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전통수목 양묘장 운영 특성화 방안 연구 / 문화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 2017
청구기호
634.956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5 p. : 삽화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13403
제어번호
MONO1201911349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전통수목양묘장 운영 특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용역수행: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책임연구원: 이창환 ; 연구: 김종진, 남궁원, 한갑수, 이기열, 황규만
부록: 1. 회의록 ; 2. 전통식물자원보급센터 추정공사비 ; 3. 전통수목양묘장 보유수종 외
참고문헌: p. 293-295
전자자료(CD-ROM)로도 이용가능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전통수목 양묘장 운영 특성화 방안 연구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I. 연구의 개요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1) 연구의 배경 15

2) 연구의 목적 16

2. 연구의 범위 17

1) 공간적 범위 17

2) 시간적 범위 17

3) 내용적 범위 18

3. 연구 방향과 수행체계 18

1) 연구의 방향 18

2) 수행체계 19

II. 역사적 사실 21

1. 조선시대 양묘(조경)제도 23

1) 조경 관련 행정기구 및 기능 23

2) 조선시대 행정기구 23

2. 고문헌에 나타나는 수목 27

1) 한반도의 전통수목 27

2) 조선시대 궁궐 34

3) 조선시대 왕릉의 수목 63

4) 종묘의 수목 77

5) 소결 78

3. 조선시대 온실 81

1) 산가요록의 동절양채(冬節養菜) 81

III. 현황분석 85

1. 전통수목 양묘장 현황조사 분석 87

1) 입지분석 87

2) 토양분석 94

3) 전통수목 생산 현황 및 생산체계 96

4) 양묘시설 현황 103

5) 전통수목 양묘장에 필요한 수목 111

2. 국내·외 양묘장 사례조사 123

1) 국내양묘장 현황 123

2) 국외양묘장 현황 129

3. 궁·능·종묘의 수목현황 142

1) 궁궐의 개관 142

2) 궁궐의 수목현황 146

3) 왕릉의 수목현황 161

4) 종묘의 수목현황 164

4. 관련법규 검토 167

1) 전통수목양묘장의 조성 관련법규 167

5. 경제성 분석 171

1) 전통수목 양묘장 경제성 분석 171

2) 전통수목 양묘장 지역주민 고용창출 175

3) 전통수목 양묘장 개방 효과 176

6. 종합분석 178

1) 전통수목 양묘장 종합분석 178

2) 국내·외 양묘장 종합분석 180

3) SWOT 분석 182

4) 전통수목 양묘장 특성화 운영(안)에 따른 기대효과 184

IV. 기본구상 187

1. 기본방향 189

2.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운영의 타당성 189

1) 조선왕실 양묘장 조성의 필요성 189

2)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운영 190

3)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도입수종 및 수형 191

3.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생산수목의 활용 199

4.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구상 208

1)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통합관리 208

2)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의 묘목생산 210

3) 잔디 생산 214

4)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구상(안) 215

5) 동구릉 자연생태학습장 구상(안) 217

V.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조직신설 필요성 방안 219

1. 조직신설의 필요성 221

1)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내·외부 정책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대처 221

