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8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8
청구기호
627.5 -19-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ii, 796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09938
주기사항
공동수급대표사: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용역책임자/총괄: 강태순
참고문헌: p. 793-795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기술자

목차

총설 30

1. 추진배경 31

2. 과업의 목적 33

3. 과업의 내용 33

4. 결과 요약 34

4.1.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35

4.2. 기본 모니터링 36

4.3. 연안침식 등급 평가 40

제1장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51

1.1. 개요 52

1.2.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55

1.2.1. 시스템 구성 55

1.2.2. 관측영상 56

1.2.3. 영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측량 및 정사보정 58

1.2.4. 표층퇴적물 조사 60

1.2.5. 모니터링 결과 분석 65

1.3. 비디오 모니터링 중점 운영 69

1.3.1. 강원도 강릉시 경포대 해수욕장 69

1.3.2. 경상북도 울진군 구산리~월송리 해안 82

1.3.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 해수욕장 95

1.3.4.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 해수욕장 108

1.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 해수욕장 122

1.4. 비디오 모니터링 일반 운영 133

1.4.1. 강원도 강릉시 강문 해수욕장 133

1.4.2. 강원도 강릉시 남항진 해수욕장 140

1.4.3. 강원도 고성군 공현진 해수욕장 147

1.4.4. 강원도 속초시 속초 해수욕장 154

1.4.5. 강원도 강릉시 정동진 해수욕장 161

1.4.6. 강원도 속초시 장사동 해안 168

1.4.7. 강원도 속초시 영랑동 해안 174

1.4.8.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 해안 180

1.4.9. 강원도 강릉시 소돌 해수욕장 186

1.4.10. 강원도 강릉시 영진 해수욕장 194

1.4.11. 강원도 강릉시 염전 해수욕장 200

1.4.12. 강원도 삼척시 하맹방 해수욕장 206

1.4.13. 강원도 삼척시 원평 해수욕장 215

1.4.14. 강원도 고성군 초도 해수욕장 222

1.4.15. 강원도 고성군 교암 해수욕장 228

1.4.16. 강원도 고성군 봉포 해수욕장 235

1.4.17. 경상북도 영덕군 고래불 해수욕장 242

1.4.18. 경상북도 경주시 전촌·나정 해수욕장 254

1.4.19.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항~봉평리 해안 261

1.4.20. 부산광역시 서구 송도 해수욕장 267

1.4.21. 울산광역시 울주군 진하 해수욕장 275

1.4.22. 울산광역시 북구 정자 해수욕장 284

1.4.23. 인천광역시 옹진군 장골 해수욕장 291

1.4.24. 경기도 안산시 방아머리 해수욕장 299

1.4.25. 충청남도 태안군 꽃지 해수욕장 306

1.4.26. 충청남도 태안군 만리포 해수욕장 316

1.4.27. 충청남도 서천군 송림리 해안 326

1.4.28. 전라북도 군산시 선유도 해수욕장 334

1.4.29.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 해수욕장 341

1.4.30. 전라남도 신안군 대광 해수욕장 349

1.4.31. 전라남도 여수시 만성리 해수욕장 357

1.4.32. 경상남도 거제시 구조라 해수욕장 367

1.4.33.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 해수욕장 375

1.4.3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호 해수욕장 382

1.4.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양 해수욕장 389

제2장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396

2.1. 개요 397

2.1.1. 조사 목적 397

2.1.2. 조사 대상지역 397

2.1.3. 조사 기간 397

2.1.4. 조사 항목 397

2.2.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결과 399

2.3. 대상지역 분류체계 412

2.4. 부산광역시 419

2.4.1. 기장군 임랑 해수욕장 419

2.4.2. 기장군 일광 해수욕장 420

2.4.3. 해운대구 해운대 해수욕장 421

2.4.4. 해운대구 송정 해수욕장 422

2.4.5. 수영구 광안리 해수욕장 423

2.4.6. 서구 송도 해수욕장 424

2.4.7. 영도구 감지해변 425

2.4.8. 영도구 중리해변 426

2.4.9. 사하구 다대포 해수욕장 동측지구 427

2.5. 울산광역시 428

2.5.1. 북구 정자 해수욕장 428

2.5.2. 동구 주전 해수욕장 429

2.5.3. 동구 일산 해수욕장 430

2.5.4. 울주군 진하 해수욕장 431

