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함안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1-2(1-2)]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지하수연구센터, 2018
청구기호
628.114 -19-2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10978
주기사항
[용역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1)]권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보고서 -- [2(1)]. 부록 : 조사편 -- [2(2)]. 부록 : 자료편
부록/보유자료:함안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전자자료]  바로보기
부록/보유자료:함안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지하수지도 [지도자료] [1-6]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24

1.1. 조사 배경 및 목적 25

1.2. 조사 지역 위치 26

1.2.1. 지리적 위치 26

1.2.2.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7

1.3. 조사 기간 및 내용 28

1.3.1. 조사기간 28

1.3.2. 조사 항목 및 수량 29

제2장 수문지질 환경 31

2.1. 하천 및 유역 32

2.1.1. 하천 현황 32

2.1.2. 유역 현황 33

2.2. 기상 36

2.2.1. 기온 36

2.2.2. 습도 37

2.2.3. 강수량 37

2.3. 지형 41

2.3.1. 지형 개요 41

2.3.2. 지형 고도 분석 42

2.3.3. 지형 경사 분석 44

2.3.4. 경사 방향 분석 45

2.4. 지질 46

2.4.1. 지표지질 46

2.4.2. 지질구조 50

2.4.3. 선형구조 50

2.4.4. 유역별 지질 특성 55

2.5. 토지피복 57

2.5.1. 토양 특성 57

2.5.2. 토지피복 및 이용 59

2.5.3. 식생 및 임상 분포 61

제3장 지하수 개발과 이용 69

3.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및 특성 70

3.1.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0

3.1.2.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72

3.1.3. 연도별 개발·이용 특성 77

3.2. 용수 이용 현황 80

제4장 지하수 부존 및 산출 특성 82

4.1. 수문지질단위 83

4.1.1. 수문지질단위 설정 83

4.1.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85

4.2. 지하수 수위 87

4.2.1. 지하수 수위 분포 87

4.2.2. 지하수 수위 공간분포 98

4.3. 지하수 수위 변동 105

4.3.1. 국가 지하수 관측망 105

4.3.2.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107

4.3.3.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115

4.4. 지하수 유동 체계 133

4.4.1. 지하수 수위 분포 133

4.4.2.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 방향 135

4.4.3. 지하수 함양 및 배출 체계 138

4.5.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 140

4.5.1. 기저유출 분석 140

4.5.2. 물수지분석 143

4.5.3. 지하수위 변동법(hybrid-WTF) 153

4.5.4. 지하수 개발 가능량 평가 162

4.6. 수문지질 특성 평가 165

4.6.1. 대수층 수리 특성 165

4.6.2. 수문지질 특성 평가 178

제5장 지하수 수질 및 오염취약성 185

5.1. 일반 수질 186

5.1.1. 간이수질 186

5.1.2. 용존 이온 193

5.1.3. 수질 유형 207

5.2. 지하수 수질오염 특성 211

5.2.1. 토지 이용과 지하수 수질 211

5.2.2. 농업용 지하수 분류 214

5.2.3. 수질오염 특성 215

5.3. 잠재오염원 현황 229

5.4. 미생물 생태 분석 233

5.4.1. 시험지역 설정 233

5.4.2.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233

5.5. 오염취약성 평가 237

5.5.1. DRASTIC 237

제6장 지하수 개발 및 보전 247

6.1.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248

6.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248

6.1.2. 암반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251

6.2. 지하수 보전 필요 지역 254

6.2.1. 지하수 수량 관리 254

6.2.2. 지하수 수질 관리 256

제7장 현안 사항 및 개선 대책 264

7.1. 지하수 수질 - 비소 검출 265

7.2. 지하수 수량 - 창녕·함안보 수문 개방 268

7.3. 개선 대책 273

7.3.1. 지하수 수질 대책 273

7.3.2. 지하수 수량 대책 273

제8장 지하수 지도 274

8.1. 공통 수록 항목 275

8.2. 지하수지도 276

8.3. 주제도 278

제9장 결론 280

참고 문헌 289

용어 설명 297

참여연구원 업무내용 303

서지사항 304

판권기 305

〈표 1-1〉 함안군 위치 현황 26

〈표 1-2〉 함안군 행정구역 현황 27

〈표 1-3〉 조사 항목별 조사 수량 29

〈표 2-1〉 조사지역 하천 현황 33

〈표 2-2〉 함안군의 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35

〈표 2-3〉 월평년 및 연평년 기상 현황 36

〈표 2-4〉 일평년 평균 기온 38

〈표 2-5〉 일평년 평균 습도 39

〈표 2-6〉 일평년 강수량 40

〈표 2-7〉 지형고도별 면적분포 현황 43

〈표 2-8〉 지형 경사별 면적분포 현황 44

〈표 2-9〉 경사 방향별 면적분포 현황 45

〈표 2-10〉 함안지역의 지질계통표 46

〈표 2-11〉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52

〈표 2-12〉 유역별 지질분포 현황 55

〈표 2-13〉 함안지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58

〈표 2-14〉 유역별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면적 현황 58

〈표 2-15〉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 분포 60

〈표 2-16〉 토지피복에 따른 면적 분포 61

〈표 2-17〉 임상분류 기준 67

〈표 3-1〉 함안군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0

〈표 3-2〉 세부용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2

〈표 3-3〉 단위면적당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2

〈표 3-4〉 정호 심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3

〈표 3-5〉 정호 구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4

〈표 3-6〉 토출관 직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5

〈표 3-7〉 양수능력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6

〈표 3-8〉 연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77

〈표 3-9〉 함안군 지하수 용수 이용 현황 80

〈표 3-10〉 함안군 상수도 시설 현황 (시설용량 및 수원 형태) 80

〈표 3-11〉 함안군 상수도 급수인구 현황 81

〈표 4-1〉 함안지역의 수문지질단위 분류 83

〈표 4-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현황 85

〈표 4-3〉 기본 관측망(암반 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범위 88

〈표 4-4〉 기본 관측망(암반 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89

〈표 4-5〉 기본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범위 93

〈표 4-6〉 기본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94

〈표 4-7〉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106

〈표 4-8〉 시험시추공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107

〈표 4-9〉 대수성 시험공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112

〈표 4-10〉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115

〈표 4-11〉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134

〈표 4-12〉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통계분석 결과 136

〈표 4-13〉 유역별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139

〈표 4-14〉 HAS-01 시험유역의 기저유출 분석 결과 142

〈표 4-15〉 HAS-02 시험유역의 기저유출 분석 결과 142

〈표 4-16〉 기상관측소 제원 143

〈표 4-17〉 유역별 티센면적비와 면적강우량 145

〈표 4-18〉 유역별 티센계수에 따른 증발산량 146

〈표 4-19〉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따른 고려사항 148

〈표 4-20〉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150

〈표 4-21〉 토지이용과 수문학적 토양형에 따른 적용 유출곡선지수 151

〈표 4-22〉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 NRCS-CN 모델 152

〈표 4-23〉 지하수위 관측지점별 함양률 및 유효충전공극률 155

〈표 4-24〉 hybrid-WTF 분석지점별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 158