2) 수형목 지정·생산 및 천연기념물 식물자원 보존관리 230

2. 조직구성 240

1) 전담조직 및 운영방안 242

2) 인력확보 방안 243

3)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사업계획 250

3.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운영 251

1)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통합관리 및 전문성 강화 방안 251

2)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현대화 방안 253

4.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체험프로그램 개발 운영 263

1)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체험프로그램 263

5. 궁·능·종묘 전통조경 관리 전문성 강화 266

1) 궁·능·종묘 유형별 전통수목 재식 연구 266

2) 궁·능·종묘 전통공간 상시 모니터링 267

3) 전통조경 사후 관리 방안 267

부록 269

1. 회의록 271

2. 전통식물자원보급센터 추정공사비 274

3. 전통수목양묘장 보유수종 275

4. 전통수목양묘장 수형목 후보목 279

참고문헌 305

[참여 연구진] 308

판권기 308

표 1-1. 계획수행체계 19

표 2-1. 고문헌 자료 별 수종기록 29

표 2-2. 고려시대의 정원 공간별 식재 기준 34

표 2-3. 창덕궁 고문헌에 등장하는 건축물 주변 수목 39

표 2-4. 창경궁 고문헌에 등장하는 수목 41

표 2-5. 전통정원에 식재 가능한 수종(오양순, 1979) - 창경궁 주요 식생조사 및 전통조경 관리방안 연구 재인용 41

표 2-6. 조선왕조실록의 감나무 42

표 2-7. 조선왕조실록의 피나무 42

표 2-8. 조선왕조실록의 개암나무 42

표 2-9. 조선왕조실록의 개옻나무 42

표 2-10. 조선왕조실록의 모과나무 43

표 2-11. 조선왕조실록의 가래나무 43

표 2-12. 조선왕조실록의 가죽나무 43

표 2-13. 조선왕조실록의 능금나무 43

표 2-14. 조선랑조실록의 단풍나무 44

표 2-15. 조선왕조실록의 오동나무 44

표 2-16. 조선왕조실록의 개오동나무 44

표 2-17. 조선왕조실록의 살구나무 44

표 2-18. 조선왕조실록의 산수유 45

표 2-19. 조선왕조실록의 삼나무 45

표 2-20. 조선왕조실록의 대추나무 45

표 2-21. 조선왕조실록의 동백나무 45

표 2-22. 조선왕조실록의 물푸레나무 45

표 2-23. 조선왕조실록의 대나무 46

표 2-24. 조선왕조실록의 매화나무 46

표 2-25. 조선왕조실록의 전나무 46

표 2-26. 조선왕조실록의 복숭아나무 46

표 2-27. 조선왕조실록의 자두나무, 오얏나무 46

표 2-28. 조선왕조실록의 느티나무 47

표 2-29. 조선왕조실록의 느릅나무 47

표 2-30. 조선왕조실록의 은행나무 47

표 2-31. 조선왕조실록의 회화나무 47

표 2-32. 조선왕조실록의 잣나무 48

표 2-33. 조선왕조실록의 밤나무 48

표 2-34. 조선왕조실록의 측백나무 48

표 2-35. 조선왕조실록의 참나무 48

표 2-36. 조선왕조실록의 수양버들 49

표 2-37. 조선왕조실록의 석류 49

표 2-38. 조선왕조실록의 버드나무 49

표 2-39. 조선왕초실록의 뽕나무 49

표 2-40. 조선왕조실록의 목련 49

표 2-41. 조선왕조실록의 모감주나무 50

표 2-42. 조선창조실록의 비자나무 50

표 2-43. 조선왕조실록의 향나무 50

표 2-44. 조선왕조실록의 배나무 50

표 2-45. 조선왕조실록의 조팝나무 51

표 2-46. 조선왕조실록의 소나무 51

표 2-47. 조선왕조실록의 귤나무 51

표 2-48. 조선왕조실록의 오갈피나무 51

표 2-49. 조선왕조실록의 포도나무 51

표 2-50. 조선왕조실록의 철쭉, 영산홍 52

표 2-51. 조선왕조실록의 회양목 52

표 2-52. 조선왕조실록의 진달래 52

표 2-53. 조선왕조실록의 모란 52

표 2-54. 조선왕조실록의 앵두나무 53

표 2-55. 조선왕조실록의 장미 53

표 2-56. 조선왕조실록의 무궁화 53

표 2-57. 조선왕조실록의 싸리 53

표 2-58. 조선왕조실록의 부용 54

표 2-59. 조선왕조실록의 개나리 54

표 2-60. 조선왕조실록의 이대, 전죽(箭竹) 54

