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 도로포장관리시스템 : 연구보고서 = Annual research report of the national highway pavement management system / 국토교통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8
청구기호
625.80285 -18-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1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건기연 = KICT ; 2018-008
제어번호
MONO1201869911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록: 폭원부족 예산요구 리스트 ; 2. 배수시설 예산요구 리스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6

제1장 일반국도 노선정보 현행화 및 유지보수 공사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 연구 26

1.1. 서론 28

1.1.1. 사업의 목표 및 필요성 28

1.1.2. 사업 추진 전략 31

1.1.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32

1.2. 일반국도 노선 정보 현행화 33

1.2.1. 일반국도 선형 속성에 대한 노선 마스터 갱신을 위한 현장 조사 33

1.2.2. 현장 조사를 반영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갱신 55

1.3. 품질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유지보수 공사의 PQMS 도입 115

1.3.1. 현장 적용성 평가 및 의견 수렴 115

1.3.2. PQMS 프로그램의 현장 확대 적용 방안 116

1.4. PQMS 프로그램 D/B 설계 및 입력 기능 개발 117

1.4.1. PQMS 프로그램의 구축 개념 117

1.4.2. 혼합물 품질관리를 위한 UI 및 D/B 구축 118

1.4.3. 배합설계 관리를 위한 UI 및 D/B 구축 129

1.4.4. 생산품질 관리를 위한 UI 및 D/B 구축 142

1.4.5. 시공품질 관리를 위한 UI 및 D/B 구축 144

1.5. 결론 146

1.5.1. 기대효과 146

제2장 폭원부족구간 및 배수시설 개선 도출 마련 148

2.1. 서론 150

2.1.1. 연구의 필요성 150

2.2. 폭원부족개선 151

2.2.1. 폭원부족구간 정비사업의 목적과 정의 151

2.2.2. 도로 폭원 부족 개선과 유사한 사업들 155

2.2.3. 도로 폭원 부족 사업 현황 및 부적합 사례 161

2.2.4. 길어깨 개선 사업 사례 165

2.2.5. 폭원부족사업비 내역 및 적정성 평가 방안 167

2.2.6. 폭원부족사업비 우선순위 결정 방안 168

2.3. 배수시설개선 173

2.3.1. 배수시설 정의 및 범위 173

2.3.2. 배수시설 피해 현황 및 대책 174

2.3.3. 해외 배수시설 관리 문헌 조사 184

2.3.4. 배수로 정비사업 현황 분석 188

2.3.5. 배수로 정비사업 유형 분류 192

2.3.6. 배수로 정비사업 사업 부적합 사례 200

2.3.7. 배수시설 개선 사업비 적합성 평가 및 고려사항 208

2.3.8. 배수시설 우선순위 결정 방안 214

2.3.9. 배수시설 점검 시스템 개발 필요성 218

2.3.10. 배수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방안 224

2.4. 부록 229

2.4.1. 폭원부족 예산요구 리스트 229

2.4.2. 배수시설 예산요구 리스트 232

제3장 신재료 / 신공법 활용을 위한 검증 방안 수립 242

3.1. 개요 244

3.1.1. 과업의 목적 및 배경 244

3.1.2.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244

3.1.3. 과업의 내용 245

3.2. 국·내외 주요 기관의 신재료 신공법 검증절차 사례분석 246

3.2.1. 국내 적용기관 현황 246

3.2.2. 국외 적용기관 현황 249

3.3. 신재료 신공법 검증을 위한 실내 시험 방안 252

3.3.1. 실내시험 방법 조사 252

3.3.2. 실내 시험 항목 및 기준 선정 267

3.4. 신재료 신공법 검증을 위한 현장 시험 방안 269

3.4.1. 국내 사례 분석 269

3.4.2. 현장 시험 방안 제안 272

3.5. Pilot Test를 통한 신재료 신공법 검증 275

3.5.1. Pilot Test 재료 및 공법 선정 275

3.5.2. 실내 시험 275

3.5.3. Pilot Test 현장 시험 시공 281

3.5.4. 추적 조사 283

3.6. 신재료 신공법 도입을 위한 검증 절차 수립 295

