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하구 수생태계 조사 및 평가 = Survey and assessment of estuary ecosystem. 10 / 국립환경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2017
청구기호
577.786 -18-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x, 791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NIER-SP ; 2017-200
제어번호
MONO1201862950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주)생태조사단
연구책임자: 원두희
부록: 1. 수질 ; 2. 부착돌말 ;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35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37

제2절 연구목적 39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41

제1절 연구내용 43

1. 하구 수생태계 수질 조사 43

2.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43

3.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활용성 제고 방안 43

제2절 연구방법 44

1. 조사 대상 하구 44

2. 하구 수생태계 수질 조사 51

3.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52

4.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활용성 제고 방안 99

제3장 연구결과 103

제1절 하구 수생태계 수질 조사 105

1. 전체 하구 105

2. 기타 하구 132

3. 하구 유형별 비교 132

제2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부착돌말류 134

1. 2017년 조사대상 하구 134

2. 해역별 하구 146

3. 하구 유형별 비교 185

제3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91

1. 2017년 조사대상 하구 191

2. 해역별 하구 198

3. 하구 유형별 비교 226

제4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어류 232

1. 2017년 조사대상 하구 232

2. 해역별 하구 238

3. 하구 유형별 비교 271

제5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식생 276

1. 2017년 조사대상 하구 276

2. 해역별 하구 281

3. 하구 유형별 비교 403

제6절 종합분석 406

1. 이화학적 수질 및 건강성 평가 406

2. 종합평가 412

제7절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활용성 제고 방안 421

1.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활용 421

2. 생물 분야별 정도관리를 위한 워크숍 개최 452

3.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정도관리 지침(안) 458

제4장 결론 499

제1절 하구 수생태계 수질 조사 501

제2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부착돌말류 503

제3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504

제4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어류 505

제5절 하구생물 조사 및 건강성 평가 : 식생 507

제6절 종합분석 509

제7절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결과 활용성 제고 방안 511

1.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활용 511

2. 생물 분야별 정도관리를 위한 워크숍 개최 512

3.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정도관리 지침(안) 513

제5장 하구별 특이사항 및 건강성 확보방안 515

제6장 부록 531

제1절 수질 533

제2절 부착돌말 548

1. 1차 조사 548

2. 2차 조사 591

제3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642

1. 1차 조사 642

2. 2차 조사 710

제4절 어류 776

1. 1차 조사 776

2. 2차 조사 793

제5절 식생 810

1. 1차 조사 810

〈Table 1-1-1〉 국내 하구의 분포 37

〈Table 1-1-2〉 하구 수생태계 조사지점 현황 38

〈Table 2-2-1〉 하구 수생태계 해역 및 대권역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하구, 지점수 44

〈Table 2-2-2〉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세부 지점 44

〈Table 2-2-3〉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하구의 유형별 구분 50

〈Table 2-2-4〉 부착돌말 현지조사표 54

〈Table 2-2-5〉 기질의 종류별 부착돌말 채집방법 56

〈Table 2-2-6〉 부착돌말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60

〈Table 2-2-7〉 Kahle's fluid의 조성비 64

〈Table 2-2-8〉 Wentworth 퇴적물 분류 기준표 67

〈Table 2-2-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문헌 68

〈Table 2-2-1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문헌 68

〈Table 2-2-11〉 하구 수생태계 조사를 위한 어류의 현지조사표(예시) 72

〈Table 2-2-12〉 어류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74

〈Table 2-2-13〉 하구 수생태계 조사를 위한 식생조사표(예) 77

〈Table 2-2-14〉 식생유형에 따른 식생조사구의 면적 78

〈Table 2-2-15〉 Braun-Blanquet의 식물 우점도 기준 80

〈Table 2-2-16〉 식물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80

〈Table 2-2-17〉 두 식물 종에 의해 우점하는 식생상관에 따른 군락명의 판정기준 82

〈Table 2-2-18〉 부착돌말의 상대밀도 및 출현종의 민감도·지표값의 계산(예) 84

〈Table 2-2-19〉 부착돌말을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84

〈Table 2-2-20〉 하구저서생물지수를 위한 평가 메트릭 및 산출 기준 85

〈Table 2-2-2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KEBI)에 의한 생물등급 86

〈Table 2-2-22〉 어류생물지수 평가 항목 88

〈Table 2-2-23〉 어류생물지수에 의한 생물등급 89

〈Table 2-2-24〉 어류종목록 89

〈Table 2-2-25〉 하구 식생환경의 온전성 평가 기준 96

〈Table 2-2-26〉 습지출현빈도에 의한 관속식물의 유형분류 96

〈Table 2-2-27〉 조사 대상지의 식생자연도 평가기준 97

〈Table 2-2-28〉 식상(NDV)에 의한 생물등급 97

〈Table 2-2-29〉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각 생물군별 등급 98

〈Table 3-1-1〉 전체 하구 해역별 수온 105

〈Table 3-1-2〉 전체 하구 해역별 pH 108

〈Table 3-1-3〉 전체 하구 해역별 염분도 111

〈Table 3-1-4〉 전체 하구 해역별 DO 114

〈Table 3-1-5〉 전체 하구 해역별 COD 117

〈Table 3-1-6〉 전체 하구 해역별 탁도 120

〈Table 3-1-7〉 전체 하구 해역별 EC 123

〈Table 3-1-8〉 전체 하구 해역별 T-N 126

〈Table 3-1-9〉 전체 하구 해역별 T-P 129

〈Table 3-1-10〉 기타하구의 수질 정보 132

〈Table 3-1-11〉 하구 유형별 수질 비교 132

〈Table 3-2-1〉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출현종수 134

〈Table 3-2-2〉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세포밀도 135

〈Table 3-2-3〉 전체 하구 해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1차조사) 136

