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통영항 동호만 유류부두 및 물양장 확대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 마산지방해양수산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창원 : 마산지방해양수산청, 2018
청구기호
627.3 -19-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 432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16014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총설 28

1.1. 과업의 개요 29

1.1.1. 과업의 목적 29

1.1.2. 과업의 수행기간 29

1.1.3. 과업의 위치 29

1.1.4. 과업의 범위 30

1.1.5. 과업의 추진경위 30

1.1.6. 과업수행업체 30

1.2. 과업수행 흐름도 31

1.3. 과업내용 요약 32

1.3.1. 기초자료조사 32

1.3.2. 현지조사 35

1.3.3. 수치모형실험 40

1.3.4. 수리모형실험 43

1.3.5. 기본계획 재검토 47

1.3.6. 기본 및 실시설계 51

1.3.7. 건설계획 66

제2장 기초자료조사 68

2.1. 자연조건조사 69

2.1.1. 지형 및 지세 69

2.1.2. 기상조건 70

2.1.3. 작업가능일수 산정 86

2.1.4. 해상조건 88

2.2. 입지여건조사 95

2.2.1. 지리적 여건 95

2.2.2. 인문·사회 현황 96

2.2.3. 산업 및 경제 현황 97

2.2.4. 토지이용 현황 100

2.2.5. 배후수송체계 현황 101

2.2.6. 관광자원 현황 102

2.2.7. 상하수도 현황 105

2.3. 항만현황 조사 106

2.3.1. 항만 개요 106

2.3.2. 항만시설 현황 108

2.3.3. 어업권 현황 115

2.3.4. 어선 입출항 현황 120

2.4. 관련계획검토 121

2.4.1. 개요 121

2.4.2. 상위 관련계획 122

2.4.3. 지역관련계획 129

2.4.4. 주변지구계획 134

제3장 현지조사 138

3.1. 수준 및 지형측량 140

3.1.1. 수준측량 140

3.1.2. 지형 측량 143

3.1.3. 지장물 조사 146

3.2. 수심측량 149

3.2.1. 측량 결과 149

3.3. 지반조사 151

3.3.1. 개요 151

3.3.2. 조사내용 152

3.3.3. 조사결과 154

3.4. 해양조사 165

3.4.1. 연속층별조류 관측 165

3.4.2. 연속층별부유사 관측 178

3.4.3. 해저질조사 180

3.5. 재료원 조사 184

3.5.1. 석재원조사 184

3.5.2. 레미콘업체조사 186

3.6. 기타 현지조사 187

3.6.1. 제작장 및 적출장 조사 187

3.6.2. 폐기물업체 조사 189

제4장 수치모형실험 190

4.1. 개요 191

4.2. 파랑변형 실험 191

4.2.1. 실험개요 191

4.2.2. 모형수립 193

4.2.3. 수치모형 개요 196

4.2.4. 수치모델 적정성 검토 198

4.2.5. 파랑변형 실험 제원 산정 200

4.2.6. 파랑변형 실험결과 204

4.3. 항내정온도 실험 228

4.3.1. 실험개요 228

4.3.2. 모형수립 228

4.3.3. 수치모형 개요 230

4.3.4. 항내정온도 실험제원 산정 230

4.3.5.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231

4.3.6. 장래 항내정온도 확보 방안 244

4.4. 해수유동 실험 254

4.4.1. 실험개요 254

4.4.2. 수치모형수립 254

4.4.3. 모형의 영역 260

4.4.4. 수치모형 검증 261

4.4.5. 해수유동 실험결과 263

4.5. 퇴적물이동 실험 269

4.5.1. 실험개요 269

4.5.2. 수치모형 수립 269

4.5.3. 수치모델개요 269

4.5.4. 실험조건 274

4.5.5. 퇴적물이동 실험결과 275

4.6. 부유사확산 실험 277

4.6.1. 실험개요 277

4.6.2. 수치모형수립 277

4.6.3. 실험조건 277

4.6.4. 부유사확산 실험결과 281

제5장 수리모형실험 283

5.1. 실험개요 284

5.1.1. 실험목적 284

5.1.2. 실험범위 284

5.1.3. 실험내용 284

5.1.4. 실험수행 흐름 285

5.2. 단면수리모형실험 286

5.2.1. 실험개요 286

5.2.2. 실험내용 286

5.2.3. 실험방법 300

5.2.4. 실험결과 303

제6장 기본계획 재검토 313

6.1. 기본계획 재검토 개요 315

6.1.1. 개요 315

6.1.2. 기본계획 재검토 대상지 315

6.2.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검토 316

6.2.1. 개요 316

6.2.2. 통영항 동호만 항만기본계획 316

6.3. 유류부두 및 물양장 확대 기본계획 재검토 318

6.3.1. 개요 318

6.3.2. 물양장 확대 부두뜰 폭 검토 318

