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院訓
사도헌장
전라북도 교육연수원 교육서비스 헌장
연수안내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 1기 일정표
온라인 설문평가 안내
목차
우리 사회 진단과 교육의 방향(한국사회 진단과 교육의 역할_공정성을 중심으로) / 한귀영 22
정보화시대를 앞서가는 소프트웨어 교육 / 송은정 38
I.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교육의 변화 38
1. 인공지능 기술과 교육 38
2. 인공지능의 정의 38
3.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동향 39
4.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비판적 관점 41
5.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대안적 관점 42
II.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 42
1. TPACK의 필요성 및 역사 42
2. TPACK의 이해 43
III. 2015 개정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 46
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46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 체계 46
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 평가 방법 47
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47
5. 언플러그드 활동 48
아이들의 삶을 가꾸는 국어수업 / 나서영 52
I. 마음을 담는 수업 52
II. 국어과 수업의 방향 53
III.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54
1. 국어과 교과 역량 설정 및 역량 함양 교육 실천 강조 54
2. 핵심 개념·원리 중심으로 내용 체계 재구조화 55
3.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56
4. 성취기준의 제시 방식 변화 56
5. 학습자 참여 중심 교실 수업 구현 58
6. 한글 교육 체계화 58
7. 독서 교육 강화 58
8.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통합 및 개선 59
9.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강화 59
IV. 질문이 있는 국어과 수업 60
1. 관점을 나타낸 글쓰기 수업 61
2. 질문 만들기 수업 63
V. 국어과 주제 통합 수업 64
1. 주제 통합 수업 설계 64
2. 주제 통합 수업 계획(2~3/6) 65
3. 주제 통합 수업 결과(5~6/6) 65
VI. 협력적 배움의 국어과 수업 66
1. 협력적 배움의 한 권 책 읽기 수업 66
2. 협력적 배움의 토의·토론 수업 68
VII. 삶과 하나 되는 국어수업을 꿈꾸며 70
참고문헌 71
국어과 학습디딤의 이해와 지도 - 읽기 지도 방법과 지도 사례 / 김민숙 74
I. 읽기 발달 단계(Ehri and McComick) 74
1. 자모 이전 단계 : 로고그래픽 단계 74
2. 부분적 자모 단계 : 시각적 인식 단계 74
3. 자모 단계 : 철자-소리 단계, 암호 읽기 단계 74
4. 통합적 자모 단계 : 정서법적 단계 75
5. 자동적 자모 단계 75
II. 읽기 지도 방법 75
1. 발음중심 지도법(Phonics Approach) 75
2. 의미중심 지도법(총체적 지도법 Whole-language) 75
3. 통합적 지도법 75
III. 읽기지도의 실제 76
1. 발음중심 지도법(Phonics Approach) 76
2.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지도법 78
IV. 학생 지도 사례 78
1. 희망이의 행복한 세상 만나기 78
2. 이쁜이가 달라졌어요 79
3. 읽기 지도에 활용한 그림책 목록 81
참고자료 81
교사의 마음리더십 - 마음리더십으로 가꾸는 공감교실 / 배미애 84
I. 마음리더십 84
1. 교사의 마음리더십 84
2. 관계의 기초 : 사화정서적 욕구 84
3. 마음의 구조 86
II. 마음리더십의 말 87
1. 마음 알아주기 87
2. 마음 표현하기(개방, 피드백) 87
3. 사람 알아주기 89
III. 공감교실 91
1. 나와 너, 너와 너의 마음이 서로 연결된 만남의 공동체가 되게 하라 91
