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자동수위계측 자료 관리 및 활용 기술개발 = Technical development for data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ing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s / 한국농어촌공사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산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18
청구기호
631.7 -19-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i, 255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Research report ; 2018
제어번호
MONO1201908010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이재주
부록: 연구대상 이상치 보정 결과 ; 연구대상 일별 공급량 ; 품질관리 결과
참고문헌: p. 225-227
한국농어촌공사 자체연구비를 지원받아 농어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보고서임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35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5

1. 연구배경 35

2. 연구목적 36

제2절 연구 범위 및 내용 37

1. 연구대상 37

2. 연구의 범위 38

3. 연구내용 38

제3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39

1. 기대효과 39

2. 실용화 방안 40

제2장 자동수위계측 자료 품질관리 기술개발 41

제1절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43

1. 국토해양부 및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3

2. 한강홍수통제소 44

3. 미국 EPA 45

4. 미국 USGS 46

5. 일반적인 단변량 이상치 추출 방법론 49

제2절 품질관리 현황 및 성능 평가 57

1. 수문자료 품질관리의 인식도 및 문제점 57

2. 기관 간 수문관측 자료 활용의 문제점 58

3. 수문자료 품질관리 성능 평가 58

제3절 수위계측 자료 이상치 보정기법 연구 59

1. 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 59

2.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적 방법론 60

3. 통계적 방법론을 통한 수위계측 자료 이상치 임계값 설정 66

제4절 수위계측 자료 이상치 탐지 모듈 개발 71

1. 모듈 개발 71

2. 수위계측 자료 관리 체계 및 문제점 73

3. 모듈 구동 결과 분석 74

4. 모듈 개선 79

제3장 수위계측 D/B 고도화 기술개발 95

제1절 기존 수위계측 자료 관리방법 분석 97

1. 기존 수위계측 자료 관리 수집 체계 97

제2절 수위계측 DB 고도화 기술 개발 98

1. 자료 품질 등급 관리 98

2. 수위계측 DB 고도화 99

3. 수위계측 고도화 DB 메타데이터 구성 100

제4장 수위계측 자료를 활용한 공급량 산정방법 개선 103

제1절 연구 표본지구 105

1. 표본지구 선정 105

2. 표본지구 개요 106

3. 표본지구 내용적곡선, 용수공급량 조사 112

제2절 계측자료를 활용한 공급량 산정 방법 수립 118

1. 개수로 평균 유속 산정법 118

2. Rating curve 작성 121

3. Manning equation 적용 126

제3절 수위-유량관계 조사 127

1. 이동저수지 수위-우량관계 조사 127

2. 길음양수장 수위-유량관계 조사 136

제4절 수위-유량관계 검증 및 공급량 산정 142

1. 수위-유량관계 곡선 142

2. 유속 측정 결과 143

3. 구배측량 결과 158

4. Manning 공식 조도계수 산정 167

5.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통한 용수공급량 산정 169

제5절 공급량 산정 개선방안 175

1. 수위-유량관계 곡선 비교 및 수위 거동분석 176

2. 공급량 산정 개선방안 183

제5장 공급량 추정 모듈 개발 193

제1절 용수공급량 추정 모듈 개발 195

1. 간선수로 수위계측 자료 구축 195

2. 계측 지역의 용수공급량 추정 200

3. 미계측 지역의 용수공급량 추정 201

제2절 개발 모듈의 공사 시스템 연계 방안 제시 202

1. 한국농어촌공사 통합 시스템 현황 202

2. 최적 자료 관리 방안 제안 205

제6장 자동수위계측 자료 활용방법 분석 211

제1절 수위계측 자료 장기 비교를 통한 절수 방안 마련 213

1. 실측에 의한 공급량과 관개 필요수량의 장기 비교 213

2. 절수 방안 마련 214

제2절 저수지 재난대비 수원공 계측시스템 활용 방안 216

1. 홍수분석 모델링 프로그램 활용방안 216

2. 모델이론 217

3. 홍수분석 방법 238

제3절 자동수위 계측정보의 지능형 물관리 활용방안 239

1.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239

2. 자동수위 계측자료의 활용 246

3.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주요기능 247

제7장 결론 251

참고문헌 257

부록 263

참여연구원 289

판권기 290

(표 2-1) 기관별 취급 수문자료 44

(표 2-2) 낙동강홍수통제소 수문자료 품질관리 업무 현황 57

(표 2-3) 이상치 처리가 어려운 자료 형태 77

(표 3-1) 메타데이터 유형과 세부 내용 102

(표 4-1) 연구 표본지구 선정 기준 105

(표 4-2) 대상지구 기후특성(수원측후소, 30년 평균) 107

(표 4-3) 이동 저수지 주요 제원 108

(표 4-4) 이동 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현황 109

(표 4-5) 이동 저수지 유역의 지형특성인자 109

(표 4-6) 길음 양수장 주요 제원 110

(표 4-7) 길음 양수장 펌프 제원 111

(표 4-8) 이동저수지 표고-내용적표 113

