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강 상수원 및 지천 퇴적물 관리방안 연구 학술 용역 보고서 / 서울특별시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물순환정책과, 2019
청구기호
627.122 -19-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v, 681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1615769
제어번호
MONO120191611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주)에아가이아
연구책임자: 김휘중
부록: 1. 시료채취 지점 및 오염 지점 지도 ; 2. 시료채취 지점별 퇴적물 특성 ; 3. 사진첩 외
참고문헌: p. 444-45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68

1. 사업 개요 70

가. 조사의 필요성 70

나. 조사 배경 및 목적 72

2. 이론적 고찰 73

가. 하천 및 호수 오염퇴적물의 발생 73

나. 퇴적물의 오염과정과 수질의 영향 74

다. 오염퇴적물의 폐해 75

라. 오염퇴적물 내 인의 이동형태 78

마. 오염퇴적물 내 중금속의 이동형태 82

바. 국내 및 국외 하천·호소 퇴적물 연구현황 84

제2장 한강서울의 일반 현황 86

1. 수리·수문학적 현황 87

가. 한강서울 입지여건 87

나. 호소현황 및 특징 89

다. 한강유역 개황 92

2. 기상 현황 94

가. 관측소 현황 및 지리적 특성 94

나. 지리적 특성 및 관측현황 95

3. 용수이용현황 97

가. 물이용 현황 97

나. 상하수도 현황 98

다. 환경기초시설이용 현황 99

라. 공공하수처리시설 100

마.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101

바. 분뇨처리시설 101

4. 오염원 및 오염 부하 량 현황 102

가. 인구 103

나. 축산 103

다. 산업 104

라. 토지이용 106

제3장 재료 및 조사방법 109

1. 퇴적물량 조사방법 110

가. 한강 퇴적물 분포현황 및 오염도 조사 방법 110

나. 시료채취 현황 110

다. 시료채취 위치 111

라. 시료의 채취, 분석 방법 및 정도관리(QA/QC) 130

2. 한강 수질 및 퇴적물의 인 용출 실험방법 151

가. 한강 퇴적물의 인 용출 실험 방법 151

나. 한강의 퇴적물이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 모의 153

3. 한강 퇴적물 전함량 분석 방법 155

가. 퇴적물 시료 채취 지점 155

나. 퇴적물 시료 채취 방법 156

제4장 조사결과 및 고찰 164

1. 한강 퇴적물 산출 165

가. 한강2015년 대비 2018년 퇴적물량 변화 165

나. 한강 퇴적물 분포도 167

다. 한강 유역의 연간 퇴적물량 예측 170

2. 한강 지류의 오염 부하량 산정 173

가. 조사 및 분석방법 173

나. 조사결과 176

3. 용출속도 측정 182

가. 조사 및 분석방법 183

나. 분석결과 187

4. 한강 퇴적물의 오염분포현황 191

가. 한강 퇴적물의 주상도 191

나.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198

다. 퇴적물 오염 평가 215

라. 퇴적물의 입도분포 221

마. 부식화도 231

바. 중금속 농도 평가 238

사. 퇴적물의 중금속 존재형태에 따른 분석 329

아. 퇴적인의 존재형태에 따른 분석 350

자. 준설기준에 따른 퇴적물 오염지수 평가(유기물) 357

차. 준설기준에 따른 퇴적물 오염지수 평가(중금속) 372

5. 한강 퇴적물 관리방안 389

가. 수자원 보존 및 수질 개선을 위한 퇴적물 관리 필요성 검토 389

나. 수자원관리(하상 유지 관리)를 위한 준설 필요성 389

다. 오염된 퇴적물 준설기준과 한강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비교 391

라. 한강 퇴적물 오염지수에 의한 관리 순위 선정 438

제5장 결론 443

1. 한강 수심변화 및 퇴적물 분포 444

가. 지역별 수심변화 및 특징 444

나. 지역별 퇴적 특징 444

2. 한강 지류의 오염 부하량 산정 445

3. 퇴적물로부터의 오염물질 용출 및 수계에 미치는 영향 445

4. 한강 퇴적물 오염분포 현황 446

가. 퇴적물 오염현황 446

5. 퇴적물 관리방안 448

6. 종합결론 451

7. 한강 퇴적물 관리를 위한 중·장기 대책 451

가. 지천 퇴적물 관리 대책 451

나. 본류 퇴적물 관리 대책 452

제6장 제언 및 관리를 위한 예시 455

1. 중기관리계획 456

가. 한강 내 퇴적물로 인한 수질관리 여건 456

나. 한강 퇴적물의 관리방향 456