〈표 4-25〉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에 따른 함양계수 160

〈표 4-26〉 hybrid-WTF를 이용한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 160

〈표 4-27〉 hybrid-WTF 모델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및 함양률 161

〈표 4-28〉 10년에 1회 발생빈도를 갖는 가뭄시 지하수 함양량 163

〈표 4-29〉 함안지역 유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164

〈표 4-30〉 함안지역 행정구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164

〈표 4-31〉 수문지질단위별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166

〈표 4-32〉 수문지질단위별 암반지하수 산출성 170

〈표 4-33〉 지형고도 계급별 대수층 수리상수자료 통계 175

〈표 4-34〉 지형경사 계급별 대수층 수리상수자료 통계 177

〈표 4-35〉 수문지질특성 평가 분류 기준 181

〈표 4-36〉 주제도 작성 항목 및 활용 자료 182

〈표 4-37〉 표준유역별 수문지질 특성 평가 결과 183

〈표 4-38〉 행정구역별 수문지질 특성 평가 결과 184

〈표 5-1〉 조사지역 시기별 간이 수질 측정 현황 186

〈표 5-2〉 암반 지하수 간이 수질 측정 결과 187

〈표 5-3〉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간이 수질 측정 결과 191

〈표 5-4〉 함안지역 전체 지하수 수질의 통계분석 결과 194

〈표 5-5〉 전체 지하수 수질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196

〈표 5-6〉 암반 지하수 수질 통계분석 결과 197

〈표 5-7〉 암반 지하수 수질 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200

〈표 5-8〉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수질 통계분석 결과 202

〈표 5-9〉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수질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203

〈표 5-10〉 암반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 유형 현황 209

〈표 5-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 유형 현황 210

〈표 5-12〉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SAR 계산 결과 215

〈표 5-13〉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통계 분석 결과 216

〈표 5-14〉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수준별 분포 현황 216

〈표 5-15〉 염소(Cl) 이온의 수질기준 초과 현황 217

〈표 5-16〉 질산염(NO₃) 성분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 219

〈표 5-17〉 비소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2018.04) 221

〈표 5-18〉 라돈(Rn)의 EPA 제안 기준 초과 현황 224

〈표 5-19〉 수질검사 분석 항목 225

〈표 5-20〉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226

〈표 5-21〉 함안군 잠재오염원 현황 230

〈표 5-22〉 함안군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결과 230

〈표 5-23〉 염기서열 분석 결과 234

〈표 5-24〉 DRASTIC 모델의 평가 방법 238

〈표 5-25〉 지하수 심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39

〈표 5-26〉 지하수 함양량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0

〈표 5-27〉 대수층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1

〈표 5-28〉 토양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1

〈표 5-29〉 지형경사율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2

〈표 5-30〉 비포화대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3

〈표 5-31〉 수리전도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43

〈표 5-32〉 유역별 지하수 오염취약성 지수 분포 현황 244

〈표 6-1〉 함안지역의 충적층/풍화대 지하수공 산출성 분석 결과 요약 249

〈표 6-2〉 함안지역 암반 지하수의 산출성 현황 251

〈표 7-3〉 지하수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률 255

〈표 6-4〉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도 평가를 위한 등급별 행정구역 수 256

