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KOICA 석사학위연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용역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한국국제협력단, CIAT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1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업무자료 연수사업 ; 2018
면수
374
제어번호
MONO1201862557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KOICA 석사학위연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용역 최종보고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가. 연구의 필요성 14

나. 연구의 목적 19

2. 연구 방법 및 범위 21

가. 연구 방법 21

나. 연구 범위 23

3. 연구의 전개 24

II.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 개요 27

1. 글로벌 연수사업 개요 27

가. 글로벌 연수사업 개요 27

나. 글로벌 연수사업 동향 30

2. 석사학위 연수사업 37

가. 석사학위 연수사업 현황 37

나. 석사학위연수 시행 현황 50

3. 시사점 60

III. 국내ㆍ외 유사 사업 분석 63

1. 국내 유사사업 64

가. 정부초청외국인장학생교류지원 64

나. 국제학생 학위과정 초청연수 73

다. 환경부 개도국 공무원 석사학위과정 79

라. 서울시 개도국 자매도시 공무원대상 석사학위과정 86

2. 해외 유사사업 97

가. 일본 97

나. 호주 Australia Awards Scholarship 115

다. 기타 장학지원 사업 133

3. 시사점 137

IV.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평가 141

1.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평가 모형 141

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모형 141

나.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후기간별 성과유형 142

다. Pascarella의 대학효과 모형 145

라. 석사학위연수 성과에 대한 탈목표평가 147

2.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평가 방법 148

가. 연구설계 148

나. 양적 연구방법: 설문조사 148

다. 질적 연구방법: 면담조사 151

3.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평가 결과 153

가. 졸업생 설문조사 결과 153

나. 면담조사 결과 170

다. 우수사례 178

4.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평가: 요약 및 시사점 180

가. 성과평가: 요약 180

나. 시사점 183

V.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평가 및 성과관리 시스템 187

1.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187

가.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 현황 187

나.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의 문제점 189

2.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 193

가.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의 도출 과정 193

나.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 개요 203

3.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시스템의 활용방안 220

가. 성과관리 시스템의 활용 및 기대효과 220

4.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환류 계획 222

가. 성과관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선결요건 222

나. 사업 개선을 위한 성과관리 측면에서의 함의 226

5. 중ㆍ장기 평가를 위한 대표성과지표 227

가. 대표성과지표의 요건 및 도출 방법 227

나. 대표성과지표의 구성 및 세부내용 233

VI. 결론 및 제언 240

1.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특수성과 중요성 240

2.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42

가. 사업기획 단계 242

나. 사업운영 단계 246

다. 사업종료 이후 250

3. 석사학위 연수사업 혁신 대안 252

가. (가칭)석사학위 연수사업 기획자문위원회 설치 운영 253

나. 석사학위 연수사업 통합 운영체계 수립 254

다. 석사학위 연수사업 관리기관 일원화 및 전문화 256

라. 석사학위 연수사업 사후관리 체계의 고도화 257

마. 주기적 사후평가 실시 259

바. 연수 프로그램 실용성 강화 259

사. 박사과정 및 온라인 석사과정 시범 실시 260

4. 결론 262

참고문헌 265

[부록 1] 평가매트릭스 269

[부록 2] 설문조사지 275

[부록 3] 현지조사 결과보고서 288

현지조사 결과보고서: KKOICA 석사학위연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2017. 12. 27 288

현지조사 결과보고서: KKOICA 석사학위연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2018. 1. 26 309

현지조사 결과보고서: KKOICA 석사학위연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체계 개선 2018. 2. 19 354