6.3.3. 유류부두 부두뜰 폭 검토 319

6.3.4. 유류부두 소요 연장 검토 329

6.3.5. 물양장 확대 및 유류부두 평면계획 재검토 331

6.4. 유류부두 계획에 따른 통영항 물양장 시설규모 검토 335

6.4.1. 개요 335

6.4.2. 통영항 시설규모 검토 336

6.4.3. 유류부두(저장시설) 축조 예정지 검토 347

제7장 기본 및 실시설계 350

7.1. 설계조건 352

7.1.1. 적용기준 352

7.1.2. 자연조건 353

7.1.3. 사용재료 조건 355

7.1.4. 허용안전율 및 기타조건 355

7.1.5. 대상선박 356

7.1.6. 지반설계 조건 357

7.1.7. 내진설계기준 362

7.2. 물양장 확대 설계 367

7.2.1. 개요 367

7.2.2. 주요제원 결정 368

7.2.3. 물양장 확대 상부 구조형식 결정 375

7.2.4. 물양장 기초처리공법 381

7.2.5. 액상화검토 396

7.2.6. 접안시설 내진설계 406

7.2.7. 부두뜰 침하량 검토 409

7.2.8. 물양장 확대 단면 결정 411

7.2.9. 포장 설계 413

7.2.10. 배수시설계획 419

7.2.11. 기초굴착 및 부상토 처리계획 435

7.2.12. 계측관리계획 440

7.3. 부대시설 446

7.3.1. 방충재 446

7.3.2. 계선주 449

7.3.3. 모서리 보호공 450

7.3.4. 차막이 451

7.3.5.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452

7.3.6. 차량진입방지시설 456

7.3.7. 공사용 작업장 및 적출장 458

7.3.8. 지장물 이설 계획 460

제8장 건설계획 461

8.1. 공사개요 463

8.1.1. 개요 463

8.1.2. 공사범위 463

8.1.3. 단계별 검토사항 및 건설계획 464

8.2. 건설계획 465

8.2.1. 주요수량 465

8.2.2. 건설공사비 465

8.3. 공정계획 467

8.3.1. 예정공정표 467

8.3.2. 공정계획 468

별첨 469

착수보고회 회의록 470

2차 실무협의회 결과보고서 475

중간보고회 회의록 479

건설기술자문(중간단계) 조치결과서 485

설계경제성검토 결과 596

건설기술자문(마무리단계) 조치결과서 611

최종보고회 결과보고 730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협의결과 737

일반해역이용협의 협의결과 748

관련 공문 754

참여기술자 명단 761

〈표 1.3.1〉 기상개요 32

〈표 1.3.2〉 작업가능일수 산정기준 32

〈표 1.3.3〉 작업 가능일수 33

〈표 1.3.4〉 통영항 조위도 33

〈표 1.3.5〉 통영항 항만시설 현황 33

〈표 1.3.6〉 물성시험 결과 37

〈표 1.3.7〉 삼축압축시험 및 압밀시험 결과 37

〈표 1.3.8〉 석재원 현황 38

〈표 1.3.9〉 주요 어업권 39

〈표 1.3.10〉 파랑변형실험 파랑 및 풍속 제원 40

〈표 1.3.11〉 파랑변형실험 결과 40

〈표 1.3.12〉 항내정온도 실험 계획안 41

〈표 1.3.13〉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41

〈표 1.3.14〉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41

〈표 1.3.15〉 공종별 부유사 공사물량 42

〈표 1.3.16〉 부유사 농도별 최대 확산면적 42

〈표 1.3.17〉 오탁방지막 설치 전 후 부유사 확산면적 42

〈표 1.3.18〉 검토 제원 및 시나리오 44

〈표 1.3.19〉 안정성 실험결과 45

〈표 1.3.20〉 반사율 실험결과 45

〈표 1.3.21〉 월파 실험결과 46

〈표 1.3.22〉 물양장 확대 및 유류부두 평면계획 재검토 안 49

〈표 1.3.23〉 설계 파고 51

〈표 1.3.24〉 상재 하중 51

〈표 1.3.25〉 대상선박 제원 51

〈표 1.3.26〉 지반운동 수준 51

〈표 1.3.27〉 설계지반 가속도 및 수평지진계수 산정 51

〈표 1.3.28〉 물양장 마루높이 산정결과 52

〈표 1.3.29〉 부두뜰 폭 적용기준 53

〈표 1.3.30〉 접안시설 상부 구조형식 비교 및 선정 53

〈표 1.3.31〉 기초처리공법 비교·검토 54

〈표 1.3.32〉 액상화 상세예측결과 55

〈표 1.3.33〉 내진해석 검토에 적용된 동적설계지반정수 56

〈표 1.3.34〉 침하량 검토결과 57

〈표 1.3.35〉 콘크리트 포장단면 60

〈표 1.3.36〉 줄눈 구조 및 규격 60

〈표 1.3.37〉 배수관거 결정 61

〈표 1.3.38〉 어선의 견인력 62

〈표 1.3.39〉 계선주 배치간격 62

〈표 1.3.40〉 모서리 보호공 비교·검토 63

〈표 1.3.41〉 차막이 비교 63

〈표 1.3.42〉 차량진입방지시설 비교·검토 63

〈표 1.3.43〉 오탁방지막 앵커 비교·검토 64

〈표 1.3.44〉 오탁방지막체 결정 64

〈표 1.3.45〉 이동식 오탁방지막 65

〈표 1.3.46〉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설치계획(단계별 이설설치계획) 65