2.6.5. 울주군 나사 해수욕장 432

2.6. 인천광역시 433

2.6.1. 강화군 동막 해수욕장 433

2.6.2. 옹진군 장골 해수욕장 434

2.6.3. 옹진군 십리포 해수욕장 435

2.6.4. 옹진군 장경리 해수욕장 436

2.6.5. 옹진군 진촌 해수욕장 437

2.6.6. 옹진군 한들 해수욕장 438

2.6.7. 옹진군 옹암 해수욕장 439

2.6.8. 옹진군 벌안 해수욕장 440

2.6.9. 옹진군 작은풀안 해수욕장 441

2.6.10. 옹진군 큰풀안 해수욕장 442

2.6.11. 옹진군 이일레 해수욕장 443

2.6.12. 옹진군 서포리 해수욕장 444

2.6.13. 중구 왕산 해수욕장 445

2.6.14. 중구 을왕 해수욕장 446

2.6.15. 중구 선녀바위 해수욕장 447

2.6.16. 중구 실미 해수욕장 448

2.6.17. 중구 하나개 해수욕장 449

2.7. 경기도 450

2.7.1. 안산시 방아머리 해수욕장 450

2.7.2. 안산시 서위 해변 451

2.7.3. 안산시 구봉도 남측해안 452

2.7.4. 안산시 단원구 선감지구 453

2.7.5. 안산시 단원구 행낭곡지구 454

2.7.6. 화성시 국화도 해수욕장 455

2.8. 충청남도 456

2.8.1. 태안군 신두리 해수욕장 456

2.8.2. 태안군 의항 해수욕장 457

2.8.3. 태안군 만리포 해수욕장 458

2.8.4. 태안군 백사장 해수욕장 459

2.8.5. 태안군 꽃지 해수욕장 460

2.8.6. 태안군 운여 해수욕장 461

2.8.7. 태안군 학암포 해수욕장 462

2.8.8. 태안군 구례포 해수욕장 463

2.8.9. 태안군 병술만 해수욕장 464

2.8.10. 태안군 남면 청포대지구 465

2.8.11. 태안군 어은돌 해수욕장 466

2.8.12. 홍성군 서부면 상황리지구 467

2.8.13. 홍성군 남당리 해안 468

2.8.14. 보령시 천북면 학성지구 469

2.8.15. 보령시 대천 해수욕장 470

2.8.16. 보령시 무창포 해수욕장 471

2.8.17. 보령시 오천면 장고도지구 472

2.8.18. 서천군 비인면 다사리 473

2.8.19.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 474

2.8.20. 서천군 도둔리 해안 475

2.9. 전라북도 476

2.9.1. 고창군 구시포 해수욕장 476

2.9.2. 고창군 동호 해수욕장 477

2.9.3. 고창군 명사십리 해변 478

2.9.4. 고창군 서해안 바람공원 479

2.9.5. 부안군 격포 해수욕장 480

2.9.6. 부안군 변산 해수욕장 481

2.9.7. 부안군 위도 해수욕장 482

2.9.8. 부안군 위도면 정금지구 483

2.9.9. 부안군 모항 해수욕장 484

2.9.10. 군산시 선유도 해수욕장 485

2.10. 전라남도 486

2.10.1. 영광군 송이도 해수욕장 486

2.10.2. 영광군 백바위 해수욕장 487

2.10.3. 신안군 대광 해수욕장 488

2.10.4. 신안군 임자면 도찬리 489

2.10.5. 신안군 압해면 남촌지구 490

2.10.6. 신안군 안좌면 읍동지구 491

2.10.7. 신안군 우전 해수욕장 492

2.10.8. 신안군 둔장 해수욕장 493

2.10.9. 신안군 고교 해수욕장 494

2.10.10. 신안군 신성 해수욕장 495

2.10.11. 신안군 면전 해수욕장 496

2.10.12. 신안군 익금리 497

2.10.13. 신안군 명사십리 해수욕장 498

2.10.14. 신안군 시목 해수욕장 499

2.10.15. 신안군 돈목 해수욕장 500

2.10.16. 신안군 팔금면 솔치지구 501

2.10.17. 신안군 비금면 수치지구 502

2.10.18. 신안군 비금면 하누넘지구 503

2.10.19. 신안군 암태면 짝지지구 504

2.10.20. 신안군 백길 해수욕장 505

2.10.21. 신안군 고막 해수욕장 506

2.10.22. 신안군 오산 해수욕장 507

2.10.23. 함평군 손불면 월천지구 508

2.10.24. 무안군 현경면 마산~용정지구 509

2.10.25. 무안군 현경면 용정지구 510

2.10.26. 무안군 운남면~망운면 송현지구 511

2.10.27. 무안군 톱머리 해수욕장 512

2.10.28. 무안군 운남면 하묘~성내지구 513

2.10.29. 무안군 운남면 도원지구 514

2.10.30. 무안군 홀통 해수욕장 515

2.10.31. 목포시 유달유원지 516

2.10.32. 해남군 산이면 금호지구 517

2.10.33. 해남군 화산면 구성 1지구 518

2.10.34. 해남군 송지면 미학지구 519

2.10.35. 해남군 송호 해수욕장 520

2.10.36. 진도군 가계 해수욕장 521

2.10.37. 진도군 의신면 초사지구 522

2.10.38. 진도군 임회면 굴포지구 523

2.10.39. 진도군 지산면 거제지구 524

2.10.40. 진도군 조도면 서거차리 525

2.10.41. 진도군 금갑 해수욕장 526

2.10.42. 진도군 관매 해수욕장 527

2.10.43. 완도군 명사십리 해수욕장 528

2.10.44. 완도군 해당화 해변 529

2.10.45. 강진군 만덕 자전거해안도로 530

2.10.46. 장흥군 안양면 수문지구 531

2.10.47. 보성군 율포 해수욕장 532

2.10.48. 보성군 명교 백사장 533

2.10.49. 보성군 군학 백사장 534

2.10.50. 보성군 득량면 비봉지구 535

2.10.51. 고흥군 대서면 장사지구 536

2.10.52. 고흥군 덕흥 해수욕장 537

2.10.53. 고흥군 익금 해수욕장 538

2.10.54. 고흥군 나로우주 해수욕장 539

2.10.55. 여수시 신월동 선목도지구 540

2.10.56. 여수시 화양면 안포2지구 541

2.10.57. 여수시 화정면 여석지구 542

2.10.58. 여수시 만성리 해수욕장 543

