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院訓

사도헌장

전라북도교육연수원 교육서비스헌장

연수 안내

2018 중등 영어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일정표

온라인 설문평가 안내

목차

1. (기본소양) 특강 / 김승환 17

2. (기본소양) 특강 / 김학산 21

3. (역량영역) 미래를 이끄는 영어교사의 길 / 최선희 25

I. 서론 27

II. 지능정보 사회의 최신 기술과 영어교육 28

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28

2. 빅데이터(Big Data) 30

III. 지능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영어교육과 영어교사 31

IV. 결론 32

4. (전문영역) Overcoming Barriers to Effective EFL Education / Huh, Meeyoung ; Stephanie O' Connor 33

I. Introduction 35

II. Strategies for Fostering Productive Co-Teacher Relationships 35

III. Strategies for Adapting to Varied Student Learning Levels 37

1) Group Roles 37

2) Fast-Finisher Tasks 38

IV. Strategies for Initiating English Communication 38

1) Heads Up 40

2) Venn Diagrams 40

3) Interviews 40

4) Best Friend Interview 40

5) Career Counselor Interview 40

6) Doctor Consultation 41

7) Partner Guess 41

8) Information Gap (Family Tree) 41

V. Strategies for Effective Instruction Delivery 41

VI. Strategies for Classroom Management 42

1) Call and Response 42

2) Individual Rewards 42

3) Three Smiles 43

VII. Conclusions 43

VIII. Worksheet 1 : Heads up 44

VIII. Worksheet 2 : Venn Diagram 45

VIII. Worksheet 3 : Which Country Should You Visit? 46

VIII. Worksheet 4 : Best Friend Interview 47

VIII. Worksheet 5 : Career Counselor Interview 48

VIII. Lesson Plan : Theme Based Learning Curriculum 49

VIII. Lesson Plan : Kindness Chain Part B 52

5. (전문영역) 영어교사로서의 성찰 및 수업이야기(중) / 공현주 57

I. 대한민국의 교사로서 산다는 것은 59

1. 수업철학 갖기 59

II. 수업나누기 62

1. Ice Breaking 62

2. Vocabulary 63

3. Speaking 65

4. Reading 66

5. Grammar 67

6. Kill time Activities 67

7. 각종 tools 68

III. 마무리 69

5. 영어교사로서의 성찰 및 수업이야기(고) / 박병효 71

I. Adaptability and the Road taken 73

1. July 26th, 2018. 73

2. 학교 현장에서 내가 걸어온 길 75

3. Teacher Qualities for 21st Century Learning 76

II. Homeroom Teacher 77

III. English Teacher 77

가. MOOCs(온라인 대중 공개 수업, Massive Open Online Courses) 77

나. Podcast 79

다. Review Volunteer Program / Tell Us Something We Don't Know 80

IV. Case Studies 81

1. 평가 및 출제위원: PPT 참조 81

2. 교육과정 및 수업전문가 : PPT 참조 81

3. 교육행정 및 정책전문가 : PPT 참조 81

V. Conclusion 81

6. (전문영역)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 유지은 83

I. 들어가며 85

1. '교육과정-수업-평가-일체화'란 무엇일까? 85

2.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85

II.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계 88

1. 교육과정 재구성은 왜 필요할까? 88

2. 교육과정 문해력 88

3.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평가 변화 91

III. 과정중심평가 91

1. 과정 중심평가의 개념 91

2. 과정중심평가의 특징 92

3. 과정중심평가 개발 절차 93

4. 평가계획 수립 절차 93

5. 과정중심평가 점검표 93

IV.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디자인하기 94

1. 1단계 : 교과에 대한 정체성 확인하기 94

2. 2단계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학기 교육과정 재구성하기 99

3. 3단계 : 학생참여중심 수업으로 설계하고 실천하기 101

4. 4단계 : 수업활동을 관찰하여 평가하기 102

5. 5단계 : 학생 활동 자체를 성장중심으로 누가 기록하기 102

V. 연간 지도 계획 106

1. 1학기 지도 계획(4단위 × 17주=68시간) 106

2. 평가 계획 107

VI. 2018 나의 수업 107

VII. 나가며 108

7. (역량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및 광주 영어교육 정책 / 김치곤 111

