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 A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ubject curricula : focused on mathematic, science, and social studies / 교육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교육부, 2018
청구기호
379.155 -19-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v, 343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정책연구 교육부-위탁 ; 2018-18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7965
제어번호
MONO1201908251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자: 권점례 ; 공동연구자: 김성경, 김현미, 김현정, 배화순, 안유민, 유은정, 이광상, 이동욱, 정연준, 최인선 외
참고문헌: p. 335-343
2018년도 교육부 정책연구비로 수행되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판권기

제출문

연구 협력진

연구 요약

목차

I.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 21

2. 연구 목적 23

3. 연구 내용 23

가. 연구 대상 국가의 선정 23

나.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비교·분석틀 구안 23

다. 연구 대상 국가의 교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24

라. 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 24

4. 연구 방법 25

가. 문헌 연구 25

나. 전문가 협의회 25

다. 워크숍 25

II.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27

1.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기초 29

가.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 29

나.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동향 32

다.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자료 46

2.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실제 48

가. 교과목의 구성 48

나. 문서 체제 56

다. 수학과 목표 68

라. 수학 교과 역량 75

마. 영역의 구성 89

바. 성취기준의 진술 96

사. 내용의 범위와 수준 105

아. 교수·학습 및 평가 121

자. 타 교과 및 범교과 주제와의 연계 130

3. 시사점 133

가. 교과목의 구성 관련 시사점 133

나. 문서 체제 관련 시사점 134

다. 교과 목표 관련 시사점 135

라. 수학 교과 역량 관련 시사점 135

마. 영역의 구성 관련 시사점 136

바. 성취기준의 진술 관련 시사점 136

사. 내용의 범위와 수준 관련 시사점 137

아.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시사점 138

자. 타 교과 및 범교과 주제와의 연계 138

III.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139

1.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기초 141

가. 개관 141

나.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동향 143

2.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실제 150

가. 교과목의 구성 150

나. 문서 체제 152

다. 과학과 목표 161

라. 과학 교과 역량 165

마. 영역의 구성 172

바. 성취기준의 진술 176

사. 내용의 범위와 수준 183

아. 교수·학습 및 평가 187

자. 과학과 고유의 분석 : 과학적 탐구 190

3. 시사점 216

IV.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221

1.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기초 223

가.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 223

나.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동향 227

2.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실제 234

가. 교과목의 구성 234

나. 문서 체제 236

다. 사회과 목표 241

라. 핵심역량 250

마. 영역의 구성 257

바. 성취기준의 진술 261

사. 내용의 범위와 수준 280

아. 교수·학습 및 평가 311

자. 사회과 고유의 분석 : 기능의 위계화 322

3. 시사점 330

V. 요약 및 정책 제언 335

1. 요약 337

가.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337

나.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338

다.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341

2. 정책 제언 347

참고문헌 353

〈표 I-3-1〉 교과별 연구 대상 국가 선정의 실제 23

〈표 I-3-2〉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교과 고유의 주제 24

〈표 II-1-1〉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 29

〈표 II-1-2〉 스웨덴의 의무교육 과정 1~9학년 수업 시수 변화 38

〈표 II-1-3〉 뉴질랜드 학교의 종류 43

〈표 II-1-4〉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자료 46

〈표 II-2-1〉 CCSSM의 유치원 및 초·중학교 교과목의 구성 48

〈표 II-2-2〉 CCSSM의 고등학교 교과목의 구성 49

〈표 II-2-3〉스웨덴의 교과목 구성 49

〈표 II-2-4〉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목 구성 50

〈표 II-2-5〉 후기 중등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목의 구성 50

〈표 II-2-6〉 싱가포르 초·중등학교 수학과 교과목의 구성 52

〈표 II-2-7〉 뉴질랜드 교육과정에서 수학과 통계학 교과의 구성 54

〈표 II-2-8〉 연구 대상 국가의 초·중학교 교과목의 구성 54

〈표 II-2-9〉 연구 대상 국가의 고등학교 교과목의 구성 55

〈표 II-2-10〉 미국 CCSSM의 문서 체계 58

〈표 II-2-11〉 스웨덴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60

〈표 II-2-12〉 에스토니아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61

〈표 II-2-13〉 싱가포르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63

〈표 II-2-14〉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65

〈표 II-2-15〉 연구 대상 국가 수학과 교육과정의 자료 제공 방식 및 문서 체제 66

〈표 II-2-16〉 싱가포르의 학교급 또는 수준에 따른 수학과 목표 71

〈표 II-2-17〉 연구 대상 국가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과 목표의 구성 및 주요 특징 73