2.10.59. 여수시 무슬목 피서지 544

2.10.60. 여수시 방죽포 해수욕장 545

2.10.61. 여수시 사도 피서지 546

2.10.62. 여수시 신덕 해수욕장 547

2.11. 경상남도 548

2.11.1. 거제시 구조라 해수욕장 548

2.11.2. 거제시 명사 해수욕장 549

2.11.3. 거제시 농소몽돌 해수욕장 550

2.11.4. 거제시 죽림 해수욕장 551

2.11.5. 거제시 망치 해수욕장 552

2.11.6. 거제시 와현 해수욕장 553

2.11.7. 거제시 구영 해수욕장 554

2.11.8. 거제시 황포 해수욕장 555

2.11.9. 거제시 물안 해수욕장 556

2.11.10. 거제시 흑진주몽돌 해변 557

2.11.11. 거제시 덕원 해수욕장 558

2.11.12. 거제시 덕포 해수욕장 559

2.11.13. 거제시 여차몽돌 해수욕장 560

2.11.14. 거제시 예구지구 561

2.11.15. 거제시 함목해변 562

2.11.16. 거제시 흥남 해수욕장 563

2.11.17. 통영시 산양읍 이운지구 564

2.11.18. 통영시 비진도 해수욕장 565

2.11.19. 통영시 대항 해수욕장 566

2.11.20. 통영시 통영공설 해수욕장 567

2.11.21. 통영시 봉암 해수욕장 568

2.11.22. 사천시 남일대 해수욕장 569

2.11.23. 남해군 월포 해수욕장 570

2.11.24. 남해군 사촌 해수욕장 571

2.11.25. 남해군 상주 해수욕장 572

2.11.26. 남해군 설리 해수욕장 573

2.11.27. 남해군 송정솔바람 해수욕장 574

2.11.28. 남해군 서면 염해지구 575

2.12. 제주특별자치도 576

2.12.1. 서귀포시 수마포구 해수욕장 576

2.12.2. 서귀포시 신양 해수욕장 577

2.12.3. 서귀포시 표선 해수욕장 578

2.12.4. 서귀포시 중문 해수욕장 579

2.12.5. 서귀포시 하모 해수욕장 580

2.12.6. 서귀포시 황우치 해수욕장 581

2.12.7. 서귀포시 용머리해안~사계포구 582

2.12.8. 제주시 함덕 해수욕장 583

2.12.9. 제주시 이호 해수욕장 584

2.12.10. 제주시 협재 해수욕장 585

2.12.11. 제주시 구좌읍 월정지구 586

제3장 파랑 모니터링 587

3.1. 개요 588

3.1.1. 목적 588

3.1.2. 대상지역 및 관측위치 588

3.1.3. 용역 내용 및 범위 592

3.2. 관측기기(파고·파향계, AWAC) 592

3.3. 현장 설치 595

3.4. 관측 현황 및 자료 분석 596

3.4.1. 파랑 관측 현황 596

3.4.2. 파랑 관측자료 분석 600

3.5. 계절별 및 월별 파랑특성 검토 644

3.6. 폭풍파 검토 652

3.6.1. 유의파고 3.0m 이상의 폭풍파 내습빈도 652

3.6.2. 동해안의 연도별 폭풍파고 출현빈도 657

3.7. 파랑과 해빈폭 관측자료 연계 659

3.7.1. 파랑과 해빈폭 모니터링 자료 현황 659

3.7.2. 해빈폭 자료 개선 661

3.7.3. 파랑과 해빈폭 변화 665

3.8. 파랑과 해빈폭의 상관관계 분석 672

3.8.1. 상관관계 분석 672

3.8.2. 속성 추출 분석 692

3.8.3. 결과 및 토의 704

제4장 연안침식 실태조사 종합분석 706

4.1. 개요 707

4.2. 기본 모니터링 결과 708

4.2.1. 부산광역시 710

4.2.2. 울산광역시 712

4.2.3. 인천광역시 714

4.2.4. 경기도 717

4.2.5. 충청남도 719

4.2.6. 전라북도 722

4.2.7. 전라남도 724

4.2.8. 경상남도 729

4.2.9. 제주특별자치도 732

4.3. 비디오 모니터링 결과 734

4.3.1. 강원도 강릉시 경포대 해수욕장 735

4.3.2. 경상북도 울진군 구산~월송리 해안 736

4.3.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 해수욕장 737

4.3.4.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 해수욕장 738

4.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 해수욕장 739

4.4. 파랑자료를 활용한 침식원인 분석 740

4.4.1. 분석방법 740

4.4.2. 덕적도 분석결과 742

4.4.3. 외연도 분석결과 742

4.4.4. 칠발도 분석결과 745

4.4.5. 추자도 분석결과 749

4.4.6. 거문도 분석결과 752

4.4.7. 거제도 분석결과 754

4.4.8. 마라도 분석결과 757

4.4.9. 해운대 해수욕장 분석결과 762

4.4.10. 경포대 해수욕장 분석결과 763

4.4.11. 중문 해수욕장 분석결과 765

4.4.12. 태안군 흑도 분석결과 766

4.4.13. 경주시 수렴말 분석결과 767

4.4.14. 울진군 후포 분석결과 769

4.4.15. 삼척시 맹방 분석결과 771

4.4.16. 고성군 공현진 분석결과 773

4.4.15. 결과 고찰 775

4.5. 침식등급평가 결과 777

4.5.1. 전국 250개소 침식등급 변화 777

4.5.2. 해역별, 지자체별 침식등급 변화 784

4.5.3. 사후 모니터링 지역 침식등급 변화 786

제5장 침식등급 평가방법 개선(안) 마련 789

5.1. 추진배경 790

5.1.1. 문제점 790

5.1.2. 개선방향 790

5.2. 해외 침식등급 평가방법 사례 791

5.2.1. 유럽사례 791

5.2.2. 미국사례 799

5.2.3. 일본사례 805

5.3. 과거 침식등급 평가방법 808

5.3.1. 2003~2009년 평가방법 808

5.3.2. 2010-2012년 평가방법 813

5.3.3. 2013~2018년 평가방법 816

5.4. 침식등급 평가방법 개선(안) 822

5.4.1. 세부항목별 평가방법 개선(안) 비교 822

