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44

제1절 문화영향평가의 의의 및 목적 45

1. 평가 의의 및 목적 45

2. 평가 방향 46

제2절 문화영향평가의 범위 및 방법 48

1. 평가 범위 48

2. 평가지표 49

3. 평가 수행방법 51

제2장 평가대상 계획 및 대상지 분석 53

제1절 시범사업 신청계획 분석 54

1. 계획의 개요 54

2. 계획의 주요 내용 분석 56

3. 심사 시 보완ㆍ개선 요청사항 분석 61

제2절 시범사업 대상지 여건 분석 62

1. 대상지 개요 62

2. 인구 및 사회적ㆍ경제적 여건 62

3. 도시 공간 및 역사적ㆍ환경적 여건 67

4. 평가지표별 문화적 여건 72

제3절 유관 정책사업 현황 분석 78

1. 천안시 도시재생 선도사업 78

2.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83

3.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85

제3장 문화영향평가 결과 및 정책 제언 89

제1절 문화기본권에 미치는 영향 90

1.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90

2.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103

제2절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12

1.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 112

2.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121

제3절 문화발전에 미치는 영향 132

1.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132

2.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143

제4절 평가 결과 분석 및 정책적 제언 153

1. 평가 결과 분석 및 제언 153

2. 세부 내용에 대한 제언 155

제4장 종합 평가 및 결론 172

제1절 종합 평가 173

1. 종합 평가 의견 173

2. 활성화계획 검토 및 제언 174

제2절 성과 및 향후 과제 179

1. 추진 성과 179

2. 향후 과제 180

참고문헌 181

[부록] 전문가평가서 결과표 및 양식 182

1. 전문가평가서 결과표 183

2. 전문가평가서 양식 188

판권기 235

표목차

〈표 1-1〉 문화영향평가 대상사업 개요 47

〈표 1-2〉 문화영향평가 평가지표 체계 49

〈표 1-3〉 천안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관계자 설문조사 응답자 특성 52

〈표 2-1〉 사업 개요 54

〈표 2-2〉 단위사업 별 세부내용 57

〈표 2-3〉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지적사항(질의답변, 서면검토, 현장실사) 및 조치결과 61

〈표 2-4〉 대상지 인구 현황(2016년 기준) 63

〈표 2-5〉 최근 30년 간 대상지 인구 변화 추이 63

〈표 2-6〉 대상지 외국인 현황(2016년 기준) 64

〈표 2-7〉 최근 10년 간 대상지 사업체 수 변화 추이 65

〈표 2-8〉 원도심 상권과 신규 상권(신부동)의 비교(2014년 기준) 66

〈표 2-9〉 천안역 지하상가 공실 변화 추이 67

〈표 2-10〉 대상지 내 건축물 경과년도 현황 70

〈표 2-11〉 천안시 문화재 현황 72

〈표 2-12〉 천안시 전통사찰 현황 72

〈표 2-13〉 천안시 지정관광지 현황 72

〈표 2-14〉 천안시 축제 및 지역 이벤트 현황 73

〈표 2-15〉 천안시 문화기반시설 현황 74

〈표 2-16〉 제2기 도시재생대학의 주요 성과 76

〈표 2-17〉 2017년 천안시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추진과제 86

〈표 2-18〉 대상지 현황 분석 요약 87

〈표 3-1〉 기초 인프라 현황 90

〈표 3-2〉 2014년 기준 시ㆍ군별 공공문화시설 현황 91

〈표 3-3〉 거주지의 문화 공간에 대한 응답 96

〈표 3-4〉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 의견 100

〈표 3-5〉 2017년 문화기반시설 현황 103

〈표 3-6〉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 의견 109

〈표 3-7〉 2014년 기준 천안 문화재 자산 현황 112

〈표 3-8〉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의견 118

〈표 3-9〉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 의견 129

〈표 3-10〉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 의견 140

〈표 3-11〉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평가 의견 150

〈표 3-12〉 2018 천안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문화영향평가 결과 요약 153

〈표 3-13〉 2018 천안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의 방향 155

〈표 3-14〉 천안 호두과자 관련 사업 계획 156

〈표 3-15〉 스마트 성장센터 관련 사업 계획 160

〈표 3-16〉 2014년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의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내용 170

〈표 3-17〉 2018 천안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의 정책적 제언 170

〈표 4-1〉 문화영향평가 컨설팅 의견에 대한 활성화계획 반영사항 176

〈표 4-2〉 계획 간 비교 및 정책적 제언 178

그림목차

[그림 1-1] 사업 대상지의 현황 45

[그림 1-2] "新 경제ㆍ교통 중심의 복합스마트거점공간 천안역세권"사업구상도 47

[그림 1-3] 문화영향평가의 절차 및 내용 51

[그림 2-1] 사업 목표 55

[그림 2-2] 천안역세권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구상도 56

[그림 2-3] 사업구상도 60

[그림 2-4] 천안시와 구도심의 계층별 인구 추이 64

[그림 2-5] 구도심 산업구조 및 지역별 평균임대료 66

[그림 2-6] 대상지 위치 67

[그림 2-7] 천안역 주변 도시 공간구조의 변화 68

[그림 2-8] 대상지 인근 지역의 사업 현황 68

[그림 2-9] 천안시 도시 공간 변화 69

[그림 2-10] 1900년대 교통의 중심지였던 천안역 70

[그림 2-11] 구도심의 기반시설 현황 71

[그림 2-12] 대상지 내 건축물 경과년도 현황 71

[그림 2-13] 건축물 용도 71

[그림 2-14] 건축물 층수 71

[그림 2-15] 천안시 문화관광자원 현황 73

[그림 2-16]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중 서브문화허브 조성사업 내용 75