〈표 6-5〉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 위험도 평가 결과 및 기준 257

〈표 6-6〉 함안지역의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259

〈표 7-1〉 비소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2018.04) 266

〈표 8-1〉 단열성 대수층의 대수성 평가 방법 277

〈그림 1-1〉 조사지역 위치 현황 26

〈그림 1-2〉 조사지역 인구밀도 현황 27

〈그림 1-3〉 지하수 기초조사 업무 흐름도 30

〈그림 2-1〉 주요 하천 현황 32

〈그림 2-2〉 함안지역의 음영기복도 41

〈그림 2-3〉 함안지역의 지형고도 분포 43

〈그림 2-4〉 함안지역의 지형 경사 분포 현황 44

〈그림 2-5〉 함안지역의 경사 방향 분포 현황 45

〈그림 2-6〉 함안지역 의 지질분포 현황 47

〈그림 2-7〉 함안지역의 선형구조 분포도 51

〈그림 2-8〉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그래프 53

〈그림 2-9〉 선형구조 로즈 다이어그램 53

〈그림 2-10〉 함안지역 선형구조 길이밀도 분포도 54

〈그림 2-11〉 함안지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59

〈그림 2-12〉 함안지역 토지이용(중분류) 분포 현황 60

〈그림 2-13〉 함안지역 토지피복(중분류) 분포 현황 61

〈그림 2-14〉 위성자료 판별 및 획득 62

〈그림 2-15〉 함안지역 위성영상 전처리 전/후 63

〈그림 2-16〉 함안지역 정규식생지수 분포도-1 (2017.07.27) 64

〈그림 2-17〉 함안지역 정규식생지수 분포도-2 (2017.10.31) 65

〈그림 2-18〉 함안지역 정규식생지수 분포도-3 (2018.01.03) 65

〈그림 2-19〉 함안지역 정규식생지수 분포도-4 (2018.04.25) 66

〈그림 2-20〉 함안지역 정규식생지수 시기별 변화 그래프 66

〈그림 2-21〉 함안지역 수관밀도 분포도 67

〈그림 2-22〉 함안지역 경급 분포도 68

〈그림 2-23〉 함안지역 영급 분포도 68

〈그림 3-1〉 조사지역 행정구역별 신고·허가시설 분포 현황 71

〈그림 3-2〉 조사지역 정호 심도별 분포 현황 73

〈그림 3-3〉 조사지역 정호 구경별 분포 현황 74

〈그림 3-4〉 조사지역 토출관 직경별 분포 현황 75

〈그림 3-5〉 조사지역 양수능력별 분포 현황 76

〈그림 3-6〉 연도별 지하수 이용시설 그래프 77

〈그림 3-7〉 연도별 지하수 이용량 그래프 78

〈그림 3-8〉 지하수 시설 및 이용량의 연도별 변화 추세 79

〈그림 4-1〉 함안지역 수문지질단위 분포 84

〈그림 4-2〉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91

〈그림 4-3〉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92

〈그림 4-4〉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96

〈그림 4-5〉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97

〈그림 4-6〉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1차 측정시기) 100

〈그림 4-7〉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2차 측정시기) 100

〈그림 4-8〉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3차 측정시기) 101

〈그림 4-9〉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4차 측정시기) 101

〈그림 4-10〉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1차 측정시기) 103

〈그림 4-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2차 측정시기) 103

〈그림 4-12〉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3차 측정시기) 104

〈그림 4-13〉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4차 측정시기) 104

〈그림 4-14〉 기상관측소 티센망도 105

〈그림 4-15〉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변동 그래프 106

〈그림 4-16〉 시험시추공 HAE00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08

〈그림 4-17〉 시험시추공 HAE003, 00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09

〈그림 4-18〉 시험시추공 HAE001, 00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0

〈그림 4-19〉 시험시추공 HAE007, 0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0

〈그림 4-20〉 시험시추공 HAE006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1

〈그림 4-21〉 시험시추공 HAE010, 01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1

〈그림 4-22〉 시험시추공 HAE009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2

〈그림 4-23〉 대수성시험공 HAE01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3

〈그림 4-24〉 대수성시험공 HAE01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4

〈그림 4-25〉 대수성시험공 HAE01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4

〈그림 4-26〉 HAB-01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55) 118

〈그림 4-27〉 HAB-02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82, 092) 119

〈그림 4-28〉 HAB-02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23, 147) 119

〈그림 4-29〉 HAB-03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236, 263) 120

〈그림 4-30〉 HAB-03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240) 120

〈그림 4-31〉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66, 231) 121

〈그림 4-32〉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2) 122

〈그림 4-33〉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04, 307) 122

〈그림 4-34〉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32, 212) 123

〈그림 4-35〉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19) 124

〈그림 4-36〉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39, 279) 125

〈그림 4-37〉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3, 424) 125

〈그림 4-38〉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55, 391) 126

〈그림 4-39〉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98, 410) 126

〈그림 4-40〉 HAB-05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58, 204) 127

〈그림 4-41〉 HAB-05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0, 421) 128

〈그림 4-42〉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54, 432) 129

〈그림 4-43〉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21) 129

〈그림 4-44〉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5, 426) 130

〈그림 4-45〉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7, 429) 130

〈그림 4-46〉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8, 431) 131

〈그림 4-47〉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30, 433) 132

〈그림 4-48〉 HAB-08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34) 132

〈그림 4-49〉 평수기 지하수 수위와 지형고도의 상관관계 133

〈그림 4-50〉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분포 135

〈그림 4-51〉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방향 137

〈그림 4-52〉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139

〈그림 4-53〉 시험유역의 수위-유량 관계 140

〈그림 4-54〉 USGS PART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 141

〈그림 4-55〉 기상관측소 월간 강수량 변동 144

〈그림 4-56〉 강우 티센망도와 유역현황 144

〈그림 4-57〉 NRCS-CN 중첩에 의한 셀별 CN 분포 151

〈그림 4-58〉 hybrid-WTF 분석 시 적용한 지하수 수위 관측지점별 강우관측소 154

〈그림 4-59〉 관측지점별 지하수 함양계수 산정 모델 결과 156

〈그림 4-60〉 수문지질단위별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Box-Plot 166

〈그림 4-6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167

〈그림 4-62〉 수문지질단위별 암반 지하수 산출성 Box-Plot 170

〈그림 4-63〉 암반 지하수의 산출성 분포도 171

〈그림 4-64〉 선형구조 밀도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173

〈그림 4-65〉 선형구조밀도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174

〈그림 4-66〉 지형고도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175

〈그림 4-67〉 지형고도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176

〈그림 4-68〉 지형 단위경사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176

〈그림 4-69〉 지형 단위경사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177

〈그림 4-70〉 수문지질 특성 평가항목별 평가결과 182

〈그림 4-71〉 수문지질 특성 평가 184

〈그림 5-1〉 조사지역 장주기 지하수 수질관측망 현황 186

〈그림 5-2〉 암반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 수질 변화 188

〈그림 5-3〉 암반 지하수 수질관측망 조사시기별 전기전도도(EC) 분포도 189

〈그림 5-4〉 암반 지하수 전기전도도(EC)의 공간 분포와 지질의 상관성 190

〈그림 5-5〉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 수질 변화 192

〈그림 5-6〉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수질관측망 조사시기별 전기전도도(EC) 분포도 193

〈그림 5-7〉 전체 지하수 주요 용존 이온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195

〈그림 5-8〉 암반 지하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198

〈그림 5-9〉 암반 지하수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199

〈그림 5-10〉 암반 지하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200

〈그림 5-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주요 용존 이온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203

〈그림 5-12〉 암반과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주요 이온 성분 비교 205

〈그림 5-13〉 지하수 화학을 지배하는 주요 이온 성분의 용해기작 205

〈그림 5-14〉 함안층의 암상과 광물(탄산염, 증발염) 및 층서학적 분류 206

〈그림 5-15〉 지하수의 파이퍼 다이아그램(Piper diagram) 208

〈그림 5-16〉 암반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209

〈그림 5-17〉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210

〈그림 5-18〉 암반 지하수의 토지 이용별 파이퍼 다이아그램(Piper diagram) 212

〈그림 5-19〉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토지 이용별 파이퍼다이아그램(Piper diagram) 213

〈그림 5-20〉 함안군 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215

〈그림 5-21〉 시기별 염소 이온의 공간 분포 현황 218

〈그림 5-22〉 조사 시기별 질산염 성분의 공간 분포 현황 219

〈그림 5-23〉 비소 농도별 지하수 시료수 분포 현황(2018.04) 221

〈그림 5-24〉 현장 수질 항목과 비소의 상호 관계 222

〈그림 5-25〉 주요 용존 이온과 비소의 상호 관계 222

〈그림 5-26〉 지하수 비소 성분 분포 현황(2018.04) 223

〈그림 5-27〉 지하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2017.08~2018.04) 224