〈표 1.3.47〉 주요 수량 66

〈표 1.3.48〉 건설공사비 66

〈표 1.3.49〉 예정공정표 66

〈표 2.1.1〉 기상개요 70

〈표 2.1.2〉 월별기온 71

〈표 2.1.3〉 월별 해면기압 72

〈표 2.1.4〉 월별 풍속 73

〈표 2.1.5〉 계절별 풍향별 풍속 백분율 74

〈표 2.1.6〉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현황(1) 76

〈표 2.1.7〉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현황(2) 77

〈표 2.1.8〉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현황(3) 78

〈표 2.1.9〉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현황(4) 79

〈표 2.1.10〉 월별 강수량 84

〈표 2.1.11〉 현상일수 85

〈표 2.1.12〉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86

〈표 2.1.13〉 작업 불가능일수 87

〈표 2.1.14〉 작업 가능일수 87

〈표 2.1.15〉 조석의 조화상수 88

〈표 2.1.16〉 조위도 88

〈표 2.1.17〉 기왕의 고극조위 89

〈표 2.1.18〉 과업대상지 인근의 심해설계파 제원 90

〈표 2.1.19〉 통영 기상대의 위치 및 제원 91

〈표 2.1.20〉 통영 기상대의 풍향별 최대 풍속(1971년~2014년) 92

〈표 2.1.20-계속〉 통영 기상대의 풍향별 최대 풍속(1971년~2014년)-계속 93

〈표 2.1.21〉 극치분석을 통해 산출된 빈도별 풍속 93

〈표 2.1.22〉 해상풍 보정 후의 빈도별 풍속 93

〈표 2.1.23〉 심해파 실험결과 94

〈표 2.1.24〉 풍파 실험결과 94

〈표 2.1.25〉 심해파와 풍파가 동시 내습시 실험결과 94

〈표 2.2.1〉 년도별 인구변동 추이 96

〈표 2.2.2〉 년도별 주택보급현황 96

〈표 2.2.3〉 교육시설 및 학생수 현황 97

〈표 2.2.4〉 농가 및 농가인구 현황 97

〈표 2.2.5〉 농경지 현황 98

〈표 2.2.6〉 어가 및 어가인구 현황 98

〈표 2.2.7〉 어선 보유 및 어획고 현황 99

〈표 2.2.8〉 통영시 산업단지 현황 99

〈표 2.2.9〉 광업 및 제조업 현황 100

〈표 2.2.10〉 지목별 이용 현황 100

〈표 2.2.11〉 용도 지역별 현황 101

〈표 2.2.12〉 통영항 주변 도로망 현황 101

〈표 2.2.13〉 도로 현황 102

〈표 2.2.14〉 연도별 관광객 102

〈표 2.2.15〉 통영시 문화재 현황 104

〈표 2.2.16〉 통영시 축제 현황 104

〈표 2.2.17〉 상수도 보급현황 105

〈표 2.2.18〉 하수도 보급현황 105

〈표 2.3.1〉 통영항의 개발 연혁 106

〈표 2.3.2〉 통영항 외곽시설 현황 108

〈표 2.3.3〉 통영항 선석 및 접안선박 현황 108

〈표 2.3.4〉 통영항 장치장 현황 109

〈표 2.3.5〉 어업면허현황 115

〈표 2.3.5-계속〉 어업면허현황-계속 116

〈표 2.3.5-계속〉 어업면허현황-계속 117

〈표 2.3.5-계속〉 어업면허현황-계속 118

〈표 2.3.5-계속〉 어업면허현황-계속 119

〈표 2.3.6〉 어선 이용현황 120

〈표 2.4.1〉 관련계획 및 관련용역 조사목록 121

〈표 2.4.2〉 개발규모 127

〈표 3.1.1〉 공공측량 표고 허용 오차 140

〈표 3.1.2〉 지장물 집계표 146

〈표 3.3.1〉 조사기간 151

〈표 3.3.2〉 조사항목 및 수량 151

〈표 3.3.3〉 조사장비 152

〈표 3.3.4〉 조사위치 좌표 및 해저면고 153

〈표 3.3.5〉 실내시험 항목 및 기준 153

〈표 3.3.6〉 지층 총괄표 154

〈표 3.3.7〉 지층구성상태 154

〈표 3.3.7-계속〉 지층구성상태-계속 155

〈표 3.3.8〉 지층단면도 및 지층구성상태 157

〈표 3.3.9〉 지층별 층후 및 N값 157

〈표 3.3.10〉 N치 분포현황 158

〈표 3.3.11〉 자연시료채취 결과 159

〈표 3.3.12〉 SPS 검층 결과표 159

〈표 3.3.13〉 탄성파속도 및 동적물성치 160

〈표 3.3.14〉 밀도검층 결과표 160

〈표 3.3.15〉 물성시험 결과 161

〈표 3.3.16〉 삼축압축시험 및 압밀시험 결과 161

〈표 3.3.17〉 공진주시험 결과 162

〈표 3.3.18〉 반복삼축압축시험 결과 162

〈표 3.3.19〉 암석시험 결과 162

〈표 3.3.20〉 지반정수 구역 구분 164

〈표 3.3.21〉 점토층 지반정수 164

〈표 3.4.1〉 연속층별조류 관측 개요 165

〈표 3.4.2〉 유속 통계분석 결과 168

〈표 3.4.3〉 조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표층) 171

〈표 3.4.4〉 조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중층) 172

〈표 3.4.5〉 조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저층) 173

〈표 3.4.6〉 잔차류 유속 및 유향 176

〈표 3.4.7〉 연속층별부유사 관측 개요 178

〈표 3.4.8〉 연속층별부유사 통계 179

〈표 3.4.9〉 해저질 입도변수 및 입도조성 181

〈표 3.5.1〉 주요자재 소요량 184

〈표 3.5.2〉 석재원 현황 185

〈표 3.5.3〉 석재원 전경 185

〈표 3.5.4〉 레미콘업체 현황 186

〈표 3.6.1〉 제작장 및 적출장 검토 187

〈표 3.6.2〉 제작장 면적 및 소유주 188

〈표 3.6.3〉 폐기물업체 현황 189

〈표 4.1.1〉 파량분야 실험 191

〈표 4.2.1〉 파랑변형 실험개요 192

〈표 4.2.2〉 파랑변형 실험 제원 192

〈표 4.2.3〉 Goda et al.(1967)에 의한 구조물 형상 계수 197

〈표 4.2.4〉 파랑변형 실험 모형 비교 198

〈표 4.2.5〉 심해설계파 제원 200

〈표 4.2.6〉 통영 기상대의 풍향별 최대 풍속(1973년~2016년) 200