3.6.1. 실내 시험 항목 295

3.6.2. 현장 시험 방안 296

3.7. 결론 299

〈표 1.1〉 일반국도 노선현행화 범위 35

〈표 1.2〉 노드의 테이블 구조 35

〈표 1.3〉 회전정보의 테이블 구조 36

〈표 1.4〉 링크정보의 테이블 구조 36

〈표 1.5〉 (제목없음) 37

〈표 1.6〉 일반국도 선형 현행화 작업결과 54

〈표 1.7〉 일반국도 노선별 연장 109

〈표 1.8〉 주요 이벤트 종류 111

〈표 1.9〉 생산회사 자체 시험성적서와 공인시험기관 시험성적서의 장·단점 124

〈표 2.1〉 도로의 구분 및 설계속도에 따른 오른쪽 길어깨의 최소폭 기준 152

〈표 2.2〉 도로의 구분 및 설계속도에 따른 왼쪽 길어깨의 최소폭 기준 153

〈표 2.3〉 국내 도로교통안전개선사업 수행방법 157

〈표 2.4〉 4차 & 5차 위험도로 개선사업 평가 항목 및 평점 158

〈표 2.5〉 위험도로 개선사업 평가 항목에서 길어깨 폭 기준 및 배점 159

〈표 2.6〉 위험도로 개선사업 기타(사업비 및 민원) 항목의 세부기준 159

〈표 2.7〉 외국의 위험도로 선정 기준 160

〈표 2.8〉 2018년도 폭원부족 사업 신청 현황 162

〈표 2.9〉 2018년도 관리기관별 사업수 정리 163

〈표 2.10〉 2018년도 폭원부족 사업 유형 분류 164

〈표 2.11〉 폭원부족사업 총사업비 내역서 양식 167

〈표 2.12〉 사업 우선 순위 평가 방법 169

〈표 2.13〉 교통안전사업 기초분석서 170

〈표 2.14〉 길어깨 폭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171

〈표 2.15〉 평가요소별 구분기준 172

〈표 2.16〉 폭원부족 평가요소에 따른 배점 산출 방법 172

〈표 2.17〉 도로 배수측구 불량 및 훼손 사례 176

〈표 2.18〉 배수측구 청소 및 유지관리 불량 사례 178

〈표 2.19〉 세굴 및 누수 피해 사례 179

〈표 2.20〉 토석류에 의한 범람 및 막힘 피해 사례 181

〈표 2.21〉 도로 및 배수 피해 사례 183

〈표 2.22〉 배수시스템 상태 평가 및 처리 방안 184

〈표 2.23〉 논산국토관리사무소 배수시설 사업비 내역서 188

〈표 2.24〉 충주국토관리사무소 배수시설 사업비 내역서 188

〈표 2.25〉 남원국토관리시무소 배수시설 사업비 내역서 188

〈표 2.26〉 강원도 배수시설 사업비 내역서 189

〈표 2.27〉 강릉국토관리사무소 수로암거 사업 리스트 191

〈표 2.28〉 배수로 시설 정비사업에 부적합한 리스트 201

〈표 2.29〉 소구조물 사업에 포함된 배수로 정비시설 개선 205

〈표 2.30〉 배수시설 설계내역서 공사비 항목 분류 209

〈표 2.31〉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을 위한 등급 기준 215

〈표 2.32〉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 평가 점수 215

〈표 2.33〉 배수시설 개선사업 평가요소에 따른 배점 산출 방법 217

〈표 2.34〉 국내 운영중인 도로관리 시스템 218

〈표 2.35〉 균열 종류에 따른 균열 발생 원인 219

〈표 2.36〉 국토교통부 성과계획서 상의 성과지표(사업내용별) 220

〈표 3.1〉 국내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2017) 266

〈표 3.2〉 국외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267

〈표 3.3〉 실내시험 품질기준 268

〈표 3.4〉 실내시험 품질기준 268

〈표 3.5〉 실내시험 품질기준 269

〈표 3.6〉 실내시험 품질기준 276

〈표 3.7〉 실내시험 결과 277

〈표 3.8〉 실내시험 품질기준 277

〈표 3.9〉 실내시험 결과 278

〈표 3.10〉 실내시험 품질기준 279

〈표 3.11〉 실내시험 결과 280

〈표 3.12〉 교통량 조사 결과 281

〈표 3.13〉 시험시공 전 추적조사 결과(노면 상태 분석) 293

〈표 3.14〉 시험시공 전 추적조사 결과(구조지지력) 293

〈표 3.15〉 시험시공 후 추적조사 결과(노면 상태 분석) 294

〈표 3.16〉 시험시공 후 추적조사 결과(구조지지력) 294

〈그림 1.1〉 사업의 목표 28

〈그림 1.2〉 사업의 필요성 29

〈그림 1.3〉 사업 추진 전략 31

〈그림 1.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32

〈그림 1.5〉 일반국도 포장자료관리시스템 33

〈그림 1.6〉 일반국도 노선현행화 대상 34

〈그림 1.7〉 구국도 구간의 예 34

〈그림 1.8〉 표준 노드링크의 테이블 관계도 37

〈그림 1.9〉 일반국도 도로선형 현행화 38

〈그림 1.10〉 일반국도 도로선형 구축 방법(상·하행 구분 구축) 38

〈그림 1.11〉 일반국도 선형 작성 방안 39