〈그림 5-28〉 수질기준 초과 지점 분포 현황 228

〈그림 5-29〉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228

〈그림 5-30〉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현황 231

〈그림 5-31〉 미생물 군집분석 시료 채취 위치 233

〈그림 5-32〉 미생물 군집 구조 235

〈그림 5-33〉 미생물 군집 중 Proteobacteria의 구성 235

〈그림 5-34〉 미생물 군집과 환경 인자의 주성분 분석 236

〈그림 5-35〉 DRASTIC 요소별 오염취약성지수 분포도 245

〈그림 5-36〉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DRASTIC) 246

〈그림 6-1〉 함안지역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249

〈그림 6-2〉 함안지역 충적층/풍화대 대수층의 산출성 분석 250

〈그림 6-3〉 함안지역 암반 지하수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252

〈그림 6-4〉 함안지역 암반 대수층의 산출성 분석 253

〈그림 6-5〉 함안지역의 행정구역별 수자원총량, 함양량, 개발가능량 255

〈그림 6-6〉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 평가 분류 257

〈그림 6-7〉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도 유형(Type) 분포 258

〈그림 6-8〉 함안지역의 수질기준 초과 지점 분포 현황 260

〈그림 6-9〉 함안지역의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260

〈그림 6-10〉 함안지역의 수질분석 및 잠재오염원 분포 결과 261

〈그림 7-1〉 비소 농도별 지하수 시료수 분포 현황(2018.04) 266

〈그림 7-2〉 지하수 비소 성분 분포 현황(2018.04) 267

〈그림 7-3〉 4대강 보 수문 개방 계획 268

〈그림 7-4〉 창녕·함안보의 수문 개방 시나리오 269

〈그림 7-5〉 보 수문 개방에 따른 피해 관련 보도 기사 270

〈그림 7-6〉 창녕함안보 수위-지하수관측 수위 변동 272

〈그림 8-1〉 함안지역의 수문지질단위 276

〈그림 8-2〉 대수층 분류도 277

〈그림 8-3〉 Stiff diagram 278

표제지

함안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는

목차

제1장 서론 329

1.1. 조사 배경 및 목적 330

1.2. 조사 지역 위치 331

1.2.1. 지리적 위치 331

1.2.2.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332

1.3. 조사 기간 및 내용 333

1.3.1. 조사기간 333

1.3.2. 조사 항목 및 수량 334

제2장 수문지질환경 336

2.1. 하천 및 유역 337

2.1.1. 하천 현황 337

2.1.2. 유역 현황 340

2.2. 기상 343

2.2.1. 기온 345

2.2.2. 습도 345

2.2.3. 강수량 348

2.3. 지형 350

2.3.1. 지형 개요 350

2.3.2. 지형 고도 분석 352

2.3.3. 지형 경사 분석 354

2.3.4. 경사 방향 분석 355

2.4. 지질 356

2.4.1. 지표지질 356

2.4.2. 지질구조 361

2.4.3. 선형구조 361

2.4.4. 유역별 지질 특성 367

2.5. 토지피복 370

2.5.1. 토양특성 370

2.5.2. 토지피복 및 이용 375

2.5.3. 식생 및 임상 분포 377

제3장 지하수 개발과 이용 387

3.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및 특성 388

3.1.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88

3.1.2.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391

3.1.3. 연도별 개발·이용 특성 396

3.2. 지하수 용수 이용 현황 399

제4장 세부 수리지질 조사 401

4.1. 조사 개요 402

4.2. 지하수 관측조사 404

4.2.1. 지하수 수위 조사 406

4.2.2. 지하수 수질 조사 415

4.3. 지표수 관측조사 420

4.3.1. 집수구역 및 시험유역 설정 420

4.3.2. 지표수 유량 관측 422

4.3.3. 시험유역 하천수위 변동 426

4.3.4. 유량측정 지점의 현장 수질 427

4.4. 전기비저항 탐사 431

4.4.1. 서론 431

4.4.2. 조사 목적 및 내용 431

4.4.3. 전기비저항 탐사 원리 434

4.4.4.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42

4.5. 시추 및 착정 조사 474

4.5.1. 개요 474

4.5.2. 조사 결과 477

4.5.3. 물리검증 481

4.6. 대수성 시험 488

4.6.1. 장기양수시험 488

4.6.2. 간이양수시험 491

4.6.3. 단계양수시험 499

4.6.4. 순간수위변화시험 503

제5장 지하수 부존 및 산출 특성 507

5.1. 수문지질단위 508

5.1.1. 수문지질단위 설정 508

5.1.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511

5.2. 지하수 수위 513

5.2.1. 지하수 수위 분포 513

5.2.2. 지하수 수위 공간분포 524

5.3. 지하수 수위 변동 531

5.3.1. 국가 지하수 관측망 531

5.3.2.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534

5.3.3.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543

5.3.4. 상관분석 561

5.4. 지하수 유동 체계 575

5.4.1. 지하수 수위 분포 575

5.4.2.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 방향 577

5.4.3. 지하수 함양 및 배출 체계 580

5.5.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 583

5.5.1. 기저유출 분석 583

5.5.2. 물수지분석 587

5.5.3. 지하수위 변동법(hybrid-WTF) 598

5.5.4. 지하수 개발 가능량 평가 612

5.6. 수문지질 특성 평가 615

5.6.1. 대수층 수리 특성 615

5.6.2. 수문지질 특성 평가 628

제6장 지하수 수질 및 오염취약성 636

6.1. 일반 수질 637

6.1.1. 간이 수질 637

6.1.2. 용존 이온 645

6.1.3. 수질 유형 659

6.2. 지하수 수질오염 특성 663

6.2.1. 토지 이용과 지하수 수질 663

6.2.2. 농업용 지하수 분류 666

6.2.3. 수질오염 특성 667

6.3. 잠재오염원 현황 681

6.4. 미생물 생태 분석 685

6.4.1. 시험지역 설정 685

6.4.2.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686

6.4.3.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687

6.5. 오염취약성 평가 691

6.5.1. DRASTIC 691

제7장 지하수 개발 및 보전 702

7.1.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703

7.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703

7.1.2. 암반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706

7.2. 지하수 보전 필요 지역 709

7.2.1. 지하수 수량 관리 709

7.2.2. 지하수 수질 관리 711

참고문헌 719

서지사항 727

판권기 728

〈표 1-1〉 함안군 위치 현황 331

〈표 1-2〉 함안군 행정구역 현황 332

〈표 1-3〉 조사 항목별 조사 수량 334

〈표 2-1〉 조사지역 하천 현황 338

〈표 2-2〉 함안군의 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342

〈표 2-3〉 월평년 및 연평년 기상 현황 344

〈표 2-4〉 일평년 평균 기온 346

〈표 2-5〉 일평년 평균 습도 347

〈표 2-6〉 일평년 강수량 349

〈표 2-7〉 경사도에 따른 지형 분류 351

〈표 2-8〉 지형고도별 면적분포 현황 353

〈표 2-9〉 지형 경사별 면적분포 현황 354

〈표 2-10〉 경사 방향별 면적분포 현황 355

〈표 2-11〉 함안지역의 지질계통표 356

