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농복합지역 육아지원 실태 및 개선 방안 [전자자료]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201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18-30-01
면수
213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672860
제어번호
MONO120191560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책임자: 김은설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7

정책 제안 9

Ⅰ. 서론 19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9

가. 연구 필요성 19

나. 연구 목적 20

2. 연구 내용 21

가. 도농복합지역의 개념화 및 특성 파악 21

나. 도농복합지역의 육아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21

다. 출산율 제고와 육아정책의 해외 성공 사례 검토 21

라. 육아정책에 대한 인식 및 지자체 특수 시책 파악 21

마. 도농복합지역 육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 22

3. 연구 방법 22

가. 농촌 전문 연구기관과의 연구 협동 22

나. 문헌 및 기존 자료의 검토, 분석 24

다. 전문가 회의 개최 24

라. 도농복합지역 지자체 공무원 대상 설문조사 24

마. 도농복합지역 거주 영유아 부모 대상 설문조사 25

바. 심층 면담 조사 26

사. 해외 현지 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 26

4. 선행 연구 27

가. 주요 선행 연구 결과 27

나.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29

Ⅱ. 도농복합시의 특성 30

1. 도농복합지역 정의와 구분 30

가. 정의 30

나. 도농복합시 구분 31

2. 도농복합시의 특성 33

가. 인구ㆍ아동 수 변화 33

나. 어린이집, 초등학교 36

다. 지역 지리적, 사회적 특성 38

라. 도농복합시 내 도시, 농촌 비교 40

3. 소결 44

Ⅲ. 육아정책의 해외 사례 45

1. 농어촌 주민을 위한 보육정책 사례 45

가. 미국 45

나. 뉴질랜드 47

2. 육아친화도시 사례 : 일본 47

가. 치바현 나가레야마시(流山市) 48

나. 돗토리현 (鳥取県) 50

3. 시사점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52

Ⅳ. 도농복합도시 유형별 요구 분석 55

1. 심층면담 관련 정보 55

2. 중간지역(경기도) : 안성 57

가. 지역 특성 57

나. 보육ㆍ교육기관 운영, 관리, 이용의 특성 58

다. 육아지원 인프라 관련 특성 61

라. 양육 특성 및 지자체 지원 62

3. 중간지역(충청도) : 당진 63

가. 지역 특성 63

나. 보육ㆍ교육기관 운영, 관리, 이용의 특성 64

다. 육아지원 인프라 관련 특성 66

라. 양육 특성 및 지자체 지원 68

4. 완연한 도시지역(강원도) : 원주 70

가. 지역 특성 70

나. 보육ㆍ교육기관 운영, 관리, 이용의 특성 72

다. 육아지원 인프라 관련 특성 74

5. 중심도시 연계형 중간지역(전라남도) : 나주 75

가. 지역 특성 75

나. 보육ㆍ교육기관 운영 및 관리, 이용의 특성 78

다. 육아지원 인프라 관련 특성 83

라. 양육특성 및 지자체 지원 87

6. 소결 91

Ⅴ. 도농복합지역 육아 실태 및 정책 인식 97

1. 응답자 특성 97

2. 자녀양육 특성 99

가. 가구 구성 99

나. 자녀 양육의 어려움 101

다. 육아지원 서비스별 이용 시간 103

3. 육아지원 기관 및 서비스 이용 108

가. 이용하는 기관 108

나. 등하원 110

다. 추가 보육ㆍ방과후 이용 112

4. 기타 육아 관련 기관 및 서비스 이용 현황 116

가. 육아 관련 기관 및 서비스 인프라 116

나. 아이돌보미와 공동육아나눔터의 이용 120

다. 영유아 문화프로그램 이용 121

5. 보육ㆍ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 123

6. 양육에 대한 지역 특색 130

가. 육아지원 관련 요구 130

나. 거주 지역의 특색에 대한 인식 134

7. 초등 방과후 돌봄 143

8. 소결 150

Ⅵ. 도농복합지역 지자체 의견 분석 152