2. 공감교실이 되기 위한 원리들 93
IV. 활동지 및 참고자료 94
1. 마음 스케치 94
2. 감정 단어, 성품 단어 95
3. 칭찬 샤워 판 96
4. 참고자료 97
창의력 신장을 위한 수학수업 - 학생들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과정중심 수학수업 / 이연희 100
I. 들어가는 말 100
II. 2015개정교육과정 초등 수학 101
1.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변화 내용 101
2. 수학 교과 역량 설정 배경 101
2. 미래 핵심역량과 수학교과 역량 104
3.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 106
4. 2015. 초등학교 수학 내용 106
5. 초등학교 수학 학습 지도에서 유의할 사항 108
III. 창의적 수학수업의 실제 110
1. 평소 수학 수업의 특징 110
2. 대표적 수학수업 사례 112
3. 평가 방법 개선 사례 113
IV. 맺음말 115
참고도서 116
수학과 학습 더딤의 이해와 실제 / 송푸름 120
I. 수학학습더딤의 정의와 특징, 유형 120
1. 수학학습장애란? 120
II. 수학더딤학생을 위한 진단 및 평가 122
1. 수학과 기초학력능력 진단/평가 122
2. Clements와 Sarama의 발달경로(learning trajectories)이론 122
III. 수학 더딤 학생 지도의 실제 123
1. 연산능력의 발달 단계에 따라 지도하기 123
2. 수감각 지도-직산(subitizing)활동하기 124
3. 수감각/수세기 125
4. 수대화를 통한 다양한 전략지도 126
5. 연산유창성 지도 127
IV. 나가면서 : 수학더딤학생 지도 원칙 128
1. 수감각 향상에 중점두기 128
2. 표준 알고리즘 계산의 최소화 128
3. 연산유창성 훈련 128
4. 수학학습 교구활용 사이트 안내 128
참고문헌 129
더불어 사는 세상(다문화교육) / 이동성 132
1. 오염된 다문화 개념 해체하기 133
2. 다문화(교육)의 편재성 및 일상성 133
3. 다문화교육을 위한 관점의 전환 134
4. 다문화교육을 위한 정책의 변화 135
나눔과 배려의 통합교육 / 최혜진 138
I. 관점을 바꾸면 138
1. 패러다임의 변화 139
2.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통합교육의 이해 140
II. 성공적 통합교육으로의 접근(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141
1.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바른 인식 갖기-문제행동은 왜? 어떻께? 141
2. 통합교육을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 142
III. 닫으며 144
참고 문헌 145
세계시민을 키우는 영어교육 - 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활동중심의 수업 관점으로 / 오현옥 148
I. 들어가기 148
II. 2015 개정 초등 영어 교육과정 살펴보기 149
1. 핵심 역량(core competencies) 149
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149
III. 음성 언어(Listening-Speaking) 활동중심 영어 수업 150
1. Dialogue 지도 150
2. Role play 지도 151
IV. 문자언어(Reading-Writing) 활동중심 영어 수업 152
1. Phonics 지도 152
2. 다양한 쓰기(Writing) 지도 153
V. 영어 교과서 재구성 방안 모색 154
1. 교과서 재구성 방안 154
2. 타교과 또는 주제 중심 프로젝트 재구성 방안 155
참고 문헌 156
삶을 가꾸는 교육과정 이해 - 교육과정 재구성을 향한 근본적 물음 / 이윤미 160
I. '교육과정 재구성' 다시보기 160
II. 5가지 근본적 물음 162
1. 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자' 인가 '개발자' 인가? 162
2. 교육과정 상상력과 창의력을 얼마나 발휘하고 있는가? 164
3. 세상과 소통하는 교육과정인가? 165
4. 배제된 교육과정을 인지하고 있는가? 167
5. 교실 고립주의에서 벗어나려 노력하는가? 168
III. 나는 어떤 대답을 할 것인가? 170
참고문헌 170
빛깔 있는 안전한 학급 운영 / 나승빈 174
I. 배움으로 초대하기 174
1. 입장권 카드 작성하기 174
