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판권기
『心齋集』 번역·발간에 부쳐 / 김철용
번역기념작품 / 기호중
번역기념작품 / 오문복
목차
『심재집』 번역을 시작하며 / 김새미오 17
심재 김석익의 삶과 저술에 대한 일고 / 김새미오 21
1. 들어가며 21
2. 심재 김석익의 삶 23
3. 『심재집』의 저술 양상 30
4. 『심재집』에 나타난 저술 의식 34
5. 결론을 대신하며 40
심재집 서(心齋集 序) 41
謹次高翁柏窩韻寄景洙胤君. 戊午.(삼가 백와(柏窩) 고옹(高翁)의 운(韻)에 차운하여 아들 경수(景沫)군에게 보내다. 무오(戊午,1918).) 43
呈柏窩翁錫九. 戊午.(백와옹(柏窩翁) 석구(錫九)에게 드리다. 무오(戊午,1918).) 44
挽高先達仁燜. 丁巳.(선달(先達) 고인경(高仁爛)을 곡하다. 정사(丁巳,1917)) 45
哭金時宇晚翠先生.(만취(晚翠) 김시우(金時宇)선생을 곡하다.) 46
悼金君能遠用前韻. 戊午.(김능원(金能遠)의 썼던 운(韻)에 애도하다. 무오(戊午, 1918)) 47
挽姜媧石泰浩. 戊午.(왜석(媧石) 강태호(姜泰浩)를 애도하다. 무오(戊午, 1918)) 47
漢拏山. 戊午.(한라산. 무오(戊午,1918)) 48
呈安肯來之亭先生.(긍래(肯來) 안지정(安之亨)선생에게 드리다.) 49
挽李錫九. 戊午.(이석구(李錫九)를 애도하다. 무오(戊午, 1918).) 50
謹賀李通政回婚宴. 戊午.(이통정(李通政)의 회혼연을 삼가 축하하며. 무오(戊午, 1918)) 51
爲洪先達在夏, 寄贈本島採風委員. 二首. 甲寅.(선달 홍재하(洪在夏)가 본도 채풍위원(採風委員)에게 보내는 것을 위해. 2수. 갑인(甲寅,1914)) 52
謹次宋承宣橘軒丈人壽宴韻. 庚申.(삼가 승선(承宣) 귤헌(橘軒) 송장인(宋丈人) 회갑시에 차운함. 경신(庚申, 1920).) 53
挽詞. 代作. 庚申.(만사. 대신짓다. 경신(庚申, 1920)) 54
哭韓晚水秉度. 庚申.(만수(晚水) 한병도(韓秉度)를 곡하다. 경신(庚申, 1920)) 55
奉和愼鶴皐栽葵見贈韻. 庚申.(학고(鶴皐) 신재규(愼栽葵)가 보낸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 경신(庚申,1920)) 56
謹次愼鶴皐寄贈韻.(삼가 신학고(愼鶴皐)가 보낸 시에 삼가 차운하다.) 57
甲寅正月初四日, 聞二弟俊英倶出海, 忙步下山底浦, 則船發已移時矣. 卽惘然自失, 口占一絶.(갑인(1914)년 정월 초4일에 두 동생 준(俊)·영(英)이 모두 제주를 떠난다고 하기에 산지포로 바쁘게 걸어 내려갔는데, 배는 이미 떠나고 말았다. 멍하니 있다가 절구 한수를 읊었다.) 58
獨坐. 辛酉.(혼자 앉아서. 신유(辛酉, 1921).) 59
悼直員族兄庠洙. 丙寅六月.(직원 족형 김상수(金庠洙)를 애도하다. 병인(丙寅,1926) 6월.) 60
奉和九溪老宗伯[名勝鉉]見贈韻. 癸亥十月.(구계노종백(九溪老宗伯)[이름은 승현(勝鉉)]이 보여준 운에 화답하다. 계해(癸亥, 1923) 10월.) 61
憶普淵. 丁卯四月.(보연(普淵)을 추억하다. 정묘(丁卯,1927) 4월.) 62
奉和孝烈文氏旌閭韻(효열문씨정려운에 화운하다.) 63
挽金旌義汶株.(정의현감 김문주(金汶株)를 애도하다.) 64
挽柏窩高公錫九(백와(柏窩) 고석구(高錫九)를 애도하다.) 65
偶次瀛洲吟社山蒲釣魚韻(우연히 영주음사 「산포조어」 운에 차운하다.) 66
