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물측정망 모니터링 및 평가기법 개발 연구. 1, 최종보고서 / 국립환경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7
청구기호
577.64 -18-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v, 336 p.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NIER-SP ; 2017-201
연구과제보고서 ; 2017
제어번호
MONO1201870761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건국대학교
연구책임자: 황순진
부록: 1. 전체 조사지점의 물리적 환경 및 이화학적 수질 결과 ; 2. 전체 조사지점의 부착돌말류 생물량 및 개체수 ; 3.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출현 종 목록 외
참고문헌: p. 287-290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8

제2절 대하천의 정의 31

1. 국외 사례 31

2. 국내 사례 38

제2장 국내외 연구사례 44

제1절 부착돌말류 46

1. 국외 연구 사례(미국) 46

2. 국내 연구 사례 50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65

1. 국외 연구 사례 65

2. 국내 연구사례 67

제3절 어류 78

1. 국외 연구 사례 78

2. 국내 연구 사례 78

제3장 연구 내용 및 방법 94

제1절 연구내용 및 범위 96

1. 대하천 조사평가 기법의 비교 및 검증 96

2. 대하천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97

3.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방법 비교 및 대하천 평가기법 적용 검토 97

제2절 연구추진체계 98

제3절 연구방법 99

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방법 비교 및 대하천 평가기법 적용 검토 99

2. 대하천 조사 및 평가 방법의 시범 적용 119

제4장 수생태 건강성 조사 평가 방법 비교 및 대하천 평가기법 적용 검토 122

제1절 부착돌말류 124

1. 대하천 평가의 잠재적 메트릭 분석 124

2. 대하천 평가의 효율성 분석 134

3. 대하천 조사방법(안) 제안 135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36

1. 대하천 평가의 잠재적 메트릭 분석 136

2. 결과 및 고찰 169

3. 대하천 조사방법(안) 제안 170

제3절 어류 172

1. 어류조사방법 비교 172

2. 조사방법에 따른 메트릭 분석 174

3. 조사지점 설정 176

4. 대하천 조사방법(안) 제안 182

제5장 대하천 수생태계 현황 186

제1절 부착돌말류 188

1. 종조성 및 세포밀도 188

2.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0

3. 생태지표종 출현 현황 194

4. 군집지수 198

5. 생물량 201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04

1. 풍부도 평가 204

2. 종 구성 평가(군집지수) 210

제3절 어류 229

1. 출현종수 및 개체수 229

2. 우점종 및 아우점종 231

3. 군집지수 235

제6장 대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238

제1절 부착돌말류 240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44

제3절 어류 247

1. 어류평가지수(FAI) 247

2. 어류평가지수(FAI)와 수질간의 상관성 249

3. 조사기법에 따른 수질항목들과 상관성분석 250

제7장 대하천 생물측정망조사 지침(안) 254

제1절 부착돌밀류 256

1. 조사방법 256

2. 평가방법 265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68

1. 조사방법 268

제3절 어류 291

1. 조사방법 291

2. 정도관리 299

3. 자료분석 300

제8장 결론 306

참고문헌 310

부록 316

부록 1. 전체 조사지점의 물리적 환경 및 이화학적 수질 결과 318

부록 2. 전체 조사지점의 부착돌말류 생물량 및 개체수 320

부록 3.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출현 종 목록 322

부록 4.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338

부록 5.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출현 종 목록 351

부록 6. 대하천 부착돌말류 현지조사표 359

부록 7. 대하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360

부록 8. 대하천 어류 현지조사표 361

〈Table 1.2.1〉 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하천 유형분류 및 조사전략 33

〈Table 1.2.2〉 유역면적 등 복합 요인에 따른 대하천의 유형 33

〈Table 1.2.3〉 유역면적에 따른 하천 유형화 34

〈Table 1.2.4〉 RIVPACS 하천유형별 평균 환경요인 36

〈Table 1.2.5〉 WFD 하천유형별 물리적 요소 36

〈Table 1.2.6〉 STAR 프로젝트의 핵심 하천유형 37

〈Table 1.2.7〉 STAR 프로젝트의 핵심 하천유형 37

〈Table 2.1.1〉 미국의 대하천에서 부착조류(periphyton) 및 식물플랑크톤(phytoplankton) 주요한 조사방법 46

〈Table 2.1.2〉 인공기질을 이용한 부착조류 채집의 장단점 49

〈Table 2.1.3〉 조사시기별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에서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52