〈표 2-12〉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363

〈표 2-13〉 유역별 지질분포 현황 367

〈표 2-14〉 NRCS 토양군 분류기준 371

〈표 2-15〉 함안지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373

〈표 2-16〉 유역별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면적 현황 374

〈표 2-17〉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 분포 375

〈표 2-18〉 토지피복에 따른 면적 분포 376

〈표 2-19〉 임상분류 기준 384

〈표 3-1〉 함안군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88

〈표 3-2〉 세부용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0

〈표 3-3〉 단위면적당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1

〈표 3-4〉 정호 심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2

〈표 3-5〉 정호 구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3

〈표 3-6〉 토출관 직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4

〈표 3-7〉 양수능력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5

〈표 3-8〉 연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96

〈표 3-9〉 함안군의 지하수 용수 이용 현황 399

〈표 3-10〉 함안군의 상수도 시설 현황 (시설용량 및 수원 형태) 399

〈표 3-11〉 함안군의 상수도 급수인구 현황 400

〈표 4-1〉 세부수리지질 조사 내역 402

〈표 4-2〉 조사지역의 지하수 기본 관측망 현황 405

〈표 4-3〉 유역별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406

〈표 4-4〉 조사지역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의 시기별 측정 개수 407

〈표 4-5〉 조사지역의 단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구성 현황 408

〈표 4-6〉 조사지역 국가 지하수 관측망 위치 및 관측 개시일 409

〈표 4-7〉 조사지역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측소 현황 410

〈표 4-8〉 조사지역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위치 410

〈표 4-9〉 조사지역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제원 및 관측 개시일 411

〈표 4-10〉 조사지역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위치 (기존 관정) 411

〈표 4-11〉 조사지역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제원 및 관측 개시일 (기존 관정) 413

〈표 4-12〉 조사지역 장주기 지하수 수질 관측망 현황 416

〈표 4-13〉 조사지역 장주기 지하수 수질 관측망의 시기별 측정 개수 416

〈표 4-14〉 조사지역 지하수 수질 시료 채취 현황 416

〈표 4-15〉 시험유역 설정 및 유량/수위 측정 현황 420

〈표 4-16〉 지표수 유량 측정 결과 423

〈표 4-17〉 유량측정 지점의 수질측정 결과 428

〈표 4-18〉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현황 433

〈표 4-19〉 1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현황 434

〈표 4-20〉 암석 종류에 따른 전기비저항 범위 436

〈표 4-21〉 시추조사 위치 및 제원 475

〈표 4-22〉 착정조사 위치 및 제원 476

〈표 4-23〉 시추조사 결과 477

〈표 4-24〉 착정조사 결과 480

〈표 4-25〉 물리검층 시추/착정공의 위치 및 제원 484

〈표 4-26〉 함안지역 시추/착정공의 위치 및 제원과 수리시험 종류 488

〈표 4-27〉 장기양수시험 시 지하수위 측정시간 간격 489

〈표 4-28〉 함안지역 시추/착정공의 수리시험 분석결과 요약 489

〈표 4-29〉 암반 지하수 간이양수시험정의 위치 및 제원 492

〈표 4-30〉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간이양수시험정의 위치 및 제원 493

〈표 4-31〉 암반 지하수 간이양수시험 결과 497

〈표 4-32〉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간이양수시험 결과 498

〈표 4-33〉 함안지역 단계양수시험으로 추정한 지속가능 개발가능량 501

〈표 4-34〉 순간수위변화시험공의 위치 및 제원 504

〈표 4-35〉 순간수위변화시험 결과 506

〈표 5-1〉 함안지역의 수문지질단위 분류 509

〈표 5-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현황 511

〈표 5-3〉 기본 관측망(암반 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범위 514

〈표 5-4〉 기본 관측망(암반 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515

〈표 5-5〉 기본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범위 519

〈표 5-6〉 기본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520

〈표 5-7〉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532

〈표 5-8〉 시험시추공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534

〈표 5-9〉 대수성 시험공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540

〈표 5-10〉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관측자료 통계분석 결과 543

〈표 5-11〉 지하수 수위 자기상관분석 결과 561

〈표 5-12〉 지하수 수위-강우 교차상관분석 결과 568

〈표 5-13〉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576

〈표 5-14〉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통계분석 결과 578

〈표 5-15〉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의 일반적인 구분 및 특징 580

〈표 5-16〉 유역별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582

〈표 5-17〉 HAS-01 시험유역의 기저유출 분석 결과 585

〈표 5-18〉 HAS-02 시험유역의 기저유출 분석 결과 585

〈표 5-19〉 기상관측소 제원 587

〈표 5-20〉 유역별 티센면적비와 면적강우량 589

〈표 5-21〉 유역별 티센계수에 따른 증발산량 591

〈표 5-22〉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따른 고려사항 594

〈표 5-23〉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595

〈표 5-24〉 토지이용과 수문학적 토양형에 따른 적용 유출곡선지수 596

〈표 5-25〉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 NRCS-CN 모델 597

〈표 5-26〉 지하수위 관측지점별 함양률 및 유효충전공극률 605

〈표 5-27〉 hybrid-WTF 분석지점별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 608

〈표 5-28〉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에 따른 함양계수 610

〈표 5-29〉 hybrid-WTF를 이용한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 610

〈표 5-30〉 hybrid-WTF 모델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및 함양률 611