次朴晴峯雨相回甲韻.(청봉(晴峯) 박우상(朴雨相) 회갑운에 차운하다.) 67
李震翁膺鎬, 爲其先君橘岩翁, 結社致禮. 因求詩於京鄕諸公, 以及余, 故勉强應之.(진옹(震翁) 이응호(李膺鎬)가 아버지 귤암옹(橋岩翁)을 위해 모임을 결성하고 예를 올렸다. 인하여 서울과 시골의 여러 공들에게 시를 구했다. 나에게도 요청하여 힘껏 응하였다.) 68
奉和柏窩翁遺韻.(백와옹(柏窩翁)이 남긴 시에 화운하다.) 69
和松谷文休銓壽宴韻(송곡(松谷) 문휴전(文休銓) 수연운(壽宴韻)에 화운하다.) 70
追悼姜君昌輔. 三首.(강창보(姜昌輔)를 추도하며 3수.) 71
題趙應筠先大人影幀後.(조응균(趙應筠) 선대인 영정(影幀) 뒤에 짓다.) 72
挽趙應筠匡憲(응균(應筠) 조광헌(趙匡憲)을 애도하며) 73
次金瀛軒大興壽宴韻. 丁亥.(영헌(瀛軒) 김대흥(金大興) 회갑잔치 운에 차운하다. 정해(丁亥, 1927)) 74
次金蒔菴永權壽宴韻. 戊子.(시암(蒔菴) 김영권(金永權) 회갑잔치 시에 차운하다. 무자(戊子,1948).) 75
和金杏隱勻培回甲韻. 戊子.(행은(杏隱) 김균배(金勻培) 회갑시에 화운하다. 무자(戊子,1948)) 76
悼亡(죽은 이를 슬퍼하다.) 77
和文農山在瀅回甲韻(농산(農山) 김재형(文在瀅) 회갑시에 화운하다.) 78
追悼李震翁膺鎬[銘旌以光武處士](이응호를 추도하다.[명정에 광무처사(光武處士)라고 적었다.]) 79
賀李典校回甲宴. 舊大靜人.(이전교(李典校)의 회갑연을 축하하며. 옛날 대정사람이다.) 80
次梅又金載根回甲韻.(매우(梅又) 김재근(金載根) 회갑시에 차운하며.) 81
題瀛海雜俎後(영해잡조(瀛海雜俎)뒤에 짓다.) 82
偶到毛興穴謹次淸陰先生韻.(우연히 모흥혈(毛興穴)에 들렸다가 청음(淸陰)선생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 83
追憶李晚悔思纘(만회(晚悔) 이사찬(李思纘)을 추억하다.) 83
追悼張進鉉. 解元基燦之子(장신현(張進鉉)을 추도하다. 향시에 장원했던 기찬(基燦)의 아들이다.) 84
悼革菴金瀅植.(혁암(革菴) 김형식(金瀅植)을 애도하다) 84
悼文奉厦廣汝.(문봉하(文奉厦) 광여(廣汝)를 애도하다.) 85
悼高毅錫(고의석(高毅錫)을 애도하다) 86
憶高樵狂景志(초광(樵狂) 고경지(高景志)를 추억하다.) 87
憶金墨農鍾炫(목농(墨農) 김종현(金鍾炫)을 추억하다.) 88
憶洪濤斗杓(홍도두표(洪濤斗杓)를 추억하다) 89
擬贈崔基南道士. 聞其離發, 未果.(최기남(崔基南) 도사(道士)에게. 떠난다는 소식을 듣고 드리려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90
訪趙庭筠, 夜話秦月溪醫術緣起, 歸而志之(조정균(趙庭筠)을 방문하여 밤에 진월계(秦月溪) 의술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돌아와서 기록하였다.) 91
旣賦秦醫事實, 頗有未盡之意. 追吟一絶.(진의(奏醫)의 사실을 이미 읊었는데, 아직 미진한 뜻이 있었다. 뒤에 절구 한편을 읊다.) 92
偶吟. 單道二賢三絶.(우연히 읊다. 이현(二賢) 삼절(三絶)에 대해 간단히 말하다.) 93