〈표 4.2.6-계속〉 통영 기상대의 풍향별 최대 풍속(1973년~2016년)-계속 201

〈표 4.2.7〉 극치분석을 통해 산출된 빈도별 풍속 201

〈표 4.2.8〉 관측지점 보정계수 203

〈표 4.2.9〉 해상풍 보정 후의 빈도별 풍속 203

〈표 4.2.10〉 심해파 내습시 실험결과 205

〈표 4.2.11〉 풍파 내습시 실험결과 205

〈표 4.2.12〉 심해파와 풍파가 동시 내습시 실험결과 205

〈표 4.2.13〉 평상파 내습시 실험결과 206

〈표 4.2.14〉 파랑변형 실험(10년 재현빈도) 실험결과 206

〈표 4.3.1〉 항내정온도 실험개요 228

〈표 4.3.2〉 단면 양식별 반사율 적용기준 229

〈표 4.3.3〉 수리실험을 통한 반사율 적용 229

〈표 4.3.4〉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229

〈표 4.3.5〉 풍향별 풍속계급별 출현율 230

〈표 4.3.6〉 항내정온도 실험 제원 230

〈표 4.3.7〉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232

〈표 4.3.8〉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232

〈표 4.3.9〉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245

〈표 4.3.10〉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245

〈표 4.4.1〉 해수유동 실험개요 254

〈표 4.4.2〉 조위검증 결과 261

〈표 4.4.3〉 조류검증 결과 262

〈표 4.4.4〉 최강유속 분포도 263

〈표 4.5.1〉 퇴적물이동 실험개요 269

〈표 4.5.2〉 모델 입력 값 및 적용 공식 275

〈표 4.5.3〉 퇴적물이동 실험결과 276

〈표 4.6.1〉 부유사확산 실험개요 277

〈표 4.6.2〉 부유사 입경별 침강속도(Buller and McManus, 1989) 278

〈표 4.6.3〉 부유사 발생부하 원단위의 평균치 279

〈표 4.6.4〉 준설에 의한 발생원단위 279

〈표 4.6.5〉 공종별 부유사 공사물량 280

〈표 4.6.6〉 부유사 농도별 최대 확산면적 281

〈표 5.1.1〉 실험내용 284

〈표 5.2.1〉 실험수로 및 조파기의 특성 286

〈표 5.2.2〉 상사율 적용 예 292

〈표 5.2.3〉 콘크리트 블록 294

〈표 5.2.4〉 와록 295

〈표 5.2.5〉 이글루 블록-I 296

〈표 5.2.6〉 매블록 297

〈표 5.2.7〉 이글루블록-II 298

〈표 5.2.8〉 실험조건 299

〈표 5.2.9〉 안정성 실험결과 304

〈표 5.2.10〉 반사율 실험결과 309

〈표 5.2.11〉 월파 실험결과 311

〈표 6.2.1〉 통영항 동호만 기본계획 시설규모 및 건설계획 316

〈표 6.3.1〉 부두뜰의 폭 표준치 318

〈표 6.3.2〉 통영항 동호만 해상급유선 현황 319

〈표 6.3.3〉 급유선 이용 어선세력 319

〈표 6.3.4〉 급유선 유류판매량 320

〈표 6.3.5〉 급유기지(수협 남해자재사업소)의 유류 공급선 입항 현황 320

〈표 6.3.6〉 수산업협동조합 남해자재사업소 보유 유류운반선 현황 321

〈표 6.3.7〉 지역별 유류공급 조합 321

〈표 6.3.8〉 유류저장시설 사례 322

〈표 6.3.8-계속〉 유류저장시설 사례-계속 323

〈표 6.3.8-계속〉 유류저장시설 사례-계속 324

〈표 6.3.8-계속〉 유류저장시설 사례-계속 325

〈표 6.3.9〉 급유시설 설치기준 326

〈표 6.3.10〉 유류저장시설(급유시설) 계획 규모 327

〈표 6.3.11〉 유류저장시설(급유시설) 계획 규모 327

〈표 6.3.12〉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따른 유류부두 소요연장 검토결과 330

〈표 6.3.13〉 보급용 물양장 계획기준 330

〈표 6.3.14〉 유류부두 소요연장 검토결과 330

〈표 6.3.15〉 물양장 확대 및 유류부두 평면계획 재검토 안 333

〈표 6.4.1〉 통영항 어선 입·출항 현황 336

〈표 6.4.2〉 년도별 세력권내 어선추정 337

〈표 6.4.3〉 년도별 외래 어선추정 337

〈표 6.4.4〉 통영항 접안시설 규모 현황 337

〈표 6.4.5〉 어선의 표준선형 339

〈표 6.4.6〉 어선별 박지 폭 339

〈표 6.4.7〉 통영항 수역면적 현황 340

〈표 6.4.8〉 통영항 접안시설 규모(2020년 이후) 342

〈표 6.4.9〉 통영항 수역면적(2020년 이후) 342

〈표 6.4.10〉 유류부두 및 물양장 확대 공사 전후 통영항 접안시설 규모 345

〈표 6.4.11〉 장래 통영항 접안시설규모 검토 결과 345

〈표 6.4.12〉 유류부두 및 물양장 확대 공사 전후 통영항 수역면적 345

〈표 6.4.13〉 장래 통영항 수면적 검토 결과 346

〈표 6.4.14〉 장래 통영항 시설규모 검토결과 346

〈표 6.4.15〉 월파랑 검토 조건 349

〈표 6.4.16〉 배후지의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월파량 349

〈표 6.4.17〉 어선부두 월파량 산정결과 349

〈표 7.1.1〉 흙의 개략적인 토질정수 358

〈표 7.1.2〉 제안자별 N값과 내부마찰각의 관계 359

〈표 7.1.3〉 사질토의 N값과 상대밀도, 내부마찰각의 관계 359

〈표 7.1.4〉 뒷채움재의 지반정수 359

〈표 7.1.5〉 기초사석의 강도정수 359

〈표 7.1.6〉 안정성 검토 적용 설계정수 360

〈표 7.1.7〉 연약지반 판단기준(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2013) 360

〈표 7.1.8〉 허용 잔류침하량 기준(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해양부, 2013) 361

〈표 7.1.9〉 허용 잔류침하량 기준(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2009) 361