1. 조사 참여자 특성 152

2. 지역 내 인구 변화 인식 153

3. 인프라 확충 필요성 156

4. 지역 내 동-읍-면 차이 인식 158

5. 특색 사업 및 정책 인식, 제언 160

Ⅶ. 육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163

1. 요약 : 지역 특징 및 요구 163

가. 도농복합지역 지역 특징 163

나. 도농복합지역 영유아 육아 관련 요구 165

2. 정책 제안 168

가. 기본 방향 168

나. 육아실태 개선 정책 우선 지역 : '중간지역형' 도농복합시 - 지역 내 격차 완화 추진 169

다. 교육ㆍ보육 시설 개선 170

라. 육아환경 개선 173

참고문헌 175

[부록 1] 부모 대상 설문지 179

[부록 2] 공무원 대상 설문지 196

[부록 3] 공무원 조사 주관식문항 결과표 200

판권기 212

〈표 Ⅰ-1〉 협동연구기관 및 역할분담 23

〈표 Ⅰ-2〉 협동연구기관 간 연구추진 과정 23

〈표 Ⅰ-3〉 전문가 회의 참석자 및 안건 24

〈표 Ⅰ-4〉 공무원 조사 참여 도농복합시 현황 25

〈표 Ⅰ-5〉 공무원 조사표 내용 25

〈표 Ⅰ-6〉 영유아 부모대상 설문조사표 내용 25

〈표 Ⅰ-7〉 해외(일본) 출장 내역 27

〈표 Ⅱ-1〉 도농복합지역 구분과 특성 32

〈표 Ⅱ-2〉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인구증가율 및 순이동인구 비교 33

〈표 Ⅱ-3〉 2005, 2010, 2016년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0~4세 영유아 수 34

〈표 Ⅱ-4〉 2005, 2010, 2016년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5~9세 아동 수 35

〈표 Ⅱ-5〉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수 비교 37

〈표 Ⅱ-6〉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유치원 원아 수 38

〈표 Ⅱ-7〉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재정자립도 및 면적 39

〈표 Ⅱ-8〉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의 사회복지 시설 수 및 의료기관 종사자 수 39

〈표 Ⅱ-9〉 지역별 도시와 도농복합시 도시지역 만족도 평균 비교 41

〈표 Ⅱ-10〉 지역별 농촌과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만족도 평균 비교 42

〈표 Ⅱ-11〉 지역별 도농복합시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만족도 평균 비교 43

〈표 Ⅱ-12〉 도시, 농촌과 도농복합시 만족도 평균 비교 44

〈표 Ⅲ-1〉 연도별 돗토리현과 일본 전체 합계출산율 비교 51

〈표 Ⅳ-1〉 심층면담 일정 및 참석 인원 56

〈표 Ⅳ-2〉 심층면담 주요내용 56

〈표 Ⅳ-3〉 나주시 인구 및 세대현황(외국인 제외) 76

〈표 Ⅳ-4〉 나주시 산업대분류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78

〈표 Ⅴ-1〉 조사 대상자 일반적 특성 98

〈표 Ⅴ-2〉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가구 구성원(비율) 99

〈표 Ⅴ-3〉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가구 구성원 수 100

〈표 Ⅴ-4〉 자녀-부모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이유 100

〈표 Ⅴ-5〉 자녀를 기르면서 어려운 점 101

〈표 Ⅴ-6〉 양육공백으로 어려움을 겪는 주된 시간대 102

〈표 Ⅴ-7〉 자녀 양육을 가장 많이 도와주는 사람 103

〈표 Ⅴ-8〉 육아지원 서비스(전체) 이용 현황 - 평일/주말 이용일수 104

〈표 Ⅴ-9〉 육아지원 서비스(기관) 이용 현황 - 1일 이용시간 104

〈표 Ⅴ-10〉 육아지원 서비스(혈연 개별보육 서비스) 이용 현황 - 1일 이용시간 105

〈표 Ⅴ-11〉 육아지원 서비스(비혈연 개별보육 서비스) 이용 현황 - 1일 이용시간 106

〈표 Ⅴ-12〉 육아지원 서비스(시간제 학원) 이용 현황 - 1일 이용시간 107

〈표 Ⅴ-13〉 자녀가 다니는 기관의 종류 108

〈표 Ⅴ-14〉 자녀가 다니는 기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점 - 1+2순위 109