표 2-61. 조선왕조실록의 작약 54

표 2-62. 조선왕조실록의 패랭이꽃 55

표 2-63. 조선왕조실록의 창포 55

표 2-64. 조선왕조실록의 연 55

표 2-65. 조선왕조실록의 파초 55

표 2-66. 조선왕조실록의 맥문동 55

표 2-67. 조선왕조실록의 난 56

표 2-68. 조선왕조실록의 사계화 56

표 2-69. 조선왕조실록의 석창포 56

표 2-70. 조선왕조실록의 해당화 56

표 2-71. 조선왕조실록의 맨드라미 57

표 2-72. 조선왕조실록의 원추리 57

표 2-73. 조선왕조실록의 들국화 57

표 2-74. 조선왕조실록의 복분자 57

표 2-75. 종묘의 식생 및 수목에 관한 기록 78

표 2-76. 문헌상의 식물 출현표-1 79

표 2-77. 문헌상의 식물 출현표-2 80

표 3-1. 사릉 주변 토지 가격조사 88

표 3-2. 홍릉·유릉 양묘장 토지현황 91

표 3-3. 홍릉·유릉 주변 토지 가격조사 92

표 3-4. 융릉·건릉 주변 토지 가격조사 93

표 3-5. 파주삼릉 주변 토지 가격조사 94

표 3-6. 왕릉 양묘장별 토양분석 결과 96

표 3-7. 연도별 생산 수목 분양 내용 96

표 3-8. 기관 및 수종별 생산 수목 분양 내용 97

표 3-9. 다양한 수종의 활엽수 용기묘(건국대) 99

표 3-10. 사릉관리소 연혁 103

표 3-11. 사릉 양묘장 시설현황 104

표 3-12. 동구릉 양묘장 시설현황 107

표 3-13. 염료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초본류 118

표 3-14. 염료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목본류 119

표 3-15. 국유양묘장 현황 123

표 3-16. 우리나라 산림용 묘목생산 수종 125

표 3-17. 서울시 양묘장 현황 126

표 3-18. 서울시 보유 생산 수종 127

표 3-19. 경복궁 수종현황 148

표 3-20. 창덕궁 수종현황 -1 152

표 3-21. 창덕궁 수종현황 -2 153

표 3-22. 창경궁 수종현황 -1 156

표 3-23. 창경궁 수종현황 -2 157

표 3-24. 덕수궁 수종현황 160

표 3-25. 조선왕릉 사초지 현황 163

표 3-26. 종묘 수종현황 -1 166

표 3-27. 문화재보호법 167

표 3-28. 문화재보호법 168

표 3-29.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168

표 3-3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69

표 3-3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169

표 3-32.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170

표 3-33.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170

표 3-34. '16년 예산 집행현황 172

표 3-35. 수목 분양현황 173

표 3-36. 초화류 분양현황 173

표 3-37. 양묘장 수목 주당 단가산정 174

표 3-38. SWOT 분석 - 강점요인 182

표 3-39. SWOT 분석 - 약점요인 183

표 3-40. SWOT 분석 - 기회요인 183

표 3-41. SWOT 문석 - 위협요인 184

표 4-1.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도입 수목 193

표 4-2. 역사정원 주변 가변식물 207

표 4-3. 적극적 관리대상 전통수목 208

표 4-4. 궁·능 녹지면적 212

표 4-5. 대상지별 교목·관목·초화류 산정 기준 212

표 4-6. 경복궁 필요수량 산정표 212

표 4-7. 창덕궁 필요수량 산정표 213

표 4-8. 창경궁 필요수량 산정표 213

표 4-9. 덕수궁 필요수량 산정표 213

표 4-10. 종묘 필요수량 산정표 213

표 4-11. 조선왕릉 필요수량 산정표 214

표 4-12. 궁·능 필요수량 산정표 214

표 5-1. 궁궐의 식재수목 중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에서 생산 적합 수종 225

표 5-2. 제향시 수종으로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에서 생산 적합 수종 225