5.4.2. 침식등급 평가방법 개선(안) 평가항목 및 세부 평가인자 823

참고문헌 828

판권기 832

〈표 0-1〉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지역 침퇴적경향 35

〈표 0-2〉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결과 35

〈표 0-3〉 연도별 기본 모니터링 평가결과 36

〈표 0-4〉 평가등급 변동현황 37

〈표 0-5〉 전국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의 침식등급평가 결과 41

〈표 1-1-1〉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분류 52

〈표 1-1-2〉 대상지역별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현황 53

〈표 1-2-1〉 퇴적물 입자 직경별 명칭 62

〈표 1-2-2〉 퇴적물 조직표준치의 산정공식 및 언어표기척도(Verbal Scale) 63

〈표 2-1-1〉 기본 모니터링 조사 항목 397

〈표 2-2-1〉 평가항목 399

〈표 2-2-2〉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연안침식현황 등급 399

〈표 2-2-3〉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연차별 평가등급 현황 400

〈표 2-2-4〉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광역별 평가등급 현황 401

〈표 2-2-5〉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평가등급 변동 현황 402

〈표 2-2-6〉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침식등급평가 결과 405

〈표 2-3-1〉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 분류체계 412

〈표 3-1-1〉 파랑 모니터링 5개소 정점 589

〈표 3-1-2〉 파랑 모니터링 개요 592

〈표 3-2-1〉 파고·파향계(AWAC)의 제원 594

〈표 3-4-1〉 강원도 고성(공현진) 관측 현황 596

〈표 3-4-2〉 강원도 삼척(맹방 해수욕장) 관측 현황 596

〈표 3-4-3〉 경상북도 울진(후포) 관측 현황 597

〈표 3-4-4〉 경상북도 경주(수념말) 관측 현황 598

〈표 3-4-5〉 충청남도 태안(흑도) 관측 현황 599

〈표 3-4-6〉 파향별 출현빈도와 출현율(고성 공현진, 2016/04/29~2018/11/21) 606

〈표 3-4-7(a)〉 고성 공현진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06

〈표 3-4-7(b)〉 고성 공현진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07

〈표 3-4-8(a)〉 고성 공현진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07

〈표 3-4-8(b)〉 고성 공현진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08

〈표 3-4-9〉 파향별 출현빈도와 출현율(삼척 맹방해수욕장, 2013/09/27~2018/11/20) 615

〈표 3-4-10(a)〉 삼척 맹방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15

〈표 3-4-10(b)〉 삼척 맹방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16

〈표 3-4-11(a)〉 삼척 맹방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16

〈표 3-4-11(b)〉 삼척 맹방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17

〈표 3-4-12〉 파향별 출현빈도와 출현율(울진 후포, 2015/07/03~2018/11/19) 624

〈표 3-4-13(a)〉 울진 후포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24

〈표 3-4-13(b)〉 울진 후포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25

〈표 3-4-14(a)〉 울진 후포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25

〈표 3-4-14(b)〉 울진 후포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26

〈표 3-4-15〉 파향별 출현빈도와 출현율(경주 수념말, 2014/07/21~2018/11/19) 633

〈표 3-4-16(a)〉 경주 수념말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33

〈표 3-4-16(b)〉 경주 수념말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34

〈표 3-4-17(a)〉 경주 수념말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34

〈표 3-4-17(b)〉 경주 수념말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35

〈표 3-4-18〉 파향별 출현빈도와 출현율(태안 흑도, 2014/7/12~2018/11/16) 642

〈표 3-4-19(a)〉 태안 흑도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42

〈표 3-4-19(b)〉 태안 흑도 파랑 관측자료의 첨두주기-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43

