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contents system of curriculum / 교육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교육부, 2018
청구기호
379.155 -19-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 458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정책연구 교육부-위탁 ; 2018-13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7941
제어번호
MONO120190824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자: 민용성 ; 공동연구자: 정영근, 이주연, 노은희, 신호재, 양성현, 유창완, 이경언, 김자영, 곽영순, 전재호 외
부록: 핵심역량(기능)과 교과 간 연계·융합(핵심 개념) 수업 전개 예시
참고문헌: p. 365-379
2018년도 교육부 정책연구비로 수행되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판권기

제출문

연구 협력진

연구요약

목차

I. 서론 21

1. 연구의 필요성 23

2. 연구 목적 26

3. 연구 내용 26

4. 연구 방법 28

II.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31

1.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내용 체계 33

2. 우리나라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내용 체계 변천 34

3. 교과 교육과정의 의의와 역할·기능 변화 45

III. 주요국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49

1. 싱가포르 51

2. 영국 59

3. 일본 65

4. 캐나다 75

5. 핀란드 83

6. 호주 88

IV.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분석 97

1. '핵심역량'을 반영한 교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99

2.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현황과 과제 210

3. 교과 내용 체계의 항목 간 관계 검토 282

V.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개선 방안 309

1. 교과 학습 제고를 위한 내용 체계의 구성 방향 311

가. 핵심역량 반영 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311

나. 핵심 개념 반영 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338

2.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개선 방안 356

가. '기능'과 '핵심 개념'의 발전적 제고 356

나. '일반화된 지식'의 재고 357

VI. 요약 및 정책 제언 361

1. 요약 363

2. 정책 제언 377

참고문헌 385

부록 401

핵심역량(기능)과 교과 간 연계·융합(핵심 개념) 수업 전개 예시 403

〈표 II-2-1〉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변화(국어과 교육과정) 35

〈표 III-1-1〉 싱가포르 교과 수업을 위한 역량 및 하위 영역 52

〈표 III-1-2〉 싱가포르 교과 교육과정 분석 문서 53

〈표 III-1-3〉 싱가포르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영어, 음악) 53

〈표 III-1-4〉 싱가포르 음악과 역량별 영역 및 음악과의 역할 57

〈표 III-2-1〉 영국의 영어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59

〈표 III-2-2〉 영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62

〈표 III-2-3〉 영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63

〈표 III-3-1〉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65

〈표 III-3-2〉 일본 핵심역량의 자질·능력 구성 68

〈표 III-3-3〉 일본의 자질·역량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69

〈표 III-4-1〉 캐나다 BC 주의 영어과 교육과정 개관 76

〈표 III-4-2〉 캐나다 BC 주의 2학년 영어과 교육과정 77

〈표 III-4-3〉 캐나다 BC 주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역량(1학년) 80

〈표 III-5-1〉 핀란드 3-6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체제(예시) 83

〈표 III-5-2〉 핀란드 3-6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 수업 목표(예시) 84

〈표 III-5-3〉 핀란드 3-6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의 6학년 말에 도달해야 할 평가 준거(예시) 85

〈표 IV-1-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 역량 99

〈표 IV-1-2〉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영역별 기능 103

〈표 IV-1-3〉 국어 중학교 1-3학년군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진술 유형 검토 107

〈표 IV-1-4〉 국어 중학교 1-3학년군 '문법' 영역 성취기준 진술 유형 검토 109

〈표 IV-1-5〉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사회 교과 역량 111

〈표 IV-1-6〉 교육과정 총론, 사회과, 도덕과의 교과 역량과 '통합사회' 과목의 교과 역량 비교 112

〈표 IV-1-7〉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역량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비교 113

〈표 IV-1-8〉 사회과 '사회' 과목 영역별 기능 116

〈표 IV-1-9〉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 내용 체계 117

〈표 IV-1-10〉 사회과 '사회' 과목 성취기준 형태별 예시 120

〈표 IV-1-11〉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 성취기준 분석 121

〈표 IV-1-12〉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과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역량 비교 125