표 5-3. 수목관리대장 (안) 228

표 5-4. 수형목 후보목 (안) 232

표 5-5. 수형목 후계목 생산방안 233

표 5-6. 희귀식물 종류 및 서식 위치 239

표 5-7. 희귀식물 생산 방안 240

표 5-8.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조직 구성표(단기) 244

표 5-9. 업무랑 산출 근거 244

표 5-10. 년간 유지관리 실적 (조경관리학, 한국조경학회) 245

표 5-11. 단위작업의 효율 (조경관리학, 한국조경학회) 246

표 5-12. ha당 소요인원 (조경관리학, 한국조경학회) 246

표 5-13. 1ha당 년간 소요관리 인원 (조경관리학, 한국조경학회) 246

표 5-14.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조직 구성표(장기) 249

표 5-15. 업무량 산출 근거 249

표 5-16. 전통수종 생산계획 250

표 5-17. 내재해형 단동 비닐온실 255

표 5-18. 07-단동-4형 비닐온실의 설치사양 및 기준 257

표 5-19.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활용 프로그램 265

그림 1-1. 「조선총독부 경성지도」 15

그림 1-2. 전통수목 양묘장 위치도 17

그림 2-1. 공조 내 조경관련 조직 26

그림 2-2. 개성 고려의 만월대 남서측의 정원 2015. 31

그림 2-3. 만월대 기로세련기도(19세기... 31

그림 2-4. 창덕궁 연못주변의 소나무 단식과 상록관목 식재 패턴 59

그림 2-5. 인정전 뒤의 송림과 식재패턴 59

그림 2-6. 대조전 뒤의 소나무 분식용 식재 59

그림 2-7. 창덕궁 향나무 단식 패턴 60

그림 2-8. 창덕궁 후원 담장 안 단식패턴 60

그림 2-9. 창덕궁 건물주변의 소나무단식과 관목류 군식패턴 60

그림 2-10. 서궐도안, 문화재청 61

그림 2-11.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서궐도안을 바탕으로 동궐도의 채색방식을 참고하여 송규태 작가가 그린 작품 61

