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연구의 개요 4

1. 연구의 배경 5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범위 6

Ⅱ. 관광전략거점도시의 개념 및 필요성 8

1. 관광전략거점도시의 개념 9

가. 관광전략거점도시의 개념 9

나. 관광시스템에서 도시의 역할 10

다. 관광전략거점도시의 이론적 배경 11

2. 관광전략거점도시의 필요성 15

Ⅲ. 관광전략거점도시 관련 국내ㆍ외 유사사례 분석 18

1. 국내 유사 사례 19

가. 올해의 관광도시(문화체육관광부) 19

나. 문화도시(문화체육관광부) 21

다. 혁신도시(국토교통부) 24

라. 자유무역지역(산업통상자원부) 27

마. 국제회의도시(문화체육관광부) 29

바. 기업도시(국토교통부) 31

사. 경제자유구역(산업통상자원부) 33

아. 도시재생(국토교통부) 35

자. 스마트도시(국토교통부) 37

2. 국외 유사 사례 39

가. 유럽문화수도 39

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지정 44

다. 관광입국 쇼케이스화(일본) 47

라. 관광권 정비사업(일본) 51

Ⅳ. 관광전략거점도시 유관 정책 조사 54

1. 부처별 정책 조사 55

가. 문화체육관광부 55

나. 국토교통부 61

다. 기획재정부 63

라. 산업통상자원부 64

마. 중소벤처기업부 65

바. 농림축산식품부 66

사. 보건복지부 67

아. 행정안전부 68

자. 환경부 70

2. 분야별 지원 가능 정책 73

가. 관광인프라 관련 73

나. 관광콘텐츠 관련 81

다. 관광홍보마케팅 관련 84

라. 기타 85

Ⅴ. 관광전략거점도시 법제화 방안 89

1. 법제화 기본 방향 90

2. 법제화 세부 방안 92

판권기 100

표목차

〈표 1〉 문화도시 주요 사업내용 22

〈표 2〉 지역거점 문화도시 조성사업 추진현황 23

〈표 3〉 혁신도시별 이전 공공기관현황 (2017. 6월 기준) 26

〈표 4〉 산업단지형 자유무역지역 현황 (2014. 3월 기준) 28

〈표 5〉 국제회의도시 지정현황 30

〈표 6〉 기업도시 지원내역 32

〈표 7〉 경제자유구역 현황 34

〈표 8〉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38

〈표 9〉 유럽문화수도 선정절차 41

〈표 10〉 유럽문화수도 지정후 준비과정 42

〈표 11〉 관광입국 쇼케이스화 50

〈표 12〉 부처별 관련 법규 71

〈표 13〉 분야별 지원가능 정책 87

〈표 14〉 법제화 개념도 91

그림목차

〈그림 1〉 관광전략거점도시의 개념 9

〈그림 2〉 중심지 이론 11

〈그림 3〉 Hub & Spoke의 도식화 12

〈그림 4〉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13

〈그림 5〉 혁신도시의 개발유형 25

〈그림 6〉 자유무역지역 지정현황 (2017. 6월 기준) 28

〈그림 7〉 기업도시 지정현황 (2005. 7월 기준) 32

〈그림 8〉 도시재생 계획체계 36

〈그림 9〉 유네스코 창의도시 로고 46

〈그림 10〉 유네스코 창의도시 서울시 로고 46

〈그림 11〉/그림 1. 관광권 정비사업(일본)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