〈표 IV-1-13〉 도덕과 교육과정 영역에 따른 초등학교 도덕과 기능 예 127

〈표 IV-1-14〉 영역별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 분석 및 개선 방향 제안 129

〈표 IV-1-15〉 성취기준 진술에 따른 유형 분류 131

〈표 IV-1-16〉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역량과 하위 요소 135

〈표 IV-1-17〉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내용 영역별 기능 현황 137

〈표 IV-1-18〉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내용 영역별 기능 현황 138

〈표 IV-1-19〉 초·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평가준거 성취기준의 수 140

〈표 IV-1-20〉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성취기준 진술 유형 분류 141

〈표 IV-1-21〉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성취기준 내용 영역별 진술 유형 수 142

〈표 IV-1-22〉 정보처리 능력의 하위 요소와 그 의미 및 기능 142

〈표 IV-1-2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의 성취기준 143

〈표 IV-1-24〉 2015 개정 과학과 교과역량과 NGSS 실천의 비교 144

〈표 IV-1-2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NGSS의 실천 비교 148

〈표 IV-1-26〉 핵심 개념 '지구계'에 대한 2015 개정 과학과 성취기준과 NGSS 수행기대 비교 149

〈표 IV-1-27〉 NGSS 실천, 수행 증거 및 활동의 연계 예시 150

〈표 IV-1-28〉 실과(기술·가정)에 제시된 교과 역량 및 정의 151

〈표 IV-1-29〉 국외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비교 153

〈표 IV-1-30〉 국외 기술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비교 154

〈표 IV-1-31〉 실과(기술·가정) 교과 교육을 통해 육성 가능한 핵심역량 영역 154

〈표 IV-1-32〉 연구자별 교과 관련 역량 제시 155

〈표 IV-1-33〉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 교과 역량과 선행 연구의 역량과의 관련성 156

〈표 IV-1-34〉 1-2학년군 공예 과목 수업 목표(Objectives of instruction in crafts in grade 1-2) 157

〈표 IV-1-35〉 교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1차 연구 결과의 실과(기술·가정) 교과 역량 157

〈표 IV-1-36〉 프트웨어 교육 관련 2015 개정 교육과정 체계 159

〈표 IV-1-37〉 세계 주요국가 소프트웨어 교육의 역량 교육 사례 160

〈표 IV-1-38〉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기능'의 재구성 164

〈표 IV-1-39〉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역량과 실과 핵심역량 간의 관련성 165

〈표 IV-1-40〉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표 166

〈표 IV-1-41〉 성취기준 진술에 따른 유형 분류 168

〈표 IV-1-42〉 성취기준 진술에 따라 반영된 기능 분석 171

〈표 IV-1-43〉 체육 교과 역량의 의미 175

〈표 IV-1-44〉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의 기능 181

〈표 IV-1-45〉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의 내용 요소 및 기능 183

〈표 IV-1-46〉 음악 교과 역량의 의미 및 하위 요소 186

〈표 IV-1-47〉 프랑스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역량과 성취기준의 위계화 189

〈표 IV-1-48〉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음악'의 내용 요소, 기능, 성취기준 간의 관계 190

〈표 IV-1-49〉 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191

〈표 IV-1-50〉 미술과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 교수·학습 방향, 교수·학습 방법 194

〈표 IV-1-51〉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196

〈표 IV-1-52〉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창의적 역량 및 비판적 분석 역량의 세부적 단계 198

〈표 IV-1-53〉 2009,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표현' 영역 성취기준 비교 203

〈표 IV-1-54〉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개념 204

〈표 IV-1-55〉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중학교 표현 영역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204