그림 2-12. 서궐도 소나무 조형수 식재패턴 61

그림 2-13. 서궐도 후원의 소나무(2주)와 화목류 식재패턴 61

그림 2-14. 서궐도 낙엽수아래 화목류 식재패턴 62

그림 2-15. 서궐도 계류주변 버드나무(수양) 식재패턴 62

그림 2-16. 서궐도 담장안의 화본류(진달래, 앵도, 매화 등) 식재패턴 62

그림 2-17. 서궐도 북서측 담장 밖의 소나무(2주)와 관목류 식재패턴 62

그림 2-18. 서궐도 경사지 소나무3주와 잡목 식재패턴 62

그림 2-19. 서궐도 북서측의 송림 식재패턴 62

그림 3-1. 사릉 양묘장 위치도 87

그림 3-2. 동구릉 양묘장 위치도 89

그림 3-3. 남양주 홍릉·유릉 양묘장 위치도 90

그림 3-4. 융릉·건릉 양묘장 위치도 92

그림 3-5. 파주삼릉 양묘장 위치도 93

그림 3-6. 사릉 토양시료채취 -1 94

그림 3-7. 사릉 토양시료채취 -2 94

그림 3-8. 동구릉 토양시료채취 95

그림 3-9. 홍릉·유릉 토양시료채취 95

그림 3-10. 융릉·건릉 토양시료채취 95

그림 3-11. 파주 삼릉 토양시료채취 95

그림 3-12. 용문국유양묘장 유리온실 시설양묘 99

그림 3-13. 용문국유양묘장 비닐온실 시설양묘 99

그림 3-14. 용문국유양묘장 야외생육시설 시설양묘 99

그림 3-15. 용문국유양묘장 시설양묘 99

그림 3-16. 소나무 용기묘 생산 비닐온실 (사릉양묘장) 100

그림 3-17. 소나무 야외생육시설 (사릉양묘장) 100

그림 3-18. 소나무 노지묘-사릉양묘장 101

그림 3-19. 소나무 노지묘-홍유릉양묘장 101

그림 3-20. 관목류 재배포지-1 (사릉양묘장) 101

그림 3-21. 관목류 재배포지-2 (사릉양묘장) 101

그림 3-22. 관목류 재배포지-3 (사릉양묘장) 101

그림 3-23. 관목류 재배포지-4 (사릉양묘장) 101

그림 3-24. 섬기린초 야생화 재배포지(사릉양묘장) 102

그림 3-25. 제비붓꽃 야생화 재배포지(사릉양묘장) 102

그림 3-26. 두메부추 야생화 재배포지(사릉양묘장) 102

그림 3-27. 돌단풍 야생화 재배포지(사릉양묘장) 102

그림 3-28. 천연기념물 후계목 포지-1(사릉양묘장) 102

그림 3-29. 천연기념물 후계목 포지-2(사릉양묘장) 102

그림 3-30. 소나무 묘목 전경-1 103

그림 3-31. 소나무 묘목 전경-2 103

그림 3-32. 초화류 재배지 전경 104

그림 3-33. 관목 재배지 전경 104

그림 3-34. 사릉 동측 양묘장 평면도 104

그림 3-35. 사릉 사측 양묘장 평면도 104

그림 3-36. 온실전경 105

그림 3-37. 양묘장 관리시설 105

그림 3-38. 천연기념물 제372호 양구의 개느삼 105

그림 3-39. 천연기념물 제30호 용문사 은행나무 105

그림 3-40. 천연기념물 제194호 창덕궁의 향나무 106

그림 3-41. 천연기념물 제254호 서울 삼청동의 등 106

그림 3-42. 동구릉 묘포지 전경-1 106

그림 3-43. 동구릉 묘포지 전경-2 106

그림 3-44. 동구릉 묘포지 관리시설 106

그림 3-45. 동구릉 묘포지 간이화장실 106

그림 3-46. 동구릉 양묘장 평면도 107

그림 3-47. 홍릉·유릉 양묘장 전경-1 107

그림 3-48. 홍릉·유릉 양묘장 전경-2 107

그림 3-49. 홍릉 유릉 소나무 묘목-1 108

그림 3-50. 홍릉 유릉 소나무 묘목-2 108

그림 3-51. 홍릉·유릉 양묘장 평면도 108

그림 3-52. 융릉·건릉 묘포지 전경-1 109

그림 3-53. 융릉·건릉 묘포지 전경-2 109

그림 3-54. 융릉·건릉 소나무 묘목 109

그림 3-55. 융릉·건릉 잔디 포지 109

그림 3-56. 융릉·건릉 양묘장 평면도 109

그림 3-57. 파주삼릉 소나무 포지전경 110

그림 3-58. 파주삼릉 관목 포지전경 110

그림 3-59. 파주삼릉 산수유 포지 전경 110

그림 3-60. 파주삼릉 잔디포지 110

그림 3-61. 파주삼릉 양묘장 평면도 110

그림 3-62. 진설도 112

그림 3-63. 전주이씨종약원 진설 현황(2015 조선왕릉제향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113