판권기 374

〈표 1-1〉 연구 방법 및 대상 23

〈표 2-1〉 KOICA 연수사업 형태 29

〈표 2-2〉 1991-2016 글로별 연수사업 실적 31

〈표 2-3〉 2010-2016 사업 형태별 예산 현황 36

〈표 2-4〉 석사학위 연수사업 대상국가 38

〈표 2-5〉 연수생 배출 상위 10개국(1997-2017) 40

〈표 2-6〉 분야별 과정 및 연수생 수(1997-2016) 41

〈표 2-7〉 연수생 지원 항목 45

〈표 2-8〉 KOICA 중장기 성과지표 pool 46

〈표 2-9〉 보고서 제출 시기 및 보고 내용 48

〈표 2-10〉 차수별 모니터링 실시방안 49

〈표 2-11〉 인터뷰 대상기관 및 일정 50

〈표 2-12〉 성과 관리 관련 개선 필요 사항 52

〈표 2-13〉 사업 운영 및 관리 어려움 56

〈표 2-14〉 주요 기타사항 59

〈표 3-1〉 분석 대상 63

〈표 3-2〉 GKS-KGSP 장학 기간 66

〈표 3-3〉 GKS-KGSP 초청현황 66

〈표 3-4〉 GKS-KGSP 국가별 초청인원(1967-2017) 67

〈표 3-5〉 2018 사업예산 69

〈표 3-6〉 지원내용 70

〈표 3-7〉 GKS-KGSP 사업 성과지표 및 달성도 71

〈표 3-8〉 2014 외국인 입학생 경력현황 74

〈표 3-9〉 내부 성과관리 체계 76

〈표 3-10〉 외부평가 지표구성 및 평가방식 77

〈표 3-11〉 환경부 석사학위 연수생 현황(2015-2017) 80

〈표 3-12〉 2018 GESP 지원 대상국가 81

〈표 3-13〉 간담회 개최시기 및 수행내용 85

〈표 3-14〉 보고서 제출 시기 및 보고 내용 85

〈표 3-15〉 서울시 석사학위과정 추진 실적 87

〈표 3-16〉 서울시 석사학위과정 참가도시 현황 88

〈표 3-17〉 서울시 석사학위과정 선발대상 국가(2011년 기준) 89

〈표 3-18〉 서울시 석사학위과정 연수생 지원 내용(2017년 기준) 90

〈표 3-19〉 서울시 석사학위과정 교육기간 및 교육내용(제10기 기준) 90

〈표 3-20〉 JDS 참여 인원 98

〈표 3-21〉 수원국 별 연수분야, 주제, 연수기관 및 정원의 예: 캄보디아 99

〈표 3-22〉 JDS 실행 기간 및 구성 101

〈표 3-23〉 JDS 연수생 선발절차 102

〈표 3-24〉 JDS 운영위원회의 주요 역할 103

〈표 3-25〉 JDS 실행기관의 역할 104

〈표 3-26〉 JDS 사전준비조사의 목적 105

〈표 3-27〉 ABE 참여 규모 108

〈표 3-28〉 참여자격 분야별 인원(2014-2017) 108

〈표 3-29〉 ABE 연수생 인턴십 참여 통계 108

〈표 3-30〉 JICA의 JDS와 KOICA의 석사학위 연수사업 비교 111

〈표 3-31〉 2012-2018 Australia Awards 실적 및 지출액 116

〈표 3-32〉 2018 Australia Awards 지역별 연수생 현황 117

〈표 3-33〉 Australia Awards Scholarships 수학중인 연수생 수(2017. 10 기준) 118

〈표 3-34〉 Australia Awards Scholarships 학위별 연수생 현황(2017.10.5.기준) 118

〈표 3-35〉 Australia Awards Scholarships 분야별 연수생 현황(2017.10.5.기준) 119

〈표 3-36〉 Australia Awards Scholarships 학위 취득율 119

〈표 3-37〉 Australia Awards Scholarships 대상국가(2019년 과정) 123

〈표 3-38〉 Australia Awards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 127

〈표 3-39〉 Australia Awards 모니터링 및 평가 시기별 활동 내용 131

〈표 3-40〉 유사 사례들과의 목적 비교 137

〈표 3-41〉 유사 사례들과의 운영현황 비교 138

〈표 4-1〉 Kirkpatrick(1994)의 평가모형 142

〈표 4-2〉 글로벌 연수사업 종합평가 성과유형 및 석사학위연수 평가 결과 143

〈표 4-3〉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후 기간별 성과유형 평가모형 144

〈표 4-4〉 설문참여자 정보: 성별 및 석사학위연수 참여 시기 149

〈표 4-5〉 설문참여자 정보: 출신지역 및 연수분야 149

〈표 4-6〉 국내 연수기관 면담참여자 정보 151

〈표 4-7〉 해외현지조사 면담참여자 정보 152

〈표 4-8〉 면담조사 정보 153

〈표 4-9〉 KOICA 석사학위연수 선택 이유: 타 해외공여기관 장학사업과 비교 154

〈표 4-10〉 석사학위연수 참여목표별 달성 정도 154

〈표 4-11〉 석사학위연수 기간 사회적 교류 정도 155

〈표 4-12〉 연수생 귀국 후 KOICA 및 소속 조직의 사후 관리 155

〈표 4-13〉 석사학위연수 성과: 단기성과 156

〈표 4-14〉 석사학위연수 성과: 중기성과(1) 156

〈표 4-15〉 석사학위연수 성과: 중기성과(2) 157

〈표 4-16〉 중기성과-한국에 대한 이해 및 태도 수준: 연수생 출신지역별 비교 158

〈표 4-17〉 중기성과-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석사학위연수 참여 전후 158