〈표 7.1.10〉 허용잔류침하량 적용사례 361

〈표 7.1.11〉 내진등급 362

〈표 7.1.12〉 지반운동 수준 362

〈표 7.1.13〉 지진구역의 구분 363

〈표 7.1.14〉 지진구역 계수(재현주기 500년에 해당) 363

〈표 7.1.15〉 위험도 계수 363

〈표 7.1.16〉 지진구역 계수에 의한 기반암 지진가속도 363

〈표 7.1.17〉 지진재해도 의한 기반암 지진가속도 364

〈표 7.1.18〉 기반암 지진가속도 결정 365

〈표 7.1.19〉 설계지반 가속도 및 수평지진계수 산정 366

〈표 7.1.20〉 구조물별 해석방법 366

〈표 7.1.21〉 지반운동 수준 366

〈표 7.2.1〉 접안시설 마루높이 368

〈표 7.2.2〉 접안시설의 표준적인 마루높이 368

〈표 7.2.3〉 기후변화에 따른 폭풍해일고 및 해수면 상승고 369

〈표 7.2.4〉 최대조위편차를 고려한 마루높이 검토 369

〈표 7.2.5〉 인근 기존시설 마루높이 369

〈표 7.2.6〉 물양장 마루높이 산정결과 370

〈표 7.2.7〉 피복석 규격 결정 370

〈표 7.2.8〉 부두뜰 폭 적용기준 373

〈표 7.2.9〉 접안시설 구조형식 비교 및 선정 377

〈표 7.2.10〉 접안시설 상부 구조형식 비교 및 선정 378

〈표 7.2.11〉 접안시설 소파블록 형식 비교 검토 379

〈표 7.2.12〉 접안시설 배면 뒷채움재 검토 380

〈표 7.2.13〉 물양장 기초처리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381

〈표 7.2.14〉 원호활동 적용 프로그램 382

〈표 7.2.15〉 정규압밀지반의 침하량 산정 383

〈표 7.2.16〉 과압밀지반의 침하량 산정 383

〈표 7.2.17〉 침하량 산정 적용 프로그램 383

〈표 7.2.18〉 무처리시 검토결과 384

〈표 7.2.19〉 적용 가능 기초처리공법 385

〈표 7.2.20〉 기초처리공법별 적용성 385

〈표 7.2.21〉 기초처리공법 비교·검토 386

〈표 7.2.22〉 기초처리공법 비교·검토 387

〈표 7.2.23〉 시멘트 배합 설계 및 설계기준 강도 사례 388

〈표 7.2.24〉 개량체 형식 선정 389

〈표 7.2.25〉 하부 지지형식 선정 389

〈표 7.2.26〉 심층혼합처리공법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및 허용응력 산정 390

〈표 7.2.27〉 개량체 형식 선정 391

〈표 7.2.28〉 개량층 침하량 검토 393

〈표 7.2.29〉 심층혼합처리 안정검토 결과 393

〈표 7.2.30〉 심층혼합처리 구간 침하량 산정 결과 393

〈표 7.2.31〉 원호활동 검토결과 394

〈표 7.2.32〉 개량체 품질(강도)시험 395

〈표 7.2.33〉 치환모래사 재료특성 398

〈표 7.2.34〉 액상화 발생 가능 입도분포 범위 399

〈표 7.2.35〉 지층에 따른 포화단위중량, 전단파속도, 최대전단탄성계수 400

〈표 7.2.36〉 지층에 따른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 및 감쇠비 곡선 400

〈표 7.2.37〉 입력지진파 401

〈표 7.2.38〉 액상화 간편예측 결과 402

〈표 7.2.39〉 LPI 범위에 따른 액상화 피해정도 403

〈표 7.2.40〉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LPI) 산정결과 404

〈표 7.2.41〉 액상화 상세예측결과 405

〈표 7.2.42〉 내진해석 검토에 적용된 동적설계지반정수 407

〈표 7.2.43〉 점토층 침하량 산정 409

〈표 7.2.44〉 사질토 침하량 산정 409

〈표 7.2.45〉 침하량 검토결과 410

〈표 7.2.46〉 포장형식별 검토 413

〈표 7.2.47〉 부두뜰의 폭 표준치 414

〈표 7.2.48〉 보조기층 두께 산정 415

〈표 7.2.49〉 측후소별 동결지수 및 동결시간 416

〈표 7.2.50〉 수정 동결지수 산정 416

〈표 7.2.51〉 동결심도 산정 416

〈표 7.2.52〉 콘크리트 포장단면 416

〈표 7.2.53〉 줄눈 구조 및 규격 417

〈표 7.2.54〉 가로팽창줄눈 간격 표준치 417

〈표 7.2.55〉 통영 강우강도식(6차다항식) 420

〈표 7.2.56〉 토지이용별 기초유출계수 표준치(하수도시설 기준) 420

〈표 7.2.57〉 토지이용별 총괄 유출계수의 범위 421

〈표 7.2.58〉 토지이용별 총괄 유출계수의 범위 421

〈표 7.2.59〉 유달시간 422

〈표 7.2.60〉 유입시간 표준치 422

〈표 7.2.61〉 조도계수의 표준치 423

〈표 7.2.62〉 배수관 종류 424

〈표 7.2.63〉 U형측구 설치 단면계획 425

〈표 7.2.64〉 부두뜰 우수 수리계산 426

〈표 7.2.65〉 기존 유출구 현황 427

〈표 7.2.66〉 유출구 관저고 현황 429

〈표 7.2.67〉 관거 통수능 및 침수위험 검토결과 431

〈표 7.2.68〉 우수관로 종단도 432

〈표 7.2.68-계속〉 우수관로 종단도-계속 433

〈표 7.2.69〉 준설공법 선정 435

〈표 7.2.70〉 부상토 적용 사례 436

〈표 7.2.71〉 부상토 산정방법 437

〈표 7.2.72〉 부상토 산정결과 437

〈표 7.2.73〉 부상토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비용 검토 437

〈표 7.2.74〉 오염도 기준(준설토투기장 투기시) 438

〈표 7.2.75〉 해양배출처리기준 438

〈표 7.2.76〉 폐기물 처리량 439

〈표 7.2.77〉 계측기 선정기준 440

〈표 7.2.78〉 계측 목적 및 설치 시기 440

〈표 7.2.79〉 계측 빈도 442

〈표 7.2.80〉 관리 기준치 설정 444

〈표 7.2.81〉 사전 지반조사 및 확인조사 계획 445

〈표 7.3.1〉 방충재 비교 446

〈표 7.3.2〉 어선의 견인력 449

〈표 7.3.3〉 계선주 배치간격 450

〈표 7.3.4〉 모서리 보호공 비교 450

〈표 7.3.5〉 차막이 비교 451

〈표 7.3.6〉 오탁방지막 앵커 비교·검토 453

〈표 7.3.7〉 오탁방지막체 결정 453

〈표 7.3.8〉 이동식 오탁방지막 검토결과 453

〈표 7.3.9〉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설치계획(단계별 이설설치계획) 455

