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독서진흥 정책의 기조 10
제1절 독서진흥 정책의 흐름 11
1. 독서진흥 정책의 방향 11
2. 독서진흥 정책의 기대 효과 16
3. 독서문화진흥법 제ㆍ개정 17
4. 독서진흥 정책 현황 19
제2절 주요 국가의 독서진흥 활동 24
1. 독서문화 국제 비교 24
2. 각국의 독서진흥 활동 26
제2장 국민독서실태 및 독서환경 41
제1절 국민독서실태 및 의견 조사 42
1. 성인의 독서실태 43
2. 초ㆍ중ㆍ고 학생의 독서실태 53
제2절 독서환경 63
1. 도서관 환경 63
2. 출판 및 유통 환경 71
제3장 2017년도 독서진흥 추진 실적 75
제1절 사회적 독서 진흥기반 조성 81
1.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82
2. 지역 독서 공동체 조성 87
3. 학교 독서환경 개선 91
4. 책 읽는 직장 만들기 96
5. 우수 독서자료 지원 99
6. 디지털 독서문화 확산 102
7. 독서문화 기반 확충 105
제2절 생활 속 독서문화 정착 109
1. 생애주기별 독서활동 지원 110
2. 다양한 독서동아리 활성화 116
3. 맞춤형 독서교육 및 독서 프로그램 보급 119
4. 독서정보 시스템 구축 및 활용 122
제3절 책 읽는 즐거움의 확산 124
1. 국민 참여형 독서운동 전개 125
2. 다양한 매체를 통한 독서 참여 확산 130
3. 지역 풀뿌리 독서문화 확산 133
4. 독서를 통한 인문정신문화 확산 137
제4절 함께하는 독서복지 구현 140
1. 독서장애인을 위한 독서 서비스 확대 141
2. 소외계층 독서활동 지원 강화 144
3. 병영, 교정시설 독서활동 지원 148
4. 다문화가정의 독서 접근성 제고 151
제4장 2018년도 독서진흥 시행 계획 155
제1절 사회적 독서 진흥기반 조성 162
1.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163
2. 지역 독서 공동체 조성 165
3. 학교 독서환경 개선 167
4. 책 읽는 직장 만들기 170
5. 우수 독서자료 지원 173
6. 디지털 독서문화 확산 175
7. 독서문화 기반 확충 177
제2절 생활 속 독서문화 정착 179
1. 생애주기별 독서활동 지원 180
2. 다양한 독서동아리 활성화 185
3. 맞춤형 독서교육 및 독서 프로그램 보급 188
4. 독서정보 시스템 구축 및 활용 190
제3절 책 읽는 즐거움의 확산 191
1. 국민 참여형 독서운동 전개 192
2. 다양한 매체를 통한 국민 독서 참여 확산 196
3. 지역 풀뿌리 독서문화 확산 197
4. 독서를 통한 인문정신문화 확산 200
제4절 함께하는 독서복지 구현 202
1. 독서장애인을 위한 독서 서비스 확대 204
2. 소외계층 독서활동 지원 강화 207
3. 병영 및 교정시설 독서활동 지원 211
4. 다문화가정의 독서 접근성 제고 213
[참고자료 1] 2017년 지자체별 추진 실적 216
[참고자료 2] 2018년 지자체별 시행 계획 380
[참고자료 3] 독서문화진흥법 및 시행령 550
판권기 556
〈그림 1-1〉 독서문화진흥정책의 기본 방향 : 제2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2014~2018) 11
〈그림 1-2〉 독서문화진흥정책의 비전 및 중점 추진 과제 12
〈그림 2-1〉 독서율 변화 추이(성인) 43
〈그림 2-2〉 독서량 변화 추이(성인) 44
〈그림 2-3〉 독서시간 변화 추이(성인) 44
〈그림 2-4〉 여가 활용 시 독서의 비중(성인, 평일 기준) 45
〈그림 2-5〉 종이책과 전자책의 도서 분야 선호도(성인) 46
〈그림 2-6〉 도서정보원(성인) 47
〈그림 2-7〉 도서 입수 경로(성인) 47
〈그림 2-7-1〉 도서 구입처(성인) 48
〈그림 2-8〉 본인의 독서량 평가(성인) 48
〈그림 2-9〉 독서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49
〈그림 2-10〉 독서 장애요인(성인) 49
〈그림 2-11〉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50
〈그림 2-12〉 직장의 독서환경 50
〈그림 2-13〉 독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성인) 51
〈그림 2-14〉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분야별 정책 우선순위 52
〈그림 2-15〉 독서율 변화 추이(학생) 53
〈그림 2-16〉 독서량 변화 추이(학생) 54
〈그림 2-17〉 독서시간(학생) 55
〈그림 2-18〉 선호하는 도서 분야(중고등학생) 56
〈그림 2-19〉 선호하는 도서 분야(초등학생) 56
〈그림 2-20〉 본인의 독서량 평가(성인 및 초중고 학생) 57
〈그림 2-21〉 독서의 유용성 인식(학생) 58
〈그림 2-22〉 독서 장애요인(학생) 58
〈그림 2-23〉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학생) 59
〈그림 2-24〉 학교에 대한 독서 관련 희망사항 60
〈그림 2-25〉 가정(부모)과 학교(교사)에서 독서를 권장 받은 경험(성인 및 학생) 60
〈그림 2-26〉 학교에서의 독서지도 61
〈그림 2-27〉 '아침독서'의 유용성 인식 변화 추이(학생) 62
〈그림 2-28〉 연도별 전국 공공도서관 수 추이 63
〈그림 2-29〉 연도별 공공도서관 예산 변화 추이 67
〈그림 2-30〉 연도별 공공도서관 이용자 수 및 이용 책 수 68
〈그림 2-31〉 학교급별 운영주체별 학교도서관 현황 70
〈그림 3-1〉 전국 지자체의 2017년 독서진흥 사업의 4대 추진전략별 분포 78
〈그림 3-2〉 전국 지자체별 2017년 독서진흥 사업 시행 건수 7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48660 | R 028 ㅁ327ㄷ | 2018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2448661 | R 028 ㅁ327ㄷ | 2018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