〈표 Ⅴ-15〉 자녀의 기관 등하원 방법 111

〈표 Ⅴ-16〉 자녀가 기관까지 이동하는 시간 112

〈표 Ⅴ-17〉 자녀돌봄 서비스 운영 여부, 이용 여부 및 이용 의사 113

〈표 Ⅴ-18〉 자녀가 다니는 기관의 만족도(인력, 시설, 서비스의 질적 수준, 비용) 113

〈표 Ⅴ-19〉 자녀가 다니는 기관에서 가장 개선하여야 할 부분 - 1+2순위 114

〈표 Ⅴ-20〉 교육내용 중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 115

〈표 Ⅴ-21〉 거주 지역사회 내 이용시설 유무 116

〈표 Ⅴ-22〉 거주 지역사회 내 이용시설 이용 경험 117

〈표 Ⅴ-23〉 거주 지역사회 내 이용시설까지 이동시간(분) 118

〈표 Ⅴ-24〉 거주 지역사회 내 이용시설 이용 만족도 119

〈표 Ⅴ-25〉 건강가정지원센터(정부지원기관)의 돌봄 사업 인지 및 이용 경험(아이 돌보미) 120

〈표 Ⅴ-26〉 건강가정지원센터(정부지원기관)의 돌봄 사업 인지 및 이용 경험(공동육아나눔터) 121

〈표 Ⅴ-27〉 지난 1년간 영유아를 위한 문화프로그램의 이용 여부 122

〈표 Ⅴ-28〉 지난 1년간 영유아를 위한 문화프로그램 이용 장소 122

〈표 Ⅴ-29〉 지난 1년간 영유아를 위한 문화프로그램 이용 시 어려운 점 123

〈표 Ⅴ-30〉 영유아가 있는 가구의 육아지원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 123

〈표 Ⅴ-31〉 어린이집, 유치원 등 육아지원 인프라 확대 정책 필요성 124

〈표 Ⅴ-32〉 영유아 가구 양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 확대 정책의 필요성 125

〈표 Ⅴ-33〉 영유아 육아지원 서비스의 질 제고 정책의 필요성 125

〈표 Ⅴ-34〉 가정 양육 지원 확대 정책의 필요성 126

〈표 Ⅴ-35〉 보육, 교육, 육아지원 서비스의 다양화 정책의 필요성 127

〈표 Ⅴ-36〉 부모의 일 - 가정 양립 지원 확대 정책의 필요성 128

〈표 Ⅴ-37〉 남성의 양육참여 지원 확대 정책의 필요성 130

〈표 Ⅴ-38〉 지역에서 자녀 양육 시, 어려움 정도 - ① 131

〈표 Ⅴ-39〉 지역에서 자녀 양육 시, 어려움 정도 - ② 132

〈표 Ⅴ-40〉 도농복합지역 양육환경 개선에 가장 필요한 것 - 1순위 133

〈표 Ⅴ-41〉 도농복합지역 양육환경 개선에 가장 필요한 것 - 1+2순위 134

〈표 Ⅴ-42〉 지금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정착하게 된 이유 135

〈표 Ⅴ-43〉 거주 지역이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지역 여부 135

〈표 Ⅴ-44〉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데 가장 좋은 점 - 1순위 137

〈표 Ⅴ-45〉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데 가장 좋은 점 - 1+2순위 138

〈표 Ⅴ-46〉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데 가장 나쁜 점 - 1순위 139

〈표 Ⅴ-47〉 귀하가 거주하고 계신 지역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데 가장 나쁜 점 - 1+2순위 139