(표 4-9) 연화, 청북, 숙성간선의 월별 용수 공급량(103m3)(2015년) 114

(표 4-10) 연화, 청북, 숙성간선의 월별 용수 공급량(103m3)(2016년) 115

(표 4-11) 연화, 청북, 숙성간선의 월별 용수 공급량(103m3)(2017년) 115

(표 4-12) 평균유속 산정법 118

(표 4-13) 평균유속 산정법(계속) 119

(표 4-14) 대표적인 조도계수 121

(표 4-15) Manning의 하상조도계수 126

(표 4-16) 수문 개도율 15% 유량측정 결과 132

(표 4-17) 수문 개도율 20% 유량측정 결과 132

(표 4-18) 직접 수준측량 결과 135

(표 4-19) 직접 거리측량 결과 135

(표 4-20) 조도계수 산정결과 135

(표 4-21) 연화간선수로 펌프 3개 가동 유량측정 결과 141

(표 4-22) 수문개도율에 따른 수심별 유속 측정 결과 144

(표 4-23) 이동저수지 간선 유량 측정 결과 145

(표 4-24) 펌프 1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47

(표 4-25) 펌프 2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47

(표 4-26) 펌프 3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48

(표 4-27) 펌프 4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48

(표 4-28) 길음양수장 연화 간선 유량측정 결과 151

(표 4-29) 펌프 1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52

(표 4-30) 펌프 2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52

(표 4-31) 길음양수장 청북 간선 유량측정 결과 154

(표 4-32) 펌프 1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55

(표 4-33) 펌프 2대 가동 유량 측정 결과 156

(표 4-34)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유량측정 결과 157

(표 4-35) 이동저수지 간선수로 측량 결과(1차) 159

(표 4-36) 이동저수지 간선 수로측량 결과(2차) 161

(표 4-37) 길음양수장 연화 간선 수로측량 결과(2차) 163

(표 4-38)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수로측량 결과(1차) 164

(표 4-39)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수로측량 결과(2차) 165

(표 4-40) 길음양수장 청북 간선 수로측량 결과(1차) 166

(표 4-41) Manning 조도계수 산정을 위한 계산 167

(표 4-42) 수위계측자료 별 결측률 검사 결과 169

(표 4-43)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2014년~2017년) 174

(표 4-44) 길음양수장 용수공급량(2014년~2017년) 174

(표 4-45) 이동저수지 농업용수 공급량 184

(표 4-46) 분산분석(One-way ANOVA) 결과 185

(표 4-47) 농업용수 공급기간별 오차값(이동저수지) 186

(표 4-48) 길음양수장(연화간선) 공급량 비교표 189

(표 4-49) 하도저류 영향에 따른 수위 감소시간 비교표 191

(표 5-1) 이동저수지 간선수로 Manning 조도계수 산정 202

(표 5-2) 관련 장비 메타데이터 203

(표 5-3) 수위계측 자료 메타데이터 205

(표 5-4) 수위자료 메타데이터 항목(안) 207

(표 5-5) 수위자료 품질 등급 부여 기준 항목(안) 207

(표 6-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221

(표 6-2) NRCS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기준 227

(표 6-3) 정밀토양도에 의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228

(표 6-4) 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229

(표 6-5) 수문학적토양군별 토지피복별 CN값 229

(표 6-6) 자연하천유역 홍수도달시간 공식 235

(표 6-7) 유하유속을 산정하기 위한 유속과 경사에 따른 계수 237

(표 6-8) 환경부 토지피복별 K값 적용 237

(표 6-9) 관개·배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노드의 종류 242

(표 6-10) 관개·배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영역의 종류 243

(표 6-11) 수로조직 네트워크 모델링을 위한 노드, 링크, 영역 및 기타자료의 적용 245

(표 6-12) 자동수위 계측기 설치대상별 모니터링 내용 247

(표 6-13) 관개모의운영시스템 기능 내용 249

(표 7-1) 수동 품질관리가 필요한 자료 형태 253

〈그림 2-1〉 수문자료 품질관리 시스템 프로세스(국토해양부, 2008) 43

〈그림 2-2〉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국토해양부, 2008) 45

〈그림 2-3〉 USGS Bulletin No.15 flow chart 48

〈그림 2-4〉 NWIS 시스템 화면 48

〈그림 2-5〉 일반적인 이상치의 범위 49

〈그림 2-6〉 데이터 특성에 따른 이상치 검증방법 결정 순서도 56

〈그림 2-7〉 EPA에서 통계적 방법론 선택 기준 62

〈그림 2-8〉 Rosner 방법론의 적용 예 65

〈그림 2-9〉 Walsh 방법론 적용 방법 66

〈그림 2-10〉 길정 저수지 수위계측 자료 임계값 설정(3 표준편차) 67

〈그림 2-11〉 길정 저수지 수위계측 자료 임계값 설정(이동 평균) 68

〈그림 2-12〉 길정 저수지 수위계측 자료 임계값 설정(Walsh 방법론) 69

〈그림 2-13〉 이상치 보정 절차 70

〈그림 2-14〉 강청저수지 이상치 탐지 결과 71

〈그림 2-15〉 수문자료 품질관리 절차(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2014) 72