2. 독립심이 강한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지혜(Raising Self-Reliant Children in a Self-Indulgent World) 174
3. 꿈꾸기(테마 정하기) 부록 양식 참고 175
4. 단 1시간만, 단 1가지만 가르칠 수 있다면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75
5. 교사의 4단계 성장〈좋은 교사되기(해리 왕&로즈메리 왕)〉 175
II. 소속감을 높이는 학급 만들기 177
1. 2 LIST로 되돌아보기+이름 만들기 177
2. 제안하기 게시판 만들기(소통의 창구 만들고 활용) 178
3. 교실놀이와 마따시 178
III. 자존감을 높이는 학급 만들기 179
1. 자기관리능력=유능감 UP 179
2. 미덕 프로젝트와 칭찬 말 샤워 179
3. 인생계획 프로젝트와 기여하는 삶 180
IV. 책임감을 높이는 학급 만들기 180
1. 우리 반/나 사용 설명서 만들기 180
2. 선택과 책임의 문화 만들기 181
V. 효능감을 높이는 학급 만들기 181
1. 함행우 학문적 기술 181
2. 정보 지각 양식과 다중지능 182
VI. 사회적 기술을 높이는 학급 만들기 182
1. 함행우 사회적 기술 182
2. 소행성 프로젝트(설·리·강) 183
참고문헌 184
교권과 교원단체의 이해 188
선생님이 희망입니다. - 더 큰 걸음으로 희망의 참교육(전교조) / 윤성호 188
1. 전교조는 항상 '선생님 곁'에 있습니다 188
2. 더 나은 삶을 스스로 만드는 노동조합 교사는 노동자다 188
3. 노동자면 누구나 가지는 권리 189
4. 가만히 있지 않을 '용기' 189
5.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위하여 190
6. 노동조합이 있어야 행복한 세상 190
7. 왜 전교조인가? 190
8. 전교조의 참교육 활동이란 192
9. 전교조는? 아시나요? 192
10. 함께하는 전교조전북지부 초등위원회 193
11. 교권, 꼭~ 챙기세요! 194
12. 나오며 197
교원과 교직단체 / 오준영 198
I. 교원단체 198
II. 힘 있는 교원단체 교총 199
III. 선택은 교총! 201
교사로서 제대로 산다는 것은? / 소미라 ; 오경희 ; 김연경 ; 김성화 204
1) 전문적 학습공동체 경험 나누고 정의하기 204
2) 전문적 학습공동체 체험하기 205
3)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방향성 찾기 205
사례 1. 지금, 바로 모이고 시작하세요 / 소미라 206
사례 2. 연대, 우리의 전문성을 자각하게 하다! / 오경희 208
사례 3. 교사로 제대로 서기? 함-께-라-면-! / 김연경 210
사례 4. 우리학교 배움과 성장의 날 이야기 / 김성화 212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 신병주 218
1. 세종의 즉위는 태종의 작품 218
2. 세종시대의 정신 : 자주, 민본, 실용 221
3. 농업, 의학, 과학의 신토불이 222
4. 세종시대의 인재등용 224
5. 화려함 속에 가려진 인간 세종의 고뇌 229
참고도서 231
초등성장평가의 이해와 실제 - 초등성장평가에 대하여 / 이복환 236
1. "The Animal School" 이야기로 풀어보는 평가 236
2. 평가란 무엇인가? 237
3. 세계 교육의 동향 239
4. 초등성장평가의 진정한 의미 243
5. 다시 생각하는 수행평가 245
6. 통지, 어떻게 할까? 247
7. 살아있는 교육이란? 247
참고문헌 248
더불어 사는 행복한 사회수업 -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사회 수업 / 박미영 252
I. 들어가며 252
1. 사회 수업에 대한 고민 252
2. 교육과정 자료 개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252
3. 교육과정 자료 개발하고 실천하며 253
II.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254
1. 4학년 교육과정 개발 사례(지역교과서 '함께 사는 전라북도' 활용 수업) 254
2. 5학년 교육과정 개발 사례 - 함께 행복한 경제 256
3. 6학년 교육과정 개발 사례 - 나는 시민이다 258
III. 마치며 260
1. 평가는 어떻게 할까 260
2. 앞으로의 과제 260
3. 그럼에도 불구하고 261
참고문헌 261
창의성과 공동체성을 키우는 미술수업 / 김보법 266
상상력을 키우는 안전한 과학수업 / 한제준 294
I. 과학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나? 294