다. 보의 수위 조절에 의한 미립자 퇴적물의 제거 방법 458

라. 국내·외 퇴적물 준설을 통한 수질개선 사례 및 효과 461

마. 도심지 지류형 하천 복원을 위한 준설 사례 474

바. 탄천, 중랑천, 안양천, 홍제천 토사발생 저감 방안 476

2. 장기계획 478

가. 유지관리 및 정비 DB 구축 사례 478

나. 퇴적물 준설로 인한 수질오염 및 관리 대책 481

다. 한강 및 지천 준설을 위한 Road Map 482

라. 한강 본류 수체 오염 기여율 제거를 위한 준설 필요성 485

마. 한강 본류 및 지류 퇴적물 준설을 위한 기본 계획(안) 수립 485

바. 준설 시 수질오염 영향 예측 및 최소화 방안 493

3. 한강 퇴적물 관리를 위한 중·장기 대책 요약 495

가. 지천 퇴적물 관리 대책 495

나. 본류 퇴적물 관리 대책 495

4. 준설 방법에 따른 퇴적물 수거 공법 특성 조사 498

가. 준설공법 개요 498

나. 준설방법 499

다. 유압식 준설 504

라. 기계식 준설 507

마. 기타 혁신 준설기술 509

바. 환경준설의 고려사항 검토 516

사. 퇴적물 수거 공법의 장단점 518

참고문헌 521

부록 530

I. 시료채취 지점(전도-세부구역-지천) 532

II. 시료채취 지점별 퇴적물 특성 542

III. 사진첩 565

IV. 현장 기록지 658

V. 보고회 조치 계획서 751

판권기 759

〈표 2.1〉 팔당호 현황표 89

〈표 2.2〉 팔당댐의 제원 90

〈표 2.3〉 연간 팔당댐 수위변동(2012~2017년)표 91

〈표 2.4〉 기상관측소 현황 94

〈표 2.5〉 최근 기상관측 현황 95

〈표 2.6〉 용수이용 현황 97

〈표 2.7〉 소권역별 상·하수도 보급 현황(2015년) 97

〈표 2.8〉 취수장 현황(2015년) 98

〈표 2.9〉 정수장 현황(2015년) 98

〈표 2.10〉 행정구역별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2016년) 100

〈표 2.11〉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2016년) 101

〈표 2.12〉 분뇨처리시설 현황(2016년) 101

〈표 2.13〉 한강의 일반오염원 현황(2015년) 102

〈표 2.14〉 규모별 사업장 현황 104

〈표 2.15〉 소권역별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 현황(2015) 105

〈표 2.16〉 토지이용 현황 106

〈표 3.1〉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0

〈표 3.2〉 1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1

〈표 3.3〉 2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2

〈표 3.4〉 3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3

〈표 3.5〉 4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4

〈표 3.6〉 5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5

〈표 3.7〉 6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6

〈표 3.8〉 7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7

〈표 3.9〉 8구역 퇴적물 시료 채취 현황 118

〈표 3.10〉 중랑천 권역 하천 현황 120

〈표 3.11〉 퇴적물 중랑천시료 채취 현황 121

〈표 3.12〉 탄천 권역 하천 현황 122

〈표 3.13〉 퇴적물 탄천시료 채취 현황 123

〈표 3.14〉 안양천 권역 하천 현황 124

〈표 3.15〉 퇴적물 안양천시료 채취 현황 125

〈표 3.16〉 홍제천 권역 하천 현황 126

〈표 3.17〉 퇴적물 홍제천시료 채취 현황 127

〈표 3.18〉 우기 이후 퇴적물 시료 채취 구역 129

〈표 3.19〉 퇴적물 채취방법 및 시험방법의 분류번호 131

〈표 3.20〉 시료량 및 보관조건 135

〈표 3.21〉 총질소의 원소분석기 실험조건 138

〈표 3.22〉 정도관리 내용 143

〈표 3.23〉 분석 장비 보정(Calibration) 145

〈표 3.24〉 Internal QC Check 147

〈표 3.25〉 분석기기 제원 150

〈표 3.26〉 미국의 호수에서 측정된 저질의 SOD 153

〈표 3.27〉 Literature Values Of Sediment Oxygen Demand Measured By In-Situ Techniques 154

〈표 3.28〉 The Methology of a Sequential Chemical Extraction Scheme(Tessier et. al. 1979) 159