〈그림 2-16〉 모듈의 구성 72

〈그림 2-17〉 품질관리 모듈 플로차트 73

〈그림 2-18〉 수위계측 자료의 이상 사례(과학기술부/건설교통부, 2008) 75

〈그림 2-19〉 보정이 가능한 이상치 사례(과학기술부/건설교통부, 2008) 76

〈그림 2-20〉 수염모양 이상치 78

〈그림 2-21〉 이상치의 밀집 구역 78

〈그림 2-22〉 이상 수위의 지속 78

〈그림 2-23〉 오봉저수지 수위계측 자료 구간별 표준편차 적용 결과 79

〈그림 2-24〉 최적화 모듈의 적용 80

〈그림 2-25〉 α=0.5에서 오봉저수지 품질관리 결과 80

〈그림 2-26〉 α=0.25에서 오봉저수지 품질관리 결과 81

〈그림 2-27〉 α=0.2에서 오봉저수지 품질관리 결과 81

〈그림 2-28〉 α=0.1에서 오봉저수지 품질관리 결과 81

〈그림 2-29〉 일차원 비구속 최적화 예시(Chapra and Canale, 2014) 83

〈그림 2-30〉 황금 분할 탐색법(Chapra and Canale, 2014) 84

〈그림 2-31〉 2차 보간법의 그래프를 이용한 설명(Chapra and Canale, 2014) 85

〈그림 2-32〉 가북저수지 RIMS/일단위 자료 비교 88

〈그림 2-33〉 가북저수지 원시/품질관리 자료 비교 88

〈그림 2-34〉 오봉저수지 RIMS/일단위 자료 비교 89

〈그림 2-35〉 오봉저수지 원시/품질관리 자료 비교 89

〈그림 2-36〉 원남저수지 RIMS/일단위 자료 비교 90

〈그림 2-37〉 원남저수지 원시/품질관리 자료 비교 90

〈그림 2-38〉 탑정저수지 RIMS/일단위 자료 비교 91

〈그림 2-39〉 탑정저수지 원시/품질관리 자료 비교 91

〈그림 2-40〉 선형 보간 적용/미적용 그래프 92

〈그림 2-41〉 양오1간선 수위계측 자료 품질관리 결과 93

〈그림 3-1〉 수위계측 자료 관리 수집 체계(안) 97

〈그림 3-2〉 자료의 품질관리 체계 99

〈그림 3-3〉 수위계측 DB 자료관리 체계 99

〈그림 3-4〉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방안 예시 100

〈그림 4-1〉 이동 저수지 유역 및 관측망 106

〈그림 4-2〉 이동 저수지 및 이동유역도 109

〈그림 4-3〉 길음 양수장 및 평택지사 위치 지도 111

〈그림 4-4〉 이동 저수지 내용적 측량 3차원 입체도 112

〈그림 4-5〉 이동 저수지 표고-내용적, 수면적 곡선 113

〈그림 4-6〉 내용적곡선 활용 및 용수공급량 산정 방안 114

〈그림 4-7〉 간선별 관개기간의 용수 공급량 산정 그래프(2015년) 116

〈그림 4-8〉 간선별 관개기간의 용수 공급량 산정 그래프(2016년) 116

〈그림 4-9〉 간선별 관개기간의 용수 공급량 산정 그래프(2017년) 117

〈그림 4-10〉 표면유속 측정 원리 119

〈그림 4-11〉 단순 수위-유량 관계곡선 122

〈그림 4-12〉 단순 수위-유량 관계 형태(USGS, 1982) 125

〈그림 4-13〉 개수로 동수반경 127

〈그림 4-14〉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및 유량측정 지점 128

〈그림 4-15〉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유속측정 130

〈그림 4-16〉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단면도 및 유량측정구간 130

〈그림 4-17〉 수문 개도율 15%-구간별 유속 131

〈그림 4-18〉 수문 개도율 20%-구간별 유속 131

〈그림 4-19〉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수위-유량관계 그래프 133

〈그림 4-20〉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수로구배 측정지점 134

〈그림 4-21〉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수로구배 측정과정 134

〈그림 4-22〉 Manning 공식을 이용한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수위-유량관계 곡선 136

