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8년도) 항계안전 지원을 위한 수치예측체계 개선 및 해양정보 분석 : 결과보고서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18
청구기호
551.5246 -19-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917932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전략해양 컨소시엄
총괄책임자: 강영승
참고문헌 수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22

1. 배경 및 필요성 23

2. 과업내용 및 범위 24

3. 수행조직 및 역할 분담 24

4. 사업성과 및 기대효과 25

제2장 항만해양 예측정보 산출 체계 개선 27

1. 수치예측자료 산출 체계 개선 28

(1) 입력자료 정확도 개선 29

(2) 산출 체계 개선안 적용 61

(3) 예측 정확도 개선 결과 65

2. 항만 및 인근해역의 개발 현황 반영 161

(1) 항만별 지형 변화 161

(2) 지형변화에 따른 예측모델 결과 164

제3장 항만해양지수 개선 및 활용 극대화를 위한 설문조사 및 검증 182

1. 항만해양지수와 인근 관측자료의 비교·분석 183

(1) 관측자료 현황 183

(2) 관측자료와 예측자료 비교 분석 184

(3) 항만해양지수와 관측자료 비교 209

2. 현장 조사를 통한 항만해양지수 검증 215

(1) 유관기관 설문조사 215

(2) 체감지수 산출 및 항만해양지수 검증 227

3. 항만해양지수 개선 방안 마련 및 적용 231

(1) 항만해양지수 개선 방안 231

(2) 항만해양지수 산출 알고리즘 개선 234

제4장 해수유동예측시스템 및 수치조류도 결과 비교를 위한 현장실험 237

1. 표류체 실험해역 선정 238

(1) 개요 238

(2) 기존자료 수집 및 분석 240

(3) 실험해역 후보군(8개 지점) 선정 251

(4) 현지답사 254

(5) 표류체 실험해역(4개 지점) 선정 257

2. 실험 방법 258

(1) 현장관측 준비 258

(2) 장비점검과 실무자 현장교육 262

(3) 현장실험 263

3. 분석 방법 267

(1) 바람(풍향·풍속) 267

(2) 조류(유향·유속) 270

(3) 파랑(파고·파향) 273

(4) 표류체 이동 및 환경외력 특성 273

4. 실험 결과 274

(1) 안면도 서측(W1) 274

(2) 선유도 서측(W2) 289

(3) 추자도(S1) 299

(4) 안도 동측(S2) 314

제5장 현장 관측 결과 분석올 통한 개선방안 마련 324

1. 해양관측 및 표류체 관측결과 비교 분석 325

(1) 해수유동 관측자료 비교 325

(2) 표류체 관측자료 비교 338

2. 해수유동 예측결과 보정 방안 362

(1) 표류체 이동에 따른 환경외력 상세분석 362

(2) 보정 방안의 적용 가능성 검토 368

제6장 유류확산 예측 모형의 개선을 위한 학술적인 검토 및 알고리즘 개선 371

1. 유류확산 예측 372

(1) 유류유출 현황 및 연구 동향 372

(2) 유류확산 예측 오염원 입력 방법 375

(3) 사용 모델 376

2. 유류확산 알고리즘 기능향상 382

(1) 점·선·면 오염 (Point·Line·Area source)의 적용 382

3. 개선된 유류확산 알고리즘 적용 388

(1) 알고리즘 활용 388

제7장 해수유동 정보(S-111) 생산 기반 마련 390

1. S-111 표준을 적용한 해수유동 예측정보 생산 391

(1) S-111 표준문서 검토 및 예측정보 적용성 제시 391

(2) S-111 제품 표준에 따른 묘화 방안 적용 398

2. 해수유동 정보 교환 표준 검토 및 적용 405

(1) S-111 표준 문서에 따른 데이터 교환 표준 검토 405

(2) 해수유동 예측정보 생산 405

3. S-111 표준 개발 현황 및 변동사항 분석 407

(1) S-111 Working group 개발 현황 및 변동사항 분석 407

제8장 결론 및 제언 409

1. 항만해양 예측정보 산출체계 개선 410

(1) 수치 예측자료 산출 체계 개선 410

(2) 항만 및 인근해역의 개발 현황 반영 410

2. 항만해양지수 개선 및 활용 극대화를 위한 설문조사 및 검증 411

(1) 항만해양지수와 인근 관측자료의 비교·분석 411

(2) 현장 조사를 통한 항만해양지수 검증 411

(3) 항만해양지수 개선 방안 마련 및 적용 411

3. 해수유동예측시스템 및 수치조류도 결과 비교를 위한 현장실험 412

(1) 안면도 서측(W1) 412

(2) 선유도 서 측(W2) 412

(3) 추자도(S1) 412

(4) 안도 동측(S2) 412

(5) 종합분석 413

4. 현장 관측 결과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마련 413

(1) 해양관측 및 표류체 관측결과 비교 분석 413

5. 유류확산 예측 모형의 개선을 위해 학술적인 검토 및 알고리즘 개선 414

6. 해수유동 정보(S-111) 생산 기반 마련 414

(1) S-111 표준을 적용한 해수유동 예측정보 생산 414

(2) S-111 표준 문서에 따른 데이터 교환 표준 검토 415

(3) S-111 표준 개발 현황 및 변동 사항 분석 415

제9장 참고문헌 416

부록 : 별권(내용없음) 7

1. 현장실험 사진첩(내용없음) 7

2. 현장실험 야장(내용없음) 7

3. 표류체 현장실험의 환경외력 관측결과 비교(내용없음) 7

4. 투하입자 개수별 표류체 추적 예측 결과(내용없음) 7

판권기 421

〈표 1-1〉 과업내용 및 범위 24

〈표 2-1〉 격자 조정 구역 33

〈표 2-2〉 월별 평균 수온 39

〈표 2-3〉 월별 경계 수온 bias correction factor 39