〈Table 3-2-4〉 전체 하구 해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36

〈Table 3-2-5〉 전체 하구의 해역별 부착돌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1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37

〈Table 3-2-6〉 전체 하구의 해역별 부착돌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2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37

〈Table 3-2-7〉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평균 구성비 (1차조사) 138

〈Table 3-2-8〉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평균 구성비 (2차조사) 138

〈Table 3-2-9〉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 평균 군집지수(1차조사) 141

〈Table 3-2-10〉 전체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 평균 군집지수(2차조사) 141

〈Table 3-2-11〉 전체 하구 해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 (TDI) 및 등급(1차조사) 142

〈Table 3-2-12〉 전체 하구 해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 (TDI) 및 등급(2차조사) 142

〈Table 3-2-13〉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출현종수(1차조사) 143

〈Table 3-2-14〉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세포밀도(2차조사) 143

〈Table 3-2-15〉 기타 하구 해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1차조사) 143

〈Table 3-2-16〉 기타 하구 해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43

〈Table 3-2-17〉 기타 하구의 해역별 부착돌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1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44

〈Table 3-2-18〉 기타 하구의 해역별 부착돌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2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44

〈Table 3-2-19〉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평균 구성비 (1차조사) 144

〈Table 3-2-20〉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평균 구성비 (2차조사) 144

〈Table 3-2-21〉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 평균 군집지수(1차조사) 145

〈Table 3-2-22〉 기타 하구 해역별 부착돌말 평균 군집지수(2차조사) 145

〈Table 3-2-23〉 기타 하구 해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 (TDI) 및 등급(1차조사) 145

〈Table 3-2-24〉 기타 하구 해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 (TDI) 및 등급(2차조사) 145

〈Table 3-2-25〉 동해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출현종수 146

〈Table 3-2-26〉 동해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세포밀도 146

〈Table 3-2-27〉 동해하구 대권역별 엽록소 농도 및 유기물량 (1차조사) 147

〈Table 3-2-28〉 동해하구 대권역별 엽록소 농도 및 유기물량 (2차조사) 147

〈Table 3-2-29〉 동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아우점종(1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48

〈Table 3-2-30〉 동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아우점종(2차조사, 평균 상대빈도와 출현빈도) 148

〈Table 3-2-31〉 동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구성비 (1차조사) 149

〈Table 3-2-32〉 동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에 따른 생태군의 구성비 (2차조사) 149

〈Table 3-2-33〉 동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 군집지수(1차조사) 150

〈Table 3-2-34〉 동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 군집지수(2차조사) 150

〈Table 3-2-35〉 동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152

〈Table 3-2-36〉 동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153

〈Table 3-2-37〉 동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에 따른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 (1차조사) 154

〈Table 3-2-38〉 동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의 오염내성도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 (2차조사) 155

〈Table 3-2-39〉 동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1차조사) 157

〈Table 3-2-40〉 동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2차조사) 157

〈Table 3-2-41〉 동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1차조사) 158

〈Table 3-2-42〉 동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2차조사) 159

〈Table 3-2-43〉 남해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출현종수 161

〈Table 3-2-44〉 남해하구 해역별 부착돌말의 세포밀도 161

〈Table 3-2-45〉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 (1차조사) 162

〈Table 3-2-46〉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 (2차조사) 162

〈Table 3-2-47〉 남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1차조사) 162

〈Table 3-2-48〉 남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 (2차조사) 163

〈Table 3-2-49〉 남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의 구성비(1차조사) 164

〈Table 3-2-50〉 남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의 구성비(2차조사) 164

〈Table 3-2-51〉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 군집지수(1차조사) 166

〈Table 3-2-52〉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 군집지수(2차조사) 166

〈Table 3-2-53〉 남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166

〈Table 3-2-54〉 남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168

〈Table 3-2-55〉 남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 (1차조사) 169

〈Table 3-2-56〉 남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69

〈Table 3-2-57〉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1차조사) 171

〈Table 3-2-58〉 남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2차조사) 171

〈Table 3-2-59〉 남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1차조사) 172

〈Table 3-2-60〉 남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2차조사) 173

〈Table 3-2-61〉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의 총 출현종수, 평균종수, 최대 및 최소 종수 174

〈Table 3-2-62〉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의 평균 세포밀도, 최대 및 최소 세포밀도 175

〈Table 3-2-63〉 서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1차조사) 176

〈Table 3-2-64〉 서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76

〈Table 3-2-65〉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 (1차조사) 177

〈Table 3-2-66〉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 (2차조사) 177

〈Table 3-2-67〉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 구성비 (1차조사) 178

〈Table 3-2-68〉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 구성비 (2차조사) 178

〈Table 3-2-69〉 서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류 군집지수(1차조사) 180

〈Table 3-2-70〉 서해하구 대권역별 평균 부착돌말류 군집지수(2차조사) 180

〈Table 3-2-71〉 서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180

〈Table 3-2-72〉 서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181

〈Table 3-2-73〉 서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1차조사) 181

〈Table 3-2-74〉 서해하구 하구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 구성비,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82