〈그림 4-23〉 길음 양수장 및 길음 양수장 간선수로 137

〈그림 4-24〉 연화간선수로 유량측정 지점 138

〈그림 4-25〉 길음 양수장 연화간선수로 유속측정 139

〈그림 4-26〉 연화간선수로 단면도 및 유량측정구간 139

〈그림 4-27〉 연화간선 3개 펌프 가동 구간별 유속 140

〈그림 4-28〉 길음 양수장 연화간선수로 수위-유량관계 그래프 141

〈그림 4-29〉 Loop형 수위-유량 관계 곡선의 예 143

〈그림 4-30〉 이동 저수지 간선수로 유속 측정 전경 144

〈그림 4-31〉 이동저수지 간선수로 수위-유량 곡선 145

〈그림 4-32〉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유속 측정 전경 146

〈그림 4-33〉 펌프 1대 가동 구간별 유속 149

〈그림 4-34〉 펌프 2대 가동 구간별 유속 149

〈그림 4-35〉 펌프 3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0

〈그림 4-36〉 펌프 4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0

〈그림 4-37〉 길음양수장 연화 간선 수위-유량 곡선 151

〈그림 4-38〉 펌프 1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3

〈그림 4-39〉 펌프 2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3

〈그림 4-40〉 길음양수장 청북 간선 수위-유량 곡선 154

〈그림 4-41〉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유속 측정 155

〈그림 4-42〉 펌프 1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6

〈그림 4-43〉 펌프 2대 가동 구간별 유속 157

〈그림 4-44〉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수위-유량 곡선 158

〈그림 4-45〉 이동저수지 간선수로 측량 결과(1차) 159

〈그림 4-46〉 이동저수지 간선 수로 측량(2차) 160

〈그림 4-47〉 이동저수지 간선 수로 측량결과(2차) 161

〈그림 4-48〉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수로측량 162

〈그림 4-49〉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측량결과 163

〈그림 4-50〉 길음양수장 숙성간선 측량결과(1차) 164

〈그림 4-51〉 길음양수장 숙성 간선 수로측량 165

〈그림 4-52〉 길음양수장 숙성간선 측량결과(2차) 166

〈그림 4-53〉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측량결과(1차) 167

〈그림 4-54〉 라이닝 또는 조립식 개수로 조도계수 값(농림부, 2004) 168

〈그림 4-55〉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2015년) 170

〈그림 4-56〉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2016년) 170

〈그림 4-57〉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2017년) 171

〈그림 4-58〉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용수공급량(2015년) 171

〈그림 4-59〉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용수공급량(2016년) 172

〈그림 4-60〉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용수공급량(2017년) 172

〈그림 4-61〉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용수공급량(2015년) 173

〈그림 4-62〉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용수공급량(2016년) 173