途遇吟社, 諸公爲其所挽, 偕入張漢奎庄, 則社長金判官膺彬以下, 已先在座而賦詩矣. 旣而主人盛設酒饌以進, 盖有是夕約會也. 因與賡韻, 夜艾而歸.(길에서 음사(吟社)를 들렀다가 여러 공들이 잡아서 같이 장한규(張漢奎) 별장에 들어갔다. 사장(社長)인 판관(判官) 김응빈(金膺彬) 이하로 모두 자리에 앉아 시를 짓고 있었다. 이윽고 주인이 술과 안주를 성대히 마련해 주었는데, 이날 저녁 약속이 있었던 것이었다. 이로 인해 화답하며 시를 지었고, 밤이 다해서야 돌아왔다.) 94
謹次石知事鎭衡卜居鷺梁津韻. 代作.(지사(知事) 석진형(石鎭衡)이 노량진(鷺梁津)에 살 곳을 정하고 지은 시에 삼가 차운하다. 대신 지었다.) 95
悼安公善東述.(안동술을 애도하다. 자는 공선이다.) 96
挽金參奉熙庸.(참봉(參奉) 김희용(金熙庸)을 애도하며.) 97
梁君京憲隔海寄書, 告其大人翁壽宴韻, 盖其意不以人之窮通遐邇有間於方寸者也. 義固不可以無賀. 壬申.[以下在大阪作.](양경헌(梁京憲)이 바다를 건너 편지로 아버지의 회갑시를 알려주었다. 대개 그 뜻은 사람이 어렵든, 멀든 그 사이에 마음을 두지 않은 것이다. 의리상 축하하지 않을 수 없다. 임신년(壬申,1932)[이하는 대판(大阪)에서 지은 작품들이다.]) 98
挽朴藥房漢浩. 癸酉.(약방을 운영했던 박만호(朴漢浩)를 애도하며. 계유(癸酉, 1933).) 99
挽金參奉萬洙返櫬. 癸酉三月.(참봉(參奉) 김만수(金萬洙)의 관이 돌아와 만사를 짓다. 계유(癸酉,1933)년 3월.) 99
挽宋直員錫敦. 癸酉六月.(직원(直員) 송석돈(宋錫敦) 만사. 계유(癸酉, 1933)년 6월.) 100
爲金達所挽, 赴大阪吟社. 甲戌七月.(김달(金達)에게 이끌려 대판읍사(大阪吟社)에 이르렀다. 갑술(甲戌, 1934) 7월) 101
挽一雲金達.(일운(一雲) 김달(金達)을 애도하며.) 102
壽研農洪丈兼賀七十三歲生男(연농(研農) 홍장(洪丈)의 장수를 축원하고 73세에 아들 난 것을 겸하여 축하하다) 103
丙子春, 偕講習諸賢, 作遊山行, 有感口呼. 大阪.(병자(丙子, 1936)년 봄에 같이 강습한 여러 친구들과 함께 산을 유람하였다. 느낀 바가 있어 읊다. 대판(大阪)에서.) 105
嘉樂園. 追述.(가락원(嘉樂園). 나중에 지었다.) 105
遊豊雲別莊. 汐宮.(풍운별장(豊雲別莊)에서 놀다. 석궁(汐宮)에서.) 106
次韻封賀崔友石元淳壽宴.(우석(友石) 최원순(崔元淳) 수연자리에서 운에 차운하여 봉하여 축하하다.) 107
漢拏山(한라산) 108
高友順欽示其所作戀北亭和韻, 韻意深佳. 盖原韻卽淸陰先生舊題板上詩也. 因賡韻而志感.(친구 고순흠(高順欽)이 자신이 지은 연북정(戀北亭) 화운(和韻)시를 보여주었는데, 시의 뜻이 깊고 아름다웠다. 원운(原韻)은 청음선생(淸陰先生)이 지었고, 옛날 현판위에 있는 시이다. 인하여 운에 따라 짓고 느낌을 기록하였다.) 109
丁卯五月十八日, 過淸津西水羅途中口占. 二首.(정묘(丁卯, 1927)년 5월18일, 청진(淸律)·서수라(西水羅) 가는 길에 읊다. 2수.) 110
偶題(우연히 짓다) 111
題客舍壁上(객사(客舍) 벽 위에 짓다) 111
過富寧郡, 有感.(부녕군(富寧郡)을 지나며 느낌이 있어.) 112
北俗居不接隣, 田頭起莊. 家屋之制, 八角縫脊, 圓斲柱楹, 左右廊廡, 小室門, 一如官廨. 余初見, 怪而問之, 則答云, 此土乃龍興重地, 故國朝五百年間, 特許之, 盛擧也. 余則以爲意者, 關北, 自是女眞舊地, 距里甚遠, 王ㅁ難及, 無奈國家亦視同胡地, 而擯斥之一端歟. 方言以睡爲夜飯以寐爲息, 多不可曉, 遂錄之爲賦. 113
會寧客館 獨坐有感(회녕객관(會寧客館)에서 홀로 앉아 느낀바 있어) 114