〈표 5-31〉 10년에 1회 발생빈도를 갖는 가뭄시 지하수 함양량 613

〈표 5-32〉 함안지역 유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614

〈표 5-33〉 함안지역 행정구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614

〈표 5-34〉 수문지질단위별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산출성 616

〈표 5-35〉 수문지질단위별 암반 지하수 산출성 620

〈표 5-36〉 지형고도 계급별 대수층 수리상수자료 통계 625

〈표 5-37〉 지형경사 계급별 대수층 수리상수자료 통계 627

〈표 5-38〉 수문지질특성 평가 분류 기준 631

〈표 5-39〉 주제도 작성 항목 및 활용 자료 632

〈표 5-40〉 표준유역별 수문지질 특성 평가 결과 634

〈표 5-41〉 행정구역별 수문지질 특성 평가 결과 634

〈표 6-1〉 조사지역에서의 시기별 간이 수질 측정 현황 638

〈표 6-2〉 암반 지하수의 간이 수질 측정 결과 639

〈표 6-3〉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간이 수질 측정 결과 643

〈표 6-4〉 함안지역 전체 지하수 수질의 통계분석 결과 646

〈표 6-5〉 함안지역 전체 지하수 수질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648

〈표 6-6〉 암반 지하수의 수질 통계분석 결과 649

〈표 6-7〉 암반 지하수 수질 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652

〈표 6-8〉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 통계분석 결과 654

〈표 6-9〉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수질성분의 상관분석 결과 (2018.04) 655

〈표 6-10〉 암반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 유형 현황 661

〈표 6-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 유형 현황 662

〈표 6-12〉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SAR 계산 결과 667

〈표 6-13〉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통계 분석 결과 668

〈표 6-14〉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수준별 분포 현황 668

〈표 6-15〉 염소(Cl) 이온의 수질기준 초과 현황 669

〈표 6-16〉 질산염(NO₃) 성분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 671

〈표 6-17〉 비소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2018.04) 673

〈표 6-18〉 라돈(Rn)의 EPA 제안 기준 초과 현황 676

〈표 6-19〉 수질검사 분석 항목 677

〈표 6-20〉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678

〈표 6-21〉 함안군의 잠재오염원 현황 682

〈표 6-22〉 함안군의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결과 682

〈표 6-23〉 염기서열 분석 결과 687

〈표 6-24〉 DRASTIC 모델의 평가 방법 693

〈표 6-25〉 지하수 심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4

〈표 6-26〉 지하수 함양량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5

〈표 6-27〉 대수층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6

〈표 6-28〉 토양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6

〈표 6-29〉 지형경사율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7

〈표 6-30〉 비포화대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8

〈표 6-31〉 수리전도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98

〈표 6-32〉 유역별 지하수 오염취약성 지수 분포 현황 699

〈표 7-1〉 함안지역의 충적층/풍화대 지하수공 산출성 분석 결과 요약 704

〈표 7-2〉 함안지역 암반 지하수의 산출성 현황 706

〈표 7-3〉 함안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률 710

〈표 7-4〉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도 평가를 위한 등급별 행정구역 수 711