〈그림 4-63〉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용수공급량(2017년) 174

〈그림 4-64〉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2014년~2017년) 175

〈그림 4-65〉 길음양수장 용수공급량(2014년~2017년) 175

〈그림 4-66〉 이동저수지 진위간선수로 수위-유량관계 곡선 177

〈그림 4-67〉 접촉식 간이 유속계 178

〈그림 4-68〉 이동저수지 자동 수위계측 자료(공급 시작) 179

〈그림 4-69〉 이동저수지 자동 수위계측 자료(공급 종료) 179

〈그림 4-70〉 버들저수지 수위 감소 소요시간 180

〈그림 4-71〉 길음양수장(연화간선) 수위 감소 소요시간 181

〈그림 4-72〉 버들저수지 수위-유량관계 곡선 182

〈그림 4-73〉 수위-유량관계 곡선 183

〈그림 4-74〉 이동저수지 농업용수 공급량 184

〈그림 4-75〉 선형회귀분석 결과 187

〈그림 4-76〉 실측 공급량-관개 필요수량 비교 그래프 188

〈그림 4-77〉 길음양수장(연화간선) 공급량 비교 그래프 189

〈그림 4-78〉 길음양수장(연화간선) 공급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 190

〈그림 4-79〉 길음양수장 수위계측 자료(11월) 190

〈그림 5-1〉 이동저수지 수위계측 자료(2015년) 195

〈그림 5-2〉 이동저수지 수위계측 자료(2016년) 196

〈그림 5-3〉 이동저수지 수위계측 자료(2017년) 196

〈그림 5-4〉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수위계측 자료(2015년) 197

〈그림 5-5〉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수위계측 자료(2016년) 197

〈그림 5-6〉 길음양수장 연화간선 수위계측 자료(2017년) 198

〈그림 5-7〉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수위계측 자료(2015년) 198

〈그림 5-8〉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수위계측 자료(2016년) 199

〈그림 5-9〉 길음양수장 청북간선 수위계측 자료(2017년) 199

〈그림 5-10〉 계측지역 용수공급량 추정 모듈 플로차트 200

〈그림 5-11〉 이동저수지 용수공급량 추정 201

〈그림 5-12〉 품질관리 인터페이스(제안) 203

〈그림 5-13〉 품질등급 부여 예시 208

〈그림 5-14〉 품질등급 부여 예시 208

〈그림 5-15〉 가북저수지 품질관리 자료에 강우량 표출 209

〈그림 5-16〉 오봉저수지 품질관리 자료에 강우량 표출 209

〈그림 6-1〉 수위계측 자료 장기 비교 그래프 214

〈그림 6-2〉 중소규모 다기능 저류조 예시 215

〈그림 6-3〉 홍수분석모델링 프로그램 예상강우분석 결정과정 216

〈그림 6-4〉 홍수분석시스템 모식도 216

〈그림 6-5〉 실시간 자동수위 계측정보를 활용한 방류량 결정과정 217

〈그림 6-6〉 무차원 누가우량 산정지점도 220

〈그림 6-7〉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221

〈그림 6-8〉 GIS기법에 의한 NRCS-CN 산정절차 224

〈그림 6-9〉 Clark 단위도법 개념 230

〈그림 6-10〉 순간단위도에서 임의시간 단위도로 변환하는 모식도 232

〈그림 6-11〉 GIS기법에 의한 집중시간 산정절차 236

〈그림 6-12〉 용수로 및 배수로 네트워크 구성 241

〈그림 6-13〉 수로조직 네트워크 모식도 244

〈그림 6-14〉 모델링 과정(네트워크모델링 → SWMM 모델링) 245

〈그림 6-15〉 수문(gate)의 수리해석 246

〈그림 6-16〉 관개 운영시스템 모식도 및 기능(관개계획 수립) 24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4442 631.7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4443 631.7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