〈Table 3-2-75〉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1차조사) 183

〈Table 3-2-76〉 서해하구 대권역별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2차조사) 183

〈Table 3-2-77〉 서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1차조사) 184

〈Table 3-2-78〉 서해하구 하구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2차조사) 184

〈Table 3-2-79〉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의 출현종수 185

〈Table 3-2-80〉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의 세포밀도 185

〈Table 3-2-81〉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류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1차조사) 186

〈Table 3-2-82〉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류 우점종과 평균 상대빈도(2차조사) 186

〈Table 3-2-83〉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의 구성비(1차조사) 187

〈Table 3-2-84〉 하구 유형별 부착돌말류 오염내성도에 따른 평균 생태군의 구성비(2차조사) 187

〈Table 3-2-85〉 하구 유형별 평균 부착돌말류 군집지수(1차조사) 188

〈Table 3-2-86〉 하구 유형별 평균 부착돌말류 군집지수(2차조사) 188

〈Table 3-2-87〉 하구 유형별 엽록소 및 유기물량(1차조사) 188

〈Table 3-2-88〉 하구 유형별 엽록소 및 유기물량(2차조사) 189

〈Table 3-2-89〉 하구 유형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1차조사) 189

〈Table 3-2-90〉 하구 유형별 평균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분포(2차조사) 189

〈Table 3-3-1〉 전체 하구 해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91

〈Table 3-3-2〉 전체 하구 해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점당 개체밀도 192

〈Table 3-3-3〉 전체 하구 해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점유율(1차조사) 193

〈Table 3-3-4〉 전체 하구 해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점유율(2차조사) 194

〈Table 3-3-5〉 전체 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조사) 194

〈Table 3-3-6〉 전체 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조사) 194

〈Table 3-3-7〉 전체 하구 해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196

〈Table 3-3-8〉 전체 하구 해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196

〈Table 3-3-9〉 기타 하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개체밀도 197

〈Table 3-3-10〉 기타 하구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점유율 197

〈Table 3-3-11〉 기타 하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평균 군집지수 197

〈Table 3-3-12〉 기타 하구 저서무척추동물의 KEBI 및 등급분포 198

〈Table 3-3-13〉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99

〈Table 3-3-14〉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점당 개체밀도 199

〈Table 3-3-15〉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1차조사) 200

〈Table 3-3-16〉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2차조사) 201

〈Table 3-3-17〉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조사) 201

〈Table 3-3-18〉 동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조사) 201

〈Table 3-3-19〉 동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202

〈Table 3-3-20〉 동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203

〈Table 3-3-21〉 동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05

〈Table 3-3-22〉 동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05

〈Table 3-3-23〉 동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1차조사) 206

〈Table 3-3-24〉 동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2차조사) 207

〈Table 3-3-25〉 남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209

〈Table 3-3-26〉 남해하구 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점당 개체밀도 210

〈Table 3-3-27〉 남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1차조사) 211

〈Table 3-3-28〉 남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2차조사) 211

〈Table 3-3-29〉 남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조사) 211

〈Table 3-3-30〉 남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조사) 211

〈Table 3-3-31〉 남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212

〈Table 3-3-32〉 남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213

〈Table 3-3-33〉 남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15

〈Table 3-3-34〉 남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15

〈Table 3-3-35〉 남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1차조사) 216

〈Table 3-3-36〉 남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2차조사) 217

〈Table 3-3-37〉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218

〈Table 3-3-38〉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점당 개체밀도 219

〈Table 3-3-39〉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1차조사) 221

〈Table 3-3-40〉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2차조사) 221

〈Table 3-3-41〉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조사) 221

〈Table 3-3-42〉 서해하구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조사) 221

〈Table 3-3-43〉 서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조사) 222

〈Table 3-3-44〉 서해하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조사) 223

〈Table 3-3-45〉 서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24

〈Table 3-3-46〉 서해하구 대권역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24

〈Table 3-3-47〉 서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1차조사) 225

〈Table 3-3-48〉 서해하구 하구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2차조사) 225

〈Table 3-3-49〉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226

〈Table 3-3-50〉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점당 개체밀도 227

〈Table 3-3-51〉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1차조사) 229

〈Table 3-3-52〉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2차조사) 229

〈Table 3-3-53〉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조사) 229

〈Table 3-3-54〉 하구 유형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조사) 229

〈Table 3-3-55〉 하구 유형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30

〈Table 3-3-56〉 하구 유형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30

〈Table 3-3-57〉 하구 유형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메트릭 값 비교(1차조사) 230

〈Table 3-3-58〉 하구 유형별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메트릭 값 비교(2차조사) 231