〈Table 2.1.4〉 인공기질별 자연기질과의 군집 유사도지수 53

〈Table 2.1.5〉 현행조사방법과 EPA조사방법의 군집 유사도지수 56

〈Table 2.1.6〉 현행조사방법과 EPA조사방법의 부착돌말류 건강성평가 58

〈Table 2.1.7〉 현행조사방법과 EPA조사방법의 부착돌말지수 및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58

〈Table 2.1.8〉 현행 조사방법과 구간 조사방법의 부착돌말류 건강성평가 63

〈Table 2.1.9〉 현행 조사방법과 구간 조사방법의 부착돌말지수 및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63

〈Table 2.1.10〉 부착돌말 대하천 조사방법 결과 요약 64

〈Table 2.2.1〉 미국의 대하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평가방법의 비교 65

〈Table 2.2.2〉 대하천 조사구간 및 조사시기 69

〈Table 2.2.3〉 대하천 조사의 기본방법과 EPA방법의 차이점 70

〈Table 2.2.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및 시기 72

〈Table 2.2.5〉 대하천 조사 방법간의 차이점 73

〈Table 2.3.1〉 분석을 위한 조사방법 구분 80

〈Table 2.3.2〉 지점별 FAI 값 및 등급 비교 86

〈Table 2.3.3〉 지점별 FAI 값 및 등급 비교 91

〈Table 3.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99

〈Table 3.3.2〉 각 조사항목별 채집 위치 100

〈Table 3.3.3〉 부착돌말류 동정 참고문헌 103

〈Table 3.3.4〉 부착돌말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104

〈Table 3.3.5〉 부착돌말류의 대하천 적용 가능 잠재적 메트릭 105

〈Table 3.3.6〉 부착돌말류 대하천 조사방법에 따른 차이 106

〈Table 3.3.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국내외 기준 문헌 109

〈Table 3.3.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물등급 판정 111

〈Table 3.3.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111

〈Table 3.3.1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대하천 적용 가능 잠재적 메트릭 112

〈Table 3.3.11〉 대하천 조사방법에 따른 차이 113

〈Table 3.3.12〉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 종류 117

〈Table 3.3.13〉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의 구간 설정 118

〈Table 3.3.14〉 어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118

〈Table 3.3.15〉 대하천 조사 평가지점 119

〈Table 4.1.1〉 대하천 조사방법에 따른 용이성 비교 135

〈Table 4.2.1〉 조사정점 수에 따른 이론적인 총 종수의 1/2에 해당하는 출현종수를 보이는 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 142

〈Table 4.2.2〉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출현종수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43

〈Table 4.2.3〉 조사정점 수에 따른 종풍부도지수와 다양도지수가 왜곡되지 않는 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 145

〈Table 4.2.4〉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종풍부도지수 및 다양도지수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46

〈Table 4.2.5〉 정점조사 수에 따른 우점도지수와 균등도지수가 왜곡되지 않는 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 148

〈Table 4.2.6〉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우점도지수 및 균등도지수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49

〈Table 4.2.7〉 정점 조사횟수에 따른 EPT(S)와 EPT(A)가 왜곡되지 않는 적정 조사횟수 및 개체수 151

〈Table 4.2.8〉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EPT(S) 및 EPT(A)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52

〈Table 4.2.9〉 조사정점 수에 따른 BU/CL (S)와 BU/CL (A)가 왜곡되지 않는 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 154

〈Table 4.2.10〉 기존 BPA 조사방법과 유사한 BU/CL (S) 및 BU/CL (A)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55

〈Table 4.2.11〉 조사정점 수에 따른 (CF+CG)/(SC+SH) (S)와 (CF+CG)/(SC+SH) (A)가 왜곡되지 않는 정점 수 및 출현... 157

〈Table 4.2.12〉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CF+CG)/(SC+SH) (S) 및 (CF+CG)/(SC+SH) (A)를 보인 7정점 및 5 정점... 158

〈Table 4.2.13〉 조사정점 수에 따른 BMI가 왜곡되지 않는 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 160

〈Table 4.2.14〉 기존 EPA 조사방법과 유사한 BMI를 보인 7 정점 및 5 정점의 계수 개체수 161

〈Table 4.2.15〉 조사방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요소 재현성 검토(군집지수) 164