그림 3-64. 닥나무 117

그림 3-65. 황촉규(닥풀) 117

그림 3-66. 용문국유양묘장 124

그림 3-67. 평창국유양묘장 124

그림 3-68. 정선국유양묘장 124

그림 3-69. 춘양국유양묘장 124

그림 3-70. 보성국유양묘장 124

그림 3-71. 간척산간양묘장 124

그림 3-72. 갈매양묘장 전경-1 126

그림 3-73. 갈매양묘장 전경-2 126

그림 3-74. 서울시 사능 양묘장 전경-1 126

그림 3-75. 서울시 사능 양묘장 전경-2 126

그림 3-76. 경기도 민유양묘장(광주시) 127

그림 3-77. 강원도 민유양묘장(강릉시) 127

그림 3-78. 충북 민유양묘장(진천군) 127

그림 3-79. 충남 민유양묘장(부여군) 127

그림 3-80. 전북 민유양묘장(정읍시) 128

그림 3-81. 전남 민유양묘장(담양군) 128

그림 3-82. 경북 민유양묘장(영주시) 128

그림 3-83. 경남 민유양묘장(진주시) 128

그림 3-84. 바이랜드 너서리즈 전경 130

그림 3-85. 바이랜드 너서리즈 가든센터 130

그림 3-86. 스튜어트 브라더스 양묘장 전경 131

그림 3-87. 스튜어트 브라더스 양묘장 노지식재와 관리 131

그림 3-88. 체리 레이크 트리 팝의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 133

그림 3-89. 벨리 크레스트 트리 컴퍼니 양묘장 전경 134

그림 3-90. 벨리 크레스트 트리 컴퍼니 목재 컨테이너 134

그림 3-91. 그리스테드에 위치한 번즈사 진달래 공원 135

그림 3-92. 로렌츠 폰 에렌 컴퍼니 노지재배 전경 136

그림 3-93. 영국 힐리어 가든센터 전경 137

그림 3-94. 오오시마 녹지 컨테이너 생산체계 139

그림 3-95. 일본 전방후원(前方後圓 天皇陵)의 모형도, 일본 오사카 사카이현(2016년 9월, 이창환 촬영) 140

그림 3-96. 캄보디아 앙코르 세계유산의 양묘 모습 (2016.08 양크르와트 문화재청 부국장 슬라이드, 이창환 재촬영) 140

그림 3-97. 후에 양묘장 전경 141

그림 3-98. 후에 문화유적보존센터 양묘장 관리시설 141

그림 3-99. 후에 양묘장 채광 시설 141

그림 3-100. 후에 양묘장 용기묘 141

그림 3-101. 후에 양묘장 시설재배 전경 141

그림 3-102. 후에 양묘장 노지재배 전경 141

그림 3-103. 창덕궁의 향나무 수령이 700여년으로... 143

그림 3-104. 창덕궁 돈화문 뒤의 회화나무(槐)는 삼공의 위계에 따라 심겨져... 144

그림 3-105. 창덕궁의 뽕나무(이창환 촬영) 145

그림 3-106. 궁궐의 우리나무. 2001, 박상진 147

그림 3-107. 창덕궁 화계 위치도 150

그림 3-108. 창덕궁 소나무 및 주요수종 분포도(창덕궁·종묘 원유조사 보고서) 154

그림 3-109. 창경궁 식생현황도 (창경궁 주요식생조사 및 전통조경 관리방안 연구 2016 문화재청) 155

그림 3-110. 덕수궁 수목 현황도 (덕수궁 조경정비 기본계획 2016. 문화재청) 158

그림 3-111. 덕수궁 정관헌 주변 화계 수목 배치도 (덕수궁 조경정비 기본계획 2016. 문화재청) 159

그림 3-112. 덕수궁 석조전 정원 수목 배치도 (덕수궁 조경정비 기본계획 2016. 문화재청) 159

그림 3-113. 석조전 전경 (사진 : 문화재청) 159

그림 3-114. 전이공간의 송림(경릉) 162

그림 3-115. 전이공간의 송림 162

그림 3-116. 진입공간의 오리나무, 참나무(창릉) 162

그림 3-117. 참배로의 참나무림(경릉) 162

그림 3-118. 종묘 전체 식생분포 현황도 (종묘식생 분석 및 전통조경 관리방안 연구 2016. 문화재청) 165

그림 4-1. 전통양묘장 기본구상 191

그림 4-2. 지역별 소나무의 수형 195

그림 4-3. 소나무 외주 경관형 195

그림 4-4. 소나무 외주 경관형 195

그림 4-5. 소나무 외주 분재형 195

그림 4-6. 소나무 외주 경관목 195

그림 4-7. 소나무 단주 조형목 195

그림 4-8. 소나무 단주형 195

그림 4-9. 소나무2주 분재형 196

그림 4-10. 소나무 2주 경관목 196

그림 4-11. 소나무2주 식재패턴 196

그림 4-12. 소나무 2주 경관목 196

그림 4-13. 소나무3주경관 식재 패턴 196

그림 4-14. 소나무3주 경관형 196

그림 4-15. 소나무3주 경관형 196

그림 4-16. 소나무 다충구조 경관형 196

그림 4-17. 버드나무 단주수형 197

그림 4-18. 버드나무 3주 경관목 수형 197

그림 4-19. 버드나무 경관목수형 197

그림 4-20. 화목 담장 군식 197

그림 4-21. 건물앞 화목군식 패턴 197

그림 4-22. 담장 화목군식 수형 197

그림 4-23. 화목 군식 수형 197

그림 4-24. 향나무 외주 경관목 197

그림 4-25. 향나무 경관목 수형 197

그림 4-26. 낙엽수 식재 패턴 198