〈표 IV-1-56〉 2015 개정 영어 교과 내용 체계표의 학교급 및 영역별 '기능' 비교 207

〈표 IV-1-57〉 2015 개정 영어과 중학교 성취기준(예시) 208

〈표 IV-2-1〉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영역별 핵심 개념 210

〈표 IV-2-2〉 국어 초등학교·중학교 '듣기·말하기'와 '문법' 영역의 핵심 개념 검토 212

〈표 IV-2-3〉 사회과 '사회' 과목 영역별 핵심 개념 217

〈표 IV-2-4〉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 영역별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 218

〈표 IV-2-5〉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의 핵심 개념 검토 219

〈표 IV-2-6〉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의 통합적 접근 예시 220

〈표 IV-2-7〉 사회과 '사회' 과목 중 일반사회 영역의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 222

〈표 IV-2-8〉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의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 225

〈표 IV-2-9〉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초등학교의 핵심 가치와 내용 요소 227

〈표 IV-2-10〉 교과 간 연결성 매개로서의 초등학교 핵심 가치 검토 예 229

〈표 IV-2-11〉 도덕과 영역에 따른 핵심 가치-일반화된 지식-내용 요소 231

〈표 IV-2-12〉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핵심 개념 233

〈표 IV-2-1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집필된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234

〈표 IV-2-14〉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미술과', '체육과', '도덕과'의 핵심 개념 235

〈표 IV-2-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의 함수 영역과 고등학교... 236

〈표 IV-2-16〉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과 NGSS의 핵심 개념 비교 238

〈표 IV-2-17〉 2015 개정 통합과학 핵심 개념의 연결 매개체로서의 위상 240

〈표 IV-2-18〉 NGSS의 관통개념 중심의 내용 연계 예시(관통 개념 : 에너지와 물질) 240

〈표 IV-2-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생명과학의 일반화된 지식 예시 242

〈표 IV-2-20〉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기술시스템 영역의 내용 체계(일부) 245

〈표 IV-2-21〉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가정생활' 내용 요소 개정 시안 248

〈표 IV-2-22〉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내용 요소 개정 시안 249

〈표 IV-2-23〉 2n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중학교 내용 체계표의 핵심 개념 및 내용 요소 254

〈표 IV-2-24〉 2015 개정 중학교 교과별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256

〈표 IV-2-25〉 2015 개정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259

〈표 IV-2-26〉 2015 개정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 262

〈표 IV-2-27〉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핵심 개념과 연계 가능한 다른 교과의 핵심 개념 264

〈표 IV-2-28〉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일반화된 지식 265

〈표 IV-2-29〉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술과 핵심 개념 266

〈표 IV-2-30〉 2015 개정 미술과, 음악과, 체육과, 영어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267

〈표 IV-2-31〉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변천 270

〈표 IV-2-3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중 '연결' 272

〈표 IV-2-33〉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273

〈표 IV-2-34〉 2015 개정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듣기 영역 내용 체계표 275

〈표 IV-2-35〉 중학교 영어과 핵심 개념 설정 매트릭스 277

〈표 IV-2-36〉 중학교 영어과 내용 체계표 수정안 검토 매트릭스 279

〈표 IV-2-37〉 중학교 영어과의 교과 간 연결성 매개로서의 핵심 개념 280

〈표 IV-2-38〉 2015 개정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말하기 영역 내용 체계표 281

〈표 IV-3-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체계(일부) 283

〈표 IV-3-2〉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및 핵심 개념 289

〈표 IV-3-3〉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핵심 개념의 연계성 비교 290

〈표 IV-3-4〉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의 핵심 개념 291

〈표 IV-3-5〉 2015 개정 과학과 핵심 개념별 초·중·고 내용 요소 전개 292

〈표 IV-3-6〉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NGSS의 실천 비교 293

〈표 IV-3-7〉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 요소 295

〈표 IV-3-8〉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일러두기에서 밝힌 각 요소들의 의미 304

〈표 IV-3-9〉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영역, 핵심 개념, 기능의 관계 305