〈그림 1.12〉 이벤트 현행화 조사 40

〈그림 1.13〉 교량의 시·종점 지정 기준 41

〈그림 1.14〉 고가도로의 시·종점 지정 기준 41

〈그림 1.15〉 입체교차로의 이벤트 처리 방안 42

〈그림 1.16〉 고속국도 분기 이벤트의 처리 방안 42

〈그림 1.17〉 행정경계 레이어를 활용한 도로관리청 관할 정보 관리 43

〈그림 1.18〉 행정경계 이벤트 처리 방안 44

〈그림 1.19〉 일반국도 중복구간의 관리 44

〈그림 1.20〉 일반국도 속성 정보 구축 45

〈그림 1.21〉 일반국도 1호선 소학교 구간 45

〈그림 1.22〉 일반국도 1호선 장성 ~ 정읍 구간 46

〈그림 1.23〉 일반국도 3호선 의정부시 ~ 동두천시 구간 46

〈그림 1.24〉 일반국도 4호선 화성교차로 ~ 복대1교A2 구간 47

〈그림 1.25〉 일반국도 4호선 상가리입구 ~ 광평리입구 구간 47

〈그림 1.26〉 일반국도 5호선 내서교 ~ 예곡삼거리 구간 48

〈그림 1.27〉 일반국도 15호선 전동1교 ~ 장안교 구간 48

〈그림 1.28〉 일반국도 17호선 장선교차로 ~ 조산교차로 구간 49

〈그림 1.29〉 일반국도 18호선 금골교차로 ~ 진도대교 구간 49

〈그림 1.30〉 일반국도 21호선 도도교차로 ~ 용진 구간 50

〈그림 1.31〉 일반국도 23호선 녹원교 ~ 어산교차로 구간 50

〈그림 1.32〉 일반국도 27호선 전동교차로 ~ 송광교 구간 51

〈그림 1.33〉 일반국도 29호선 황금산2교차로 ~ 황금산교차로 구간 51

〈그림 1.34〉 일반국도 31호선 기장일광IC교차로 - 문중교차로 구간 52

〈그림 1.35〉 일반국도 33호선 화개교차로 ~ 집현IC 구간 52

〈그림 1.36〉 일반국도 59호선 월통교차로 ~ 덕송교차로 구간 53

〈그림 1.37〉 일반국도 87호선 포천수도사업소 ~ 삼율교차로 구간 53

〈그림 1.38〉 일반국도 노선 선형 55

〈그림 1.39〉 일반국도 노선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본 구조 56

〈그림 1.40〉 일반국도 노선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세스 57

〈그림 1.41〉 일반국도 제1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58

〈그림 1.42〉 일반국도 제2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59

〈그림 1.43〉 일반국도 제3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0

〈그림 1.44〉 일반국도 제4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1

〈그림 1.45〉 일반국도 제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2

〈그림 1.46〉 일반국도 제6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3

〈그림 1.47〉 일반국도 제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4

〈그림 1.48〉 일반국도 제13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5

〈그림 1.49〉 일반국도 제14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6

〈그림 1.50〉 일반국도 제1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7

〈그림 1.51〉 일반국도 제1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8

〈그림 1.52〉 일반국도 제1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69

〈그림 1.53〉 일반국도 제19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0

〈그림 1.54〉 일반국도 제20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1

〈그림 1.55〉 일반국도 제21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2

〈그림 1.56〉 일반국도 제22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3

〈그림 1.57〉 일반국도 제23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4

〈그림 1.58〉 일반국도 제24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5

〈그림 1.59〉 일반국도 제2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6

