 표 48

〈표 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생물군의 오탁지수 및 지표가중치 49

〈표 1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순위의 백분율 범위에 따른 출현도 구분표 55

〈표 1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물등급 판정 55

〈표 1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수 및 개체수에 따른 출현도 산정 예시 56

〈표 13〉 예시에 대한 저서동물지수 계산표 58

〈표 14〉 비정상 어종의 외형적 감별 방법 81

〈표 15〉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 구간 설정 84

〈표 16〉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등급 85

〈표 17〉 수변식생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 91

〈표 18〉 Braun-Blanquet의 우점도 기준 93

〈표 19〉 우점식생별 식생조사 방형구 면적 기준 93

〈표 20〉 식생단면 평가점수 98

〈표 21〉 수변식생을 이용한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요소의 점수 산출 99

〈표 22〉 수변식생을 이용한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 99

〈표 23〉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 121

〈표 24〉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기타 준비물 122

〈표 25〉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항목 및 기준 124

〈표 26〉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 등급 129

〈표 27〉 자연적인 종횡사주 항목 점수별 사진 130

〈표 28〉 하천변 폭 항목 점수별 사진 131

〈표 29〉 저질상태 항목 점수별 사진 132

〈표 30〉 횡구조물 항목 점수별 사진 133

〈표 31〉 하도 정비 및 하도 특성의 자연성 정도 점수별 사진 134

〈표 32〉 저수로 하안공 항목 점수별 사진 135

〈표 33〉 제방 하안 재료 항목 점수별 사진 136

〈표 34〉 제외지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137

〈표 35〉 제내지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138

II. 보 구간편 7

〈표 1〉 지각류 생체량(건조중량) 환산 155

〈표 2〉 요각류(검물벼룩) 생체량(건조중량) 환산 155

〈표 3〉 윤충류 생체량 계산을 위한 종(속) 별 FF와 %BV 156

〈표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양식 160

〈표 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161

〈표 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 문헌 161

〈표 7〉 동정기록지 양식 162

〈표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정리(엑셀양식 예시) 166

〈표 9〉 하천 식물군집 분류 173

〈표 10〉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175

〈표 11〉 식생 우점도 산정기준 177

〈표 12〉 토성의 판정기준 177

〈표 13〉 식물 군집구조 조사표 178

〈표 14〉 식물상 조사표 180

〈표 15〉 식생도 색상 구분기준 181

〈표 16〉 식생도 정리표(GIS 지도출력 양식) 183

〈표 17〉 하천단면 군집조사 집계표(엑셀 양식) 185

III. 호소편 7

〈표 1〉 조사정점 선정 204

〈표 2〉 동물플랑크톤 조사 방법 205

〈표 3〉 토지이용도 및 호안구조 조사표 209

〈표 4〉 하천 식물군집 분류 210

〈표 5〉 종-면적 곡선을 이용한 군집 유형별 적정 방형구 면적 211

〈표 6〉 식생도 조사자료 입력 양식의 예 211

〈표 7〉 식생단면도 예시 213

〈표 8〉 식생단면도 생육지 평가 214

〈표 9〉 토성의 판정기준 214

〈표 10〉 식생단면도 및 군집구조 조사표 215

〈표 11〉 식물군집 조사에서 우점도 등급 기준 216

〈표 12〉 대상조사구 외 별도 조사 군집조사표 217

〈표 13〉 양날갈퀴를 이용한 침수식물의 우점도 등급 기준 218

〈표 14〉 대상조사구 좌우 10m 이내 지역 식물상 조사표 220

〈표 15〉 대상조사구 외 지역 출현종 식물상 조사표 221

〈표 16〉 분류군별 참고자료 223

〈표 17〉 군집분석(예시) 224

〈표 18〉 호소면적 (A)에 따른 호소의 조사 범위 및 정점수 선정 227

〈표 19〉 호소별 각 조사정점의 상세 위치 정보 227

〈표 20〉 어류 채집시 적합한 환경 229

〈표 21〉 분류 및 동정에 사용되는 국내 어류도감 및 참고문헌 목록(1차적으로 동정에 이용) 233

〈표 22〉 국내 수계로 유입된 외래도입종 목록 236

〈표 23〉 각 지점별 군집분석표 237

〈표 24〉 효소면적별 조사지점수 선정(A : 만수면적) 239

〈표 25〉 호소별 각 조사정점의 상세 위치 정보 239

〈표 26〉 분류 도감 240

〈표 27〉 각 정점별 양서류 군집분석표 241

IV. 하구편 8

〈표 1〉 기질의 종류별 부착돌말 채집방법 272

〈표 2〉 부착돌말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278

〈표 3〉 사례 지역에서 분석한 부착돌말류의 상대 밀도 및 부착돌말류 종들의 오염민감도(S :... 280

〈표 4〉 부착돌말(TDI)에 의한 생물등급 280

〈표 5〉 Kahle's fluid의 조성비 284

〈표 6〉 퇴적물 분류 기준표 287

〈표 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문헌 288