I. 2015 개정 교육과정 113

1. 개정 교육과정의 배경 113

2.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113

3.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114

II. 광주 영어교육 정책 115

1. 정책 방향 116

2. 정책 세부 추진 계획 116

7. 2015 개정교육과정의 이해 및 전북교육청 영어교육의 방향 / 김연임 123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125

가. 미래사회의 모습과 핵심역량 125

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 125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재상 126

2.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126

가. 영어 교과역량 126

나. 성취기준 개선을 통한 학습량 적정화 126

다. 학생 중심 참여 수업 강화 126

라. 다양한 과정중심 평가 확대 : 학생의 성장을 돕는 평가 127

마.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일정 127

3. 전북교육청 영어교육의 방향 128

가. 목표 128

나. 추진 과제 128

다. 예산총액이 비슷한 타시도 영어교육 현황 비교(2017 기준) 129

라. 2018년도 외국어교육팀 사업 계획 129

마. 중등영어교사 연수 지원 130

바. 교육감 공약 131

4. 생각나누기 132

8. (전문영역) 음악으로 배우는 감성융합교육 / 오요환 133

1.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135

(1) 호흡기의 구조 135

(2) 호흡기의 기능 136

2. 호흡 138

(1) 복식 호흡(횡격막 호흡) 138

(2) 호흡훈련 139

3. 발성 140

(1) 발성법이란 141

(2) 두성과 흉성 141

(3) 호흡법 142

(4) 호흡연습 142

(5) 각 성부의 특징에 따른 유의점 143

9. (기본소양) 대중음악으로 읽는 인문학 / 박지원 149

I. 음악과 인문학의 관계 151

1. 음악과 인간 151

2. 역사적 흐름 151

3. 인문학의 전통적 정의와 '일상 인문학'의 대두 152

II. 대중음악과 아이돌 문화에 대하여 153

1. K-POP의 역사와 흐름 153

2. '아이돌'의 역설 및 이중성 153

3. 방탄소년단, 워너원, 그리고 트와이스의 사례 155

III. 아이돌과 대중음악의 노랫말에서 발견하는 '인문학' 155

1. 인간의 성장과 자기 확신에 관한 스토리텔링 156

2. 사랑에 관한 스토리텔링 156

3. 공동체와 관계에 관한 스토리텔링 156

4. 인간성에 관한 스토리텔링 157

IV. 사례 위주의 대중음악 가사 분석[멀티미디어 활용] 158

V. 결론 161

10. (전문영역) 질문, 멘토링,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교실 학습과 수행평가 실행방법 / 이은상 163

1. 수업과 관련된 교육계의 큰 요구들 165

가. 학생부종합 강조 사항 165

나. 수업 중에 평가되는 공감 & 소통능력 165

다. 학생부종합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 165

2. 새로운 시대 166

가. 교사가 관찰해야 하는 시대: 교사가 진정한 평가주도권을 갖게 됨 166

나. 개별화된 스토리의 시대: 개개인의 차별성이 중요하게 됨 166

다. 재구성(창의성)의 시대 166

3. 수업의 재발견 166

가. 가르친다 VS 배운다 166

나. 지식 166

다. 모두에게 필요한 수업 166

라. 수업의 재발견 166

4. 멘토링 167

가. 멘토와 멘티 167

나. 멘토링의 이유 167

다. 3 단계 기능적 성장 167

라. 멘토링 규칙 168

마. 멘토링 평가 168

5. 질문식 수업 168

가. 기능적 질문 168

나. 성장을 위한 질문 169

다. 삶에 대한 질문 169

6.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169

가. 개요 169

나.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준비 169

다. 프로젝트 절차 170

라. 활동 샘플 170

마. 평가 173

바.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수업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174