五國城(오국성(五國城)) 115
道中(길을 가다가) 117
釋王寺(석왕사(釋王寺)에서) 118
過三防谷(삼방곡(三防谷)을 지나며) 119
過鐵原, 訪泰封古都. 適値天雨而止, 吟成二絶.(철원(鐵原)을 지나다 태봉(泰封)의 옛 도읍을 방문하였다. 마침 비를 만나 멈추고 절구 2수를 읊었다.) 120
過南漢山城(한남산성(南漢山城)을 지나며) 121
過故相申桂田應朝舊宅(옛 재상 계전(桂田) 신응조(申應朝) 구택(舊宅)을 지나며) 122
謁遯巖書院有感. 四先生氣像互有不同, 而各臻其妙. 錄爲一絶.(돈암서원(遯巖書院)을 방문하고 느낌이 있어. 네 선생의 기상이 서로 같지는 않지만 각각 그 묘처가 모였다. 기록하여 절구 한수를 짓다.) 123
題紀行後(기행 후에 짓다) 124
천안세보서(天安全氏世譜序) 125
피애산고서(避礙散稿序) 127
소석문인계서(紹石門人契序) : 소석문인 모임 서문 129
이씨가승서(李氏家乘序) 131
송최의생제두서(送崔醫生濟斗序): 의생 최제두를 보내며 133
신흥리지서(新興里誌序) 135
부씨세보서(夫氏世譜序) 137
서연주현씨선적(書延州玄氏先蹟) : 연주 현씨의 자취를 기록하며 139
상주김씨세보서(尙州金氏世譜序) 140
송가보장서(宋家寶藏序) 141
탐라지서(耽羅誌序) 143
낙산실록서(樂山實錄序) 145
양성사서(養性社序) 147
월대은자전(月抬隱者傳) 148
안동산전(安東山傳) 149
양경천전(梁擎天傳) 152
고귀훈전(高龜訓傳) 154
김병연략전(金炳淵略傳) 155
절부이씨전(節婦李氏傳) 157
김종현전(金鍾炫傳) 158
앙산기(仰山記) 159
영현기(瀛軒記) 161
간옹선생적려유허기(艮翁先生謫廬遺墟記) : 간옹선생 유배유적에 대한 기문 162
문연당기(文淵堂記) 163
우송기(友松記) 164
북행기(北行記) 165
선조고 명도암선생행장(先祖考 明道菴先生行狀) 171
도은 김공행장(陶隱 金公行狀) 176
홍문관정자 박공후신행장(弘文館正字 朴公厚信行狀) 180
학생 전공행록(學生 全公行錄) 182
유인 문씨묘표(孺人 文氏墓表) 184
유인 양씨묘표(孺人 梁氏墓表) 185
출신 김공묘표(出身 金公墓表) 187
학생 김공태호묘표(學生 金公泰浩墓表) 189
죽암 김공묘표(竹菴 金公墓表) 191
학생 변공숙묘갈명병서(學生 邊公淑墓碣銘幷序) 193
통정대부 현공만평묘표(通政大夫 玄公萬平墓表) 195
유인 강씨위련비음기(孺人 康氏慰靈碑陰記) 196
선천 송공지옥묘표(宣薦 宋公之玉墓表) 197
절부 김씨묘표(節婦 金氏墓表) 198
학생 고공세정묘표(學生 高公世禎墓表) 199
통훈대부행제주군수 김공창호묘표(通訓大夫行濟州郡守 金公昌鎬墓表) 201
제씨묘표(娣氏墓表) 202
통훈대부행사헌부감찰겸남학교수 김공사당유허비음기(通訓大夫行司憲府監察兼南學敎授 金公祠堂遺墟碑陰記) 203
통덕랑 김공종운묘표(通德郞 金公鐘運墓表) 204
환천 김공리선묘표(禾泉 金公履璿墓表) 206
양돌석묘석(梁乭石墓表) 의작(擬作) 208
김천수위령비(金天洙慰靈碑) 209
한씨묘표(韓氏墓表) 210
증가선대부 김공명서유덕비(贈嘉善大夫 金公明瑞遺德碑) 211
조정균 묘표음기(趙庭筠 墓表陰記) 212
학생 김공묘표(學生 金公墓表) 213
증통훈대부장락원정 변공묘표(贈通訓大夫掌樂院正 邊公墓表) 214
유인 양씨묘표(孺人 梁氏墓表) 216
가선대부 김공묘갈명 병서(嘉善大夫 金公墓碣銘 幷序) 217
임천 김공묘표(林泉 金公墓表) 219