〈Table 4.2.16〉 대하천 조사방법에 따른 용이성 비교 168

〈Table 4.3.1〉 대하천 평가를 위한 다변수 메트릭 구성 173

〈Table 4.3.2〉 어류의 대하천 조사 및 평가 방법 비교 174

〈Table 4.3.3〉 현행 하천건강성평가와 대하천 조사기법에 따른 메트릭 결과 분석 175

〈Table 4.3.4〉 현행 조사방법과 대하천 조사방법에 따른 메트릭 결과 분석 176

〈Table 4.3.5〉 각 수계별 조사날짜 및 지점수 179

〈Table 4.3.6〉 각 수계별 조사날짜 및 지점수 181

〈Table 4.3.7〉 조사방법에 따른 조사비용 검토 184

〈Table 5.1.1〉 대권역별 구간조사와 지점조사의 부착돌말류 출현종수 및 개체밀도 189

〈Table 5.1.2〉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92

〈Table 5.1.3〉 조사방법별 부착돌말류 생태지표종 출현종 수 및 상대밀도 196

〈Table 5.1.4〉 조사방법별 부착돌말류 군집지수 199

〈Table 5.1.5〉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엽록소 및 유기물량 202

〈Table 5.2.1〉 지점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05

〈Table 5.2.2〉 지점별 주요 분류군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08

〈Table 5.2.3〉 지점별 군집지수 211

〈Table 5.2.4〉 지점별 서식기능군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15

〈Table 5.2.5〉 지점별 주요 서식기능군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217

〈Table 5.2.6〉 지점별 섭식기능군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20

〈Table 5.2.7〉 지점별 주요 섭식기능군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222

〈Table 5.2.8〉 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과 우점종 및 점유율 224

〈Table 5.2.9〉 지점별 EPT(S) 및 EPT(A) 226

〈Table 5.2.10〉 등급별 지표종의 출현도 228

〈Table 5.3.1〉 현행하천조사기법(1차)과 대하천조사기법(2차)에서 채집된 출현종수 및 개체수비율 비교 230

〈Table 5.3.2〉 권역별 현행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서 채집된 출현종수 및 개체수비율 비교 231

〈Table 5.3.3〉 권역별 현행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서 권역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비율 비교 232

〈Table 5.3.4〉 현행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서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233

〈Table 5.3.5〉 권역별 현행 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 따른 군집지수 비교 236

〈Table 5.3.6〉 조사정점별 현행 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 따른 군집지수 비교 237

〈Table 6.1.1〉 대권역별 부착돌말지수(TDI) 및 등급 242

〈Table 6.1.2〉 대권역별 부착돌말지수(TDI)와 수질과의 상관성 243

〈Table 6.2.1〉 지점별 저서동물지수(BMI) 및 등급 245

〈Table 6.2.2〉 대권역별 저서동물지수(BMI) 및 등급 분포 245

〈Table 6.2.3〉 전국 대권역별 저서동물지수(BMI)와 수질의 상관도 246

〈Table 6.3.1〉 조사정점별 현행 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 따른 어류평가지수(FAI) 및 등급 248

〈Table 6.3.2〉 대권역별 현행 하천조사기법(C/K)과 대하천조사기법(C/K/F)에 어류평가지수(FAI) 및 등급 분포 249

〈Table 6.3.3〉 대권역 어류평가지수(FAI)와 수질간의 상관성 249

〈Table 6.3.4〉 어류평가항목과 수질간의 상관성 분석 250

〈Table 7.1.1〉 기질의 종류별 부착돌말 채집방법 259

〈Table 7.1.2〉 부착돌말 동정에 주로 이용되는 참고문헌 265

〈Table 7.1.3〉 사례 지역에서 분석한 부착돌말류의 상대 밀도 및 부착돌말류 종들의 오염민감도(S: sensitivities) 및 지... 267

〈Table 7.1.4〉 부착돌말지수(TDI)에 의한 생물등급 267

〈Table 7.2.1〉 퇴적물 분류 기준표 272

〈Table 7.2.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279

〈Table 7.2.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 문헌 279

〈Table 7.2.4〉 생물군집구조의 평가에 이용되는 지수 표 281

〈Table 7.2.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생물군의 오탁지수(s) 및 지표가중치(g) 283

