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검토 및 대체지점 선정 : 수영강 및 회야강 중권역을 대상으로 : 『2017년도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최종보고서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창원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2018
청구기호
363.7394 -18-7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v, 210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66966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영도
참고문헌: p. 195-19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18

1절 조사연구사업의 필요성 20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0

2절 목표 및 내용 22

1. 최종목표 22

3절 당해 연도 사업내용 및 범위 24

1. 당해 연도 목표 24

2. 당해 연도 내용 및 범위 25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6

1절 국내 연구현황 28

2절 국외 연구현황 30

제3장 대표지점 적정성 검토를 위한 모니터링 32

1절 조사지점 34

1. 조사지점 현황 34

2. 부하량 및 오염원 조사 39

2절 조사방법 및 일정 52

1. 하천 단면 간격별 수리량 조사 52

2. 염분도 및 현장 수질 조사 58

3. 채수방법 및 수질분석항목 61

4. 조사 일정 63

제4장 중권역 대표지점 타당성 평가 66

1절 수리적 안정성 평가 68

1. 수리단면 분석 68

2절 해수 및 퇴적 영향 분석 85

1.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분석 85

2.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분석 135

3. 퇴적토 분석 결과 146

3절 중권역 대표지점의 적정성 기준(안) 제시 151

1.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검토 152

2.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검토 152

4절 수질분석 153

1. 주요지점 수질조사 (수영강) 153

2. 주요지점 수질조사 (회야강) 167

5절 염분도 변화 수치해석 결과 분석 171

1. 모형의 개요(EFDC) 171

2. 대조기 수영강 모의 결과 181

3. 소조기 수영강 모의 결과 185

6절 연구 고찰 189

제5장 대체지점 선정 및 개선방안마련 194

1절 대체지점 선정 및 측정망 확충방안에 대한 타당성평가 196

1.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분석현황 및 선정기준(안) 제시 196

2.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분석현황 및 선정기준(안) 제시 199

3. 측정망 확충방안 및 타당성 평가 201

2절 대체지점 및 측정망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 203

1. 수영강 대표지점 선정 및 운영 방안 203

2. 회야강 대표지점 선정 및 운영 방안 204

제6장 연구결과 활용방안 206

1절 중권역 대표지점 평가를 위한 하구(역) 현장실험 절차도 208

1. 염수침입방지보에 의해 담수·해수가 분리된 경우(회야강) 208

2. 기수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수영강) 209

제7장 참고 문헌 210

부록 214

〈표 1.2.1〉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 22

〈표 1.2.2〉 연차별 주요 사업 내용 23

〈표 3.1.1〉 하구밀도류 유동형태에 따른 하구의 분류 37

〈표 3.1.2〉 소권역별 2014년 발생오염부하량_수영강 39

〈표 3.1.3〉 소권역별 2014년 배출오염부하량_수영강 39

〈표 3.1.4〉 소권역별 2015년 발생오염부하량_수영강 40

〈표 3.1.5〉 소권역별 2015년 배출오염부하량_수영강 40

〈표 3.1.6〉 소권역별 2016년 발생오염부하량_수영강 41

〈표 3.1.7〉 소권역별 2016년 배출오염부하량_수영강 41

〈표 3.1.8〉 2016년 하수처리장 평균 방류량_수영강 42

〈표 3.1.9〉 소권역별 2014년 발생오염부하량_회야강 43

〈표 3.1.10〉 소권역별 2014년 배출오염부하량_회야강 43

〈표 3.1.11〉 소권역별 2015년 발생오염부하량_회야강 44

〈표 3.1.12〉 소권역별 2015년 배출오염부하량_회야강 44

〈표 3.1.13〉 소권역별 2016년 발생오염부하량_회야강 45

〈표 3.1.14〉 소권역별 2016년 배출오염부하량_회야강 45

〈표 3.1.15〉 2016년 하수처리장 평균 방류량_회야강 46

〈표 3.1.16〉 상관계수에 대한 상관관계 47

〈표 3.1.17〉 수영강중권역의 상관분석을 통한 오염원 및 BOD·T-N·T-P부하량 관계 48

〈표 3.1.18〉 회야강중권역의 상관분석을 통한 오염원 및 BOD·T-N·T-P부하량 관계 49

〈표 3.2.1〉 M9의 제원 54

〈표 3.2.2〉 SL500의 제원 55

〈표 3.2.3〉 수질 분석 측정항목 및 분석기준 62

〈표 3.2.4〉 정밀조사 시기 및 선행강우량_수영강 63

〈표 3.2.5〉 채수시기 및 방법_수영강 64

〈표 3.2.6〉 정밀조사 시기 및 선행강우량_회야강 65

〈표 3.2.7〉 채수시기 및 방법_회야강 65

〈표 4.2.1〉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염분도 및 EC 최대, 최소, 평균값 89