〈표 4.1〉 지역별 8년간 퇴적물 및 세굴량 산출결과 170

〈표 4.2〉 강우시 수질시료 채취 장소 173

〈표 4.3〉 건기시 지천별 연평균 수질 176

〈표 4.4〉 조사 강우 사상의 강우특성 177

〈표 4.5〉 강우시 지천별 수질 178

〈표 4.6〉 한강 유입 지천별 연간 부하량 산정 179

〈표 4.7〉 한강 유입 지천별 단위면적당 연간 부하량 180

〈표 4.8〉 중랑천 용출속도 측정결과 190

〈표 4.9〉 한강 퇴적물 주상시료를 이용한 인 용출속도 측정실험 결과 및 한국 및 외국의 사례와... 190

〈표 4.10〉 한강 본류 1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198

〈표 4.11〉 한강 본류 2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198

〈표 4.12〉 한강 본류 3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199

〈표 4.13〉 한강 본류 4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0

〈표 4.14〉 한강 본류 5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1

〈표 4.15〉 한강 본류 6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2

〈표 4.16〉 한강 본류 7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3

〈표 4.17〉 한강 본류 8구역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4

〈표 4.18〉 한강 지천 중랑천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4

〈표 4.19〉 한강 지천 탄천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5

〈표 4.20〉 한강 지천 안양천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5

〈표 4.21〉 한강 지천 홍제천 조사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6

〈표 4.22〉 한강 우기 이후 채취 지점별 유기물 성분값 206

〈표 4.23〉 한강 본류 1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07

〈표 4.24〉 한강 본류 2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07

〈표 4.25〉 한강 본류 3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08

〈표 4.26〉 한강 본류 4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09

〈표 4.27〉 한강 본류 5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0

〈표 4.28〉 한강 본류 6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0

〈표 4.29〉 한강 본류 7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1

〈표 4.30〉 한강 본류 8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2

〈표 4.31〉 한강 지천 중랑천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2

〈표 4.32〉 한강 지천 탄천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3

〈표 4.33〉 한강 지천 안양천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3

〈표 4.34〉 한강 지천 홍제천 조사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4

〈표 4.35〉 한강 우기 이후 채취 지점별 중금속 성분값 214

〈표 4.36〉 한강 본류 퇴적물의 오염 평가표(I) 216

〈표 4.37〉 한강 본류 퇴적물의 오염 평가표(II) 217

〈표 4.38〉 한강 본류 퇴적물의 오염 평가표(III) 218

〈표 4.39〉 한강 지천 퇴적물의 오염 평가표 219

〈표 4.40〉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퇴적물의 오염 평가표 220

〈표 4.41〉 국립 환경과학원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예규 238

〈표 4.42〉 한강 본류 1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1

〈표 4.43〉 한강 본류 2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1

〈표 4.44〉 한강 본류 3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2

〈표 4.45〉 한강 본류 4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3

〈표 4.46〉 한강 본류 5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4

〈표 4.47〉 한강 본류 6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4

〈표 4.48〉 한강 본류 7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5

〈표 4.49〉 한강 본류 8구역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6

〈표 4.50〉 한강 지천 중랑천 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7

〈표 4.51〉 한강 지천 탄천 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7

〈표 4.52〉 한강 지천 안양천 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8

〈표 4.53〉 한강 지천 홍제천 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8

〈표 4.54〉 한강 우기 이후 채취 지점별 중금속 농도값 평가 249

〈표 4.55〉 토양시료의 연속추출 방법(Tessier et al., 1979) 329

〈표 4.56〉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비소의 존재형태 농도 331

〈표 4.57〉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비소의 존재형태 농도 332

〈표 4.58〉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카드뮴의 존재형태 농도 334

〈표 4.59〉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카드뮴의 존재형태 농도 335

〈표 4.60〉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크롬의 존재형태 농도 336

〈표 4.61〉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크롬의 존재형태 농도 338

〈표 4.62〉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구리의 존재형태 농도 339

〈표 4.63〉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구리의 존재형태 농도 340

〈표 4.64〉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니켈의 존재형태 농도 342

〈표 4.65〉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니켈의 존재형태 농도 343

〈표 4.66〉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납의 존재형태 농도 344

〈표 4.67〉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납의 존재형태 농도 346

〈표 4.68〉 한강 본류 퇴적물내의 중금속 아연의 존재형태 농도 347

〈표 4.69〉 한강 지천 퇴적물내의 중금속 아연의 존재형태 농도 348

〈표 4.70〉 한강 상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농도 351

〈표 4.71〉 한강 중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농도 354

〈표 4.72〉 한강 하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농도 356

〈표 4.73〉 우리나라 퇴적물 관리 관련 행정조직(이창희, 김은정, 호소 및 하천 오염 퇴적물 관리... 392

〈표 4.74〉 국내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준설기준 393

〈표 4.75〉 오니토 항목별기준(하천공사 표준 시방서(국토 교통부)) 394

〈표 4.76〉 국립환경과학원 예규(제2015-687호)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394