그림 4-27. 낙엽교목 2주 수형 및 식재 패턴 198

그림 4-28. 낙엽교목2주 교차(交叉) 수형 및... 198

그림 4-29. 낙엽교목 2주 대소(大小)목 경관 식재... 198

그림 4-30. 낙엽교목(혼식, 교식, 대소식) 식재패턴 198

그림 4-31. 낙엽교목 5주 혼교다층구조 식재... 198

그림 4-32. 낙엽상록혼식 다층구조식재 패턴 199

그림 4-33. 관목류 군식 식재패턴 199

그림 4-34. 낙엽관목 식재패턴 199

그림 4-35. 낙엽관목 군식 식재패턴 199

그림 4-36. 경복궁 전통조경 관리지역 202

그림 4-37. 창덕궁 전통조경 관리지역 203

그림 4-38. 덕수궁 전통조경 관리지역 203

그림 4-39. 창경궁 전통조경 관리지역 203

그림 4-40. 건축물 주변정비 (창덕궁 대조전 주변 변경전) 204

그림 4-41. 건축물 주변정비 (창덕궁 대조전 주변 변경후) 204

그림 4-42. 부용정 주합루 시계구조분석도(2001. 이창환) 204

그림 4-43. 창덕궁 주합루에서 본 부용지 (사진 열화당) 205

그림 4-44. 지당 주변 정비 (경회루 지원 변경전) 205

그림 4-45. 지당 주변 정비 (경회루 지원 변경후) 205

그림 4-46. 화계 주변정비 (창덕궁 대조전 화계 변경전) 206

그림 4-47. 화계 주변정비 (창덕궁 대조전 화계 변경후) 206

그림 4-48. 수목성장 후 경관성 저해된 화계 전경 206

그림 4-49. 같은 수종으로 수목대체 후 측면 전경 206

그림 4-50. 수목성장 후 경관성 저해된 정면 전경 206

그림 4-51. 같은 수종으로 수목대체 후 정면 전경 206

그림 4-52. 초화류로 정비한 화계 전경(봄) 207

그림 4-53. 초화류로 정비한 화계 전경(여름) 207

그림 4-54. 초화류로 정비한 화계 전경(가을) 207

그림 4-55. 화분(분재)로 정비한 화계 전경(겨울) 207

그림 4-56.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야외생육시설의 형태 210

그림 4-57. 야외생육시설에서의 관수시설 형태 210

그림 4-58. 한국 전통조경 식물보급센터 구상(안) 216

그림 4-59. 동구릉 생태학습장 구상(안) 217

그림 5-1. 소나무 용기묘 1년생(63ml) (건국대) 223

그림 5-2. 소나무 용기묘 2년생(250ml) (건국대) 223

그림 5-3. 소나무 용기대묘 4년생(4L) (건국대) 223

그림 5-4. 소나무 용기대묘 5년생(12L) (건국대) 223

그림 5-5. 상수리나무 1년생 용기묘 (건국대) 223

그림 5-6. 대형 참나무 용기생산(좌로부터, 2500L→110L까지의 용기, Southern Pride Tree Farm, 미국) 224

그림 5-7. 산수유 용기대묘(4L) 생산(건국대) 224

그림 5-8. 좀작살나무 2년생-1.5L 용기생산(건국대) 224

그림 5-9. 좀작살나무 3년생-4L 용기(건국대) 224

그림 5-10. 전통식물자원 보급센터 생산묘목 분류코드(안) 227

그림 5-11. 수목표찰 예시(안) 228

그림 5-12.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적정 생육 분포 범위 변화 (기후변화와 산림2009. 산림청) 229

그림 5-13. 천연기념물 제194호 창덕궁 향나무 235

그림 5-14. 천연기업물 제472호 회화나무 군 235

그림 5-15. 천연기념물 제251호 창덕궁 다래나무 236

그림 5-16. 천연기념물 제471호 창덕궁 뽕나무 236

그림 5-17. 천연기념물 제459호 여주 효종대왕릉(영릉) 회양목 237

그림 5-18. 천연기념물 제504호 화성융릉 개비자나무 237

그림 5-19. 관수시설 254

그림 5-20. 차광시설 254

그림 5-21. 트랙터+조상기 254

그림 5-22. 트랙터+비료살포기 254

그림 5-23. 내재해형 07-단동-4형 정면도, 측면도,지붕평면도 255

그림 5-24. 내재해형 07-단동-4형 지붕평면도2 부재연결부 상세도 256

그림 5-25. 내재해형 10 동-4형 정면도, 측면도 256

그림 5-26. 내재해형 10 동-4형 지붕평면도, 단면도 257

그림 5-27. 자동파종시스템 258

그림 5-28. 반자동파종기(동원농자재) 259

그림 5-29. 상토충전기 259

그림 5-30. 철제 용기받침대 259

그림 5-31. 플라스틱 용기받침대 259

그림 5-32. 하향식 스프링클러 관수시설 261

그림 5-33. 자주식관수기 261

그림 5-34. 반자동 양액시비시설 261

그림 5-35. 메탈할라이드등 262

그림 5-36. 고압나트륨등 262

그림 5-37. 체험프로그램 개념도 26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99118 634.956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499119 634.956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