〈표 4.2.2〉 2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염분도 및 EC 최대, 최소, 평균값 96

〈표 4.2.3〉 회야강 지질 분포면적 148

〈표 4.2.4〉 암종에 따른 양이온 및 음이온의 평균 함량 비교 148

〈표 4.2.5〉 2018년 1월 19일 퇴적토 분석 결과_양이온 150

〈표 4.2.6〉 2018년 1월 19일 퇴적토 분석 결과_음이온 150

〈표 4.3.1〉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평가 기준(안) 151

〈표 4.3.2〉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평가 152

〈표 4.3.3〉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적정성 평가 152

〈표 4.4.1〉 2018년 1월 19일 적조 분석 결과 160

〈표 4.4.2〉 2018년 2월 19일 적조 분석 결과 160

〈표 4.4.3〉 좌수영교 대조기 시 만조 및 간조 수질 분석결과 163

〈표 4.4.4〉 수영교 대조기 시 만조 및 간조 수질 분석결과 163

〈표 4.4.5〉 좌수영교 소조기 시 간조 및 만조 수질 분석결과 166

〈표 4.4.6〉 수영교 소조기 시 간조 및 만조 수질 분석결과 166

〈표 4.5.1〉 EFDC 모델을 위한 입력 파일 172

〈표 4.5.2〉 EFDC 모델을 위한 입력 파일 174

〈표 4.5.3〉 모델링 유입유량 및 격자 조건 181

〈표 4.5.4〉 EFDC 모형 오차분석_대조기 182

〈표 4.5.5〉 EFDC 모형 오차분석_소조기 186

〈표 5.1.1〉 유역 건전성 측면에서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의 선정기준(안) 198

〈표 5.1.2〉 유역 건전성 측면에서의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의 선정기준(안) 201

〈표 5.2.1〉 연 평균 회야강 수질 조사현황 205

〈그림 1.1.1〉 연구수행 체계도 21

〈그림 3.1.1〉 수영강 중권역 34

〈그림 3.1.2〉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35

〈그림 3.1.3〉 회야강 중권역 35

〈그림 3.1.4〉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36

〈그림 3.1.5〉 하구흐름의 연직구조 (신현호, 2008) 38

〈그림 3.1.6〉 동부하수종말처리장 BOD 및 T-P 방류 농도 42

〈그림 3.1.7〉 수영하수종말처리장 BOD 및 T-P 방류 농도 42

〈그림 3.1.8〉 회야하수종말처리장 BOD 및 T-P 방류 농도 46

〈그림 3.1.9〉 수영강 BOD 조사 현황 50

〈그림 3.1.10〉 수영강 T-P 조사 현황 50

〈그림 3.1.11〉 연 평균 수영강 BOD 조사 현황 50

〈그림 3.1.12〉 연 평균 수영강 T-P 조사 현황 50

〈그림 3.1.13〉 회야강 BOD 조사 현황 51

〈그림 3.1.14〉 회야강 T-P 조사 현황 51

〈그림 3.1.15〉 연 평균 회야강 BOD 조사 현황 51

〈그림 3.1.16〉 연 평균 회야강 T-P 조사 현황 51

〈그림 3.2.1〉 ADCP 측정원리 52

〈그림 3.2.2〉 ADCP 측정불가 지역 53

〈그림 3.2.3〉 ADCP를 이용한 측정방법 56

〈그림 3.2.4〉 Sontek RiverSurveyor Live S / W 실행화면 및 유속측정예시 56

〈그림 3.2.5〉 ADCP 후처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심평균유속장 예시 57

〈그림 3.2.6〉 YSI-6600 V2 Serise 센서 58

〈그림 3.2.7〉 연직혼합 분석을 위한 측정 방법 59

〈그림 3.2.8〉 GPS Floater 실험 절차도 60

〈그림 3.2.9〉 표면 및 연직방향 수질, 염분도 계측 개념도 60

〈그림 3.2.10〉 수질 채수 61

〈그림 3.2.11〉 1-6차 실험 시기 수위 및 강우량 64

〈그림 4.1.1〉 수영강 H-ADCP 설치위치 68

〈그림 4.1.2〉 수영강 H-ADCP 유속 및 상대수심 측정결과 69

〈그림 4.1.3〉 수영강 지형조사 70

〈그림 4.1.4〉 수영강 수심 및 표면 수질 71

〈그림 4.1.5〉 동부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드론 영상 72

〈그림 4.1.6〉 수영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드론 영상 72

〈그림 4.1.7〉 수영강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영향 분석_salinity 73