〈표 4.77〉 지질단위별 하천 퇴적물 내 주 원소 자연 배경치 395

〈표 4.78〉 미국 해양 대기청 퇴적물 관리 기준 396

〈표 4.79〉 캐나다 연방 퇴적물 관리 기준 396

〈표 4.80〉 1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398

〈표 4.81〉 2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01

〈표 4.82〉 3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04

〈표 4.83〉 4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I) 407

〈표 4.84〉 4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II) 408

〈표 4.85〉 5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11

〈표 4.86〉 6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14

〈표 4.87〉 7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I) 417

〈표 4.88〉 7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II) 418

〈표 4.89〉 8구역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21

〈표 4.90〉 중랑천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24

〈표 4.91〉 탄천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27

〈표 4.92〉 안양천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30

〈표 4.93〉 홍제천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 433

〈표 4.94〉 우기 이후 채취 지점 퇴적물 내 오염물질 농도(I) 436

〈표 4.95〉 국립 환경과학원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예규 438

〈표 4.96〉 퇴적물 분포에 따른 오염물질 별 퇴적물 내 제거 가능한 총량 및 관리 우선순위(유기물) 440

〈표 4.97〉 퇴적물 분포에 따른 오염물질 별 퇴적물 내 제거 가능한 총량 및 관리 우선순위(중금속) 441

〈표 4.98〉 퇴적물 분포에 따른 오염물질 별 퇴적물 내 제거 가능한 총량 및 관리 우선순위(중금속) 442

〈표 5.1〉 지천 퇴적물 관리 대책 452

〈표 5.2〉 본류 퇴적물 관리 대책 453

〈표 5.3〉 준설로 인한 예측되는 주요 환경문제 454

〈표 6.1〉 국내 퇴적물 준설사례 461

〈표 6.2〉 마산항 1, 2차 사업개요 462

〈표 6.3〉 수질 개선 예측치 463

〈표 6.4〉 태화강 준설사업 개요 464

〈표 6.5〉 차집 및 준설에 따른 COD 개선 효과 466

〈표 6.6〉 가스미가우라의 준설 계획 및 준설량 469

〈표 6.7〉 수질 개선 목표 469

〈표 6.8〉 국외 오니토 준설 사례(계속) 472

〈표 6.9〉 국외 오니토 준설 사례 473

〈표 6.10〉 포천천 자연형 하천 정화사업 준설범위 474

〈표 6.11〉 한강 본류 계획 하상고 상부의 토사량 변화 및 준설현황 479

〈표 6.12〉 최근 5년간 서울 지천별 준설량 480

〈표 6.13〉 수환경변화 및 대책 481

〈표 6.14〉 자연생태변화 및 대책 481

〈표 6.15〉 퇴적물 분포에 따른 오염물질 별 퇴적물 내 제거 가능한 총량 및 관리 우선순위(중금속)(I) 486

〈표 6.16〉 퇴적물 분포에 따른 오염물질 별 퇴적물 내 제거 가능한 총량 및 관리 우선순위(중금속)(II) 487

〈표 6.17〉 구간별 준설 방법 및 처리 면적 488

〈표 6.18〉 환경준설 장비 선정을 위한 비교(예시) 490

〈표 6.19〉 Computer Simulation 결과 측정된 SS 농도 493

〈표 6.20〉 오탁 방지 대책의 개요 494

〈표 6.21〉 지천 퇴적물 관리 대책 495

〈표 6.22〉 본류 퇴적물 관리 대책 496

〈표 6.23〉 준설로 인한 예측되는 주요 환경문제 497

〈그림 1.1〉 호수 및 하천 퇴적물 내 오염물질의 수체로 이동 경로(하천 호소 퇴적물 관리 및... 73

〈그림 1.2〉 퇴적물 오염과정과 물질순환 및 수질의 영향(국립환경연구원, 1990) 75

〈그림 1.3〉 중금속의 수계 내 퇴적물, 공극수, 저서생물간 거동 모식도(국립환경연... 76

〈그림 1.4〉 수체 내 오염퇴적물의 발생과 관리수단 77

〈그림 1.5〉 퇴적물 내 인의 수체 내 물리 화학적 변화에 의한 이동에 대한 모식도(http://ww... 79

〈그림 1.6〉 수체 내 심층부 산소고갈에 의한 퇴적물 내 인의 이동(http://www.lmvp.org/Waterline) 81

〈그림 2.1〉 서울시 한강변 행정구 지도 87

〈그림 2.2〉 서울 토지 이용현황 88

〈그림 2.3〉 팔당댐 방류 전경 90

〈그림 2.4〉 한강 하천 모식도 93

〈그림 2.5〉 기상청 관측소 위치도 94

〈그림 2.6〉 강우관측소를 고려한 티센망 94

〈그림 2.7〉 중권역 연평균 강수량 96

〈그림 2.8〉 연도별 강우일수 및 강우일 평균 강수량 96

〈그림 2.9〉 환경기초시설 분포현황 99

〈그림 2.10〉 연도별 인구변화 103

〈그림 2.11〉 연도별 가축 사육두수(소, 돼지)변화 103

〈그림 2.12〉 연도별 산업폐수 발생 및 배출유량 변화 104

〈그림 2.13〉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 106

〈그림 2.14〉 오염물 발생·배출 부하량(BOD, TN, TP) 108

〈그림 3.1〉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1구역 111

〈그림 3.2〉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2구역 112

〈그림 3.3〉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3구역 113

〈그림 3.4〉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4구역 114

〈그림 3.5〉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5구역 115

〈그림 3.6〉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6구역 116

〈그림 3.7〉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7구역 117

〈그림 3.8〉 한강 본류 시료채취지점 8구역 118

〈그림 3.9〉 한강 본류 시료채취 모습 119

〈그림 3.10〉 한강 지천 시료채취지점 중랑천 121

〈그림 3.11〉 한강 지천 시료채취지점 탄천 123

〈그림 3.12〉 한강 지천 시료채취지점 안양천 125

〈그림 3.13〉 한강 지천 시료채취지점 홍제천 127

〈그림 3.14〉 한강 지천 시료채취 모습 128

〈그림 3.15〉 우기 이후 퇴적물 시료 채취 구역 129

〈그림 3.16〉 포나 그랩 과 소형 포나 그랩 130

〈그림 3.17〉 에크만 그랩 131

〈그림 3.18〉 SCUBA Diving을 이용한 Core 채취방법 132

〈그림 3.19〉 퇴적물 시료의 분석흐름도 133

〈그림 3.20〉 퇴적물 내 중금속 분석방법 모식도 142

〈그림 3.21〉 기기분석 및 Calibration 146

〈그림 3.22〉 분석장비 현황 150

〈그림 3.23〉 인 용출 샘플링 위치 151

〈그림 3.24〉 인 용출 실험 모식도(상:호기성, 하:혐기성) 152

〈그림 3.25〉 한강 조사구역 본류지천(위) 우기이후 시료 채취 구역(아래) 155

〈그림 3.26〉 A flowing Diagram of the Sequentially Chemical Fraction Scheme 160

〈그림 3.27〉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분석(Hieltjes & Lijklema, 1980) 162