〈표 7.3.10〉 차량진입방지시설 비교·검토 456

〈표 7.3.11〉 콘크리트블록 제작수량 458

〈표 7.3.12〉 제작 소요면적 458

〈표 7.3.13〉 작업장 소요면적 459

〈표 8.1.1〉 공사 범위 463

〈표 8.2.1〉 주요수량 465

〈표 8.2.2〉 건설공사비 466

〈그림 1.1.1〉 과업대상 위치도 29

〈그림 1.2.1〉 과업수행 흐름도 31

〈그림 1.3.1〉 동호만 현황 평면도 34

〈그림 1.3.2〉 통영항 항계 34

〈그림 1.3.3〉 지형 및 수심측량 결과 35

〈그림 1.3.4〉 조사위치 36

〈그림 1.3.5〉 지층단면도 및 지층구성상태 36

〈그림 1.3.6〉 석재원 위치도 38

〈그림 1.3.7〉 제작장 및 적출장 위치도 38

〈그림 1.3.8〉 어업권현황도 39

〈그림 1.3.9〉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과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40

〈그림 1.3.10〉 실험자치 및 조파시설 계략도 43

〈그림 1.3.11〉 월파량 분석결과 46

〈그림 1.3.12〉 선박이용성을 고려한 전면 수심계획 52

〈그림 1.3.13〉 침하량 검토 단면 57

〈그림 1.3.14〉 표준단면도 58

〈그림 1.3.15〉 전체계획 평면도 59

〈그림 1.3.16〉 줄눈 설치계획 평면도 60

〈그림 1.3.17〉 배수계획 평면도 61

〈그림 1.3.18〉 방충재 설치 단면도 62

〈그림 1.3.19〉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설치 계획 평면도 65

〈그림 2.1.1〉 세력권도 69

〈그림 2.1.2〉 월별 기온 분포도 71

〈그림 2.1.3〉 월별 해면기압 분포도 72

〈그림 2.1.4〉 월별풍속도 73

〈그림 2.1.5〉 바람장미도 75

〈그림 2.1.6〉 태풍 경로도(1) '87~'93 80

〈그림 2.1.7〉 태풍 경로도(2) '94~'00 81

〈그림 2.1.8〉 태풍 경로도(3) '01~'08 82

〈그림 2.1.9〉 태풍 경로도(4) '09~'16 83

〈그림 2.1.10〉 월별 강수량 분포도 84

〈그림 2.1.11〉 주요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도 90

〈그림 2.2.1〉 통영항 주변 현황 95

〈그림 2.2.2〉 통영시 주요관광자원 103

〈그림 2.3.1〉 통영항 항계 107

〈그림 2.3.2〉 동호만 평면도 109

〈그림 2.3.3〉 기본시설 단면도(1 / 5) 110

〈그림 2.3.4〉 기본시설 단면도(2 / 5) 111

〈그림 2.3.5〉 기본시설 단면도(3 / 5) 112

〈그림 2.3.6〉 기본시설 단면도(4 / 5) 113

〈그림 2.3.7〉 기본시설 단면도(5 / 5) 114

〈그림 2.3.8〉 어업권현황도 119

〈그림 2.4.1〉 권역별 개발방향 125

〈그림 2.4.2〉 권역별 연안통합관리 방향 126

〈그림 2.4.3〉 권역별 해양관광개발 기본구상 126

〈그림 2.4.5〉 통영항 평면배치 계획도 128

〈그림 2.4.6〉 남해안권 개발 기본구상 129

〈그림 2.4.7〉 남해안 관광클러스터 비전 130

〈그림 2.4.8〉 권역별 발전전략의 종합 131

〈그림 2.4.9〉 장기종합개발계획 구상도 132

〈그림 2.4.10〉 도시관리지역 구분 133

〈그림 2.4.11〉 과업대상위치도 134

〈그림 2.4.12〉 평면배치계획 135

〈그림 2.4.13〉 과업위치도 136

〈그림 2.4.14〉 재해정비 시설 배치계획도 137

〈그림 3.1.1〉 기본수준점 성과표(통영항) 141

〈그림 3.1.2〉 기본수준점 성과표(통영항) 142

〈그림 3.1.3〉 Network-RTK(VRS) 의한 측량 흐름도 143

〈그림 3.1.4〉 RTK(VRS방식) 삼각망도 143

〈그림 3.1.5〉 국토지리정보원 상시관측소(하동, HADG) 144

〈그림 3.1.6〉 국토지리정보원 상시관측소(창원, CHWN) 144

〈그림 3.1.7〉 국토지리정보원 상시관측소(거제도, GOJE) 145

〈그림 3.1.8〉 지장물도 146

〈그림 3.1.9〉 지장물 현황 147

〈그림 3.1.9-계속〉 지장물 현황-계속 148

〈그림 3.2.1〉 3D 수심도 149

〈그림 3.2.2〉 지형 및 수심도 150

〈그림 3.3.1〉 조사위치 152

〈그림 3.3.2〉 지층단면도 및 지층구성상태 156

〈그림 3.3.3〉 시추조사 위치 횡단면도 163

〈그림 3.3.4〉 치환 모래 지층 분포도 163

〈그림 3.4.1〉 연속층별조류 관측 위치도 165

〈그림 3.4.2〉 관측 유속의 stick plot 166

〈그림 3.4.3〉 유속 및 유향 시계열 167

〈그림 3.4.4〉 조류 분산도 167

〈그림 3.4.5〉 최강유속 및 평균유속의 연직 분포 168

〈그림 3.4.6〉 유향 및 유속별 출현율도 169

〈그림 3.4.7〉 조류 타원도 174

〈그림 3.4.8〉 연속 층별조류의 시간변화도(표층) 175

〈그림 3.4.9〉 연속 층별조류의 시간변화도(중층) 175

〈그림 3.4.10〉 연속 층별조류의 시간변화도(저층) 176

〈그림 3.4.11〉 조류진행 벡터도 177

〈그림 3.4.12〉 잔차류 수직분포 177

〈그림 3.4.13〉 연속부유사 관측 위치도 178

〈그림 3.4.14〉 부유사 농도 시계열 179

〈그림 3.4.15〉 해저질 조사 정점 위치도 180

〈그림 3.4.16〉 해저질 분포도 182

〈그림 3.4.17〉 해저질 평균입경 분포도 182

〈그림 3.4.18〉 해저질 분급도 분포도 183

〈그림 3.4.19〉 해저질 편왜도 분포도 183

〈그림 3.5.1〉 석재원 위치도 185

〈그림 3.6.1〉 공사용 작업장 위치도 187

〈그림 3.6.2〉 제작장 주소 현황 188

〈그림 4.2.1〉 주요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도 193

〈그림 4.2.2〉 광역 파랑변형 실험 계산 격자망도 194

〈그림 4.2.3〉 광역 파랑변형 실험 등수심선도 194

〈그림 4.2.4〉 상세역 파랑변형 실험 계산 격자망도 195

〈그림 4.2.5〉 상세역 파랑변형 실험 등수심선도 195

〈그림 4.2.6〉 SWAN 모형 실험결과 199

〈그림 4.2.7〉 BOUSS-2D 모형 실험결과 199

〈그림 4.2.8〉 풍속에 따른 온도보정계수 202

〈그림 4.2.9〉 파랑변형 실험 설계파고 구역도 204

〈그림 4.2.10〉 파랑변형 실험 설계파고 구역도 206

〈그림 4.2.11〉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07

〈그림 4.2.12〉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07

〈그림 4.2.13〉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08

〈그림 4.2.14〉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08

〈그림 4.2.15〉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09

〈그림 4.2.16〉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09

〈그림 4.2.17〉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0

〈그림 4.2.18〉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0

〈그림 4.2.19〉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1

〈그림 4.2.20〉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1

〈그림 4.2.21〉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2

〈그림 4.2.22〉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2

〈그림 4.2.23〉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3

〈그림 4.2.24〉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3

〈그림 4.2.25〉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4

〈그림 4.2.26〉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4

〈그림 4.2.27〉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5

〈그림 4.2.28〉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5

〈그림 4.2.29〉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6

〈그림 4.2.30〉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6

〈그림 4.2.31〉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7

〈그림 4.2.32〉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7

〈그림 4.2.33〉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8

〈그림 4.2.34〉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8