〈표 7-5〉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 위험도 평가 결과 및 기준 712

〈표 7-6〉 함안지역의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714

〈그림 1-1〉 조사지역 위치 현황 331

〈그림 1-2〉 조사지역 인구밀도 현황 332

〈그림 1-3〉 지하수 기초조사 업무 흐름도 335

〈그림 2-1〉 주요 하천 현황 337

〈그림 2-2〉 함안지역의 음영기복도 351

〈그림 2-3〉 함안지역의 지형고도 분포 353

〈그림 2-4〉 함안지역의 지형 경사 분포 현황 354

〈그림 2-5〉 함안지역의 경사 방향 분포 현황 355

〈그림 2-6〉 함안지역의 지질분포 현황 357

〈그림 2-7〉 함안지역의 선형구조 분포도 362

〈그림 2-8〉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그래프 364

〈그림 2-9〉 선형구조 로즈 다이어그램 364

〈그림 2-10〉 함안지역의 선형구조 길이밀도 분포도 366

〈그림 2-11〉 함안지역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374

〈그림 2-12〉 함안지역의 토지이용(중분류) 분포 현황 376

〈그림 2-13〉 함안지역의 토지피복(중분류) 분포 현황 377

〈그림 2-14〉 나뭇잎과 파장과의 관계 모식도 378

〈그림 2-15〉 위성자료 판별 및 획득 379

〈그림 2-16〉 함안지역의 위성영상 전처리 전/후 380

〈그림 2-17〉 함안지역의 정규식생지수 분포도-1 (2017.07.27) 381

〈그림 2-18〉 함안지역의 정규식생지수 분포도-2 (2017.10.31) 382

〈그림 2-19〉 함안지역의 정규식생지수 분포도-3 (2018.01.03) 382

〈그림 2-20〉 함안지역의 정규식생지수 분포도-4 (2018.04.25) 383

〈그림 2-21〉 함안지역의 정규식생지수 시기별 변화 그래프 383

〈그림 2-22〉 함안지역의 수관밀도 분포도 385

〈그림 2-23〉 함안지역의 경급 분포도 385

〈그림 2-24〉 함안지역의 영급 분포도 386

〈그림 3-1〉 함안지역 행정구역별 신고·허가시설 분포 현황 389

〈그림 3-2〉 함안지역 정호 심도별 분포 현황 392

〈그림 3-3〉 함안지역 정호 구경별 분포 현황 393

〈그림 3-4〉 함안지역 토출관 직경별 분포 현황 394

〈그림 3-5〉 함안지역 양수능력별 분포 현황 395

〈그림 3-6〉 연도별 지하수 이용시설 그래프 396

〈그림 3-7〉 연도별 지하수 이용량 그래프 397

〈그림 3-8〉 지하수 시설 및 이용량의 연도별 변화 추세 398

〈그림 4-1〉 조사지역의 지하수 기본 관측망 현황 405

〈그림 4-2〉 조사지역의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407

〈그림 4-3〉 조사지역 단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409

〈그림 4-4〉 조사지역의 장주기 지하수 수질 관측망 현황 415

〈그림 4-5〉 조사지역의 지하수 수질시료 채취지점 (이온함량 분석용) 417

〈그림 4-6〉 조사지역의 지하수 수질시료 채취지점 (라돈 분석용) 417

〈그림 4-7〉 조사지역의 지하수 수질시료 채취지점 (먹는물 수질 분석용) 418

〈그림 4-8〉 시험유역 및 유량/수질 측정 위치도 421

〈그림 4-9〉 시험유역별 유량 변화 426

〈그림 4-10〉 시험유역 지표수 자동관측 그래프(30분 간격) 426

〈그림 4-11〉 전기비저항 탐사 장비 및 해석 Software 431

〈그림 4-12〉 함안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435

〈그림 4-13〉 전기비저항 탐사기에 대한 개략적 모식도 437

〈그림 4-14〉 전류 및 등전위선 분포 438

〈그림 4-15〉 24개의 전극을 이용한 각 배열법에서 측정되는 측점들 439

〈그림 4-16〉 전기비저항 탐사 모식도 440

〈그림 4-17〉 L-01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55

〈그림 4-18〉 L-01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55

〈그림 4-19〉 L-02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56

〈그림 4-20〉 L-02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56

〈그림 4-21〉 L-03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57

〈그림 4-22〉 L-03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58

〈그림 4-23〉 L-04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58

〈그림 4-24〉 L-04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59

〈그림 4-25〉 L-05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59

〈그림 4-26〉 L-05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0

〈그림 4-27〉 L-06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0

〈그림 4-28〉 L-06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1

〈그림 4-29〉 L-07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2

〈그림 4-30〉 L-07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2

〈그림 4-31〉 L-08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3

〈그림 4-32〉 L-08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3

〈그림 4-33〉 L-09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4

〈그림 4-34〉 L-09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4

〈그림 4-35〉 L-10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5

〈그림 4-36〉 L-10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6

〈그림 4-37〉 L-11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7

〈그림 4-38〉 L-11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7

〈그림 4-39〉 L-12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8

〈그림 4-40〉 L-12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468

〈그림 4-41〉 L-13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도 469

〈그림 4-42〉 L-13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69

〈그림 4-43〉 L-14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470

〈그림 4-44〉 L-14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70

〈그림 4-45〉 L-15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471

〈그림 4-46〉 L-15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72

〈그림 4-47〉 L-16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472

〈그림 4-48〉 L-16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73

〈그림 4-49〉 L-17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473

〈그림 4-50〉 L-17 측선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473

〈그림 4-51〉 조사지역 시추조사 및 착정공사 위치도 474

〈그림 4-52〉 자연감마선의 범위 482

〈그림 4-53〉 시추공 HAE002의 물리검층 결과 485

〈그림 4-54〉 착정공 HAE012의 물리검층 결과 487

〈그림 4-55〉 HAE002 관정 장기양수시험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90

〈그림 4-56〉 HAE012 관정 장기양수시험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90

〈그림 4-57〉 HAE013 관정 장기양수시험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91

〈그림 4-58〉 HAE014 관정 장기양수시험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91

〈그림 4-59〉 HAE002 관정 단계양수시험의 수위변화 및 매칭 결과 501

〈그림 4-60〉 HAE002 관정 단계양수시험의 분석 결과 502

〈그림 4-61〉 HAE014 관정 단계양수시험의 수위변화 곡선 및 매칭 결과 502

〈그림 4-62〉 HAE014 관정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502

〈그림 4-63〉 순간수위변화 시험 개념도 503

〈그림 4-64〉 HAE002, HAE012 시험공의 정규 수두 변화 505

〈그림 4-65〉 HAE002, HAE012 관정의 순간수위변화시험 해석 그래프 506

〈그림 5-1〉 함안지역 수문지질단위 분포 510

〈그림 5-2〉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517

〈그림 5-3〉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518

〈그림 5-4〉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즉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522

〈그림 5-5〉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523

〈그림 5-6〉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1차 측정시기) 526

〈그림 5-7〉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2차 측정시기) 526

〈그림 5-8〉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3차 측정시기) 527

〈그림 5-9〉 암반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4차 측정시기) 527

〈그림 5-10〉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1차 측정시기) 529

〈그림 5-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2차 측정시기) 529

〈그림 5-12〉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3차 측정시기) 530

〈그림 5-13〉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심도 분포도 (4차 측정시기) 530

〈그림 5-14〉 기상관측소 티센망도 531

〈그림 5-15〉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변동 그래프 532

〈그림 5-16〉 시험시추공 HAE00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5

〈그림 5-17〉 시험시추공 HAE003, 00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6

〈그림 5-18〉 시험시추공 HAE001, 00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7

〈그림 5-19〉 시험시추공 HAE007, 0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7

〈그림 5-20〉 시험시추공 HAE006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8

〈그림 5-21〉 시험시추공 HAE010, 01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9

〈그림 5-22〉 시험시추공 HAE009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39

〈그림 5-23〉 대수성시험공 HAE01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40

〈그림 5-24〉 대수성시험공 HAE01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41

〈그림 5-25〉 대수성시험공 HAE01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542

〈그림 5-26〉 HAB-01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55) 546

〈그림 5-27〉 HAB-02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82, 092) 547

〈그림 5-28〉 HAB-02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23, 147) 547

〈그림 5-29〉 HAB-03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236, 263) 548

〈그림 5-30〉 HAB-03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240) 548

〈그림 5-31〉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66, 231) 549

〈그림 5-32〉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2) 550

〈그림 5-33〉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04, 307) 550

〈그림 5-34〉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32, 212) 551

〈그림 5-35〉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19) 552

〈그림 5-36〉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039, 279) 553

〈그림 5-37〉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3, 424) 553

〈그림 5-38〉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55, 391) 554

〈그림 5-39〉 HAB-04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98, 410) 554

〈그림 5-40〉 HAB-05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158, 204) 555

〈그림 5-41〉 HAB-05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0, 421) 556

〈그림 5-42〉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54, 432) 557

〈그림 5-43〉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21) 557

〈그림 5-44〉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5, 426) 558

〈그림 5-45〉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7, 429) 558

〈그림 5-46〉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28, 431) 559

〈그림 5-47〉 HAB-07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430, 433) 560

〈그림 5-48〉 HAB-08 유역 관정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HA334) 560

〈그림 5-49〉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기상관도 563

〈그림 5-50〉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자기상관도 564

〈그림 5-51〉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자기상관도 565

〈그림 5-52〉 국가 지하수 관측망 교차상관도 570

〈그림 5-53〉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공 교차상관도 571

〈그림 5-54〉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교차상관도 572

〈그림 5-55〉 평수기 지하수 수위와 지형고도의 상관관계 575

〈그림 5-56〉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분포 577

〈그림 5-57〉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방향 579

〈그림 5-58〉 지하수 함양·중간 배출지역 분포 현황 581

〈그림 5-59〉 시험유역의 수위-유량 관계 584

〈그림 5-60〉 USGS PART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 584

〈그림 5-61〉 기상관측소 월간 강수량 변동 588

〈그림 5-62〉 강우 티센망도와 유역현황 589

〈그림 5-63〉 NRCS-CN 중첩에 의한 셀별 CN 분포 596

〈그림 5-64〉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 수위변동간의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모식도 600