〈그림 4.1〉 2010년, 2015년, 2018년 한강 본류의 평균수심 165

〈그림 4.2〉 2010년 대비 2018년 한강 본류의 퇴적물 분포도 168

〈그림 4.3〉 2015년 대비 2018년 한강 본류의 퇴적물 분포도 169

〈그림 4.4〉 지역별 퇴적량 및 쇄굴량 비교 171

〈그림 4.5〉 1987년 대비 2015년 평균 심도 172

〈그림 4.6〉 강우시 수질조사지점 173

〈그림 4.7〉 강우시 수질조사 지점 및 시료채취(중랑천, 탄천) 174

〈그림 4.8〉 강우시 수질조사 지점 및 시료채취(안양천, 홍제천) 175

〈그림 4.9〉 한강 지류의 건기시 수질비교(I) 176

〈그림 4.10〉 한강 지류의 건기시 수질비교(II) 177

〈그림 4.11〉 조사지역 강우량 변화 177

〈그림 4.12〉 한강 지류의 건기 시 수질비교 179

〈그림 4.13〉 한강 지류의 우기시 수질비교 181

〈그림 4.14〉 시료 채취 지점 183

〈그림 4.15〉 용출속도 측정을 위한 시료채취 및 분석장비 184

〈그림 4.16〉 용출속도 측정 모식도 185

〈그림 4.17〉 용출 반응조의 수온변화 185

〈그림 4.18〉 용출 반응조의 DO변화 186

〈그림 4.19〉 중랑천1 지점의 TOC, T-N, T-P 농도변화 187

〈그림 4.20〉 중랑천2 지점의 TOC, T-N, T-P 농도변화 188

〈그림 4.21〉 중랑천3 지점의 TOC, T-N, T-P 농도변화 189

〈그림 4.22〉 한강 1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1

〈그림 4.23〉 한강 2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2

〈그림 4.24〉 한강 3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2

〈그림 4.25〉 한강 4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3

〈그림 4.26〉 한강 5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3

〈그림 4.27〉 한강 6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4

〈그림 4.28〉 한강 7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4

〈그림 4.29〉 한강 8구역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5

〈그림 4.30〉 지천 중랑천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5

〈그림 4.31〉 지천 탄천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6

〈그림 4.32〉 지천 안양천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6

〈그림 4.33〉 지천 홍제천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7

〈그림 4.34〉 우기 이후 채취 시료의 주상도 197

〈그림 4.35〉 한강 본류 1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2

〈그림 4.36〉 한강 본류 2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2

〈그림 4.37〉 한강 본류 3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3

〈그림 4.38〉 한강 본류 4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3

〈그림 4.39〉 한강 본류 5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4

〈그림 4.40〉 한강 본류 6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4

〈그림 4.41〉 한강 본류 7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5

〈그림 4.42〉 한강 본류 8구역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5

〈그림 4.43〉 한강 본류 전체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6

〈그림 4.44〉 한강 지천 중랑천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7

〈그림 4.45〉 한강 지천 탄천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7

〈그림 4.46〉 한강 지천 안양천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8

〈그림 4.47〉 한강 지천 홍제천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8

〈그림 4.48〉 한강 지천 전체 입도분포 삼각 다이아 그램 229

〈그림 4.49〉 한강 본류 퇴적물 내 Clay 비율과 TP 농도와의 상관관계 230

〈그림 4.50〉 한강 지천 퇴적물 내 Clay 비율과 TP 농도와의 상관관계 230

〈그림 4.51〉 한강 1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1

〈그림 4.52〉 한강 2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2

〈그림 4.53〉 한강 3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2

〈그림 4.54〉 한강 4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2

〈그림 4.55〉 한강 5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3

〈그림 4.56〉 한강 6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3

〈그림 4.57〉 한강 7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3

〈그림 4.58〉 한강 8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4

〈그림 4.59〉 한강 지천 중랑천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5

〈그림 4.60〉 한강 지천 탄천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5

〈그림 4.61〉 한강 지천 안양천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6

〈그림 4.62〉 한강 지천 홍제천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6

〈그림 4.63〉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측정지점별 부식화도 237

〈그림 4.64〉 한강 본류 1구역 비소 250

〈그림 4.65〉 한강 본류 2구역 비소 250

〈그림 4.66〉 한강 본류 3구역 비소 250

〈그림 4.67〉 한강 본류 4구역 비소 251

〈그림 4.68〉 한강 본류 5구역 비소 251

〈그림 4.69〉 한강 본류 6구역 비소 251

〈그림 4.70〉 한강 본류 7구역 비소 252

〈그림 4.71〉 한강 본류 8구역 비소 252

〈그림 4.72〉 한강 지천 중랑천 비소 253

〈그림 4.73〉 한강 지천 탄천 비소 253

〈그림 4.74〉 한강 지천 안양천 비소 253

〈그림 4.75〉 한강 지천 홍제천 비소 254

〈그림 4.76〉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비소 255

〈그림 4.77〉 한강 본류 1구역 카드뮴 256

〈그림 4.78〉 한강 본류 2구역 카드뮴 256

〈그림 4.79〉 한강 본류 3구역 카드뮴 256

〈그림 4.80〉 한강 본류 4구역 카드뮴 257

〈그림 4.81〉 한강 본류 5구역 카드뮴 257

〈그림 4.82〉 한강 본류 6구역 카드뮴 257

〈그림 4.83〉 한강 본류 7구역 카드뮴 258

〈그림 4.84〉 한강 본류 8구역 카드뮴 258

〈그림 4.85〉 한강 지천 중랑천 카드뮴 259

〈그림 4.86〉 한강 지천 탄천 카드뮴 259

〈그림 4.87〉 한강 지천 안양천 카드뮴 259

〈그림 4.88〉 한강 지천 홍제천 카드뮴 260

〈그림 4.89〉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카드뮴 261

〈그림 4.90〉 한강 본류 1구역 크롬 262

〈그림 4.91〉 한강 본류 2구역 크롬 262

〈그림 4.92〉 한강 본류 3구역 크롬 262

〈그림 4.93〉 한강 본류 4구역 크롬 263