〈표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문헌 289

〈표 9〉 하구저서생물지수를 위한 평가 메트릭 및 산출 기준 290

〈표 1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KEBI)에 의한 생물등급 291

〈표 11〉 어류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295

〈표 12〉 비정상 어종의 외형적 감별 방법 296

〈표 13〉 어류생물지수 평가항목 298

〈표 14〉 어류(IBI)에 의한 생물등급 298

〈표 15〉 어류 종 목록 300

〈표 15〉 식생유형에 따른 식생조사구의 면적 306

〈표 16〉 Braun-Blanquet의 식물 우점도 기준 307

〈표 17〉 식물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308

〈표 18〉 두 식물 종에 의해 우점하는 식생상관에 따른 군락명의 판정기준 308

〈표 19〉 하구 식생환경의 온전성 평가 기준 310

〈표 20〉 습지출현빈도에 의한 관속식물의 유형분류 312

〈표 21〉 닫힌하구에 출현하는 호소성식물군락 312

〈표 22〉 조사 대상지의 식생자연도 평가기준 313

〈표 23〉 식생(NDV)에 의한 생물등급 313

I. 하천편 10

〈그림 1〉 하상의 부착돌말류 기질 및 상태 16

〈그림 2〉 부착돌말류 시료 준비 22

〈그림 3〉 부착돌말류 분석을 위한 전처리 과정 22

〈그림 4〉 부착돌말류 지표종 예시 30

〈그림 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채집도구 40

〈그림 6〉 현장 기온 및 수온 측정 방법의 잘못된 사례 41

〈그림 7〉 현장 수심 및 유속 측정 모습 42

〈그림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도구 43

〈그림 9〉 골라내기(sorting)와 동정(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47

〈그림 10〉 여울구간에서의 족대 2인 1조 채집 79

〈그림 11〉 흐르는 구간에서의 투망 채집 80

〈그림 12〉 수초가 있는 연안부에서의 족대 채집 80

〈그림 13〉 소에서의 투망 채집 80

〈그림 14〉 수변식생 하천단면도 작성 예 94

〈그림 15〉 수변식생 식생도 작성 예 96

II. 보 구간편 10

〈그림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정점 선정방법 158

〈그림 2〉 조사정점별 조사방법 159

〈그림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도구 159

〈그림 4〉 하천단면 모식도 범례 186

〈그림 5〉 하천단면 모식도 작성예시 186

〈그림 6〉 무미양서류 채집도구 및 채집방법 189

〈그림 7〉 유미양서류 채집도구 190

〈그림 8〉 장지뱀(도마뱀)류 채집용 파충류집게 190

〈그림 9〉 뱀류의 채집도구 유형 191

〈그림 10〉 뱀채집망 및 평지 스레트트랩 설치방법 191

〈그림 11〉 뱀류의 허물 형태 192

〈그림 12〉 파충류 흔적 식별 방법 193

〈그림 13〉 야간조사용 도구 및 현장조사 196

〈그림 14〉 포획조사용 도구 및 현장 동정 197

〈그림 15〉 흔적 조사 시 관찰되는 여러 유형 197

〈그림 16〉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한 조사방법 198

III. 호소편 11

〈그림 1〉 식생 분포 지역 예시 211

〈그림 2〉 식생조사 정점 선정 예시 212

〈그림 3〉 줄자를 이용한 설치의 예 213

〈그림 4〉 침수식물을 이용하는 앙날갈퀴 218

〈그림 5〉 침수식물 조사의 예 219

〈그림 6〉 어류 채집 조사원의 구성(왼쪽 : 3인 1조, 오른쪽 : 4인 1조) 228

〈그림 7〉 호소에서 어류 조사시 필요한 어구 및 장비들 228

〈그림 8〉 호소 건강성 평가에 사용되는 어구의 구성 231

〈그림 9〉 호소 연안대에서 투망을 이용한 어류 채집법 231

〈그림 10〉 호소 연안대에서 족대를 이용한 어류 채집법 232

〈그림 11〉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 삼중자망을 이용한 어류 채집법 232

〈그림 12〉 대상 호소에서 채집된 어종 사진 촬영 자료 예 234

〈그림 13〉 대상 호소에서 촬영한 지점 및 어종 사진명 작성 235

〈그림 14〉 출현 어종별 상대풍부도(예시) 235

IV. 하구편 11

〈그림 1〉 닫힌하구의 부착돌말 조사를 위한 인공기질 제작 272

〈그림 2〉 유수역에서 사용하는 조사도구 282

〈그림 3〉 정수역에서 사용하는 조사도구 283

〈그림 4〉 서버넷(Surber net)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283

〈그림 5〉 정수역에서의 채집도구 284

〈그림 6〉 변형된 Ekman Grab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284

〈그림 7〉 정수역(하구호 또는 열린하구의 하류 등)에서의 조사정점 285

〈그림 8〉 골라내기(sorting)와 동정(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289

〈그림 9〉 현장 조사시 전경사진(좌 : 상류, 중 : 하류) 293

〈그림 10〉 어류 조사 도구(상단좌측 : 일각망, 상단중앙 : 투망, 상단우측 : 족대, 아래 : 자망) 294

〈그림 11〉 출현 어종 사진(좌) 및 비정상 개체(우) 296

〈그림 12〉 삼림에서의 신갈나무군락의 계층구조를 표시한 단면모식도 사례 306

〈그림 13〉 하구의 현존식생도 예시 309

〈그림 14〉 하구의 식생단면도 예시 309

〈그림 15〉 하구 식생환경의 온전성 평가기준 3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44092 570 -18-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44093 570 -18-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