〈표 Ⅴ-48〉 향후 다른 지역 이동 계획 140

〈표 Ⅴ-49〉 향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계획한 이유 141

〈표 Ⅴ-50〉 이사 시기(첫째 자녀 연령 기준) 142

〈표 Ⅴ-51〉 자녀(초등 저학년 자녀)의 초등학교 정규수업 종료 시간 143

〈표 Ⅴ-52〉 자녀가 정규 수업 종료 후 이용하는 방과후 프로그램 144

〈표 Ⅴ-53〉 공공 방과후 돌봄서비스 이용 시간 144

〈표 Ⅴ-54〉 공공 방과후 돌봄서비스 지역 내 충분성 - 1) 초등 돌봄교실 145

〈표 Ⅴ-55〉 공공 방과후 돌봄서비스 지역 내 충분성 - 2) 학교 방과후교실 146

〈표 Ⅴ-56〉 공공 방과후 돌봄서비스 지역 내 만족도 - 1) 초등 돌봄교실 147

〈표 Ⅴ-57〉 공공 방과후 돌봄서비스 지역 내 만족도 - 2) 학교 방과후교실 148

〈표 Ⅴ-58〉 자녀가 이용하는 학원 149

〈표 Ⅴ-59〉 자녀가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주당 총 이용시간) 149

〈표 Ⅵ-1〉 조사 대상자 특성 153

〈표 Ⅵ-2〉 최근 5년간 인구 변화 여부 154

〈표 Ⅵ-3〉 최근 5년간 영유아를 둔 가구(30-40대 세대주 등)수의 변화 154

〈표 Ⅵ-4〉 영유아 가구 증가 이유 155

〈표 Ⅵ-5〉 어린이집/유치원의 추가 설치 수요 여부 156

〈표 Ⅵ-6〉 기관(시설) 추가 설치 필요 행정 구역(복수 응답) 157

〈표 Ⅵ-7〉 초등 저학년에 대한 돌봄서비스의 제공 충분성 157

〈표 Ⅵ-8〉 동/읍/면지역 간 '영유아 육아지원 관련 요구'라는 측면에서의 특징 차이 여부 158

〈표 Ⅵ-9〉 동과 읍, 면 간 육아지원의 측면에서 차이나는 점 159

〈표 Ⅵ-10〉 영유아 가족 및 출산장려를 위한 지자체 특수 시책이나 정책 사업 160

〈표 Ⅵ-11〉 어린이집/유치원 운영 관련 문제점과 개선 필요사항 161

〈표 Ⅵ-12〉 도농복합시의 육아정책 담당자로서 특히 정부가 정책적으로 관심 기울여야 하는 사안 162

〈표 Ⅵ-13〉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육아친화적인 도시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162

[그림 Ⅰ-1] 협동연구기관 협력체계 23

[그림 Ⅱ-1] 지역별 0~4세 영유아 수 변화 35

[그림 Ⅱ-2] 지역별 5~9세 아동 수 변화 37

[그림 Ⅲ-1] 나가레야마 시청 49

[그림 Ⅲ-2] 보육스테이션 내부 50

[그림 Ⅲ-3] 돗토리시 0ㆍ1ㆍ2ㆍ3 子育廣場(육아광장) 52

[그림 Ⅳ-1] 안성시 지도 57

[그림 Ⅳ-2] 당진의 지리적 위치 및 행정구역 63

[그림 Ⅳ-3] 원주의 지리적 위치 및 행정구역 71

[그림 Ⅴ-1] 기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점 110

[그림 Ⅴ-2] 자녀 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 114

[그림 Ⅴ-3] 교육내용 중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 116

〈부록표 1〉 관할지역 출산장려, 영유아 그 가족 또는 출산장려를 위해 지원하고 있는 특별한 시책이나 정책 사업 200

〈부록표 2〉 어린이집/유치원 운영과 관련해서 가장 큰 문제점과 개선 필요사항 203

〈부록표 3〉 도농복합시의 육아정책 담당자로서 특히 정부가 정책적으로 관심 기울여야 하는 사안 206

〈부록표 4〉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육아친화적인 도시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20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