〈Table 3-4-1〉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32

〈Table 3-4-2〉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우점종 233

〈Table 3-4-3〉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생태형 비율 234

〈Table 3-4-4〉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군집지수 234

〈Table 3-4-5〉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35

〈Table 3-4-6〉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36

〈Table 3-4-7〉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36

〈Table 3-4-8〉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우점종 236

〈Table 3-4-9〉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생태형 비율 237

〈Table 3-4-10〉 전체 하구 해역별 어류 군집지수 237

〈Table 3-4-11〉 기타 하구 해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 237

〈Table 3-4-12〉 동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38

〈Table 3-4-13〉 동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우점종 239

〈Table 3-4-14〉 동해하구 해역별 어류 생태형 비율 239

〈Table 3-4-15〉 동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군집지수 240

〈Table 3-4-16〉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 조사) 240

〈Table 3-4-17〉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 조사) 242

〈Table 3-4-18〉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1차 조사) 243

〈Table 3-4-19〉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2차 조사) 244

〈Table 3-4-20〉 동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1차조사) 246

〈Table 3-4-21〉 동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2차조사) 246

〈Table 3-4-22〉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1차조사) 247

〈Table 3-4-23〉 동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2차조사) 248

〈Table 3-4-24〉 남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50

〈Table 3-4-25〉 남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우점종 251

〈Table 3-4-26〉 남해하구 해역별 어류 생태형 비율 251

〈Table 3-4-27〉 남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군집지수 252

〈Table 3-4-28〉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 조사) 253

〈Table 3-4-29〉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 조사) 254

〈Table 3-4-30〉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1차 조사) 255

〈Table 3-4-31〉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2차 조사) 257

〈Table 3-4-32〉 남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1차 조사) 258

〈Table 3-4-33〉 남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2차 조사) 258

〈Table 3-4-34〉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1차 조사) 259

〈Table 3-4-35〉 남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2차 조사) 260

〈Table 3-4-36〉 서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62

〈Table 3-4-37〉 서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우점종 263

〈Table 3-4-38〉 서해하구 해역별 어류 생태형 비율 264

〈Table 3-4-39〉 서해하구 대권역별 어류 군집지수 264

〈Table 3-4-40〉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1차 조사) 265

〈Table 3-4-41〉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 다양성 및 군집지수(2차 조사) 266

〈Table 3-4-42〉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1차 조사) 267

〈Table 3-4-43〉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 생태형 비율(2차 조사) 267

〈Table 3-4-44〉 서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1차 조사) 268

〈Table 3-4-45〉 서해하구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2차 조사) 269

〈Table 3-4-46〉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1차 조사) 270

〈Table 3-4-47〉 서해하구 하구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2차 조사) 271

〈Table 3-4-48〉 하구 유형별 어류 출현종수 및 개체수 272

〈Table 3-4-49〉 하구 유형별 어류 우점종 272

〈Table 3-4-50〉 하구 유형별 어류 군집지수 273

〈Table 3-4-51〉 하구 유형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1차 조사) 273

〈Table 3-4-52〉 하구 유형별 어류생물지수(IBI) 메트릭 값 비교(1차 조사) 274

〈Table 3-4-53〉 하구 유형별 어류생물지수(IBI) 값 및 등급 분포(2차 조사) 274

〈Table 3-4-54〉 하구 유형별 어류생물지수(IBI) 메트릭 값 비교(2차 조사) 274

〈Table 3-5-1〉 전체 하구 해역별 식물 군락수 276

〈Table 3-5-2〉 전체 하구 해역별 식물 우점 군락 277

〈Table 3-5-3〉 전체 하구 해역별 식생 유형 278

〈Table 3-5-4〉 전체 하구 해역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278

〈Table 3-5-5〉 하구 유형별 식물 군락수 279

〈Table 3-5-6〉 하구 유형별 식물 우점 군락 279

〈Table 3-5-7〉 하구 유형별 식물 군락 유형 279

〈Table 3-5-8〉 하구 유형별 조사지점의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280

〈Table 3-5-9〉 하구 유형별 식생자연도(NDV) 메트릭 값 비교 280

〈Table 3-5-10〉 동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군락수 282

〈Table 3-5-11〉 동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우점 군락 282

〈Table 3-5-12〉 동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군락 유형 283

〈Table 3-5-13〉 동해하구 하구별 출현 군락수 및 우점 군락 283

〈Table 3-5-14〉 동해하구 하구별 식물 군락 유형 284

〈Table 3-5-15〉 동해하구 대권역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332

〈Table 3-5-16〉 동해하구 하구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333

〈Table 3-5-17〉 남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군락수 334

〈Table 3-5-18〉 남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우점 군락 335

〈Table 3-5-19〉 남해하구 하구별 출현 군락수 및 우점 군락 335

〈Table 3-5-20〉 남해하구 하구 지점별 식물 군락 유형 336

〈Table 3-5-21〉 남해하구 대권역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379

〈Table 3-5-22〉 남해하구 하구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379

〈Table 3-5-23〉 서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군락수 381

〈Table 3-5-24〉 서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우점 군락 381

〈Table 3-5-25〉 서해하구 대권역별 식물 군락 유형 381

〈Table 3-5-26〉 서해하구 하구별 출현 군락수 및 우점 군락 382

〈Table 3-5-27〉 서해하구 하구 지점별 식물 군락 유형 382

〈Table 3-5-28〉 서해하구 대권역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402

〈Table 3-5-29〉 서해하구 하구별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402

〈Table 3-5-30〉 하구 유형별 식물 군락수 403

〈Table 3-5-31〉 하구 유형별 식물 우점 군락 403

〈Table 3-5-32〉 하구 유형별 식물 군락 유형 403

〈Table 3-5-33〉 하구 유형별 조사지점의 식생자연도(NDV) 값 및 등급 분포 404

〈Table 3-5-34〉 하구 유형별 식생자연도(NDV) 메트릭 값 비교 405

〈Table 3-6-1〉 전체 하구의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406

〈Table 3-6-2〉 전체 하구의 수질과 부착돌말류 건강성의 상관성 406

〈Table 3-6-3〉 전체 하구의 수질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건강성의 상관성 407