〈표 II-2-18〉 CCSSM의 수학적 실천 75

〈표 II-2-19〉 에스토니아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 학습을 통해 개발해야 하는... 77

〈표 II-2-20〉 초등학교 수학적 과정과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지표 80

〈표 II-2-21〉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그 의미 81

〈표 II-2-22〉 '수학과 통계학'에서 '사고'를 사용하는 예시 84

〈표 II-2-23〉 연구 대상 국가 교육과정에서 총론의 핵심역량과 수학 교과 역량의 구성 84

〈표 II-2-24〉 연구 대상 국가 교육과정에서 역량 반영 양상 88

〈표 II-2-25〉 미국 CCSSM의 학년별 영역 구분 90

〈표 II-2-26〉 스웨덴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 91

〈표 II-2-27〉 에스토니아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 91

〈표 II-2-28〉 싱가포르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 92

〈표 II-2-29〉 싱가포르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각 학년의 내용 영역별 하위 영역 92

〈표 II-2-30〉 뉴질랜드 수학과 통계의 영역 구분 93

〈표 II-2-31〉 연구 대상 국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구분 93

〈표 II-2-32〉 CCSSM의 1학년 개관 96

〈표 II-2-33〉 CCSSM의 1학년 '연산과 대수적 사고' 영역의 교육 내용 97

〈표 II-2-34〉 스웨덴 1-3학년군 '대수' 영역의 교육 내용 98

〈표 II-2-35〉 1단계 학습 '계산' 영역의 학습 결과와 학습 내용 99

〈표 II-2-36〉 1학년 '수와 대수' 영역 '범자연수'의 내용과 학습 경험 100

〈표 II-2-37〉 뉴질랜드 교육과정 '수학과 통계학' 1수준 '수와 대수' 영역 교육 내용 101

〈표 II-2-38〉 연구 대상 국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구분 102

〈표 II-2-3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내용 체계(일부) 103

〈표 II-2-40〉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수와 연산' 영역 성취기준(일부) 104

〈표 II-2-41〉 중학교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을 위해 추출한 수학 내용 106

〈표 II-2-42〉 연구 대상 국가 중학교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의 주된 학년 107

〈표 II-2-43〉 수와 연산과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08

〈표 II-2-44〉 다항식과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0

〈표 II-2-45〉 방정식과 부등식에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2

〈표 II-2-46〉 함수와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3

〈표 II-2-47〉 평면도형과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5

〈표 II-2-48〉 입체도형과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7

〈표 II-2-49〉 확률과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8

〈표 II-2-50〉 통계와 관련된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19

〈표 II-2-51〉 기타 수학 내용의 범위와 수준 분석 120

〈표 II-2-52〉 연구 대상 국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주요 특징 128

〈표 II-2-5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1-3학년군 수와 연산 영역 성취기준의 일부 129

〈표 III-1-1〉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대상 국가 142

〈표 III-1-2〉 에스토니아 학교의 종류 144

〈표 III-1-3〉 연구 대상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148

〈표 III-2-1〉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152

〈표 III-2-2〉 국가별 과학과 목표 164

〈표 III-2-3〉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핵심역량 169

〈표 III-2-4〉 호주의 범교과 역량 170

〈표 III-2-5〉 한국,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핵심역량 171

〈표 III-2-6〉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년별 핵심 개념 173

〈표 III-2-7〉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및 하위 항목 174

〈표 III-2-8〉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과학과 교육과정 영역 비교 175

〈표 III-2-9〉 호주의 학년별 성취 표준 내용 180

〈표 III-2-10〉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비교 182

〈표 III-2-11〉 호주의 학년별 내용 185

〈표 III-2-12〉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과학과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 비교 187

〈표 III-2-13〉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비교 190

〈표 III-2-14〉 탐구 영역 분석률 192

〈표 III-2-15〉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내용 194

〈표 III-2-16〉 에스토니아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내용 198

〈표 III-2-17〉 캐나다(BC)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내용 201

〈표 III-2-18〉 호주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내용 206

〈표 III-2-19〉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BC), 호주의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 요소 빈도 210