〈그림 5-65〉 비포화 함수곡선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및 충전공극률의 부정류 특성 601

〈그림 5-66〉 토양별 시간에 따른 유효함수비 변화 모사 602

〈그림 5-67〉 비포화 수리모델과 지하수위 변동모델을 이용한 함양량 산정 절차 603

〈그림 5-68〉 hybrid-WTF 분석 시 적용한 지하수 수위 관측지점별 강우관측소 604

〈그림 5-69〉 관측지점별 지하수 함양계수 산정 모델 결과 606

〈그림 5-70〉 수문지질단위별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Box-Plot 616

〈그림 5-7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617

〈그림 5-72〉 수문지질단위별 암반 지하수 산출성 Box-Plot 620

〈그림 5-73〉 암반 지하수의 산출성 분포도 621

〈그림 5-74〉 선형구조 밀도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623

〈그림 5-75〉 선형구조밀도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624

〈그림 5-76〉 지형고도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625

〈그림 5-77〉 지형고도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626

〈그림 5-78〉 지형 단위경사와 대수층 수리상수 자료 626

〈그림 5-79〉 지형 단위경사와 지하수 수리특성간의 상관관계 627

〈그림 5-80〉 수문지질 특성 평가항목별 평가 결과 633

〈그림 5-81〉 수문지질 특성 평가 635

〈그림 6-1〉 조사지역의 장주기 지하수 수질관측망 현황 638

〈그림 6-2〉 암반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 수질 변화 640

〈그림 6-3〉 암반 지하수의 수질관측망 조사시기별 전기전도도(EC) 분포도 641

〈그림 6-4〉 암반 지하수 전기전도도(EC)의 공간 분포와 지질의 상관성 642

〈그림 6-5〉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 수질 변화 644

〈그림 6-6〉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관측망 조사시기별 전기전도도(EC) 분포도 645

〈그림 6-7〉 전체 지하수 주요 용존 이온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647

〈그림 6-8〉 암반 지하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650

〈그림 6-9〉 암반 지하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651

〈그림 6-10〉 암반 지하수 주요 이온 성분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652

〈그림 6-1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주요 용존 이온의 시기별 평균 및 중앙값 비교 655

〈그림 6-12〉 암반과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주요 이온 성분 비교 657

〈그림 6-13〉 지하수 화학을 지배하는 주요 이온 성분의 용해기작 657

〈그림 6-14〉 함안층의 암상과 광물(탄산염, 증발염) 및 층서학적 분류 658

〈그림 6-15〉 지하수의 파이퍼 다이아그램(Piper diagram) 660

〈그림 6-16〉 암반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661

〈그림 6-17〉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662

〈그림 6-18〉 암반 지하수의 토지 이용별 파이퍼 다이아그램(Piper diagram) 664

〈그림 6-19〉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토지 이용별 파이퍼다이아그램(Piper diagram) 665

〈그림 6-20〉 함안군 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667

〈그림 6-21〉 조사 시기별 염소 이온의 공간 분포 현황 670

〈그림 6-22〉 조사 시기별 질산염 성분의 공간 분포 현황 671

〈그림 6-23〉 비소 농도별 지하수 시료수 분포 현황(2018.04) 673

〈그림 6-24〉 현장 수질 항목과 비소의 상호 관계 674

〈그림 6-25〉 주요 용존 이온과 비소의 상호 관계 674

〈그림 6-26〉 지하수 비소 성분 분포 현황(2018.04) 675

〈그림 6-27〉 지하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2017.08-2018.04) 676

〈그림 6-28〉 수질기준 초과 지점 분포 현황 680

〈그림 6-29〉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680

〈그림 6-30〉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현황 683

〈그림 6-31〉 미생물 군집분석 시료 채취 위치 686

〈그림 6-32〉 미생물 군집 구조 689

〈그림 6-33〉 미생물 군집 중 Proteobacteria의 구성 689

〈그림 6-34〉 미생물 군집과 환경 인자의 주성분 분석 690

〈그림 6-35〉 DRASTIC 요소별 오염취약성 지수 분포도 700

〈그림 6-36〉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DRASTIC) 701

〈그림 7-1〉 함안지역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704

〈그림 7-2〉 함안지역 충적층/풍화대 대수층의 산출성 분석 705

〈그림 7-3〉 함안지역 암반 지하수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707

〈그림 7-4〉 함안지역 암반 대수층의 산출성 분석 708

〈그림 7-5〉 함안지역의 행정구역별 수자원총량, 함양량, 개발가능량 710

〈그림 7-6〉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 평가 분류 712

〈그림 7-7〉 함안지역의 지하수 오염위험도 유형(Type) 분포 713

〈그림 7-8〉 함안지역의 수질기준 초과 지점 분포 현황 715

〈그림 7-9〉 함안지역의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715

〈그림 7-10〉 함안지역의 수질분석 및 잠재오염원 분포 결과 716

표제지

함안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는

목차

1. 지하수 관측조사 734

1-1. 지하수 수위/수질 기본 관측망 현황 736

1-2. 기본 관측망 지하수 수위 746

1-3. 자동관측망 지하수 수위 756

1-4. 기본 관측망 지하수 간이 수질 862

2. 지표수 관측조사 872

2-1. 지표수 관측지점 현황 및 자동관측망 자료 874

2-2. 지표수 유량 및 간이수질 882

3. 전기비저항 탐사 905

3-1. 전기비저항탐사 자료 및 해석 결과 907

4. 시추 및 착정 조사 934

4-1. 함안 시추조사 주상도 936

4-2. 함안 착정공사 주상도 952

5. 대수성 시험 958

5-1. 간이양수시험 기록지 960

5-2. 간이양수시험 해석 곡선 1024

6. 수질분석 1086

6-1. 수질분석 현황 1088

6-2. 화학분석 결과 (1차, 3차) 1098

6-3. 수질검사(먹는물) 결과 (1차, 3차) 1108

6-4. 수질검사 성적서 (2017년, 2018년) 1126

7.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결과 1175

8. 대수층 수리상수 수집 자료 1205

서지사항 1213

판권기 121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7928 628.114 -19-2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929 628.114 -19-2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930 628.114 -19-22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931 628.114 -19-22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932 628.114 -19-22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7933 628.114 -19-22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