사. 위 학생의 조언 174

11. (역량영역) 학급공동체를 살리는 회복적 생활교육 / 박숙영 175

공동체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지되는가? 177

공동체의 갈등 다루기 178

응보적 정의 178

회복적 정의 179

공동체의 손상에 대한 회복적 과정 180

잘못에 대한 이해 181

수치심 181

폭력을 부르는 수치심 182

학교폭력의 해법1. 182

학교폭력의 해법2. 183

학교폭력의 해법3. 184

관계적 공격의 유형 184

학교폭력의 해법4. 185

통합적 학교 적용 모델 185

회복적생활교육 186

회복적 생활교육이란, 186

교사의 역할 187

1. 학생들의 필요를 묻기 187

2. 변화의 공간 만들기 188

3. 질문하고 대화하기 188

4. 힘을 공유하기 189

5. 갈등을 평화적으로 전환하기 189

12. (전문영역) 협력수업활동을 통한 수업개선 / 우현식 191

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193

Key SUBJECTS AND 21st CENTURY THEMES 194

구조중심 협동학습 197

What is Visual Thinking Good for? 197

Thinking Map 198

VT를 활용한 학습 개선 200

13. (전문영역) 학생참여형 수업설계(중) / 김효덕 203

I. 수업설계 205

1. 수업설계시 고려사항 205

2. 영어수업지도안의 기본모형 206

II. 학생 참여형 수업 206

1. 참여수업의 원리 206

2. 참여수업의 효과 및 유의점 207

3. 참여의 의미 207

4. 교육과정 재구성 208

5. 협동학습 209

III. 의사소통기능별 수업설계 210

1. 듣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법과 활동 210

2. 말하기/ 쓰기 수업설계 210

3. 읽기 수업설계 212

참고 문헌 213

13. 학생참여영 수업설계(고) / 송형석 215

I. 수업 디자인의 과정과 핵심 217

1. 수업 디자인이란 217

2. 수업 디자인의 단계 217

3. 핵심 질문 만들기 217

II. 영어 수업의 여러 가지 접근법과 기법들 218

1.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218

2. Content Based Instruction(CBI) 219

3. Task-based Language Teaching(TBLT) 220

III. 수업 사례 및 디자인 과정 221

1. 수업 사례 221

2. 교수학습 과정안 225

참고 문헌 229

14. (전문영역) 학생참여형 수업설계 적용 및 실습(중) / 김효덕 231

I. 수업설계의 실제 233

1. 수업설계의 단계 233

2.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교과역량 234

II. 학생참여형 수업설계 사례 235

1. 단원별 수업계획 235

2. 모둠 ucc만들기 수업설계(예시) 236

3. 쓰기 수업설계(예시) 237

4. 교수학습 과정안 239

참고 문헌 239

14. 학생참여영 수업설계 적용 및 실습(고) / 송형석 241

I. 수업친구와 함께하는 예술품 디자인 243

1. 전체 수업 개요(감상 포인트 잡아두기) 243

2. 수업 과정안(학생 참여) 244

3. 과정안 반영 학습지(축소) 245

II. 참고자료 245

1. 수업 참여자들 활동 모습 공유 및 기록에의 고민 245

2. 동료평가의 반영에의 고민 246

참고 문헌 247

15. (기본소양) 교원복무와 교직윤리 / 윤영임 249

I. 교직윤리 251

1. 교직윤리의 개념 251

2. 교직윤리의 필요성 251

3. 교직윤리의 성격 251

4. 딜레마 상황으로서의 교직윤리 문제(교사가 당면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 252