〈Table 3-6-4〉 전체 하구의 수질과 어류 건강성의 상관성 408

〈Table 3-6-5〉 전체 하구의 수질과 식생 건강성의 상관성 408

〈Table 3-6-6〉 열린하구의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411

〈Table 3-6-7〉 닫힌하구의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의 상관성 411

〈Table 3-6-8〉 전체 하구의 분야별 건강성 분포 413

〈Table 3-6-9〉 전체 하구의 하구별 건강성 413

〈Table 3-7-1〉 연도별 건강성 정보의 확보 421

〈Table 3-7-2〉 하구에 영향을 주는 인위개변의 요인 및 국내 하구 자료 423

〈Table 3-7-3〉 하구 훼손영향 인자 파악을 위한 자료 424

〈Table 3-7-4〉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간 상관성 분석 결과 424

〈Table 3-7-5〉 안구와 수생태계 건강성 간 상관성 분석 결과 425

〈Table 3-7-6〉 토지이용과 수생태계 건강성 간 상관성 분석 결과 425

〈Table 3-7-7〉 하상 및 수체 냄새와 수생태계 건강성 간 상관성 분석 결과 426

〈Table 3-7-8〉 주요 훼손 요인 및 수생태계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427

〈Table 3-7-9〉 하구 유형별 훼손하구 및 참조하구 선정 428

〈Table 3-7-10〉 열린하구 유형의 훼손하구와 참조하구 건강성 비교 428

〈Table 3-7-11〉 닫힌하구 유형의 훼손하구와 참조하구 건강성 비교 429

〈Table 3-7-12〉 열린하구 유형의 훼손하구와 참조하구 훼손 요인 비교 429

〈Table 3-7-13〉 닫힌하구 유형의 훼손하구와 참조하구 훼손 요인 비교 430

〈Table 3-7-14〉 사곡천의 수질 현황 431

〈Table 3-7-15〉 사곡천의 부착돌말류 432

〈Table 3-7-16〉 사곡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32

〈Table 3-7-17〉 사곡천의 어류 433

〈Table 3-7-18〉 사곡천의 식생 433

〈Table 3-7-19〉 사곡천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433

〈Table 3-7-20〉 사곡천 하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건강성 434

〈Table 3-7-21〉 사곡천 하구 어류 건강성 434

〈Table 3-7-22〉 사곡천 하구 식생 건강성 434

〈Table 3-7-23〉 목단천의 수질 현황 436

〈Table 3-7-24〉 목단천의 부착돌말류 436

〈Table 3-7-25〉 목단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36

〈Table 3-7-26〉 목단천의 어류 437

〈Table 3-7-27〉 목단천의 부착돌말류 437

〈Table 3-7-28〉 목단천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438

〈Table 3-7-29〉 목단천 하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건강성 438

〈Table 3-7-30〉 목단천 하구 어류 건강성 438

〈Table 3-7-31〉 목단천 하구 식생 건강성 438

〈Table 3-7-32〉 사곡천의 주요 훼손요인 439

〈Table 3-7-33〉 사곡천의 건강성 확보 방안 439

〈Table 3-7-34〉 목단천의 주요 훼손요인 441

〈Table 3-7-35〉 목단천의 건강성 확보 방안 442

〈Table 3-7-36〉 환경부 하구관련 과업 수행 444

〈Table 3-7-37〉 국내 하구복원사업 비교 445

〈Table 3-7-38〉 낙동강 하구 기수역 확대 시나리오 447

〈Table 3-7-39〉 낙동강 하구 포럼 위원 구성 448

〈Table 3-7-40〉 2017년 하구 수생태계 조사 및 평가 워크숍 프로그램 455

〈Table 3-7-37〉 부착돌말류 분류 기준 문헌 479

〈Table 3-7-3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484

〈Table 3-7-3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 문헌 485

〈Table 3-7-40〉 어류조사장비 체크리스트 487

〈Table 3-7-41〉 식생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 494

〈Table 3-7-42〉 직관적 방법에 의한 토성 구분(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2014) 495

〈Table 5-1-1〉 2017년 조사하구의 특이사항 및 건강성 확보방안 517

〈Table 6-1-1〉 2017년 하구별 수질(수온, 수소이온농도, 염도,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 533

〈Table 6-1-2〉 2017년 하구별 수질(탁도, 전기전도도, 총질소, 총인) 540

〈Table 6-2-1〉 2017년 1차 조사 하구별 부착돌말 출현종 및 출현현황 548

〈Table 6-2-2〉 2017년 2차 조사 하구별 부착돌말 출현종 및 출현현황 591

〈Table 6-3-1〉 2017년 1차 조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642

〈Table 6-3-2〉 2017년 2차 조사 하구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목록 710

〈Table 6-4-1〉 2017년 1차 조사 하구별 어류 종목록 776

〈Table 6-4-2〉 2017년 2차 조사 하구별 어류 종목록 793

〈Table 6-5-1〉 2017년 1차 조사 하구별 식생 군락목록 810

〈Figure 2-2-1〉 하구 수생태계 조사 및 평가 대상 하구 분포 50

〈Figure 2-2-2〉 다항목 측정기(U-52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eter, Horiba, Japan) 51

〈Figure 2-2-3〉 기본적인 조사도구(유수역) 62

〈Figure 2-2-4〉 서버넷(Surber net)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63