〈표 4-18〉 석사학위연수 성과: 중장기성과 159

〈표 4-19〉 석사학위연수 성과: 장기성과 159

〈표 4-20〉 석사학위연수 성과: 사후기간별 수준 160

〈표 4-21〉 석사학위연수 성과: 연수분야별 차이 분석 결과 161

〈표 4-22〉 석사학위연수 사후기간별 성과: 연수분야별 수준 162

〈표 4-23〉 석사학위연수 사후기간별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64

〈표 4-24〉 석사학위연수 사후기간별 성과에 대한 결정요인 정리 167

〈표 4-25〉 석사학위연수 국내기관 면담 결과: 연수분야별 성과 173

〈표 5-1〉 현행 성과관리 시스템의 문제점(요약) 190

〈표 5-2〉 사업 개선을 위한 관리 체계(예시) 192

〈표 5-3〉 평가매트릭스 1차(일부 발췌) 194

〈표 5-4〉 평가매트릭스 2차(일부 발췌) 194

〈표 5-5〉 1차 제안서 평가기준(일부 발췌) 195

〈표 5-6〉 전문가 선정의 근거(FGI) 196

〈표 5-7〉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 체계(최종안) 197

〈표 5-8〉 전문가 선정의 근거(AHP) 199

〈표 5-9〉 AHP 분석 방법 예시 201

〈표 5-10〉 일관도 분석 방법 예시 201

〈표 5-11〉 가중치 부여 방법 202

〈표 5-12〉 사업수행계획서 평가 중 사업기획 영역의 배점 202

〈표 5-13〉 각 평가체계의 특성 204

〈표 5-14〉 성과관리체계의 종합 205

〈표 5-15〉 사업수행계획서 평가체계 206

〈표 5-16〉 연수기획(성과지표)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08

〈표 5-17〉 연수내용(성과지표)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09

〈표 5-18〉 연수관리(성과지표)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0

〈표 5-19〉 사후관리(성과지표)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1

〈표 5-20〉 추진체계의 적절성(성과지표)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2

〈표 5-21〉 사업운영 평가체계 213

〈표 5-22〉 사업운영의 적절성(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4

〈표 5-23〉 연수생 만족도(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5

〈표 5-24〉 교육 만족도(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6

〈표 5-25〉 자체평가(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6

〈표 5-26〉 사업결과 평가체계 217

〈표 5-27〉 단기 산출(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8

〈표 5-28〉 한국이미지 제고ㆍ네트워크 관리(평가영역) 이하 평가지표의 특징 219

〈표 5-29〉 사후관리 평가체계 219

〈표 5-30〉 모니터링 절차 및 주요 내용 226

〈표 5-31〉 성과관리 환류와 사업 개선의 체계도 227

〈표 5-32〉 대표성과지표의 요건 228

〈표 5-33〉 대표성과지표의 구성을 위한 착안사항 230

〈표 5-34〉 대표성과에 대한 평가 231

〈표 5-35〉 대표성과지표의 구성 체계 234

〈표 5-36〉 대표성과지표 1(단기 교육성과) 235

〈표 5-37〉 대표성과지표 2(중ㆍ장기교육성과) 236

〈표 5-38〉 대표성과지표 3(협력관계의 촉진) 237

〈표 5-39〉 대표성과지표 4(국가발전 기여 정도) 238

〈표 5-40〉 대표성과지표 5(파트너십 강화 활동) 239

[그림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0

[그림 1-2] 연구 로드맵 21

[그림 2-1] 국별연수 증감 추이 32

[그림 2-2] 다국가연수 증감 추이 33

[그림 2-3] 공동연수 증감 추이 33

[그림 2-4] 석사학위연수 증감 추이 34

[그림 2-5] 사업 형태별 예산 증감추이 35

[그림 2-6] 연수생 배출 상위 10개국 증감 추이(1997-2017) 40

[그림 2-7] 연수생 선발 절차 단계 43

[그림 2-8] 석사학위 연수사업 추진절차 44

[그림 2-9] 글로벌 연수사업 통합적 성과관리모형 47

[그림 3-1] 사업추진절차 69

[그림 3-2] 2018 GESP 사업추진절차 82

[그림 3-3] 2018 GESP 연수생 선발 절차 83

[그림 3-4] JDS 계약 관계 및 절차 100

[그림 3-5] JDS 개선 전략 107

[그림 3-6] Australia Awards 프로그램 논리 모형 126

[그림 3-7] Australia Awards 정보 흐름도 130

[그림 4-1] Pascarella의 대학효과 모형(Pascarella & Terenzini, 2005) 147

[그림 4-2] 석사학위연수 사후기간별 성과: 연수분야별 수준 162

[그림 4-3] 필리핀 교육부 교사교육 자료 및 KOICA에 대한 감사의 글 178

[그림 4-4] 우즈베키스탄 귀국연수생 차관 임명 홍보 기사 179

[그림 4-5] 석사학위연수 성과 및 결정요인: 설문조사와 면담결과 요약 182

[그림 5-1] 글로벌 연수사업의 성과관리 구조 187

[그림 5-2] AHP 분석 예시 198

[그림 5-3] 성과관리 시스템의 활용과 기대효과 220

[그림 6-1] 석사학위 연수사업 선순환 체계 253

〈표 A-1〉 사후기간별 석사학윈 연수사업 성과: 설문문항 269

〈표 A-2〉 Pascarella 대학효과 모형: 설문문항 271

〈표 A-3〉 탈목표평가 평가매트릭스 274

부그림목차

[그림 1] JDS 계약 절차 및 관계 36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