〈그림 4.94〉 한강 본류 5구역 크롬 263

〈그림 4.95〉 한강 본류 6구역 크롬 263

〈그림 4.96〉 한강 본류 7구역 크롬 264

〈그림 4.97〉 한강 본류 8구역 크롬 264

〈그림 4.98〉 한강 지천 중랑천 크롬 265

〈그림 4.99〉 한강 지천 탄천 크롬 265

〈그림 4.100〉 한강 지천 안양천 크롬 265

〈그림 4.101〉 한강 지천 홍제천 크롬 266

〈그림 4.102〉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크롬 267

〈그림 4.103〉 한강 본류 1구역 구리 268

〈그림 4.104〉 한강 본류 2구역 구리 268

〈그림 4.105〉 한강 본류 3구역 구리 268

〈그림 4.106〉 한강 본류 4구역 구리 269

〈그림 4.107〉 한강 본류 5구역 구리 269

〈그림 4.108〉 한강 본류 6구역 구리 269

〈그림 4.109〉 한강 본류 7구역 구리 270

〈그림 4.110〉 한강 본류 8구역 구리 270

〈그림 4.111〉 한강 지천 중랑천 구리 271

〈그림 4.112〉 한강 지천 탄천 구리 271

〈그림 4.113〉 한강 지천 안양천 구리 271

〈그림 4.114〉 한강 지천 홍제천 구리 272

〈그림 4.115〉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구리 273

〈그림 4.116〉 한강 본류 1구역 니켈 274

〈그림 4.117〉 한강 본류 2구역 니켈 274

〈그림 4.118〉 한강 본류 3구역 니켈 274

〈그림 4.119〉 한강 본류 4구역 니켈 275

〈그림 4.120〉 한강 본류 5구역 니켈 275

〈그림 4.121〉 한강 본류 6구역 니켈 275

〈그림 4.122〉 한강 본류 7구역 니켈 276

〈그림 4.123〉 한강 본류 8구역 니켈 276

〈그림 4.124〉 한강 지천 중랑천 니켈 277

〈그림 4.125〉 한강 지천 탄천 니켈 277

〈그림 4.126〉 한강 지천 안양천 니켈 277

〈그림 4.127〉 한강 지천 홍제천 니켈 278

〈그림 4.128〉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니켈 279

〈그림 4.129〉 한강 본류 1구역 납 280

〈그림 4.130〉 한강 본류 2구역 납 280

〈그림 4.131〉 한강 본류 3구역 납 280

〈그림 4.132〉 한강 본류 4구역 납 281

〈그림 4.133〉 한강 본류 5구역 납 281

〈그림 4.134〉 한강 본류 6구역 납 281

〈그림 4.135〉 한강 본류 7구역 납 282

〈그림 4.136〉 한강 본류 8구역 납 282

〈그림 4.137〉 한강 지천 중랑천 납 283

〈그림 4.138〉 한강 지천 탄천 납 283

〈그림 4.139〉 한강 지천 안양천 납 283

〈그림 4.140〉 한강 지천 홍제천 납 284

〈그림 4.141〉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납 284

〈그림 4.142〉 한강 본류 1구역 수은 285

〈그림 4.143〉 한강 본류 2구역 수은 285

〈그림 4.144〉 한강 본류 3구역 수은 285

〈그림 4.145〉 한강 본류 4구역 수은 286

〈그림 4.146〉 한강 본류 5구역 수은 286

〈그림 4.147〉 한강 본류 6구역 수은 286

〈그림 4.148〉 한강 본류 7구역 수은 287

〈그림 4.149〉 한강 본류 8구역 수은 287

〈그림 4.150〉 한강 지천 중랑천 수은 289

〈그림 4.151〉 한강 지천 탄천 수은 289

〈그림 4.152〉 한강 지천 안양천 수은 289

〈그림 4.153〉 한강 지천 홍제천 수은 290

〈그림 4.154〉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수은 291

〈그림 4.155〉 한강 본류 1구역 아연 292

〈그림 4.156〉 한강 본류 2구역 아연 292

〈그림 4.157〉 한강 본류 3구역 아연 292

〈그림 4.158〉 한강 본류 4구역 아연 293

〈그림 4.159〉 한강 본류 5구역 아연 293

〈그림 4.160〉 한강 본류 6구역 아연 293

〈그림 4.161〉 한강 본류 7구역 아연 294

〈그림 4.162〉 한강 본류 8구역 아연 294

〈그림 4.163〉 한강 지천 중랑천 아연 295

〈그림 4.164〉 한강 지천 탄천 아연 295

〈그림 4.165〉 한강 지천 안양천 아연 295

〈그림 4.166〉 한강 지천 홍제천 아연 296

〈그림 4.167〉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아연 297

〈그림 4.168〉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1구역(I) 299

〈그림 4.169〉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1구역(II) 300

〈그림 4.170〉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2구역(I) 301

〈그림 4.171〉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2구역(II) 302

〈그림 4.172〉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3구역(I) 303

〈그림 4.173〉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3구역(II) 304

〈그림 4.174〉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4구역(I) 305

〈그림 4.175〉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4구역(II) 306

〈그림 4.176〉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4구역(III) 307

〈그림 4.177〉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5구역(I) 308

〈그림 4.178〉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5구역(II) 309

〈그림 4.179〉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6구역(I) 310

〈그림 4.180〉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6구역(II) 311

〈그림 4.181〉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6구역(III) 312

〈그림 4.182〉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7구역(I) 313

〈그림 4.183〉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7구역(II) 314

〈그림 4.184〉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7구역(III) 315

〈그림 4.185〉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7구역(IV) 316

〈그림 4.186〉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8구역(I) 317

〈그림 4.187〉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8구역(II) 318

〈그림 4.188〉 한강 중랑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 319

〈그림 4.189〉 한강 중랑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I) 320

〈그림 4.190〉 한강 탄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 321

〈그림 4.191〉 한강 탄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I) 322

〈그림 4.192〉 한강 안양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 323

〈그림 4.193〉 한강 안양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I) 324

〈그림 4.194〉 한강 홍제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 325

〈그림 4.195〉 한강 홍제천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II) 326

〈그림 4.196〉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우기 이후 채취 구역(I) 327