〈표 IV-1-1〉 사회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분석틀 223

〈표 IV-1-2〉 연구 대상 국가별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232

〈표 IV-2-1〉 연구 대상 국가의 사회과 교과명 및 초·중학교 과목명 234

〈표 IV-2-2〉 연구 대상 국가의 사회과 학습 시작 시기 및 초·중학교 학년(군)별 교과목 구성 235

〈표 IV-2-3〉 연구 대상 국가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특징 237

〈표 IV-2-4〉 뉴질랜드 사회과 총괄 목표 242

〈표 IV-2-5〉 스웨덴 역사 과목 목표 243

〈표 IV-2-6〉 초등학교와 중학교 인성 및 시민성교육 과목의 목표 245

〈표 IV-2-7〉 싱가포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인성 및 시민성교육 과목의 단원별 목표 246

〈표 IV-2-8〉 싱가포르 사회 과목의 목표 247

〈표 IV-2-9〉 영국의 지리 과목의 목표 248

〈표 IV-2-10〉 국가별 사회과 목표 제시 방식 249

〈표 IV-2-11〉 뉴질랜드의 핵심역량 250

〈표 IV-2-12〉 싱가포르 초등 사회 과목의 21세기 핵심역량 254

〈표 IV-2-13〉 연구 대상 국가의 핵심역량 256

〈표 IV-2-14〉 뉴질랜드의 영역 구성 257

〈표 IV-2-15〉 스웨덴의 영역 구성 258

〈표 IV-2-16〉 싱가포르의 영역 구성 258

〈표 IV-2-17〉 영국의 영역 구성 259

〈표 IV-2-18〉 각 국의 사회과 영역 구성 259

〈표 IV-2-19〉 각국의 문서 체제상 내용 구분 방식에 따른 사회과 영역 구성 260

〈표 IV-2-20〉 뉴질랜드 내용 제시 방식 262

〈표 IV-2-21〉 뉴질랜드 성취기준 수 263

〈표 IV-2-22〉 스웨덴의 과목별, 학년군별 성취기준 수 264

〈표 IV-2-23〉 역사 4-6학년군 내용 제시 방식 265

〈표 IV-2-24〉 싱가포르 사회과 교과목별 성취기준 수 266

〈표 IV-2-25〉 싱가포르 초등학교 인성 및 시민성교육 과목의 내용 제시 방식 : 1단원 267

〈표 IV-2-26〉 싱가포르 초등 사회 교과목의 개요 및 내용 271

〈표 IV-2-27〉 싱가포르 초등학교 사회 과목 내용 제시 방식 : 5학년 272

〈표 IV-2-28〉 영국의 사회과 내용 제시 방식 : Key Stage 2 지리 과목 예시 274

〈표 IV-2-29〉 영국의 사회과 내용 제시 방식 : Key Stage 1과 2 역사 과목 예시 276

〈표 IV-2-30〉 영국의 사회과 내용 제시 방식 : Key Stage 3 시민성 과목 예시 277

〈표 IV-2-31〉 영국의 사회과 과목의 학년별 성취기준 수 278

〈표 IV-2-32〉 뉴질랜드의 Level별 사회과 내용 구성 281

〈표 IV-2-33〉 스웨덴의 사회과 과목별 내용 구성 283

〈표 IV-2-34〉 싱가포르의 인성 및 시민성교육 과목의 내용 구성 284

〈표 IV-2-35〉 싱가포르 인문학 교과의 각 교과목별 내용 구성 285

〈표 IV-2-36〉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287

〈표 IV-2-37〉 뉴질랜드의 영역별 내용의 범위와 수준 290

〈표 IV-2-38〉 스웨덴의 역사 영역의 내용 범위와 수준 294

〈표 IV-2-39〉 싱가포르 일반사회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298

〈표 IV-2-40〉 싱가포르 지리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300

〈표 IV-2-41〉 싱가포르 역사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302

〈표 IV-2-42〉 영국 역사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304

〈표 IV-2-43〉 영국 지리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307

〈표 IV-2-44〉 영국 일반사회(시민성) 영역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 309