〈그림 4.1.8〉 수영강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영향 분석_EC 73

〈그림 4.1.9〉 3차 정밀조사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영향 분석_수온 74

〈그림 4.1.10〉 3차 정밀조사 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영향 분석_DO, PH 74

〈그림 4.1.11〉 DEM을 활용한 수영강 하도구간 고도 분석 75

〈그림 4.1.12〉 수영강 ADCP 수심 평균 유속 분포 77

〈그림 4.1.13〉 회야강 H-ADCP 설치위치 78

〈그림 4.1.14〉 회야강 H-ADCP 유속 및 상대수심 측정결과 79

〈그림 4.1.15〉 회야강 지형조사 80

〈그림 4.1.16〉 회야강 표면 수질 81

〈그림 4.1.17〉 회야강 수심 및 표층 수질 분석 82

〈그림 4.1.18〉 DEM을 활용한 회야강 유역 고도 분석 83

〈그림 4.1.19〉 회야강 ADCP 수심 평균 유속 분포 84

〈그림 4.2.1〉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 85

〈그림 4.2.2〉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 86

〈그림 4.2.3〉 1차 정밀조사 지점별 연직방향 측정결과 및 등농도선도 89

〈그림 4.2.4〉 2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 91

〈그림 4.2.5〉 2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 92

〈그림 4.2.6〉 2차 정밀조사 지점별 연직방향 측정결과 및 등농도선도 96

〈그림 4.2.7〉 하수종말처리장 전·후 표층 수질 및 염분도 측정_S-S2 97

〈그림 4.2.8〉 하수종말처리장 전·후 표층 수질 및 염분도 측정_S-S1 98

〈그림 4.2.9〉 2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_온천천 99

〈그림 4.2.10〉 3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 100

〈그림 4.2.11〉 3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 101

〈그림 4.2.12〉 3차 정밀조사 지점별 연직방향 측정결과 및 등농도선 105

〈그림 4.2.13〉 3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_온천천 106

〈그림 4.2.14〉 4차 정밀조사 조위그래프 109

〈그림 4.2.15〉 GPS Floater 1차 주입 시 드론영상_동부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0

〈그림 4.2.16〉 GPS Floater 1차 주입 결과_동부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0

〈그림 4.2.17〉 GPS 라인 형성 영상 111

〈그림 4.2.18〉 GPS Floater 1차 주입_수영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1

〈그림 4.2.19〉 GPS Floater 1차 주입 결과_수영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2

〈그림 4.2.20〉 GPS Floater 2차 주입 결과_동부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3

〈그림 4.2.21〉 GPS Floater 2차 주입 결과_수영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 114

〈그림 4.2.22〉 수영교 및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조위 시간대_소조기 115

〈그림 4.2.23〉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지점_소조기 116

〈그림 4.2.24〉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좌(소조기) 117

〈그림 4.2.25〉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중(소조기) 118

〈그림 4.2.26〉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우(소조기) 119

〈그림 4.2.27〉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지점_소조기 120

〈그림 4.2.28〉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좌(소조기) 122

〈그림 4.2.29〉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중(소조기) 123

〈그림 4.2.30〉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우(소조기) 124

〈그림 4.2.31〉 수영교 및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조위 시간대_대조기 125

〈그림 4.2.32〉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지점_대조기 126

〈그림 4.2.33〉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좌(대조기) 127

〈그림 4.2.34〉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중(대조기) 128

〈그림 4.2.35〉 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우(대조기) 129

〈그림 4.2.36〉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지점_대조기 130

〈그림 4.2.37〉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좌(대조기) 132

〈그림 4.2.38〉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중(대조기) 133

〈그림 4.2.39〉 좌수영교 염분도 시계열 측정 수위별 농도 및 등농도선도-우(대조기) 134

〈그림 4.2.40〉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_염수침입방지보 상류 135

〈그림 4.2.41〉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_염수침입방지보 상류 136

〈그림 4.2.42〉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_염수침입방지보 하류 138

〈그림 4.2.43〉 1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_염수침입방지보 하류 138