〈표 3-4-20(a)〉 태안 흑도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발생빈도 643

〈표 3-4-20(b)〉 태안 흑도 파랑 관측자료의 파향-유의파고 계급별 출현율 644

〈표 3-6-1〉 폭풍파 내습시 최대 유의파고(강원도 고성군) 652

〈표 3-6-2〉 폭풍파 내습시 최대 유의파고(강원도 삼척시) 653

〈표 3-6-3〉 폭풍파 내습시 최대 유의파고(경상북도 울진군) 654

〈표 3-6-4〉 폭풍파 내습시 최대 유의파고(경상북도 경주시) 655

〈표 3-6-5〉 폭풍파 내습시 최대 유의파고(충청남도 태안군) 656

〈표 3-7-1〉 연계분석 대상 파랑 및 비디오 모니터링 지점 660

〈표 3-7-2〉 연계분석 선택 기간 661

〈표 3-8-1〉 파랑과 해빈폭의 상관계수 673

〈표 3-8-2〉 파랑 필터링 성분과 해빈폭의 상관계수 701

〈표 4-2-1〉 광역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08

〈표 4-2-2〉 부산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10

〈표 4-2-3〉 부산광역시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11

〈표 4-2-4〉 울산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12

〈표 4-2-5〉 울산광역시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13

〈표 4-2-6〉 인천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14

〈표 4-2-7〉 인천광역시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15

〈표 4-2-8〉 경기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17

〈표 4-2-9〉 경기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18

〈표 4-2-10〉 충청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19

〈표 4-2-11〉 충청남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20

〈표 4-2-12〉 전라북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22

〈표 4-2-13〉 전라북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23

〈표 4-2-14〉 전라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24

〈표 4-2-15〉 전라남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25

〈표 4-2-16〉 경상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29

〈표 4-2-17〉 경상남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30

〈표 4-2-18〉 제주특별자치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량 732

〈표 4-2-19〉 제주특별자치도 대상지역별 평균면적 및 체적의 장·단기 변화 분석 자료 733

〈표 4-3-1〉 비디오 모니터링 중점 운영 지역 결과 요약 734

〈표 4-3-2〉 경포대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결과 요약 735

〈표 4-3-3〉 구산~월송리 해안 해빈면적 변화 결과 요약 736

〈표 4-3-4〉 해운대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결과 요약 737

〈표 4-3-5〉 대천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결과 요약 738

〈표 4-3-6〉 중문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결과 요약 739

〈표 4-4-1〉 파랑 모니터링 위치 740

〈표 4-4-2〉 덕적도 고파랑 분석결과 742

〈표 4-4-3〉 덕적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42

〈표 4-4-4〉 외연도 고파랑 분석결과 742

〈표 4-4-5〉 외연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43

〈표 4-4-6〉 칠발도 고파랑 분석결과 745

〈표 4-4-7〉 칠발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45

〈표 4-4-8〉 추자도 고파랑 분석결과 749

〈표 4-4-9〉 추자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49

〈표 4-4-10〉 거문도 고파랑 분석결과 752

〈표 4-4-11〉 거문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52

〈표 4-4-12〉 거제도 고파랑 분석결과 754

〈표 4-4-13〉 거제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55

〈표 4-4-14〉 마라도 고파랑 분석결과 757

〈표 4-4-15〉 마라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57

〈표 4-4-16〉 해운대 해수욕장 고파랑 분석결과 763

〈표 4-4-17〉 해운대 해수욕장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3

〈표 4-4-18〉 경포대 해수욕장 고파랑 분석결과 763

〈표 4-4-19〉 경포대 해수욕장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4

〈표 4-4-20〉 중문 해수욕장 고파랑 분석결과 765

〈표 4-4-21〉 중문 해수욕장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6

〈표 4-4-22〉 태안군 흑도 고파랑 분석결과 766

〈표 4-4-23〉 태안군 흑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6

〈표 4-4-24〉 경주시 수렴말 고파랑 분석결과 767

〈표 4-4-25〉 경주시 수렴말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7

〈표 4-4-26〉 울진군 후포 고파랑 분석결과 769

〈표 4-4-27〉 울진군 후포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69

〈표 4-4-28〉 삼척시 맹방 고파랑 분석결과 771

〈표 4-4-29〉 삼척시 맹방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71

〈표 4-4-30〉 고성군 공현진 고파랑 분석결과 773

〈표 4-4-31〉 고성군 공현진 유의파고 평균 및 지속시간 773

〈표 4-4-32〉 최근 2년간 고파랑 출현빈도 및 지속시간 분석자료 775

〈표 4-4-33〉 지자체별 기선 등급 및 변화율 776

〈표 4-5-1〉 2003~2018년 침식등급평가 결과 777

〈표 4-5-2〉 2017, 2018년 해역별 침식등급현황 784

〈표 4-5-3〉 2017, 2018년 광역지자체별 침식등급현황 785

〈표 4-5-4〉 사후 모니터링 지역 연안정비사업 완료전후 침식등급 변화 현황 786