학생 김공묘표(學生 金公墓表) 221
학생 김공광록묘표(學生 金公光祿墓表) 223
돈와 김공묘표(敦窩 金公墓表) 225
은당 부공묘표(隱堂 夫公墓表) 226
제이순상문(祭李淳庠文) 병진(丙辰, 1916) 유월(六月) 227
제김공종현중길문(祭金公鍾炫重吉文) 병진(丙辰, 1916) 유월(六月) 228
제김소석응수문(祭金紹石應洙文) 229
제부도림상인문(祭浮屠林上人文) 대조광헌작(代趙匡憲作) 230
선고상기치고문(先考祥期致告文) 231
제김명식문(祭金明植文) 대작(代作) 232
제오군공빈문(祭吳君公賓文)[기유(己西,1909)년 봄 2월, 나중에 기록하였다.] 233
귤림서원급향현사부설(橘林書院及鄕賢祠復設) : 귤림서원과 향현사를 다시 설치하며 235
제강창보문(祭姜昌輔文) 237
면암선생적려유허제문(勉庵先生謫廬遺墟祭文)[을유(乙酉,1945)년 10월] 238
계찬고사(啓攢告辭)[대조광덕작(代趙匡德作)] 239
묘의개안고사(墓儀改安告辭)[상동(上仝)] 240
개봉축고사(改封築告辭)[상동(上仝)] 240
조제고사(祧祭告辭)[대장용견작(代張容堅作)] 241
개척사토지고사(開拓祀土地告辭)[대인작(代人作)] 242
기우성황고사(祈雨城隍告辭)[도사(島司)를 대신하여 짓다. 병인(丙寅,1926) 7월.] 243
대판매일신보사 자선단 치제조선유민망혼고사(大阪每日新報社 慈善團 致祭朝鮮遺民亡魂告辭)[대작(代作)] 244
위형처입후고형사(爲兄妻立後告兄辭)[대송전수작(代宋銓洙作)] 245
완당선생화상찬(阮堂先生畵像贊) 246
서위죽당게미후(書爲竹堂揭楣後) 247
서노사선생필적후(書蘆沙先生筆跡後) 248
제추사서첩후(題秋史書帖後) 249
위차승옥 정기종인상사병관문(爲車升玉 呈其宗人上舍炳觀文) : 차승옥이 종인 상사 차병관에 올리는 글 250
위지성제현 봉위김소석문인 선거사상(爲枳城諸賢 奉慰金紹石門人 善居師喪) : 제주성의 여러 분들이 김소석(金紹石) 문인들이 스승 상례를 잘 모시는 것을 위로하며. 252
감은당선생안 이안어삼성사문(感恩堂先生案 移安於三姓祠文)[갑자춘(甲子春)] : 감은당선생안(感恩堂先生案)을 삼성사(三姓祠)로 옮기는 글. [갑자(甲子) 1924)년 봄] 253
김처사재구 복수보천문(金處士在球 復讐褒薦文) : 처사 김재구(金在球)의 복수를 기리며 드러내는 글 254
색인 255
심재집 원본(제주문화사) 26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503636 | 811.9081 -19-36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503637 | 811.9081 -19-36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646197 | 811.9081 -19-36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646198 | 811.9081 -19-36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04384 | 811.9081 -19-36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804385 | 811.9081 -19-36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