〈그림 4.197〉 한강 퇴적물의 심도별 중금속 농도 변화 우기 이후 채취 구역(II) 328

〈그림 4.198〉 토양 및 퇴적물에서의 중금속연속추출법 모식도(Tessier et al., 1979) 330

〈그림 4.199〉 한강 본류 퇴적물 내 비소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1

〈그림 4.200〉 한강 지천 퇴적물 내 비소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3

〈그림 4.201〉 한강 본류 퇴적물 내 카드뮴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4

〈그림 4.202〉 한강 지천 퇴적물 내 카드뮴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5

〈그림 4.203〉 한강 본류 퇴적물 내 크롬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7

〈그림 4.204〉 한강 지천 퇴적물 내 크롬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8

〈그림 4.205〉 한강 본류 퇴적물 내 구리의 존재형태 함량 비 339

〈그림 4.206〉 한강 지천 퇴적물 내 구리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1

〈그림 4.207〉 한강 본류 퇴적물 내 니켈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2

〈그림 4.208〉 한강 지천 퇴적물 내 니켈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3

〈그림 4.209〉 한강 본류 퇴적물 내 납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5

〈그림 4.210〉 한강 지천 퇴적물 내 납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6

〈그림 4.211〉 한강 본류 퇴적물 내 아연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7

〈그림 4.212〉 한강 지천 퇴적물 내 아연의 존재형태 함량 비 349

〈그림 4.213〉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분석(Hieltjes & Lijklema, 1980) 350

〈그림 4.214〉 한강 상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함량 비 352

〈그림 4.215〉 식물성 플랑크톤의 수체 및 퇴적물 내 순환(국립환경과학원, 2016년) 352

〈그림 4.216〉 한강 중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함량 비 354

〈그림 4.217〉 한강 하류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함량 비 356

〈그림 4.218〉 한강 본류 1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8

〈그림 4.219〉 한강 본류 2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8

〈그림 4.220〉 한강 본류 3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8

〈그림 4.221〉 한강 본류 4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9

〈그림 4.222〉 한강 본류 5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9

〈그림 4.223〉 한강 본류 6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59

〈그림 4.224〉 한강 본류 7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60

〈그림 4.225〉 한강 본류 8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60

〈그림 4.226〉 한강 전체맵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1

〈그림 4.227〉 한강 전체맵 유기 퇴적물 SPI 지수 1심도 362

〈그림 4.228〉 한강 전체맵 유기 퇴적물 SPI 지수 2심도 363

〈그림 4.229〉 한강 전체맵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심도 364

〈그림 4.230〉 한강 본류 1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5

〈그림 4.231〉 한강 본류 2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5

〈그림 4.232〉 한강 본류 3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5

〈그림 4.233〉 한강 본류 4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5

〈그림 4.234〉 한강 본류 5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6

〈그림 4.235〉 한강 본류 6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6

〈그림 4.236〉 한강 본류 7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6

〈그림 4.237〉 한강 본류 8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6

〈그림 4.238〉 한강 지천 중랑천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67

〈그림 4.239〉 한강 지천 탄천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67

〈그림 4.240〉 한강 지천 안양천 퇴적물 SPI 그래프 368

〈그림 4.241〉 한강 지천 홍제천 퇴적물 SPI 그래프 368

〈그림 4.242〉 한강 지천 중랑천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9

〈그림 4.243〉 한강 지천 탄천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9

〈그림 4.244〉 한강 지천 안양천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9

〈그림 4.245〉 한강 지천 홍제천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69

〈그림 4.246〉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유기 퇴적물 SPI 그래프 370