〈표 4-5-5〉 사후 모니터링 지역 2018년 침식등급 변화 현황 786

〈표 4-5-6〉 사후 모니터링 지역 침식등급 및 연안정비사업 내용 787

〈표 5-1-1〉 기존 침식등급 평가방법 및 개선(안)의 침식등급 평가항목 및 배점 비교 791

〈표 5-2-1〉 모니터링 항목 792

〈표 5-2-2〉 Ojeda-Zujar 평가 방법 세부항목 793

〈표 5-2-3〉 Abuodha and Woodroffe 평가 방법 세부항목 795

〈표 5-2-4〉 물리적 요소 평가 항목 797

〈표 5-2-5〉 사회·경제적 요소 평가 항목 798

〈표 5-2-6〉 DB 구축을 위한 조사 항목 799

〈표 5-2-7〉 세부평가기준 799

〈표 5-2-8〉 연안관리 대책에 따른 항목별 배점 비율 800

〈표 5-2-9〉 해안 유형 분류 801

〈표 5-2-10〉 해안 유형 정의 및 예시 802

〈표 5-2-11〉 대상지역의 인공구조물 성능 평가 결과 803

〈표 5-2-12〉 해안 평가 항목 및 내용 804

〈표 5-2-13〉 연안정비사업의 필요성 평가 805

〈표 5-2-14〉 연안정비사업의 긴급성 평가 806

〈표 5-2-15〉 연안정비사업의 유효성 평가 806

〈표 5-2-16〉 연안정비사업의 경제성 평가 807

〈표 5-2-17〉 연안정비사업의 완성도 평가 807

〈표 5-2-18〉 연안정비사업의 종합 평가 807

〈표 5-3-1〉 연안침식 평가기준 808

〈표 5-3-2〉 주민들이 인지하는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 809

〈표 5-3-3〉 조사자의 인지도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 809

〈표 5-3-4〉 모래질 변화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 810

〈표 5-3-5〉 해빈폭 변화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백사장침식) 811

〈표 5-3-6〉 해빈폭 변화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사구포락) 811

〈표 5-3-7〉 해빈고도 변화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백사장침식) 812

〈표 5-3-8〉 포락지 증감에 따른 연안침식 현황평가 기준(사구포락) 813

〈표 5-3-9〉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연안침식 평가기준(6개 평가항목) 814

〈표 5-3-10〉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 연안침식 평가기준 세부내용(6개 평가항목) 814

〈표 5-3-11〉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연안침식 평가기준(3개 평가항목) 815

〈표 5-3-12〉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 평가기준 세부내용(3개 평가항목) 816

〈표 5-3-13〉 침식등급 평가방법 817

〈표 5-3-14〉 해안선 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817

〈표 5-3-15〉 해안선 변화 평가배점 818

〈표 5-3-16〉 단면적 변화 평가항목 및 가중치 818

〈표 5-3-17〉 단면적 변화 평가배점 818

〈표 5-3-18〉 관련법령 819

〈표 5-3-19〉 자연보전가치 평가배점 819

〈표 5-3-20〉 배후지피해 평가배점 820

〈표 5-3-20〉 인구 평가배점 820

〈표 5-3-21〉 평가등급 821

〈표 5-4-1〉 세부항목별 평가방법 개선(안) 822

〈표 5-4-2〉 침식등급 평가방법 개선(안) 평가항목 및 배점 824

〈표 5-4-3〉 침식등급 평가방법 개선(안) 등급표 824

〈그림 0-1〉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변동률 분포도 31

〈그림 0-2〉 제25호 태풍 콩레이 영향으로 인한 연안 시설물 피해 현황 33

〈그림 0-3〉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34

〈그림 0-4〉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40

〈그림 1-1-1〉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위치도 54

〈그림 1-2-1〉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 예(정자 해수욕장) 55

〈그림 1-2-2〉 순간영상 56

〈그림 1-2-3〉 평균영상 57

〈그림 1-2-4〉 평균영상 작성 원리 57

〈그림 1-2-5〉 영상기준점 측량 과정 58

〈그림 1-2-6〉 영상좌표계(A)와 실제좌표계(B)와의 상관관계 모식도 60

〈그림 1-2-7〉 해운대 해수욕장 표층퇴적물 채취지점 61

〈그림 1-2-8〉 자갈, 모래, 실트 및 점토 함량비에 의한 퇴적물유형 분류 64

〈그림 1-2-9〉 해빈정보 자료처리 과정 65

〈그림 1-2-10〉 정사영상 합성 66

〈그림 1-2-11〉 이동분산을 이용한 패턴분석 기법 67

〈그림 1-2-12〉 기선 설정 및 해빈면적 산출 68

〈그림 2-1-1〉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위치도 398

〈그림 2-2-1〉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광역별 평가등급 현황 401

〈그림 2-2-2〉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404

〈그림 3-1-1〉 파랑 모니터링 5개소 위치도 588

〈그림 3-1-2〉 파랑 관측 위치도(강원도 고성군 공현진항 인근 해역) 589

〈그림 3-1-3〉 파랑 관측 위치도(강원도 삼척시 맹방 전면 해역) 590

〈그림 3-1-4〉 파랑 관측 위치도(경상북도 울진군 후포항 인근 해역) 590

〈그림 3-1-5〉 파랑 관측 위치도(경상북도 경주시 수념말 전면 해역) 591

〈그림 3-1-6〉 파랑 관측 위치도(충청남도 태안군 흑도 인근 해역) 591

〈그림 3-2-1〉 파고·파향계(AWAC, Nortek社) 593

〈그림 3-2-2〉 AWAC 설치대(착저식) 593

〈그림 3-3-1〉 AWAC 설치 준비 595

〈그림 3-3-2〉 AWAC 설치 595

〈그림 3-4-1〉 2017년 11월~2018년 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고성) 601

〈그림 3-4-2〉 2018년 2월~4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고성) 602

〈그림 3-4-3〉 2018년 5월~7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고성) 603

〈그림 3-4-4〉 2018년 8월~10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고성) 604

〈그림 3-4-5〉 2018년 1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고성) 605

〈그림 3-4-6〉 파랑장미도(고성 공현진, 2016/4/29~2018/11/21) 605

〈그림 3-4-7〉 2017년 11월~2018년 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삼척) 610