〈Table 7.2.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순위의 백분율 범위에 따른 출현도 구분 표 289

〈Table 7.2.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물등급 판정 289

〈Table 7.2.8〉 예시에 대한 저서동물지수 계산표 290

〈Table 7.2.9〉 저서동물지수 계산결과 290

〈Table 7.3.1〉 어류조사장비 체크리스트 293

〈Table 7.3.2〉 어류 현지조사표 295

〈Table 7.3.3〉 어류 국내 참고문헌 목록 300

〈Table 7.3.4〉 어류군집 및 생태 건강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분석 301

〈Table 7.3.5〉 비정상어류개체의 기준 302

〈Table 7.3.6〉 생물군집구조의 평가에 이용되는 지수 표 303

〈Table 7.3.7〉 어류 평가 메트릭 종류 304

〈Table 7.3.8〉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의 구간 설정 305

〈Table 7.3.9〉 어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305

〈Figure 1.2.1〉 "Transitional zone"을 적용한 하천의 유형화 32

〈Figure 1.2.2〉 하천 규모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걸러먹는무리(CF)... 39

〈Figure 1.2.3〉 고도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걸러먹는무리(CF)와... 40

〈Figure 1.2.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기반으로 한 하천 유형화 41

〈Figure 2.1.1〉 LR-BP에서 사용하는 부착조류 채집을 위한 6개 횡단선과 12 채집구역의 예 47

〈Figure 2.1.2〉 UAEPA NRSA에서 사용하는 부착조류 채집을 위한 11개 횡단선과 조사구역의 예 49

〈Figure 2.1.3〉 인공기질 설치 모습과 설치 4주 후의 인공기질 및 자연기질 50

〈Figure 2.1.4〉 기질별 부착돌말 출현종수 52

〈Figure 2.1.5〉 설치 4주 후 기질별 생물량 비교 53

〈Figure 2.1.6〉 기질별 부착돌말지수(TDI) 비교 54

〈Figure 2.1.7〉 2015년 대하천 조사 평가 기법 마련 조사 지점 55

〈Figure 2.1.8〉 조사방법에 따른 지점별 출현종수 55

〈Figure 2.1.9〉 조사방법에 따른 지점별 우점종 56

〈Figure 2.1.10〉 설치 4주 후 기질별 생물량 비교 57

〈Figure 2.1.11〉 대하천 조사지점 59

〈Figure 2.1.12〉 부착돌말 대하천 건강성 평가방법 검증을 위한 조사지점 구성 60

〈Figure 2.1.13〉 조사방법에 따른 지점별 출현종수 61

〈Figure 2.1.14〉 생물량 비교 62

〈Figure 2.2.1〉 Sampling reach features for a non-wadeable site 66

〈Figure 2.2.2〉 Caton-grid net for sub-sampling 67

〈Figure 2.2.3〉 지점별 조사 위치 68

〈Figure 2.2.4〉 조사방법에 따른 지점별 종수 및 개체수 비교 70

〈Figure 2.2.5〉 조사방법에 따른 구간별 BMI 비교 71

〈Figure 2.2.6〉 조사방법에 따른 유사도백분율 72

〈Figure 2.2.7〉 출현개체수(조사정점 수)에 따른 지점별 종수 변화 74

〈Figure 2.2.8〉 출현개체수(조사정점 수)에 따른 지점별 군집지수 변화 75

〈Figure 2.2.9〉 출현개체수(조사정점 수)에 따른 지점별 EPT 변화 75

〈Figure 2.2.10〉 출현개체수(조사정점 수)에 따른 지점별 서식·섭식 기능군 분류군수 비율 변화 76

〈Figure 2.2.11〉 출현개체수(조사정점 수)에 따른 저서동물지수(BMI) 변화 76

〈Figure 2.3.1〉 어류 조사에 사용된 도구 79

〈Figure 2.3.2〉 조사도구에 따른 지짐별 평균 종수, 개체수 및 사후분석(Tukey HSD)을 통한 부집단 구분 80

〈Figure 2.3.3〉 조사도구에 따른 지짐별 고유종, 외래종, 법적보호종 종수 비율 비교 81

〈Figure 2.3.4〉 조사도구에 따른 지짐별 군집지수 및 사후분석(Tukey HSD)을 통한 부집단 구분 81

〈Figure 2.3.5〉 조사 도구별 평균 FAI 값 및 사후분석(Tukey HSD)을 통한 부집단... 82

〈Figure 2.3.6〉 조사 도구별 FAI 등급 변화 83

〈Figure 2.3.7〉 조사 도구별 FAI 등급 변화 85

〈Figure 2.3.8〉 지점별 채집 종수 비교 85

〈Figure 2.3.9〉 지점별 채집 종수 비교 87

〈Figure 2.3.10〉 4개 지점의 어구별 평균 채집 종수 및 개체수 비교 88