5. 교직윤리의 실제 252

II. 교원복무 254

1. 복무 254

2. 복무 관계 : 정부(또는 행정기관)와 공무원 간 복무에 관한 법률상의 관계 254

3. 관련 법령의 적용 범위 255

4. 교원복무 관련 각종 법령 255

5. 교원복무 세부내용 256

참고 266

16. (전문영역) 학생 참여중심 영어수업의 방법 / 류은숙 267

I. How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269

1. Flipped learning 269

2.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271

3. Why 'Doing Together' in class is important? 272

4. Student-centered and teacher-centered learning 272

참고문헌 274

17. (전문영역) 학생 참여중심 영어수업의 적용 및 실습 / 류은숙 275

I. How to apply activities to class 277

1. Getting Signatures 277

2. Tea Party 277

3. BYOD(Bring Your Own Device) 278

4. KWL(Know, Want to know, Learned) 279

5. One Leaves, The other Stays 279

6. Pick me(Oh, May 28, 2016) 280

7. "Right There" Questions(Vogt & Echevarria, 2008) 281

8. Relay Activity(Jang et al., 2015) 281

9. Answering and Making Comprehension Checking Questions 282

10. Making a Fishbone Graphic Organizer and Paraphrasing a Text 282

11. "Bang" Game 282

12. Gallery Walk(Jang et al., 2015) 283

13. Be an EBS Teacher 284

14. Making a mini-book 284

III. Discussion Questions 285

참고문헌 286

18. (전문영역) 학습스타일 기반중심 배움수업 / 송형호 287

왜 돌봄과 치유인가? https://cafe.naver.com/ket21 교과학습 부진반(실력향상반) 바라 보기 289

복지 기반 교과학습 부진학생지도(실력향상반) 지도 수업 290

1. SNS의 활용 : 단톡방의 운영 http://cafe.naver.com/etkatok/4183 290

2. 영어교과교실의 복지교실화 http://cafe.naver.com/etkatok/4184 290

3. 강점강화 : 교과학습 부진반 -〉1인 1역 291

4. 강점강화 : 교과학습 부진반 -〉 학습자료제작단: https://cafe.naver.com/etkatok/4018 291

수업과 평가가 다양해야 하는 이유 292

학습스타일 송 296

시각학습자를 위한 수업 297

색칠공부가 아니라 Colorist! 300

웹툰작가를 꿈꾸다! 301

추천서 301

청각학습자 : Sound 활용 : 소리 파일 삽입 후 반복 재생 302

Sound 활용 : 소리 파일 공유 302

즐기는 수업 303

신체학습자 : Gamification(게임화) 304

Flea market 상품 307

남여 학생의 차이 존중한 수업 307

수업 순서 : 퀴즐렛 첫 화면으로 학습 하기 310

퀴즐렛 빈칸학습지 만들기 310

퀴즐렛으로 간단하고 형성평가 만드는 방법 : 테스트 기능 활용 311

퀴즐렛 학습지 형성평가 예시 311

퀴즐렛 활용한 문법 수업 차이나는 문법 클레스! 312

Music 활용(Musification=Ziralication?) : 날로 먹는 문법 수업 312

Parody Song 수업의 기원 313

날로 먹는 문법 수업 314

영어교과실 수업은 늘 똑같아요~ 318

영어교과실 책상 세팅 319

영어교과실 구성 319

영어교과실 책, 파일 보관함 320

프린트 잊어버렸다고? 320

영어교과실 수행 작품 전시 321

영어교과실 모닝북카페 321

배움 중심 수업의 핵심 322

19. (전문영역) 낯선 행동의 이해와 대응방법 / 송형호 323

담임 명함의 필요성 325

SNS 퀴즈 326

수업에서 직면하는 생활교육 327

II. 새로운 학급운영의 도입 327

낯선 행동의 유형 328

낯선 행동의 5대 목적 329

낯선 행동 예방송 329

1. 관심끌기(attention) 330

2. 센척하기(Power) 332

3. 공격하기(복수, Revenge) 334

4. 도망가기(실패회피, Avoidance of Failure) 337

5. 방과후 준비 : 나는 야간^^ 피크 타임이 다를 뿐~ 339

낯선 행동의 예방_기본 340

낯선 행동의 예방_Tip(3) 340

낯선 행동의 예방_Tip (4) 341

낯선 행동의 예방송 341

20. (전문영역) 교권과 교직단체 / 오준영 345

I. 교원단체 347

II. 힘 있는 교원단체 교총 348

1. 교권의 강력한 수호자 348

2. 교원정책의 선도자 349

3. 교원복지의 선구자 349

4. 2030만의 BONUS 350

III. 선택은 교총! 351

20. 교원과 교직단체- 선생님이 희망입니다. / 윤성호 353

1. 전교조는 항상 '선생님 곁'에 있습니다. 355

2. 더 나은 삶을 스스로 만드는 노동조합 교사는 노동자다. 355

3. 노동자면 누구나 가지는 권리 356

4. 가만히 있지 않을 '용기' 356

5.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위하여 356

6. 노동조합이 있어야 행복한 세상 357

7. 왜 전교조인가? 357

8. 전교조의 참교육 활동이란 358

9. 전교조는? 아시나요? 359

10. 함께하는 전교조전북지부 초등위원회 359

11. 교권, 꼭~ 챙기세요! 360

12. 나오며 363

21. (전문영역) How to design a good teaching and learning / 최대호 365

Part I. Macro Approach 367

(1) 과업중심학습(Task-Based Learning) 367

(2)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수업(Digital Literacy Learning) 368