〈그림 3-4-8〉 2018년 2월~4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삼척) 611

〈그림 3-4-9〉 2018년 5월~7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삼척) 612

〈그림 3-4-10〉 2018년 8월~10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삼척) 613

〈그림 3-4-11〉 2018년 1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삼척) 614

〈그림 3-4-12〉 파랑장미도(삼척 맹방해수욕장, 2013/09/27~2018/11/20) 614

〈그림 3-4-13〉 2017년 11월~2018년 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울진) 619

〈그림 3-4-14〉 2018년 2월~4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울진) 620

〈그림 3-4-15〉 2018년 5월~7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울진) 621

〈그림 3-4-16〉 2018년 8월~10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울진) 622

〈그림 3-4-17〉 2018년 1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울진) 623

〈그림 3-4-18〉 파랑장미도(울진 후포, 2015/07/03~2018/11/19) 623

〈그림 3-4-19〉 2017년 11월~2018년 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경주) 628

〈그림 3-4-20〉 2018년 2월~4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경주) 629

〈그림 3-4-21〉 2018년 5월~7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경주) 630

〈그림 3-4-22〉 2018년 8월~10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경주) 631

〈그림 3-4-23〉 2018년 1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첨두파향(경주) 632

〈그림 3-4-24〉 파랑장미도(경주시 수념말, 2014/07/21~2018/11/19) 632

〈그림 3-4-25〉 2017년 11월~2018년 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태안) 637

〈그림 3-4-26〉 2018년 2월~4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태안) 638

〈그림 3-4-27〉 2018년 5월~7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태안) 639

〈그림 3-4-28〉 2018년 8월~10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태안) 640

〈그림 3-4-29〉 2018년 11월 유의파고, 첨두주기 및 점두파향(태안) 641

〈그림 3-4-30〉 파랑장미도(태안 흑도, 2014/7/12~2018/11/16) 641

〈그림 3-5-1〉 계절별 파랑장미도(강원도 고성군 공현진항) 647

〈그림 3-5-2〉 월별 최대 및 평균 유의파고(강원도 고성군 공현진항) 647

〈그림 3-5-3〉 계절별 파랑장미도(강원도 삼척 맹방 해수욕장) 648

〈그림 3-5-4〉 월별 최대 및 평균 유의파고(강원도 삼척 맹방 해수욕장) 648

〈그림 3-5-5〉 계절별 파랑장미도(경상북도 울진 후포항) 649

〈그림 3-5-6〉 월별 최대 및 평균 유의파고(경상북도 울진 후포항) 649

〈그림 3-5-7〉 계절별 파랑장미도(경상북도 경주 수념말) 650

〈그림 3-5-8〉 월별 최대 및 평균 유의파고(경상북도 경주 수념말) 650

〈그림 3-5-9〉 계절별 파랑장미도(충청남도 태안 흑도) 651

〈그림 3-5-10〉 월별 최대 및 평균 유의파고(충청남도 태안 흑도) 651

〈그림 3-6-1〉 연도별 폭풍파고 출현빈도(강원도 삼척시 맹방해변) 657

〈그림 3-6-2〉 연도별 폭풍파고 출현빈도(경상북도 울진군 후포항) 658

〈그림 3-6-3〉 연도별 폭풍파고 출현빈도(경상북도 경주시 수념말) 658

〈그림 3-7-1〉 연계분석 대상 파랑 및 비디오 모니터링 지점 위치도 659

〈그림 3-7-2〉 동해안 소재 지점들에서의 파랑과 해빈폭 자료 현황 660

〈그림 3-7-3〉 봉포 8번 기선 해빈폭 자료 처리 과정 662

〈그림 3-7-4〉 구산리~월송리 12번 기선 해빈폭 자료 처리 과정 662

〈그림 3-7-5〉 교암 8번 기선 해빈폭 자료 처리 과정 663

〈그림 3-7-6〉 정자 26번 기선 해빈폭 자료 처리 과정 664

〈그림 3-7-7〉 대천 5번 기선의 평균고조위를 기준한 자료 취득률 665

〈그림 3-7-8〉 공현진항의 파랑과 교암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66

〈그림 3-7-9〉 공현진항 파랑과 봉포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67

〈그림 3-7-10〉 맹방 해수욕장의 파랑과 하맹방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67

〈그림 3-7-11〉 맹방 해수욕장의 파랑과 원평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68

〈그림 3-7-12〉 후포항의 파랑과 구산리~월송리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69

〈그림 3-7-13〉 후포항의 파랑과 고래불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70

〈그림 3-7-14〉 수념말의 파랑과 전촌·나정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71

〈그림 3-7-15〉 수념말의 파랑과 정자 해안 기선별 해빈폭의 변화 671

〈그림 3-8-1〉 공현진 파랑과 교암 및 봉포 해빈폭의 계절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74

〈그림 3-8-2〉 맹방 파랑과 하맹방 및 원평 해빈폭의 계절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75

〈그림 3-8-3〉 후포 파랑과 구산리~월송리 및 고래불 해빈폭의 계절별 박스플롯과... 676

〈그림 3-8-4〉 수념말 파랑과 전촌·나정 및 정자 해빈폭의 계절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77

〈그림 3-8-5〉 공현진 파랑과 봉포 해빈폭의 분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78