1. 과학의 탐구 과정 294
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향 295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교육부 자료) 298
4. 좋은 과학 수업이 되기 위한 안내 299
II. 안전한 과학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나? 302
1. 많이 일어나는 알코올램프 사고 예방 302
2. 안전 자료 관련 자료 303
3. 최근 일어난 유형별 안전사고 사례 304
참고문헌 305
생각을 그리다. 비주얼씽킹 수업(이미지로 생각하는 습관, Visual Thinking) / 김차명 308
I. 비주얼씽킹? 308
1. 이미지의 시대 308
2. 비주얼씽킹의 정의 309
II. 비주얼정킹의 장점 309
1. 내용을 전달하기 쉽다 309
2. 내용을 정리하기 쉽다(정보의 압축성) 311
3. 공감대를 형성하기 좋다 313
III. 그림을 그려봐요 313
1. 비주얼씽킹에서 사용하는 그림 313
2. 상징그림 연습 315
IV. 비주얼씽킹 프로그램 316
1. 비주얼씽킹 프로그램 316
2. 프로그램 예시 318
V. 수업 319
1. 교육과정과 지도안 319
2. 국어 319
3. 사회과, 역사과 319
4. 과학과 320
민주적 삶의 장으로서 학교, 학생 자치활동 - 초등 자치 / 이영근 324
I. 어린이자치회 시작 324
1. 학생자치, 어떻게 생각하나? 324
2. 전교어린이자치회 선거 325
II. 어린이자치회 활동 330
1. 달마다 여는 행사 330
2. 어린이자치회 반짝 행사 332
III. 나가며 333
참고문헌 333
즐겁고 안전한 체육수업 - 놀이로 열어가는 신나는 체육수업 / 김양수 336
I. 좋은 놀이란? 336
1.체육수업에 왜 놀이인가? 336
2. 놀이란? 336
3. 놀이의 분류 337
4. 놀이의 단계 337
5. 미세먼지 심한 날 놀이에 대한 생각 338
II. 좋은 놀이 실천하기 338
1. 누구나 즐겁게 활용할 수 있는 가위 바위 보 놀이 338
2. 미세먼지 심한 날 교실 체육수업 실천하기 341
III. 맺으며 344
참고문헌 345
학생 이해를 통한 심리 상담 / 구상윤 348
I. 이야기를 시작하며 348
II. 학생들의 잠재 능력을 낮추는 요인 348
1. 반항형 348
2. 완벽주의형 349
3. 고군분투형 349
4. 잡념형 349
5. 만족형 350
6. 외곬형 350
III. 나를 알아봅시다 351
IV. 4가지 기본 성격에 따른 행동특성 및 지도방법 352
V. 성격 조합별 특성 355
VI. 학급경영 실천사례(에) 357
1. 학생들의 성격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학급활동에 대해 분석 357
2. 학급경영 방법 358
VII. 이야기를 마치며 360
참고문헌 360
학교회계와 교직실무 - 교육과정-수업 실행 중심의 학교만들기 - 학교 조직운영 및 예산편성의 변화 / 박정기 ; 임대선 364
I. 문제의식 364
II .해답 찾기 364
III. '사이' 좁히기 369
가르침과 배움, 수업을 다시 보다 / 김태현 374
1. 이해 375
2. 격려 377
3. 직면 380
4. 도전 382
느끼고 표현하는 활동중심 음악수업 / 한승모 386
I.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 사례 386
1.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 386
2. 재구성 사례 387
II. 느낌과 통찰의 음악수업의 실제 388
1. 코다이 손기호 388
2. 돌림노래 390
3. 2부 합창 392
4. 반복을 활용한 방법 395
특강 / 김승환 398
안전한 학교 생활 / 이종복 402
I. 학교 안전사고의 유형에 따른 대처 방안 402
1. 안전사고 사례 및 대응 요령 402
교원의 인사와 복무 / 강인순 412
I. 전북 교원인사 방향 및 정책 이해 412
1. 교원 인사 행정 412
2. 관련 법규 412
3. 인사 관련 법규 주요 내용 413
4. 교원의 임용 414
II. 교원복무의 이해 417
1 .복무의 개념 417
2. 교원의 임무(초·중등교육법 제20조) 417
3. 교육공무원의 복무상 의무 417
4. 근무 418
5. 출장 418
6. 휴가 419
III. 교원의 휴·복직 423
1. 교원의 휴·복직 423
2. 휴직사유 소멸자의 복직절차 425
3. 휴직업무처리 시 유의사항 426
IV. 교원으로서 청렴과 공정의 의무 427
1. 전라북도교육청 공무원 행동강령 427