〈그림 1.60〉 일반국도 제26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7

〈그림 1.61〉 일반국도 제2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8

〈그림 1.62〉 일반국도 제2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79

〈그림 1.63〉 일반국도 제29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0

〈그림 1.64〉 일반국도 제30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1

〈그림 1.65〉 일반국도 제31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2

〈그림 1.66〉 일반국도 제32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3

〈그림 1.67〉 일반국도 제33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4

〈그림 1.68〉 일반국도 제34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5

〈그림 1.69〉 일반국도 제3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6

〈그림 1.70〉 일반국도 제36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7

〈그림 1.71〉 일반국도 제3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8

〈그림 1.72〉 일반국도 제3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89

〈그림 1.73〉 일반국도 제39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0

〈그림 1.74〉 일보국도 제40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1

〈그림 1.75〉 일반국도 제42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2

〈그림 1.76〉 일반국도 제43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3

〈그림 1.77〉 일반국도 제44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4

〈그림 1.78〉 일반국도 제4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5

〈그림 1.79〉 일반국도 제46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6

〈그림 1.80〉 일반국도 제4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7

〈그림 1.81〉 일반국도 제4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8

〈그림 1.82〉 일반국도 제56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99

〈그림 1.83〉 일반국도 제5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0

〈그림 1.84〉 일반국도 제59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1

〈그림 1.85〉 일반국도 제6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2

〈그림 1.86〉 일반국도 제75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3

〈그림 1.87〉 일반국도 제7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4

〈그림 1.88〉 일반국도 제79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5

〈그림 1.89〉 일반국도 제82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6

〈그림 1.90〉 일반국도 제87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7

〈그림 1.91〉 일반국도 제88호선의 선형 및 시·종점 108

〈그림 1.92〉 평면교차로 111

〈그림 1.93〉 입체교차로 112

〈그림 1.94〉 도로 시·종점 112

〈그림 1.95〉 교통통제점 112

〈그림 1.96〉 터널 및 교량의 시·종점 113

〈그림 1.97〉 고가도로 및 지하차도 시·종점 113

〈그림 1.98〉 행정구역 변환점 113

〈그림 1.99〉 도로운영 변환점 114