〈Figure 2-2-5〉 기본적인 조사도구(정수역) 63

〈Figure 2-2-6〉 정수역에서의 채집도구 64

〈Figure 2-2-7〉 변형된 Ekman Grab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64

〈Figure 2-2-8〉 정수역(하구호 또는 열린하구의 하류 등)에서의 조사정점 65

〈Figure 2-2-9〉 골라내기(sorting)와 동정(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69

〈Figure 2-2-10〉 현장 조사시 전경사진(좌 : 상류, 중 : 하류) 및 비정상 개체(우 : 비정상 개체) 71

〈Figure 2-2-11〉 어류 조사 장비 및 도구(좌 : 각망, 중 : 투망, 우 : 족대) 73

〈Figure 2-2-12〉 어류조사 장비 및 도구(자망) 73

〈Figure 2-2-13〉 삼림에서의 신갈나무군락의 계층구조를 표시한 단면모식도 사례 79

〈Figure 2-2-14〉 하구의 현존식생도 예시 81

〈Figure 2-2-15〉 하구의 현존식생도 예시 81

〈Figure 2-2-16〉 하구 식생환경의 온전성 평가기준 95

〈Figure 2-2-17〉 하구 훼손영향인자 파악 및 건강성 회복 방법 연구 흐름도 99

〈Figure 3-1-1〉 전체 하구 (108개)의 수온 분포 105

〈Figure 3-1-2〉 하구별 수온 분포 106

〈Figure 3-1-3〉 전체 하구 (108개)의 pH 분포 108

〈Figure 3-1-4〉 하구별 pH 분포 109

〈Figure 3-1-5〉 전체 하구 (108개)의 염분도 분포 111

〈Figure 3-1-6〉 하구별 염분도 분포 112

〈Figure 3-1-7〉 전체 하구 (108개)의 DO 분포 114

〈Figure 3-1-8〉 하구별 DO 분포 115

〈Figure 3-1-9〉 전체 하구 (108개)의 COD 분포 117

〈Figure 3-1-10〉 하구별 COD 분포 118

〈Figure 3-1-11〉 전체 하구 (108개)의 탁도 분포 120

〈Figure 3-1-12〉 하구별 탁도 분포 121

〈Figure 3-1-13〉 전체 하구 (108개)의 EC 분포 123

〈Figure 3-1-14〉 하구별 EC 분포 124

〈Figure 3-1-15〉 전체 하구 (108개)의 T-N 분포 126

〈Figure 3-1-16〉 하구별 T-N 분포 127

〈Figure 3-1-17〉 전체 하구 (108개)의 T-P 분포 129

〈Figure 3-1-18〉 하구별 T-P 분포 130

〈Figure 3-1-19〉 하구 유형별 염분도 비교 133

〈Figure 3-1-20〉 하구 유형별 COD 비교 133

〈Figure 3-2-1〉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부착돌말지수(TDI) 분포(1차조사) 190

〈Figure 3-2-2〉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부착돌말지수(TDI) 분포(2차조사) 190

〈Figure 3-3-1〉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하구저서생물지수(KEBI) 분포 비교 231

〈Figure 3-4-1〉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어류생물지수(IBI) 분포 비교(1차 조사) 275

〈Figure 3-4-2〉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어류생물지수(IBI) 분포 비교(2차 조사) 275

〈Figure 3-5-1〉 기타하구인 남해의 묵곡천과 구평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80

〈Figure 3-5-2〉 기타하구인 서해의 묵곡천, 구평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281

〈Figure 3-5-3〉 동해-한강권역의 자산천, 오호천, 용촌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86

〈Figure 3-5-4〉 동해-한강권역의 쌍천, 물치천, 양양남대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87

〈Figure 3-5-5〉 동해-한강권역의 양양남대천, 동명천, 신리천, 연곡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88

〈Figure 3-5-6〉 동해-한강권역의 연곡천, 안현천, 강릉남대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89

〈Figure 3-5-7〉 동해-한강권역의 정동진천, 주수천, 전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0

〈Figure 3-5-8〉 동해-한강권역의 전천, 삼척오십천, 마읍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1

〈Figure 3-5-9〉 동해-한강권역의 마읍천, 추천, 임원천, 호산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2

〈Figure 3-5-10〉 동해-한강권역의 호산천, 열린하구-동해-낙동강권역의 부구천, 남대천(울진), 척산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3

〈Figure 3-5-11〉 동해-낙동강권역의 척산천, 삼율천, 유금천, 축산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4

〈Figure 3-5-12〉 동해-낙동강권역의 축산천, 영덕오십천, 장사천(영덕) 하구의 현존식생도 295

〈Figure 3-5-13〉 동해-낙동강권역의 장사천(영덕), 청하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6

〈Figure 3-5-14〉 동해-낙동강권역의 곡강천, 형산강 하구의 현존식생도 297

〈Figure 3-5-15〉 동해-낙동강권역의 형산강, 냉천, 대화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8

〈Figure 3-5-16〉 동해-낙동강권역의 장기천, 대종천, 하서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299

〈Figure 3-5-17〉 동해-낙동강권역의 수렴천, 신명천, 정자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00

〈Figure 3-5-18〉 동해-낙동강권역의 금천, 태화강 하구의 현존식생도 301

〈Figure 3-5-19〉 동해-낙동강권역의 청량천, 회야강 하구의 현존식생도 302

〈Figure 3-5-20〉 동해-낙동강권역의 효암천, 장안천, 일광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03