〈Figure 2.3.11〉 조사도구별 평균 FAI 값 89

〈Figure 2.3.12〉 어구별 FAI 등급 변화 90

〈Figure 2.3.13〉 지점별 채집 종수 비교 91

〈Figure 2.3.14〉 지점별 채집 개체수 비교 91

〈Figure 2.3.15〉 투망/족대 및 모든 어구의 메트릭별 값 분포 92

〈Figure 3.2.1〉 사업의 추진체계 98

〈Figure 3.3.1〉 대하천 조사구간 모식도 100

〈Figure 3.3.2〉 대하천 조사구간 및 각 횡단선에서의 조사정점 모식도 101

〈Figure 3.3.3〉 부착돌말류 시료의 채집, 전처리 및 슬라이드 제작 과정 102

〈Figure 3.3.4〉 거리별 순차적 조합의 예(1km 5정점 조사) 105

〈Figure 3.3.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시료의 전처리(Sulb-sampling) 및 골라내기(Sorting) 과정 108

〈Figure 3.3.6〉 대하천 본류구간 어류조사지점 114

〈Figure 3.3.7〉 어류 조사 도구 115

〈Figure 4.1.1〉 지점별 정점 조사횟수에 따른 부착돌말 출현종수 125

〈Figure 4.1.2〉 지점별 조사구간 길이에 따른 부착돌말 출현종수 126

〈Figure 4.1.3〉 지점별 조사구간 길이에 군집조성 변화 127

〈Figure 4.1.4〉 지점별 조사구간 길이에 따른 부착돌말군집 유사도지수 129

〈Figure 4.1.5〉 지점별 정점 조사횟수에 따른 주요 생태지표종의 상대밀도 변화 130

〈Figure 4.1.6〉 지점별 조사구간 길이에 따른 주요 생태지표종의 상대밀도 변화 132

〈Figure 4.1.7〉 지점별 정점 조사횟수에 따른 부착돌말지수 133

〈Figure 4.1.8〉 지점별 조사구간 길이에 따른 부착돌말지수 134

〈Figure 4.2.1〉 조사정점 수에 따른 주요 분류군의 출현종수 137

〈Figure 4.2.2〉 조사정점 수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개체수 점유율 139

〈Figure 4.2.3〉 5 정점 및 7 정점의 계수 개체수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개체수 점유율 140

〈Figure 4.2.4〉 조사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출현종수 변화 141

〈Figure 4.2.5〉 정점조사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출현종수 비교 143

〈Figure 4.2.6〉 조사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종풍부도지수와 다양도지수의 변화 145

〈Figure 4.2.7〉 조사정점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종풍부도지수 및 다양도지수의 비교 146

〈Figure 4.2.8〉 정점조사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우점도지수와 다양도지수의 변화 147

〈Figure 4.2.9〉 정점조사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우점도지수 및 균등도지수의 비교 149

〈Figure 4.2.10〉 조사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EPT(S)와 EPT(A)의 변화 151

〈Figure 4.2.11〉 조사정점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EPT(S) 및 EPT(A)의 비교 152

〈Figure 4.2.12〉 정점조사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BU/CL (S)와 BU/CL (A)의 변화 154

〈Figure 4.2.13〉 조사정점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BU/CL (S)와 BU/CL (A)의 비교 155

〈Figure 4.2.14〉 정점조사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CF+CG)/(SC+SH) (S)와 (CF+CG)/(SC+SH) (A)의 변화 157

〈Figure 4.2.15〉 조사정점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CF+CG)/(SC+SH) (S)와 (CF+CG)/(SC+SH) (A)의 비교 158

〈Figure 4.2.16〉 조사정점 수 및 출현개체수에 따른 BMI 변화 160

〈Figure 4.2.17〉 조사정점 수에 따른 계수 개체수별 BMI 비교 161

〈Figure 4.2.18〉 조사방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요소 재현성 검토(군집지수) 165