〈표 IV-3-10〉 영어과 핵심역량 개선 방향 306

〈표 IV-3-11〉 영어과 듣기 영역 내용 체계표 개선 방향(예시) 307

〈표 V-1-1〉 산업·경영·직업과 학교 교육의 핵심역량의 다른 맥락 318

〈표 V-1-2〉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기능' 제시 방식 현황 333

〈표 V-1-3〉 주요국의 핵심 개념 동의어의 용어와 의미 339

〈표 V-1-4〉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 345

〈표 V-1-5〉 핵심 개념 설정 구도 355

〈표 V-2-1〉 채드윅 초등학교의 내용 체계표 358

〈표 V-2-2〉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두 가지 형태 359

[그림 III-1-1] 21세기 역량 프레임워크 52

[그림 III-1-2] 싱가포르의 영어과 및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량 모형 55

[그림 III-1-3]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모형 58

[그림 III-2-1] 영국의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61

[그림 III-2-2] 영국 국가 교육과정의 프레임 64

[그림 III-4-1] 캐나다 BC 주 영어과 교육과정의 빅 아이디어(예시) 78

[그림 III-4-2] 캐나다 BC 주 영어과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역량(예시) 79

[그림 III-4-3] 캐나다 BC 주 영어과 2학년 교육과정 핵심역량, 빅 아이디어 학습 기준... 82

[그림 III-6-1] 호주의 국가 교육과정 구성 89

[그림 III-6-2] 호주 역사과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항목 89

[그림 III-6-3] 일반역량 '문해력'의 구성 요소 90

[그림 III-6-4] '문해력'의 구성 요소인 '문법 지식'에 대한 설명 91

[그림 III-6-5] 호주 교육과정의 일반 역량 아이콘 92

[그림 III-6-6] 영어과의 성취기준별 아이콘 사용 예시 93

[그림 III-6-7] NSW의 역사 교과 성취기준 코드 부여 방식 94

[그림 III-6-8] NSW의 역사과 성취기준 코딩 제시 방식 예시 95

[그림 IV-1-1] 도덕과 성취기준의 구조 및 분석 131

[그림 IV-1-2]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차원과 수학 교과 차원 핵심 역량의 연결성 135

[그림 IV-1-3] 교과 역량, 기능, 성취기준, 수업활동 간의 연계 예시(실과 중학교 '기술 활용' 영역) 158

[그림 IV-1-4] 실과 교과 역량(관계형성능력) 중심 연계 타 교과 역량 도식도(예시안) 162

[그림 IV-1-5] 성취기준 진술 분석 168

[그림 IV-1-6] 체육 교과 역량 설정 근거 177

[그림 IV-1-7] 교육과정 총론 핵심역량과 미술 교과 역량의 관계 193

[그림 IV-1-8]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창의적 역량(The Creative Process)의 구현 절차 199

[그림 IV-1-9]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예술 교육과정의 The Creative Process 설명 200

[그림 IV-1-10]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안내된 관점으로 표현하기'에 대한 설명 201

[그림 IV-2-1]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예술 교육과정 시각예술 영역(Visual Art Strand)의... 269

[그림 IV-3-1]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287

[그림 IV-3-2] 건강과 체력평가 단원의 분석과 설계의 구조(내용, 성취기준,핵심 개념,... 301

[그림 V-1-1] 핵심역량의 정책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314

[그림 V-1-2] 핵심역량이 교육과정으로 들어가는 통로 322

[그림 V-1-3] 핵심역량 교육과정 설계 방향 325

[그림 V-1-4]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구도 328

[그림 V-1-5] 교과 학습과 핵심역량의 형성 329

[그림 V-1-6] '기능'의 용처 330

[그림 V-1-7] 교과-역량-기능 간의 관계 구도 332

[그림 V-1-8]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근본 개념과 빅 아이디어 기반 목표·내용 구성 350

[그림 V-1-9] 핵심 개념을 통한 교과·영역 간 연결 구도 354

[그림 V-2-1] 지식의 구조와 예 35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5175 379.155 -19-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5176 379.155 -19-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