(3) 교과 간 통합수업(Subject-integrated Class) 368

(4) 프로젝트 학습(Project-based Learning) 369

(5) 사회·정서 학습(Social Emotional Learning : SEL) 369

(6) 장르 중심 접근법(Genre-based Approach) 370

(7) 다독 기반 수업(Extensive Reading) 370

(8)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 371

(9) 거꾸로수업(Flipped Learning) 371

(10)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372

Part II. Micro Approach 373

Part III. Integration : Macro and Micro Approach 383

I. 수업을 디자인하기 전에 생각해볼 사항 383

II. Task-based Approach를 적용한 수업 예시 384

22. (기본소양)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 신병주 393

1. 세종의 즉위는 태종의 작품 395

1. 태종(1367~1422)은 누구인가? 395

2. 정도전(1345~1398)과 태종의 갈등 396

3. 1차 왕자의 난(1398년) 396

2. 세종시대의 정신: 자주, 민본, 실용 398

3. 농업, 의학, 과학의 신토불이 399

1. 농업의 신토불이, 「농사직설」 399

2. 의학의 신토불이, 「향약집성방」 399

3. 과학에도 부는 우리 것 바람 400

4. 세종시대의 인재등용 401

1. 인재 등용의 특징 401

2. 세종 시대의 국방 강화 402

3. 집현전의 설치와 기능 402

4. 유급휴가제도의 기원, 사가독서제 404

5. 화려함 속에 가려진 인간 세종의 고뇌 406

1. 가족사의 불행들 406

2. 세종과 질병들 407

참고도서 408

23. (전문영역) 행복한 영어수업의 실제1(중) / 김경의 411

I. 들어가며 413

II. 관계, 모든 것의 시작 414

III. 나의 철학, 삶과 연계된 영어 수업 414

1. 고민의 출발점 414

2. 수업 설계하기 414

3. 실제 수업 적용 사례 415

IV. 교과의 한계를 넘어〈프로젝트 수업〉 418

1. 프로젝트 수업 계획 418

2. 영어 수업 차시별 계획 418

3. 타교과 협업 설계 419

V. 나가며 420

24. (전문영역) 행복한 영어수업의 실제2(고) / 김장필 421

I. Teacher-Centered or Student-Centered Education 423

1. Teacher-centered education 423

2. Student-centered instruction 424

3. Making a decision 424

II. 영어교육모델학교 운영 425

III.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 428

1. 수행평가의 개념과 절차 428

2. 수업과 연계한 수행평가의 실제 430

자료출처 440

25. (전문영역) OneNote in the English Classroom / 노푸름 441

I. 영어 수업에서의 OneNote 활용의 필요성 443

II. OneNote? 444

III. 영어수업에서의 OneNote 활용- 환경 조성 444

1. 미래 교실 구축 444

2. 정보윤리교육 445

3. OneNote 기능 교육 445

IV. 영어 수업에서의 OneNote 활용- 교수학습 설계 447

V. 영어수업에서의 OneNote 활용- 교수학습 실천 449

1. OneNote 활용 영어 듣기 교육 449

2. OneNote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 450

3. OneNote 활용 영어 읽기 교육 451

4. OneNote 활용 영어 쓰기 교육 452

VI. 영어수업에서의 OneNote 활용- 학생 피드백 454

VII. OneNote 활용 수업,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455

참고문헌 456

26. (전문영역) 나눔과 배려의 다문화교육 / 김라경 457

I. 다문화사회 이해 459

1. 개념 정의 459

2.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460

3. 다문화에 대한 토의 461

4. 다문화사회의 발생 배경 461

5. 외국인주민 현황 461

6. 다문화가족지원 법령 462

II. 우리지역 다문화교육의 현실 462

1. 다문화청소년 실태조사 연구 462

2. 전북지역 다문화 아동의 교육적응 실태조사 463

3. 지역사회의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 현황 464

4. 우리지역의 다문화교육의 현실 토의 465