〈표 IV-2-45〉 싱가포르 사회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제시 내용 312

〈표 IV-2-46〉 4-6학년군 역사 과목 A-E등급의 지식요구사항 316

〈표 IV-2-47〉 역사 과목 학년군별 지식요구사항 317

〈표 IV-2-48〉 중학교 지리 과목의 평가 예시 320

〈표 IV-2-49〉 스웨덴의 사회과 과목별 기능 위계화 322

〈표 IV-2-50〉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325

〈표 IV-2-51〉 중학교 지리 과목의 지리 조사 기능 327

〈표 IV-2-52〉 영국의 지리 교육과정 기능 요소 327

〈표 V-2-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총론의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의 구성 348

[그림 II-1-1]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학제 34

[그림 II-1-2] 스웨덴 교육 체계 36

[그림 II-1-3] 싱가포르 학교 교육 체계도 41

[그림 II-1-4]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개요 44

[그림 II-1-5] 뉴질랜드 학교 교육에서 학년과 교육과정 수준 사이의 관계 45

[그림 II-2-1] 싱가포르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조 51

[그림 II-2-2] 미국 CCSSM 사이트 57

[그림 II-2-3] CCSSM의 내용 영역 규준과 해설 59

[그림 II-2-4] 뉴질랜드 '수학과 통계학' 교육과정 사이트 64

[그림 II-2-5] CCSSM의 수학적 실천 76

[그림 II-2-6] 총론 차원의 역량 모델 79

[그림 II-2-7]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다른 측면과의 관계 82

[그림 II-2-8] 뉴질랜드 고등학교 '수학과 통계학'에 제시된 핵심역량 83

[그림 III-1-1]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절차 142

[그림 III-1-2]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의 학제 비교 147

[그림 III-2-1]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의 과학과 과목 학습 시기 비교 151

[그림 III-2-2]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제시 형식 157

[그림 III-2-3]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의 제시 형식 159

[그림 III-2-4]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 예시 176

[그림 III-2-5]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의 7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179

[그림 III-2-6]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에... 196

[그림 III-2-7]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에... 196

[그림 III-2-8]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에... 196

[그림 III-2-9] 싱가포르 과학과 교육과정에... 196

[그림 III-2-10] 에스토니아 과학과... 199

[그림 III-2-11] 에스토니아 과학과... 199

[그림 III-2-12] 에스토니아 과학과... 199

[그림 III-2-13] 에스토니아 과학과... 199

[그림 III-2-14] 캐나다(BC) 과학과... 204

[그림 III-2-15] 캐나다(BC) 과학과 교육과정에... 204

[그림 III-2-16] 캐나다(BC) 과학과... 205

[그림 III-2-17] 캐나다(BC) 과학과... 205

[그림 III-2-18]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에... 208

[그림 III-3-19]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에... 208

[그림 III-2-20]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에... 209

[그림 III-2-21] 호주 과학과 교육과정에... 209

[그림 III-2-22]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에... 211

[그림 III-2-23]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에... 211

[그림 III-2-24]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에... 211

[그림 III-2-25] 국가별 K학년 과학과... 212

[그림 III-2-26] 국가별 K학년 과학과... 212

[그림 III-2-27] 국가별 1-2학년 과학과... 212

[그림 III-2-28] 국가별 1-2학년 과학과... 212

[그림 III-2-29] 국가별 3-4학년 과학과... 213

[그림 III-2-30] 국가별 3-4학년 과학과... 213

[그림 III-2-31] 국가별 5-6학년 과학과... 214

[그림 III-2-32] 국가별 5-6학년 과학과... 214

[그림 III-2-33] 국가별 7-8학년 과학과... 214

[그림 III-2-34] 국가별 7-8학년 과학과... 214

[그림 III-2-35] 국가별 9-10학년 과학과... 215

[그림 III-2-36] 국가별 9-10학년 과학과... 215

[그림 IV-1-1]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 체제 개관 231

[그림 IV-2-1]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관 252

[그림 IV-2-2] 싱가포르 중학교 지리 과목에 제시된 21세기 핵심역량 253

[그림 IV-2-3] 인성 및 시민성교육 교과의 과정기반 교수법 313

[그림 IV-2-4] 인문학 교과의 탐구기반 교수·학습법 31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5177 379.155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5178 379.155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