〈그림 4.247〉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유기 퇴적물 SPI 지수 371

〈그림 4.248〉 한강 본류 1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3

〈그림 4.249〉 한강 본류 2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3

〈그림 4.250〉 한강 본류 3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3

〈그림 4.251〉 한강 본류 4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4

〈그림 4.252〉 한강 본류 5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4

〈그림 4.253〉 한강 본류 6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4

〈그림 4.254〉 한강 본류 7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5

〈그림 4.255〉 한강 본류 8구역 중금속 퇴적물 SPI 그래프 375

〈그림 4.256〉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SPI 지수 376

〈그림 4.257〉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SPI 지수 1심도 377

〈그림 4.258〉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수심 1심도 378

〈그림 4.259〉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SPI 지수 2심도 379

〈그림 4.260〉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수심 2심도 380

〈그림 4.261〉 한강 전체맵 중금속 퇴적물 SPI 지수 3심도 381

〈그림 4.262〉 한강 본류 1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2

〈그림 4.263〉 한강 본류 2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2

〈그림 4.264〉 한강 본류 3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2

〈그림 4.265〉 한강 본류 4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2

〈그림 4.266〉 한강 본류 5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3

〈그림 4.267〉 한강 본류 6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3

〈그림 4.268〉 한강 본류 7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3

〈그림 4.269〉 한강 본류 8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3

〈그림 4.270〉 한강 지천 중랑천 중금속 SPI 그래프 384

〈그림 4.271〉 한강 지천 탄천 중금속 SPI 그래프 385

〈그림 4.272〉 한강 지천 안양천 중금속 SPI 그래프 385

〈그림 4.273〉 한강 지천 홍제천 중금속 SPI 그래프 385

〈그림 4.274〉 한강 지천 중랑천 중금속 SPI 지수 386

〈그림 4.275〉 한강 지천 탄천 중금속 SPI 지수 386

〈그림 4.276〉 한강 지천 안양천 중금속 SPI 지수 386

〈그림 4.277〉 한강 지천 홍제천 중금속 SPI 지수 386

〈그림 4.278〉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SPI 그래프 387

〈그림 4.279〉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중금속 SPI 지수 388

〈그림 4.280〉 표준 단면도 390

〈그림 4.281〉 한강 저수로 정비사업 391

〈그림 4.282〉 한강 본류 1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399

〈그림 4.283〉 한강 본류 1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399

〈그림 4.284〉 한강 본류 1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399

〈그림 4.285〉 한강 본류 2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02

〈그림 4.286〉 한강 본류 2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02

〈그림 4.287〉 한강 본류 2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02

〈그림 4.288〉 한강 본류 3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05

〈그림 4.289〉 한강 본류 3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05

〈그림 4.290〉 한강 본류 3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05

〈그림 4.291〉 한강 본류 4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09

〈그림 4.292〉 한강 본류 4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09

〈그림 4.293〉 한강 본류 4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09

〈그림 4.294〉 한강 본류 5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12

〈그림 4.295〉 한강 본류 5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12

〈그림 4.296〉 한강 본류 5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12

〈그림 4.297〉 한강 본류 6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15

〈그림 4.298〉 한강 본류 6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15

〈그림 4.299〉 한강 본류 6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15

〈그림 4.300〉 한강 본류 7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19

〈그림 4.301〉 한강 본류 7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19

〈그림 4.302〉 한강 본류 7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19

〈그림 4.303〉 한강 본류 8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22

〈그림 4.304〉 한강 본류 8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22

〈그림 4.305〉 한강 본류 8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22

〈그림 4.306〉 한강 지천 중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25

〈그림 4.307〉 한강 지천 중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25

〈그림 4.308〉 한강 지천 중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25

〈그림 4.309〉 한강 지천 탄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28

〈그림 4.310〉 한강 지천 탄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28

〈그림 4.311〉 한강 지천 탄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28

〈그림 4.312〉 한강 지천 안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31

〈그림 4.313〉 한강 지천 안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31

〈그림 4.314〉 한강 지천 안양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31

〈그림 4.315〉 한강 지천 홍제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34

〈그림 4.316〉 한강 지천 홍제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34

〈그림 4.317〉 한강 지천 홍제천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34

〈그림 4.318〉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P 437

〈그림 4.319〉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T-N 437

〈그림 4.320〉 한강 우기 이후 채취 구역 퇴적물의 측정지점별 강열감량 437

〈그림 5.1〉 지역별 3년간 퇴적 및 세굴량 변화 444

〈그림 5.2〉 주요 퇴적물 관리지역 정밀조사를 위한 격장형 분리 450

〈그림 6.1〉 주요 퇴적물 관리지역 정밀조사를 위한 격장형 분리 456

〈그림 6.2〉 보의 수위와 퇴적물 방류구를 이용한 퇴적물 제거 방법(Gregory L. M., Jahua Fan,... 460

〈그림 6.3〉 포천천 퇴적오니 준설 계획 475

〈그림 6 4〉 생태환경 저류지(참고:변찬우 상명대) 477

〈그림 6.5〉 퇴적물 준설 시공순서 489

〈그림 6.6〉 준설오염퇴적물 처리공정도 491

〈그림 6.7〉 기계식 준설장비 498

〈그림 6.8〉 버켓 래더 준설기(Bucket Ladder Dredge) 499

〈그림 6.9〉 버켓 래더 준설기의 위치 제어 및 운용 방법 500

〈그림 6.10〉 그랩 준설선 501

〈그림 6.11〉 그랩 준설선의 준설 유형 502

〈그림 6.12〉 굴삭형 준설기 503

〈그림 6.13〉 굴삭형 준설기의 준설 유형 503

〈그림 6.14〉 바지 이송형 흡입 준설선(Barge Loading Suction Dredge) 504

〈그림 6.15〉 표준 플레인 흡입 준설선(Standard Plain Suction Dredge) 505

〈그림 6.16〉 흡입 준설선(Deep Suction Dredge) 505

〈그림 6.17〉 더스트 팬 형 준설기(Dust pan Dredge) 505

〈그림 6.18〉 플레인 흡입준설기에 의한 준설 유형 506

〈그림 6.19〉 환경그랩의 모식도 510

〈그림 6.20〉 케이블에 매달린 환경그랩 510

〈그림 6.21〉 환경 그랩과 일반 그랩의 준설과정의 차이 511

〈그림 6.22〉 환경오거준설선 512

〈그림 6.23〉 원통형 모양의 디스크바닥준설선 512

〈그림 6.24〉 국자형 준설기(Scoop Dredge) 513

〈그림 6.25〉 저 혼탁준설헤드 514

〈그림 6.26〉 소형 이동식 오탁방지막과 밀폐형 그랩에 의한 준설 515

〈그림 6.27〉 환경준설의 개념 모식도 및 과정들 51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04896 627.122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4897 627.122 -19-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