2.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428
V. 공무원 범죄의 이해 및 예방 428
1. '공무원범죄' 용어 428
2. 우리도교육청 공무원범죄 비위사건 처리기준 429
3. 성 관련 비위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신고 의무 429
4. 성범죄 교원 교단 배제 및 징계 기준 강화 430
VI. 교권침해 431
1. 교권과 교권침해의 이해 431
2. 교권보호를 위한 기구 및 제도 431
3. '교원 상처 치유 프로그램' 운영 432
4. 교권침해 대응 절차 433
5. 교권침해 유형별 대응 방법 434
교실에서 활용하는 연극 놀이 - 심리극적 역할극상담을 중심으로 / 이용희 444
I. 심리극이란 무엇인가 444
1. 심리극의 정의 444
2. 심리극의 특성 445
3. 심리극의 효과 445
II. 심리극의 적용 실제 446
1. 심리극 기법의 원리 446
2. 심리극의 주요 기법 447
3. 심리극의 주요 기법 실제 448
III. 워밍업 실제 452
1. 몸풀기-짝체조 452
2. 조각하기(이미지 그리기) 454
3. 거울놀이 454
4. 타인과 일치되기 454
5. 최면놀이 454
6. 돌아다니며 서로 만나기 455
7. 자리 배치하는 게임 455
8.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 455
9. 자리 바꾸기 456
10. 빈의자 채우기 456
11. 사슬 풀기 457
12. 서로에게 관심 갖기(변한 것 3가지 찾기) 457
13. 집단 조각하기 457
참고문헌 458
시선집중, 동기유발 마술놀이 - 수업 시간에 활용하는 교육마술 활동 / 정광호 462
1. 마술(Magic)과 교육마술(Magic for Education) 462
2. 교육마술 왜 필요할까 462
3. 교육마술 시연을 꺼리는 선생님들에게 463
4. 교육마술에는 주문이 필요하다 463
5. 교육마술의 적용 예시 464
가. 3단 변화 자기소개 종이마술 464
나. 로프 마술 464
다. A4 찢기 마술 465
라. 팔돌리기 마술 465
마. 컬러비전 마술 466
바. 미라클 카드케이스 마술 467
사. 미움이 사랑으로 변하는 카드마술 468
교육 활동 469
생각이 톡톡, 하브루타 교실 - 모두가 주인공, 하브루타 수업 만들기 / 이현수 476
I. 하브루타의 준비 476
1. 학생과 학부모의 마인드셋 바꾸기 476
II. 하브루타 교실 문화 만들기 477
III. 교실 속 상호작용 478
1. IRE 상호작용 패턴 478
2. IRR 상호작용 패턴 479
3. 다양한 수신호로 상호작용 늘이기 480
IV. 하브루타의 수업의 실제 482
V. 마무리 485
건강한 발달을 돕는 학교 숲놀이 - 건강한 아이를 위한 학교 숲 생태놀이 / 황경택 488
I. 자연놀이는 왜 할까? 488
II. 자연놀이의 방향 490
III. 자연놀이의 에 492
1.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 493
2. 요술 막대기 493
3. 나만의 자연사박물관 494
4. 우리 모두 씨앗 494
5. 소원을 말해봐 495
6. 이파리가면만들기 496
7. 코로 보기 496
학교폭력 예방 및 아동·청소년 보호방안 - 위기학생 이해 및 대처 방안 - (아동권리 이해 아동학대 이해, 위기아동 대처방안) / 김경환 500
I. 아동권리의 이해 500
1. 인권의 개념과 특성 500
2. 유엔아동권리협약이란? 500
3.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구성과 개념 501
II. 폭력의 이해 503
1. 가정폭력의 개념 503
2. 집단따돌림과 학교폭력의 정의 504
3. 집단따돌림과 학교폭력을 다루는 현재의 프로그램 507
4. 실종아동의 이해 508
5. 아동학대의 이해 510
6.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 519
7.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 525
III. 아동보호체계 이해 529
1. 보호 조치 개요 529
2. 보호조치 방법 529
3. 요보호아동 발생시 업무 처리 흐름도 533
참고자료 534
성찰의 시간 538
자유기록지 540
2018 초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1기) 연수생 명단 542
판권기 54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57337 | 371.12 -18-34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