〈그림 4.2.44〉 회야강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조사 141

〈그림 4.2.45〉 3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지점_염수침입방지보 상류 144

〈그림 4.2.46〉 3차 정밀조사 연직방향 측정결과_염수침입방지보 상류 145

〈그림 4.2.47〉 울산지역 수문지질단위 분포도 147

〈그림 4.2.48〉 회야강 지질 유역도 147

〈그림 4.2.49〉 평수기 지하수위 등고선도 및 함양 중간 배출 체계 148

〈그림 4.2.50〉 퇴적토 분석지점 149

〈그림 4.4.1〉 수영강 5월 주요 수질 그래프 153

〈그림 4.4.2〉 수영강 6월 대조기, 소조기 비교 그래프 154

〈그림 4.4.3〉 수영강 7월 주요 수질 그래프 154

〈그림 4.4.4〉 수영강 8월 주요 수질 그래프 155

〈그림 4.4.5〉 수영강 9월 주요 수질 그래프 155

〈그림 4.4.6〉 월별 과정교 수질 비교 그래프 156

〈그림 4.4.7〉 월별 좌수영교 수질 비교 그래프 157

〈그림 4.4.8〉 월별 수영교 수질 비교 그래프 157

〈그림 4.4.9〉 월별 민락교 수질 비교 그래프 158

〈그림 4.4.10〉 수영강 적조현상 모니터링 159

〈그림 4.4.11〉 수영교 및 좌수영교 수심별 수질분석 조위시간대_2018년 3월 20일 162

〈그림 4.4.12〉 만조 시 수영교 및 좌수영교 채수 수심 지점_2018년 3월 20일 162

〈그림 4.4.13〉 간조 시 수영교 및 좌수영교 채수 수심 지점_2018년 3월 20일 162

〈그림 4.4.14〉 수영교 및 좌수영교 수심별 수질분석 조위시간대_2018년 3월 26일 165

〈그림 4.4.15〉 간조 시 수영교 및 좌수영교 채수 수심 지점_2018년 3월 26일 165

〈그림 4.4.16〉 만조 시 수영교 및 좌수영교 채수 수심 지점_2018년 3월 26일 165

〈그림 4.4.17〉 회야강 5월 주요 수질 그래프 167

〈그림 4.4.18〉 회야강 6월 대조기, 소조기 비교 그래프 168

〈그림 4.4.19〉 회야강 7월 주요 수질 그래프 168

〈그림 4.4.20〉 회야강 8월 주요 수질 그래프 169

〈그림 4.4.21〉 회야강 9월 주요 수질 그래프 169

〈그림 4.4.22〉 월별 상회2교 수질 비교 그래프 170

〈그림 4.5.1〉 EFDC모델의 기본 모듈 171

〈그림 4.5.2〉 EFDC Hydrodynamics 모델의 구조 171

〈그림 4.5.3〉 EFDC 층별 모형 결과_대조기 181

〈그림 4.5.4〉 EFDC 모형 횡단면 결과_대조기 182

〈그림 4.5.5〉 EFDC 모형 결과 및 실제 염분도 비교_대조기 182

〈그림 4.5.6〉 모델 시나리오별 결과_대조기 183

〈그림 4.5.7〉 EFDC 층별 모형 결과_소조기 185

〈그림 4.5.8〉 EFDC 모형 횡단면 결과_소조기 186

〈그림 4.5.9〉 EFDC 모형 결과 및 실제 염분도 비교_소조기 186

〈그림 4.5.10〉 모델 시나리오별 결과_소조기 187

〈그림 4.6.1〉 수영강 측정지점 및 염수영향지역 검토 189

〈그림 4.6.2〉 회야강 측정지점 및 염수영향지역 검토 191

〈그림 5.1.1〉 단면 측정지점(수영강) 196

〈그림 5.1.2〉 단면 지형 및 ADCP 하상 측정 비교(수영강) 197

〈그림 5.1.3〉 DEM을 활용한 회야강 유역 고도 분석 및 사주 영상 199

〈그림 5.1.4〉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단면측정지점 200

〈그림 5.1.5〉 단면 측정지점(회야강) 200

〈그림 5.1.6〉 44번 단면 및 ADCP 하상 측정 비교(회야강) 200

〈그림 5.2.1〉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안) 203

〈그림 5.2.2〉 회야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안) 204

〈그림 6.1.1〉 하구 형태에 따른 현장실험 방법 20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57223 363.7394 -18-7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57224 363.7394 -18-7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