〈Figure 3-5-21〉 동해-낙동강권역의 죽성천, 송전천, 괴정천, 신이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04

〈Figure 3-5-22〉 동해-한강권역의 자산천, 오호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05

〈Figure 3-5-23〉 동해-한강권역의 용촌천, 쌍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06

〈Figure 3-5-24〉 동해-한강권역의 물치천, 양양남대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07

〈Figure 3-5-25〉 동해-한강권역의 양양남대천, 동명천, 신리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08

〈Figure 3-5-26〉 동해-한강권역의 신리천, 연곡천, 안현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09

〈Figure 3-5-27〉 동해-한강권역의 안현천, 강릉남대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0

〈Figure 3-5-28〉 동해-한강권역의 정동진천, 주수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1

〈Figure 3-5-29〉 동해-한강권역의 전천, 삼척오십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2

〈Figure 3-5-30〉 동해-한강권역의 삼척오십천, 마읍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3

〈Figure 3-5-31〉 동해-한강권역의 마읍천, 추천, 임원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4

〈Figure 3-5-32〉 동해-한강권역의 임원천, 호산천 하구 및 열린하구-동해-낙동강권역의 부구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5

〈Figure 3-5-33〉 동해-낙동강권역의 부구천, 남대천(울진), 척산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6

〈Figure 3-5-34〉 동해-낙동강권역의 척산천, 삼율천, 유금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7

〈Figure 3-5-35〉 동해-낙동강권역의 유금천, 축산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18

〈Figure 3-5-36〉 동해-낙동강권역의 영덕오십천, 장사천(영덕) 하구의 식생단면도 319

〈Figure 3-5-37〉 동해-낙동강권역의 장사천(영덕), 청하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0

〈Figure 3-5-38〉 동해-낙동강권역의 곡강천, 형산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21

〈Figure 3-5-39〉 동해-낙동강권역의 형산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22

〈Figure 3-5-40〉 동해-낙동강권역의 냉천, 대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3

〈Figure 3-5-41〉 동해-낙동강권역의 장기천, 대종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4

〈Figure 3-5-42〉 동해-낙동강권역의 하서천, 수렴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5

〈Figure 3-5-43〉 동해-낙동강권역의 신명천, 정자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6

〈Figure 3-5-44〉 동해-낙동강권역의 금천, 태화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27

〈Figure 3-5-45〉 동해-낙동강권역의 태화강, 청량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28

〈Figure 3-5-46〉 동해-낙동강권역의 청량천, 회야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29

〈Figure 3-5-47〉 동해-낙동강권역의 효암천, 장안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30

〈Figure 3-5-48〉 동해-낙동강권역의 일광천, 죽성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31

〈Figure 3-5-49〉 동해-낙동강권역의 송정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32

〈Figure 3-5-50〉 남해-낙동강권역의 괴정천, 신이천, 태봉천, 진전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38

〈Figure 3-5-51〉 남해-낙동강권역의 진전천, 마암천, 용전천, 광도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39

〈Figure 3-5-52〉 남해-낙동강권역의 광도천, 사등천, 고현천, 수월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0

〈Figure 3-5-53〉 남해 권역의 유계천, 외포천, 소동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1

〈Figure 3-5-54〉 남해 권역의 산양천(거제), 둔덕천, 미룡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2

〈Figure 3-5-55〉 남해 권역의 오방천, 사곡천, 백천(사천), 송지천(사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3

〈Figure 3-5-56〉 남해 권역의 송지천(사천), 죽천천, 가화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4

〈Figure 3-5-57〉 남해 권역의 가화천, 사천강하구의 현존식생도 345

〈Figure 3-5-58〉 남해 권역의 화천, 금양강, 임포천, 서상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6

〈Figure 3-5-59〉 남해 권역의 서상천, 정포천, 대곡천, 입현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7

〈Figure 3-5-60〉 남해 권역의 다천천, 관곡천, 섬진강 하구의 현존식생도 348

〈Figure 3-5-61〉 남해 권역의 섬진강, 수어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49

〈Figure 3-5-62〉 남해 권역의 수어천, 상암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50

〈Figure 3-5-63〉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신평천, 오천천, 가영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51

〈Figure 3-5-64〉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봉강천, 남상천, 대구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52

〈Figure 3-5-65〉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칠량천, 동해천, 남해-영산강권역의 탐진강 하구의 현존식생도 353

〈Figure 3-5-66〉 남해-낙동강권역의 괴정천, 신이천, 태봉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4

〈Figure 3-5-67〉 남해-낙동강권역의 태봉천, 진전천, 마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5

〈Figure 3-5-68〉 남해-낙동강권역의 마암천, 용전천, 광도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6

〈Figure 3-5-69〉 남해-낙동강권역의 광도천, 사등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7

〈Figure 3-5-70〉 남해-낙동강권역의 고현천, 수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8

〈Figure 3-5-71〉 남해 권역의 유계천, 외포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59

〈Figure 3-5-72〉 남해 권역의 소동천, 산양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0

〈Figure 3-5-73〉 남해 권역의 둔덕천, 미룡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1

〈Figure 3-5-74〉 남해 권역의 오방천, 사곡천, 백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2

〈Figure 3-5-75〉 남해 권역의 백천, 송지천, 죽천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3