III.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실제 465

1.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465

2. 각자의 역할 점검 466

27. (전문영역) 장애학생 이해와 통합학급 운영 / 이은경 469

I. 더불어 함께하는 장애인권의 이해 471

1. 장애학생의 인권 이해 471

2. 장애학생이 누릴 수 있는 권리 471

3. 장애학생의 인권보호를 위한 법률 472

4. 장애학생의 학교 폭력 473

5. 장애학생 인권 관련 Q&A 473

II.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및 배치 474

1.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474

2. 특수교육대상자의 배치 476

3.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었을 때 지원 내용 476

4.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관련 Q&A 477

III. 특수학급(통합교육) 운영 477

1. 통합교육 의미 477

2.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 477

3. 특수학급 운영 478

4. 통합교육에 대한 Q&A 478

IV. 통합학급의 수업 지원(영어과) 479

1. 교육과정 수정 479

2. 영어과 수업지원 적용 사례 480

참고문헌 483

28. (역량영역) 공감과 소통으로 시원하고 행복한 관계맺기 / 염은희 485

I. 교수-학습 과정과 의사소통 모형 488

II. 질문하기 490

III. 질문의 원리 492

29. (역량영역)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교사 성찰 / 조희정 497

〈성찰 1〉 좋은 수업이란? 499

〈성찰 1-1〉 500

〈성찰 1-2〉 500

〈성찰 2〉 나는 어떤 교사인가? 502

〈성찰 2-1〉 502

〈성찰 3〉 수업에도 유행이? 503

〈성찰 3-1〉 503

〈성찰 4〉 504

〈성찰 5〉 교-수-평-기 일체화? 504

〈성잘 6〉 교사로 산다는 것! 505

〈성찰 6-1〉 506

29.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교사 성찰 / 고영정 507

I. 들어가며 509

1. Small Talk의 의미 509

2. Small Talk의 순기능은 무엇일까요? 510

3. 오늘 우리의 Small Talk를 통해 얻고 싶은 것이 있다면? 510

II. 펼치며 511

1. 개인으로서의 나 511

2. 영어교사로서의 나 511

3. 나의 수업 철학 512

4. 수업 디자인 513

5. 좋은 나, 더 좋은 우리 514

6. 낯설고 버겁다 업무 이 녀석 515

7. 달콤하고도 살벌한 역할, 담임 515

III. 접으며 516

29.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교사 성찰 / 양봉석 519

1. 교사로서 가져야 할 기본자세 522

2. 학교업무 523

1. 다양한 업무를 경험해 보자!! 523

2. 매뉴얼을 바탕으로 한 그 업무의 전문가가 되자! 523

3. 협력하는 교사가 되자! 523

3. 학급담임으로서의 역할 524

1. 교사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 524

2. 가장 어려운 업무 중의 하나 524

3. 자기만의 특색이 있는 학급을 만들자!! 524

4. 학생상담 활동에 힘쓰자. 524

5. 학생생활기록부 524

6. 학급경영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시길.. 525

7. 임장지도는 기본.. 525

4. 대학입시지도 525

1. 고등학교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 525

2. 대학입시도 공부다. 525

3. 지속적인 상담을 통한 안내자 역할 525

5. 수업 526

1. 교사의 핵심요소 526

2. 다양한 수업 방법을 시도해 보자(수업연수참여) 526

3. 자신만의 수업을 만들어 보자 526

4. 학생부와 연계될 수 있는 수업이 되도록 하자 526

5. 동료교사와 협업을 하자 526

6. 대화의 시간을 마무리 하며 527

1.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보자 527

2. 균형을 맞추자 527

29. 멘토와의 대화를 통한 교사 성찰 / 양형란 529

I. 2015 개정교육과정 영어과 교과 역량 531

II. 학생 참여 중심 수업 532

III.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디자인 사례 532

1. 읽기활동 사례 533

2. 쓰기활동사례 535