〈Figure 4.2.19〉 조사방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요소 재현성 검토(EPI) 166

〈Figure 4.2.20〉 조사방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요소 재현성 검토(BMI) 166

〈Figure 4.2.21〉 조사방법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요소 정확성 검토 167

〈Figure 4.3.1〉 대하천 구간 출현종수 및 개체수비교 177

〈Figure 4.3.2〉 대하천 구간 군집지수 비교 178

〈Figure 4.3.3〉 권역별 조사구간내 조사지점간 어류평가지표(FAI) 비교 178

〈Figure 4.3.4〉 본류구간 채집어종 전장분포 비교 179

〈Figure 4.3.5〉 대하천 수계별 조사 정점 갯수에 따른 어류평가항목 비교 180

〈Figure 4.3.6〉 대하천 조사 정점 갯수에 따른 군집유사도 비교 180

〈Figure 4.3.7〉 조사지점 개수에 따른 출현종 수의 상대비율 182

〈Figure 4.3.8〉 대하천 정치망 설치 및 수변부 조사구역 183

〈Figure 4.3.9〉 자망에 걸려 폐사한 어류 183

〈Figure 5.1.1〉 전체 조사지점의 조사방법별 부착돌말 출현종수 190

〈Figure 5.1.2〉 전체 조사지점의 조사방법별 부착돌말 세포밀도 189

〈Figure 5.1.3〉 대권역별 부착돌말류 우점종 비율 193

〈Figure 5.1.4〉 조사방법별 부착돌말류 생태지표종 출현비율 197

〈Figure 5.1.5〉 각 조사방법별 부착돌말류 군집지수 200

〈Figure 5.1.6〉 각 조사방법별 부착돌말류 생물량 203

〈Figure 5.2.1〉 대권역별 평균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05

〈Figure 5.2.2〉 주요 분류군의 대권역별 평균 출현 종수 및 개체수 209

〈Figure 5.2.3〉 대권역별 평균 군집지수 212

〈Figure 5.2.4〉 대권역별 주요 서식기능군의 평균 출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217

〈Figure 5.2.5〉 대권역별 주요 섭식기능군의 평균 출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222

〈Figure 5.2.6〉 대권역별 평균 EPT(S)와 EPT(A) 227

〈Figure 5.3.1〉 대권역 어류상대풍부도 현황 234

〈Figure 6.2.1〉 대권역별 평균 저서동물지수(BMI) 246

〈Figure 6.3.1〉 조사기법에 따른 어류평가지표와 BOD와 상관분석 251

〈Figure 6.3.2〉 조사기법에 따른 어류평가지표와 T-P와 상관분석 252

〈Figure 6.3.3〉 조사기법에 따른 어류평가지표와 Chl-a와 상관분석 253

〈Figure 7.1.1〉 부착돌말류 조사구간 설정 257

〈Figure 7.1.2〉 부착돌말류 표본제작 방법 264

〈Figure 7.2.1〉 조사구간 및 조사정점 설정 269

〈Figure 7.2.2〉 현장 기온 및 수온 측정 방법의 잘못된 사례 270

〈Figure 7.2.3〉 현장 수심 및 유속 측정 모습 271

〈Figure 7.2.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도구 273

〈Figure 7.2.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시료의 실험실 분석에 필요한 도구 275

〈Figure 7.2.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시료의 전처리(Subsampling) 및 골라내기(Sorting) 과정 278

〈Figure 7.2.7〉 동정(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280

〈Figure 7.3.1〉 대하천 조사구간 선정 292

〈Figure 7.3.2〉 어류 조사 장비 및 도구 294

〈Figure 7.3.3〉 하천 중앙부와 수변부 투망 투척 296

〈Figure 7.3.4〉 하천 중앙부와 수변부에서 족대를 이용한 조사모습 297

〈Figure 7.3.5〉 보트 승선시 안전장비착용(좌), 동력수상레져기구조정 면허증(우) 297

〈Figure 7.3.6〉 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사진 촬영한 사례 298

〈Figure 7.3.7〉 하천 상, 하류 및 현장조사 사진 299

〈Figure 7.3.8〉 어류 동정 참고문헌 301

〈Figure 7.3.9〉 비정상어류개체의 기준 30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67704 577.64 -18-4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67705 577.64 -18-4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