〈Figure 3-5-76〉 남해 권역의 죽천천, 가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4

〈Figure 3-5-77〉 남해 권역의 가화천, 사천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65

〈Figure 3-5-78〉 남해 권역의 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6

〈Figure 3-5-79〉 남해 권역의 금양천, 임포천, 서상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7

〈Figure 3-5-80〉 남해 권역의 서상천, 청포천, 대곡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8

〈Figure 3-5-81〉 남해 권역의 임현천, 다천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69

〈Figure 3-5-82〉 남해 권역의 관곡천, 섬진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70

〈Figure 3-5-83〉 남해 권역의 섬진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71

〈Figure 3-5-84〉 남해 권역의 섬진강, 수어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2

〈Figure 3-5-85〉 남해 권역의 수어천, 상암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3

〈Figure 3-5-86〉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신평천, 오천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4

〈Figure 3-5-87〉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가영천, 봉강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5

〈Figure 3-5-88〉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남상천, 대구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6

〈Figure 3-5-89〉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칠량천, 동해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77

〈Figure 3-5-90〉 남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탐진강 하구의 식생단면도 378

〈Figure 3-5-91〉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북성천, 불갑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4

〈Figure 3-5-92〉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와탄천, 월산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5

〈Figure 3-5-93〉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주진천, 신창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6

〈Figure 3-5-94〉 서해-금강권역의 판교천(서천), 비인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7

〈Figure 3-5-95〉 서해-금강권역의 대천천, 교성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8

〈Figure 3-5-96〉 서해-금강권역의 송천천, 갈두천, 방길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89

〈Figure 3-5-97〉 서해-한강권역의 장수천 하구의 현존식생도 390

〈Figure 3-5-98〉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죽암천, 광각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1

〈Figure 3-5-99〉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해운천, 북성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2

〈Figure 3-5-100〉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불갑천 하구의 식생단면도4 393

〈Figure 3-5-101〉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와탄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4

〈Figure 3-5-102〉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주진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5

〈Figure 3-5-103〉 서해-영산강·섬진강권역의 월산천, 신창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6

〈Figure 3-5-104〉 서해-금강권역의 판교천(서천), 비인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7

〈Figure 3-5-105〉 서해-금강권역의 대천천, 교성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8

〈Figure 3-5-106〉 서해-금강권역의 교성천, 송천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399

〈Figure 3-5-107〉 서해-금강권역의 갈두천, 방길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400

〈Figure 3-5-108〉 서해-한강권역의 정수천 하구의 식생단면도 401

〈Figure 3-5-109〉 열린하구와 닫힌하구의 식생자연도(NDV) 분포 비교 404

〈Figure 3-6-1〉 전체 하구의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409

〈Figure 3-6-2〉 동해 해역 하구의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409

〈Figure 3-6-3〉 남해 해역 하구의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410

〈Figure 3-6-4〉 서해 해역 하구의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410

〈Figure 3-6-5〉 하구의 유형별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412

〈Figure 3-6-6〉 건강성 A등급 하구 전경 (동명천, 삼척오십천, 동해천, 장수천) 416

〈Figure 3-6-7〉 건강성 E등급 하구 전경 (신리천, 냉천, 수렴천, 신명천, 금천, 괴정천) 417

〈Figure 3-6-8〉 건강성 E등급 하구 전경 (용정천(고성), 수월천, 죽암천, 광각천, 신창천, 비인천, 송천천, 갈두천) 418

〈Figure 3-6-9〉 건강성 E등급 하구 전경 (방길천, 장수천) 419

〈Figure 3-6-10〉 신명천 하구의 유역 현황 420

〈Figure 3-7-1〉 하구 건강성 자료의 활용 421

〈Figure 3-7-2〉 하구 복원을 위해 선정된 유형별 훼손하구 430

〈Figure 3-7-3〉 사곡천 유역현황 431

〈Figure 3-7-4〉 목단천 유역현황 435

〈Figure 3-7-5〉 사곡천의 물리적 환경 440

〈Figure 3-7-6〉 사곡천의 유역토지 이용 440

〈Figure 3-7-7〉 목단천의 물리적 환경 442

〈Figure 3-7-8〉 목단천의 유역 환경(농지 및 축사) 443

〈Figure 3-7-9〉 목단천의 유역 환경(나지) 443

〈Figure 3-7-10〉 현장 조사 장소(주진천 하구) 454

〈Figure 3-7-11〉 워크숍 사진 456

〈Figure 3-7-12〉 미국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의 부착돌말류 정도관리 470

〈Figure 3-7-13〉 미국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정도관리 471

〈Figure 3-7-14〉 미국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의 어류 정도관리 472

〈Figure 3-7-15〉 오스트레일리아의 정도관리지침(AusRivAS) 473

〈Figure 3-7-16〉 투망, 족대, 자망, 일각망 조사 장면 489

〈Figure 3-7-17〉 어류 동정시 사용하는 도감 예시 490

〈Figure 3-7-18〉 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사진 촬영한 사례 491

〈Figure 3-7-19〉 현장 및 실내에서 하구단면도 작성의 예(동해 한강권역 쌍천, 2017) 496

〈Figure 3-7-20〉 현장 및 실내에서 식생도 작성 예(동해 한강권역 쌍천, 2017) 497

〈Figure 4-7-1〉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활용 51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45969 577.786 -18-2 v.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45970 577.786 -18-2 v.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