〈그림 4.2.35〉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19

〈그림 4.2.36〉 상세역 S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19

〈그림 4.2.37〉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0

〈그림 4.2.38〉 상세역 S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0

〈그림 4.2.39〉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1

〈그림 4.2.40〉 상세역 SE 파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1

〈그림 4.2.41〉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2

〈그림 4.2.42〉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2

〈그림 〈2.43〉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3

〈그림 4.2.44〉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3

〈그림 4.2.45〉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4

〈그림 4.2.46〉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4

〈그림 4.2.47〉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5

〈그림 4.2.48〉 상세역 S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5

〈그림 4.2.49〉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6

〈그림 4.2.50〉 상세역 S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6

〈그림 4.2.51〉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파랑벡터도 227

〈그림 4.2.52〉 상세역 SE 풍향 실험결과 사업대상지 인근 파고분포도 227

〈그림 4.3.1〉 항내정온도 실험안 229

〈그림 4.3.2〉 항내정온도 실험 정온도 구역도 231

〈그림 4.3.3〉 이상시 S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3

〈그림 4.3.4〉 이상시 S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3

〈그림 4.3.5〉 이상시 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3

〈그림 4.3.6〉 평상시 S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4

〈그림 4.3.7〉 평상시 S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4

〈그림 4.3.8〉 평상시 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34

〈그림 4.3.9〉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35

〈그림 4.3.10〉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35

〈그림 4.3.11〉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36

〈그림 4.3.12〉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36

〈그림 4.3.13〉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37

〈그림 4.3.14〉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37

〈그림 4.3.15〉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38

〈그림 4.3.16〉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38

〈그림 4.3.17〉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39

〈그림 4.3.18〉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39

〈그림 4.3.19〉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40

〈그림 4.3.20〉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현재상태) 240

〈그림 4.3.21〉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41

〈그림 4.3.22〉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41

〈그림 4.3.23〉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1) 242

〈그림 4.3.24〉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42

〈그림 4.3.25〉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43

〈그림 4.3.26〉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계획안2) 243

〈그림 4.3.27〉 항내정온도 실험안 244

〈그림 4.3.28〉 이상시 S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6

〈그림 4.3.29〉 이상시 S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6

〈그림 4.3.30〉 이상시 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6

〈그림 4.3.31〉 평상시 S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7

〈그림 4.3.32〉 평상시 S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7

〈그림 4.3.33〉 평상시 SE 풍향 정온도 실험결과 247

〈그림 4.3.34〉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48

〈그림 4.3.35〉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48

〈그림 4.3.36〉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49

〈그림 4.3.37〉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49

〈그림 4.3.38〉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50

〈그림 4.3.39〉 이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50

〈그림 4.3.40〉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51

〈그림 4.3.41〉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51

〈그림 4.3.42〉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1안) 252

〈그림 4.3.43〉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52

〈그림 4.3.44〉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53

〈그림 4.3.45〉 평상시 항내정온도 실험결과 SE 풍향 파고분포도-(장래계획2안) 253

〈그림 4.4.1〉 EFDC 모델의 개요 255

〈그림 4.4.2〉 해수유동 실험 계산 격자망도 260

〈그림 4.4.3〉 해수유동 실험 등수심선도 260

〈그림 4.4.4〉 수치모형 검증 위치도 261

〈그림 4.4.5〉 조위시계열 검증결과 262

〈그림 4.4.6〉 조류시계열 검증결과 262

〈그림 4.4.7〉 해수유동 결과 구역도 263

〈그림 4.4.8〉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창조시 유속벡터도(현재상태) 264

〈그림 4.4.9〉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낙조시 유속벡터도(현재상태) 264

〈그림 4.4.10〉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유속분포도(현재상태) 265

〈그림 4.4.11〉 사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분포도(현재상태) 265

〈그림 4.4.12〉 사업대상지 인근 저조위 분포도(현재상태) 266

〈그림 4.4.13〉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창조시 유속벡터도(계획안) 266

〈그림 4.4.14〉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낙조시 유속벡터도(계획안) 267