〈그림 1.100〉 교통 진출입점 114

〈그림 1.101〉 PQMS 현장 적용성 평가 및 의견 수렴 115

〈그림 1.102〉 PQMS 프로그램의 현장 확대 적용 방안 116

〈그림 1.103〉 도로포장 품질관리의 절차 117

〈그림 1.104〉 PQMS 프로그램의 구축 개념 118

〈그림 1.105〉 원재료품질시험 D/B와 품질시험 항목 119

〈그림 1.106〉 정유사별 아스팔트 시험성적서 120

〈그림 1.107〉 아스팔트 시험성적서 목록 121

〈그림 1.108〉 아스팔트 원재료품질시험 상세 내역 관리 122

〈그림 1.109〉 아스팔트 시험성적서 원본 다운로드 및 보기 122

〈그림 1.110〉 골재 원재료품질시험 목록 123

〈그림 1.111〉 발행구분 별 골재 원재료품질시험 관리 기능 124

〈그림 1.112〉 굵은골재(7호) 시험성적서 125

〈그림 1.113〉 굵은골재와 잔골재 원재료품질시험 결과 관리 기능 126

〈그림 1.114〉 발행구분에 따른 골재입도 관리 기능 127

〈그림 1.115〉 채움재 원재료품질시험 목록 128

〈그림 1.116〉 발행구분 별 채움재 원재료품질시험 관리 기능 129

〈그림 1.117〉 배합설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130

〈그림 1.118〉 배합설계 기본정보 목록 131

〈그림 1.119〉 배합설계 정보 관리 132

〈그림 1.120〉 배합설계 아스팔트 선정 133

〈그림 1.121〉 배합설계 골재 선정 133

〈그림 1.122〉 콜드빈 골재 입도 134

〈그림 1.123〉 콜드빈 골재입도 결과와 그래프 135

〈그림 1.124〉 콜드빈 합성입도 135

〈그림 1.125〉 추정 아스팔트 함량 136

〈그림 1.126〉 아스팔트 혼합물 계량중량 137

〈그림 1.127〉 배합설계에 필요한 재료량 137

〈그림 1.128〉 아스팔트 혼합물 이론최대밀도 138

〈그림 1.129〉 마샬안정도/변형강도 138

〈그림 1.130〉 소요 골재량 계산 139

〈그림 1.131〉 분당 콜드빈 총 소요 골재량 계산 140

〈그림 1.132〉 콜드빈별 모터속도 결정 140

〈그림 1.133〉 핫빈 골재 입도 141

〈그림 1.134〉 핫빈 합성입도 142

〈그림 1.135〉 생산품질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조 143

〈그림 1.136〉 일일 생산품질관리 결과 143

〈그림 1.137〉 불합격 일일 생산 품질 자료에 대한 알림 144

〈그림 1.138〉 시공품질 데이터베이스 144

〈그림 1.139〉 혼합물 온도 관리 145

〈그림 1.140〉 코어채취 및 결과 관리 145

〈그림 1.141〉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46

〈그림 2.1〉 도로폭원 부족 구간 전경 152

〈그림 2.2〉 길어깨 기능상 분류 154

〈그림 2.3〉 길어깨 폭 154

〈그림 2.4〉 길어깨 어깨 생략(예) 155

〈그림 2.5〉 일반도로 및 시가지 도로에서의 길어깨 생략 155

〈그림 2.6〉 차로폭에 따른 교통사고 현황(서울신문기사) 156

〈그림 2.7〉 도로폭원 부족사업 대상 구간 165

〈그림 2.8〉 길어깨부 횡단면도 비교 166

〈그림 2.9〉 길어깨 L형측구 축소 단면검토 166

〈그림 2.10〉 자전거 도로 적용시 공사 유형 분류 168

〈그림 2.11〉 도로 배수시설의 구성 173

〈그림 2.12〉 배수시설의 명칭 및 구분 174

〈그림 2.13〉 1등급 좋은 상태 185

〈그림 2.14〉 2등급, 양호한 상태 186

〈그림 2.15〉 3등급, 불량한 상태 187

〈그림 2.16〉 GPR을 활용한 지하배수로 상태 점검 187

〈그림 2.17〉 2018년도 배수시설 개선 요청사업 연장현황 189

〈그림 2.18〉 수로암거 개선 사업 190

〈그림 2.19〉 강원도 토사유실 및 측구 미설치 구간 전경 192

〈그림 2.20〉 배수시설 정비사업 유형 193

〈그림 2.21〉 일반국도 배수시설 현황 194

〈그림 2.22〉 온산공단 배수시설 현황도 194

〈그림 2.23〉 이영산업 주변 침수 전경 195

〈그림 2.24〉 일반국도와 산업단지 연결구간 침수 195

〈그림 2.25〉 일반국도 31호선 현장 전경 196

〈그림 2.26〉 일반국도 31호선 배수로 정비 현장 조사 196

〈그림 2.27〉 우수맨홀 주변 낙차 큰 도로 197

〈그림 2.28〉 우수맨홀 주변 낙차 큰 도로 197

〈그림 2.29〉 우수맨홀 주변 낙차 큰 도로 198

〈그림 2.30〉 스크린 설치 199

〈그림 2.31〉 역류 방지 개폐기 장치 199

〈그림 2.32〉 집수정에 소형 수중펌프 설치 방안 200

〈그림 2.33〉 배수시설 개선 사업 부적절한 사례 201

〈그림 2.34〉 소구조물 사업비로 L형 측구 파손 정비 사업 202

〈그림 2.35〉 소구조물 사업비에 적합한 L형 측구 정비 사업 203