〈그림 3-8-6〉 봉포 해빈폭과 공현진 파향의 분기별 히스토그램 679

〈그림 3-8-7〉 공현진 파랑과 교암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0

〈그림 3-8-8〉 공현진 파랑과 봉포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1

〈그림 3-8-9〉 맹방 파랑과 하맹방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2

〈그림 3-8-10〉 맹방 파랑과 원평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3

〈그림 3-8-11〉 후포 파랑과 구산리~월송리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4

〈그림 3-8-12〉 후포 파랑과 고래불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4

〈그림 3-8-13〉 수념말 파랑과 전촌·나정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5

〈그림 3-8-14〉 수념말 파랑과 정자 해빈폭의 파고·주기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6

〈그림 3-8-15〉 공현진 파랑과 교암 및 봉포 해빈폭의 파향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7

〈그림 3-8-16〉 교암(좌)과 봉포(우)의 해안선 직각 방향 688

〈그림 3-8-17〉 맹방 파랑과 하맹방 및 원평 해빈폭의 파향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88

〈그림 3-8-18〉 하맹방(좌)과 원평(우)의 해안선 직각 방향 689

〈그림 3-8-19〉 후포 파랑과 구산리~월송리 및 고래불 해빈폭의 파향별 박스플롯과... 690

〈그림 3-8-20〉 구산리~월송리(좌)와 고래불(우)의 해안선 직각 방향 690

〈그림 3-8-21〉 수념말 파랑과 전촌·나정 및 정자 해빈폭의 파향별 박스플롯과 상관관계 691

〈그림 3-8-22〉 전촌·나정(좌)와 정자(우)의 해안선 직각 방향 692

〈그림 3-8-23〉 교암 해빈폭 주성분과 공현진 파고 필터링 성분 693

〈그림 3-8-24〉 봉포 해빈폭 주성분과 공현진 파고 필터링 성분 694

〈그림 3-8-25〉 하맹방 해빈폭 주성분과 맹방 주기 필터링 성분 695

〈그림 3-8-26〉 원평 해빈폭 주성분과 맹방 파고 필터링 성분 696

〈그림 3-8-27〉 구산리~월송리 해빈폭 주성분과 후포 파고 필터링 성분 697

〈그림 3-8-28〉 고래불 해빈폭 주성분과 후포 파고 필터링 성분 698

〈그림 3-8-29〉 전촌·나정 해빈폭 주성분과 수념말 파고 필터링 성분 699

〈그림 3-8-30〉 정자 해빈폭 주성분과 수념말 파고 필터링 성분 700

〈그림 3-8-31〉 공현진 파랑과 교암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2

〈그림 3-8-32〉 공현진 파랑과 봉포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2

〈그림 3-8-33〉 맹방 파랑과 하맹방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2

〈그림 3-8-34〉 맹방 파랑과 원평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2

〈그림 3-8-35〉 후포 파랑과 구산리~월송리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3

〈그림 3-8-36〉 후포 파랑과 고래불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3

〈그림 3-8-37〉 수념말 파랑과 전촌·나정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3

〈그림 3-8-38〉 수념말 파랑과 정자 해빈폭 자료의 추출성분 상관관계 703

〈그림 4-1-1〉 연안침식 실태조사 대상지역 위치도 707

〈그림 4-2-1〉 광역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09

〈그림 4-2-2〉 부산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10

〈그림 4-2-3〉 울산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12

〈그림 4-2-4〉 인천광역시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14

〈그림 4-2-5〉 경기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17

〈그림 4-2-6〉 충청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19

〈그림 4-2-7〉 전라북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22

〈그림 4-2-8〉 전라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항 724

〈그림 4-2-9〉 경상남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29

〈그림 4-2-10〉 제주특별자치도 지자체별 해빈면적 및 체적 변화 경향 732

〈그림 4-3-1〉 경포대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그래프 735

〈그림 4-3-2〉 구산~월송리 해안 해빈면적 변화 그래프 736

〈그림 4-3-3〉 해운대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그래프 737

〈그림 4-3-4〉 대천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그래프 738

〈그림 4-3-5〉 중문 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그래프 739

〈그림 4-4-1〉 파랑 모니터링 위치도(15개 정점) 741

〈그림 4-5-1〉 2003~2018년 침식우심률 777

〈그림 4-5-2〉 부산광역시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78

〈그림 4-5-3〉 울산광역시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78

〈그림 4-5-4〉 인천광역시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79

〈그림 4-5-5〉 경기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79

〈그림 4-5-6〉 충청남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0

〈그림 4-5-7〉 전라북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0

〈그림 4-5-8〉 전라남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1

〈그림 4-5-9〉 경상남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1

〈그림 4-5-10〉 강원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2

〈그림 4-5-11〉 경상북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3

〈그림 4-5-12〉 제주특별자치도 연안침식 등급평가(침식주제도) 783

〈그림 5-2-1〉 Ojeda-Zujar 평가 방법을 적용한 Andalusia 해안 평가 결과 794

〈그림 5-2-2〉 Abuodha and Woodroffe 평가 방법을 적용한 호주 해안 평가 결과 795

〈그림 5-2-3〉 Eurosion project 대상지역(22개국 60개소) 796

〈그림 5-2-4〉 연안침식 등급 평가 결과 798

〈그림 5-2-5〉 해변 등급평가 결과 및 관리대책 제시 80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7768 627.5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769 627.5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