[그림 2-17] 충남 콘텐츠 코리아 랩 4대 특화장르 75

[그림 2-18] 다양한 문화예술자원 현황 76

[그림 2-19] 공유스쿨 운영 내용 77

[그림 2-20] 천안시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 도시재생사업 구상도 및 내용 78

[그림 2-21] 명동거리 특화디자인 계획 83

[그림 2-22] 중앙거리 활성화 사업의 목표 84

[그림 2-23] 2018년도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내용 85

[그림 3-1] 기초 인프라 현황 90

[그림 3-2] 2014년 기준 시ㆍ군별 공공문화시설 분포 및 위치 현황 91

[그림 3-3] 역세권 도시개발 사업과 천안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서브문화허브 및 문화플랫폼 조성) 개요 92

[그림 3-4]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93

[그림 3-5] 최근 1년간 문화행사 관람 경험여부와 횟수 94

[그림 3-6] 최근 1년간 문화교육 경험 여부 95

[그림 3-7] 최근 1년간 생활문화활동에 직접 참여 경험 여부 95

[그림 3-8] 최근 1년간 생활권 내 문화공간 참여여부 및 횟수 96

[그림 3-9] 본 사업지의 문화공간에 필요한 공간 순위 97

[그림 3-10]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99

[그림 3-11]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102

[그림 3-12] 주민 협의체 운영 및 협력체계 개요 103

[그림 3-13] 천안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공유스쿨, C.상상공장-RED) 개요 104

[그림 3-14]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106

[그림 3-15]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108

[그림 3-16]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111

[그림 3-17] 천안 역사가로 조성 개요 113

[그림 3-18] 천안 근대 건축 문화유산 학술조사 개요 113

[그림 3-19] 문화유산 및 경관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114

[그림 3-20] 천안시 내 유ㆍ무형 문화유산과 문화경관의 인지여부와 방문(경험)여부 115

[그림 3-21] 문화유산 및 경관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117

[그림 3-22] 문화유산 및 경관에 미치는 영향 120

[그림 3-23]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121

[그림 3-24] 도시재생대학과 갈등관리 방안 모색을 위한 세부 내용 122

[그림 3-25] 생생 주민공동체 만들기의 개요 122

[그림 3-26] 천안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민관협의체 운영 개요 123

[그림 3-27]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124

[그림 3-28] 공동체 관련 응답 125

[그림 3-29] 본 사업을 통해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126

[그림 3-30]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128

[그림 3-31]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131

[그림 3-32] 천안시 도시쇠퇴 종합 순위 분석 132

[그림 3-33] 사업대상지의 장소적 자원 133

[그림 3-34] 사업대상지의 사회적 자원 현황 133

[그림 3-35] 하드웨어 사업과 천안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MCN, TECH DIY) 개요 134

[그림 3-36]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135

[그림 3-37] 문화 가치의 중요도 136

[그림 3-38] 다양한 구성원 포용 정도 137

[그림 3-39]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139

[그림 3-40]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142

[그림 3-41] 지역기반형 문화장조융합벨트 143

[그림 3-42] 충남 문화산업 관련 인접 지원 인프라 현황 143

[그림 3-43] 지역 협업 및 연계 프로그램 운영 계획 144

[그림 3-44] 스마트 도시 플랫폼의 개요 144

[그림 3-45] 천안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문화기획단 운영, 문화활동 지원) 개요 145

[그림 3-46]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자 결과 147

[그림 3-47]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결과 149

[그림 3-48]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152

[그림 3-49] 문화영향평가 결과 종합분석 153

[그림 3-50] 인천 차이나타운 내 '짜장면 박물관' 158

[그림 3-51] 크리스피 도넛의 '도넛 극장' 158

[그림 3-52] 춘천 막국수 체험박물관 전경 158

[그림 3-53] 사업지의 공공디자인 현황 159

[그림 3-54] 서울 상암 e-스포츠 전용경기장 163

[그림 3-55] 부천시 심곡본 개천 바닥돌, 벽면 타일 사진 164

[그림 3-56] 부평역사박물관의 예시 165

[그림 3-57] 서울 신도림역 광장 사진 166

[그림 3-58] 수원시 시민이 직접 제작한 '생물다양성 지도' 168

이용현황보기

(2018) 천안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문화영향평가 : 기본평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61853 711.40951973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61854 711.40951973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