3. 말하기 활동사례 536

4. 어휘 활동 사례 536

5. 수준별 수업 활동 사례 537

6. 평가하기 538

IV. 맺으면서 540

30. (전문영역) 교사가 알아야 할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교육 / 김은희 541

성인지 감수성 543

학교성교육 표준안에 따른 운영 년간 15시간 성교육 실시 544

학교 성폭력 예방교육 545

학교 성교육의 목적 올바른 인식과 지식 전수 545

4대 폭력 예방교육 의무화 547

인터넷 검색 『학교 성교육 현실』 548

학교 성교육의 한계성 보편성을 가르칠 수 밖에 549

사례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549

사례 영상자료 555

국민신문고 민원 사례 555

성폭력 방지를 위한 구성원의 역할 556

인권 치화적인 학교 문화 형성 557

31. (전문영역) 교육법규와 감사사례로 익히는 교사로서의 생활 / 정진복 559

I. 교육 법규(法規) 561

1. 법령 및 관련 용어 561

2. 교육 관련 주요 법규(목 마를 때 물 찾는다.) 561

II. 감사와 공무원 범죄 564

1. 감사(監査)의 개념 564

2. 감사의 종류 및 개념(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 564

3. 징계의 개념과 종류 564

4. 공무원 범죄 처리 과정(감사과 감사2담당) 565

5. 최근 공무원 범죄 현황 565

III. 교무학사 감사 중점사항 565

1. 교육과정 편성·운영 565

2. 학업성적 및 평가 관리 566

3.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 566

4. 학생생활지도 566

5. 방과후학교 운영 566

6. 현장체험학습 운영 566

7. 과학교육, 영재교육, 정보교육 567

8. 기타 사항 567

IV. 각종 감사 사례 567

1. 교육부의 전라북도교육청 종합감사(2017년) 지적 사례 567

2. 자체감사(교무학사감사 및 재무감사 등) 사례 568

V. 청탁금지법 기본 사항 570

1. 청탁금지법 위반 관련 비위사건 처리 570

2. 외부강의 등의 사례금 수수 제한 570

3. 국민권익위원회, 청탁금지법 통합검색(http://1398.acrc.go.kr/case/ISGAcase) 570

32. (전문영역) 관계 중심의 학생생활교육 방안 / 김현갑 571

생활지도엔 정답이 없다 573

자치위원회 결정에 따른 불복절차 574

교사의 발목을 잡는 학폭법 575

학폭법에 따른 문제점 575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1 576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2 576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3 577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4 577

이제 학교문화가 바뀌어야 578

학교폭력 관련 분쟁 요인 578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1 579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2 579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3 580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4 580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5 581

학교폭력 사안 및 갈등·분쟁 요인 6 581

학생 인권 존중 먼저 582

교사의 민사상 책임 여부 582

33. (역량영역) 학교안전교육 및 응급조치법 / 정지연 585

심폐소생술(CPR) 585

학교성교육 표준안에 따른 운영 년간 15시간 성교육 실시 586

학교 성폭력 예방교육 587

학교 성교육의 목적 올바른 인식과 지식 전수 587

4대 폭력 예방교육 의무화 589

인터넷 검색 『학교 성교육 현실』 590

학교 성교육의 한계성 보편성을 가르칠 수 밖에 591

사례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591

사례 영상자료 597

국민신문고 민원 사례 597

성폭력 방지를 위한 구성원의 역할 598

인권 치화적인 학교 문화 형성 599

좌석표 611

2018 중등 영어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 대상자 명단 615

판권기 616

이용현황보기

중등 영어과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57335 420.71 -18-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