〈그림 2.36〉 퇴적물 제거 및 수로암거 교체 사업 대상 203

〈그림 2.37〉 측구 부재 및 배수시설 부족으로 도로 침수 현장 204

〈그림 2.38〉 토사 퇴적물로 인한 배수용량 부족 210

〈그림 2.39〉 설계 배수용량 부족 210

〈그림 2.40〉 횡배수관 미설치 및 용량 부족 211

〈그림 2.41〉 퇴적물 미정비 구간 211

〈그림 2.42〉 배수시설 미설치 구간 212

〈그림 2.43〉 배수용량 부족으로 인한 도로 침수 213

〈그림 2.44〉 배수시설 파손 213

〈그림 2.45〉 배수시설 불량으로 인한 도로파손 사례 219

〈그림 2.46〉 도로교통의 안전성 평가결과 중 평탄한 도로포장 221

〈그림 2.47〉 개선이 시급한 사항 221

〈그림 2.48〉 국도 관리 및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의견 222

〈그림 2.49〉 도로포장 자동조사 장비(PES) 224

〈그림 2.50〉 도로 포장 균열율 조사 225

〈그림 2.51〉 라이브 드론맵 기술활용 시나리오 225

〈그림 2.52〉 드론을 활용하여 제작한 송전탑 시뮬레이션 결과 226

〈그림 2.53〉 드론을 도로포장 조사 및 철도 레일 상태 조사(Texas DOT) 226

〈그림 2.54〉 드론을 활용한 농어촌 공사 관계배수 설계 227

〈그림 3.1〉 한국도로공사의 신재료/신공법 적용 절차 246

〈그림 3.2〉 서울특별시의 신재료 및 신공법 적용 절차 247

〈그림 3.3〉 CALTRANS의 신재료 /신공법 적용 절차 250

〈그림 3.4〉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실용화 흐름도(2016, 한양대학교) 251

〈그림 3.5〉 남아공의 연구개발과 실용화의 상관관계도(2016, 한양대학교) 251

〈그림 3.6〉 동적안정도 시험 252

〈그림 3.7〉 함부르크 휠트랙킹 시험 253

〈그림 3.8〉 변형강도 시험 254

〈그림 3.9〉 삼축반복하중 소성변형시험 255

〈그림 3.10〉 소형 포장가속시험 256

〈그림 3.11〉 실대형 포장가속시험 장비 257

〈그림 3.12〉 간접인장강도 시험 258

〈그림 3.13〉 빔 피로 실험 259

〈그림 3.14〉 간접인장 피로시험 259

〈그림 3.15〉 직접인장 반복하중 피로균열 시험 260

〈그림 3.16〉 인장강도비 시험 261

〈그림 3.17〉 동적 수침 피막률 시험 262

〈그림 3.18〉 동탄성계수 시험 263

〈그림 3.19〉 습윤 마모 시험 264

〈그림 3.20〉 점착력 시험 264

〈그림 3.21〉 윤하중 시험 265

〈그림 3.22〉 전단부착강도 시험 266

〈그림 3.23〉 한국도로공사의 신재료/신공법 적용 절차 270

〈그림 3.24〉 서울특별시의 신재료 및 신공법 적용 절차 270

〈그림 3.25〉 신재료·신공법 현장 시험 절차 272

〈그림 3.26〉 간접인장 강도 및 TSR 시험 276

〈그림 3.27〉 휠트랙킹 시험 276

〈그림 3.28〉 간접인장 강도 및 TSR 시험 278

〈그림 3.29〉 휠트랙킹 시험 278

〈그림 3.30〉 습윤 마모 시험 279

〈그림 3.31〉 점착력 시험 279

〈그림 3.32〉 윤하중 시험 279

〈그림 3.33〉 현장 적용 구간 위치 281

〈그림 3.34〉 기존 포장면 절삭 282

〈그림 3.35〉 택코팅 282

〈그림 3.36〉 혼합물 포설 282

〈그림 3.37〉 1차 다짐(머캐덤 롤러) 282

〈그림 3.38〉 2차 다짐(타이어 롤러) 282

〈그림 3.39〉 3차 다짐(탠덤 롤러) 282

〈그림 3.40〉 시험 시공 완료 282

〈그림 3.41〉 자동노면조사장비(PES 1) 283

〈그림 3.42〉 PES를 이용한 균열조사방법 284

〈그림 3.43〉 PES를 이용한 소성변형 조사 방법 285

〈그림 3.44〉 PES를 이용한 종단평탄성 조사 방법 285

〈그림 3.45〉 프로그램을 이용한 포장 파손량 정량화 기법(Pavement analyzer) 286

〈그림 3.46〉 균열 분석 시 분석기준 286

〈그림 3.47〉 소성변형량 분석 287

〈그림 3.48〉 종단평탄성 분석 288

〈그림 3.49〉 포장구조진단기(FWD) 289

〈그릴 3.50〉 포장구조진단기(FWD) 상세 조사 항목 289

〈그림 3.51〉 포장구조진단기(FWD) 상세 조사 방식 290

〈그림 3.52〉 FWD를 이용한 처짐량 측정 결과 예 290

〈그림 3.53〉 자동노면상태조사장비 전방 사진 291

〈그림 3.54〉 자동노면상태조사장비 노면 촬연 이미지(균열 분석 예시) 292

〈그림 3.55〉 신재료·신공법 도입을 위한 현장 시험 296

〈그림 3.56〉 신재료/신공법 검증 절차(안) 30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64984 625.80285 -18-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