〈그림 4.4.15〉 사업대상지 인근 최강 유속분포도(계획안) 267

〈그림 4.4.16〉 사업대상지 인근 고조위 분포도(계획안) 268

〈그림 4.4.17〉 사업대상지 인근 저조위 분포도(계획안) 268

〈그림 4.5.1〉 연간 침·퇴적 분포도(현재상태) 276

〈그림 4.5.2〉 연간 침·퇴적 분포도(계획안) 276

〈그림 4.6.1〉 부유사 발생위치 280

〈그림 4.6.2〉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오탁방지막 설치전) 282

〈그림 4.6.3〉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오탁방지막 설치후) 282

〈그림 5.1.1〉 실험수행 흐름 285

〈그림 5.2.1〉 실험자치 및 조파시설 계략도 287

〈그림 5.2.2〉 실험장치 및 조파시설 계략도 288

〈그림 5.2.3〉 불규칙 조파기의 구성 288

〈그림 5.2.4〉 용량식파고계 및 증폭기 289

〈그림 5.2.5〉 A / D converter(16CH) 및 Noise filter 290

〈그림 5.2.6〉 A / D converter(16CH) 및 Noise filter 290

〈그림 5.2.7〉 A / D converter(16CH) 및 Noise filter 301

〈그림 5.2.8〉 파랑검증결과 H1 / 3 : 0.60m, T1 / 3 : 4.14sec(이미지참조) 303

〈그림 5.2.9〉 파랑검증결과 H1 / 3 : 1.05m, T1 / 3 : 4.14sec(이미지참조) 303

〈그림 5.2.10〉 Case2-A 콘크리트 블록 측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5

〈그림 5.2.11〉 Case2-A 콘크리트 블록 전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5

〈그림 5.2.12〉 Case2-B 와록 측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5

〈그림 5.2.13〉 CCase2-B 와록 전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6

〈그림 5.2.14〉 Case02-C 매블록 측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6

〈그림 5.2.15〉 Case02-C 매블록 전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위 306

〈그림 5.2.16〉 이글루 블록-I-D 측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7

〈그림 5.2.17〉 이글루 블록-I-D 전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7

〈그림 5.2.18〉 이글루 블록-II-E 측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7

〈그림 5.2.19〉 이글루 블록-II-E 전면결과 조파중(좌), 조파후(우) 308

〈그림 5.2.20〉 반사율 분석결과(Tidal ; App.H.H.W 2.82m) 309

〈그림 5.2.21〉 반사율 분석결과(Tidal ; M.S.L 1.41m) 310

〈그림 5.2.22〉 반사율 분석결과(Tidal ; App.L.L.W 0.00m) 310

〈그림 5.2.23〉 월파량 분석결과(Tidal ; App.H.H.W 2.82m) 312

〈그림 6.1.1〉 기본계획 재검토 대상지 위치도 315

〈그림 6.2.1〉 기본계획 평면배치계획 317

〈그림 6.3.1〉 유류저장시설(급유시설) 소요폭 검토 결과 328

〈그림 6.3.2〉 유류저장시설(급유시설) 소요연장 검토 결과 328

〈그림 6.4.1〉 통영항 동호만 어선부두 위치도 335

〈그림 6.4.2〉 통영항 접안시설 현황 338

〈그림 6.4.3〉 통영항 수역면적 산정도(현황) 341

〈그림 6.4.4〉 통영항 접안시설 규모(장래) 343

〈그림 6.4.5〉 통영항 수역면적 산정도(장래) 344

〈그림 6.4.6〉 동호만 어선부두 평면도 347

〈그림 6.4.7〉 동호만 어선부두 표준단면도 347

〈그림 6.4.8〉 유류부두 설치 계획(안) 348

〈그림 6.4.9〉 유류부두 설치 단면계획(안) 348

〈그림 7.1.1〉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지반운동 364

〈그림 7.1.2〉 지진응답해석 결과 365

〈그림 7.2.1〉 물양장 배치계획 367

〈그림 7.2.2〉 물양장 설계흐름도 367

〈그림 7.2.3〉 선박이용성을 고려한 전면 수심계획 373

〈그림 7.2.4〉 부두뜰 경사로 계획 374

〈그림 7.2.5〉 물양장 기초처리공법 선정 흐름도 381

〈그림 7.2.6〉 심층혼합처리공법 설계 흐름도 387

〈그림 7.2.7〉 상세 검토 개념도 391

〈그림 7.2.8〉 외적 안정검토 392

〈그림 7.2.9〉 내적 안정검토 392

〈그림 7.2.10〉 액상화 평가 흐름도 397

〈그림 7.2.11〉 액상화 검토 단면 398

〈그림 7.2.12〉 입도에 의한 액상화 예측(Cu〉3.5)(이미지참조) 399

〈그림 7.2.13〉 지진응답해석 결과 401

〈그림 7.2.14〉 침하량 검토 단면 410

〈그림 7.2.15〉 콘크리트 휨 응력도 - 콘크리트 두께 414

〈그림 7.2.16〉 줄눈 계획 평면도 418

〈그림 7.2.17〉 배수계획 평면도 425

〈그림 7.2.18〉 기존 유출관 접합 427

〈그림 7.2.19〉 맨홀설치위치 428

〈그림 7.2.20〉 SWMM분석 배수구역 및 관거현황 430

〈그림 7.2.21〉 배수계획 평면도 434

〈그림 7.2.22〉 기초굴착 시공계획도 436

〈그림 7.2.23〉 계측시 설치 계획 평면도 441

〈그림 7.2.24〉 계측시 설치 단면도 441

〈그림 7.2.25〉 S-δ 관리도 방법(Tominaga-Hashimoto 방법) 443

〈그림 7.2.26〉 S-δ / S 관리도 방법(Matsuo-Kawamura 방법) 443

〈그림 7.2.27〉 Δδ / Δt-t관리도 방법(Kurihara-Ichimoto 방법) 444

〈그림 7.2.28〉 사전조사 및 확인조사 계획 평면도 445

〈그림 7.3.1〉 방충재 설치 449

〈그림 7.3.2〉 이동식 오탁방지막 상세도 454

〈그림 7.3.3〉 고정식 오탁방지막 및 공사용 등부표 설치 평면도 455

〈그림 7.3.4〉 차량진입방지 시설 평면도 456

〈그림 7.3.5〉 차량진입방지시설 상세도 457

〈그림 7.3.6〉 공사용 작업장 위치도 459

〈그림 7.3.7〉 부잔교 및 급유선 이설계획도 460

〈그림 8.3.1〉 예정공정표 46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04676 627.3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4677 627.3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