〈표 2-4〉 적용대상 담수 유입원 48

〈표 2-5〉 유량 관측자료(인천항, 평택당진항) 48

〈표 2-6〉 유량 관측자료(군산항, 목포항, 여수광양항, 부산항) 49

〈표 2-7〉 유량 관측자료(울산항, 포항항) 50

〈표 2-8〉 수온 관측자료(인천항, 평택당진항) 50

〈표 2-9〉 수온 관측자료(군산항, 목포항, 여수광양항, 부산항, 울산항, 포항항) 51

〈표 2-10〉 기초 통계 분석 52

〈표 2-11〉 예측조위 산정 지점 56

〈표 2-12〉 항계모델 설정 파일 62

〈표 2-13〉 관측자료 개요 65

〈표 2-14〉 항만별 검토 변수 65

〈표 2-15〉 항만별 비교 정점(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군산항, 목포항) 66

〈표 2-16〉 항만별 비교 정점(여수·광양항, 부산항신항, 부산항, 울산항, 포항항) 67

〈표 2-17〉 비교 대상 관측소(인천항) 70

〈표 2-18〉 비교 대상 관측소(평택당진항·대산항) 81

〈표 2-19〉 비교 대상 관측소(군산항) 93

〈표 2-20〉 비교 대상 관측소(목포항) 104

〈표 2-21〉 비교 대상 관측소(여수·광양항) 114

〈표 2-22〉 비교 대상 관측소(부산항신항) 126

〈표 2-23〉 비교 대상 관측소(부산항) 132

〈표 2-24〉 비교 대상 관측소(울산항) 153

〈표 2-25〉 비교 대상 관측소(포항항) 157

〈표 3-1〉 대상항만별 관측자료 정보 183

〈표 3-2〉 인천항 항계내측의 관측 유속과 ROMS 유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87

〈표 3-3〉 인천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89

〈표 3-4〉 대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0

〈표 3-5〉 여수광양항 항계내측의 관측 유속과 ROMS 유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2

〈표 3-6〉 여수광양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2

〈표 3-7〉 부산항신항 항계내측의 관측 유속과 ROMS 유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4

〈표 3-8〉 부산항신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6

〈표 3-9〉 부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유속과 ROMS 유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8

〈표 3-10〉 부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198

〈표 3-11〉 부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파고와 CWW3 파고의 상관관계 및 RMSE 199

〈표 3-12〉 울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1

〈표 3-13〉 평택당진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2

〈표 3-14〉 군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유속과 ROMS 유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4

〈표 3-15〉 군산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6

〈표 3-16〉 포항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7

〈표 3-17〉 목포항 항계내측의 관측 풍속과 WRF 풍속의 상관관계 및 RMSE 208

〈표 3-18〉 대상 항만별 방문기관 216

〈표 3-19〉 항만해양지수 수요조사 결과정리 및 분석 221

〈표 3-20〉 항만해양지수 수요조사 의견수렴 정리 226

〈표 3-21〉 항만해양지수 수요조사 의견수렴 정리(계속) 227

〈표 3-22〉 항만해양지수 검증 설문 의견수렴 결과 정리 229

〈표 3-23〉 체감지수와 예측지수 비교결과 230

〈표 3-24〉 유속 및 풍속 관즉 지점 234

〈표 3-25〉 항만별 관측 및 예측 평균 유속 235

〈표 3-26〉 항만별 관측 및 예측 평균 풍속 235

〈표 3-27〉 항만해양지수 개선 결과 236

〈표 4-1〉 기존 표류체 실험해역(KHOA) 240

〈표 4-2〉 기존 표류체 실험해역(KIOST) 242

〈표 4-3〉 기존 표류체 실험해역(KIOST) 243

〈표 4-4〉 기존 표류체 실험해역(KRISO) 244

〈표 4-5〉 기존 표류체 실험해역(종합) 245

〈표 4-6〉 해역특성 조사 내용 246

〈표 4-7〉 해역특성 조사 결과 247

〈표 4-8〉 구역별 선박사고 빈도 249

〈표 4-9〉 표류체 실험해역 후보군 우선순위 251

〈표 4-10〉 표류체 실험해역 후보군(8개 지점) 252

〈표 4-11〉 현지답사 개요 254

〈표 4-12〉 현지답사 내용 255

〈표 4-13〉 현장답사 결과 256

〈표 4-14〉 표류체 실험(4개 지점) 위치 257

〈표 4-15〉 위치정보 관측기기 제원 258

〈표 4-16〉 환경외력 측정기기 제원 259

〈표 4-17〉 평상시 조별근무 내용 260

〈표 4-18〉 이상시 대응 시나리오 261

〈표 4-19〉 장비점검 및 실무자 현장교육 개요 262

〈표 4-20〉 실험개요 263

〈표 4-21〉 현장실험 개요(안면도 서측, W1) 274

〈표 4-22〉 유속 통계분석 결과(안면도 서측, W1) 277

〈표 4-23〉 유향·유속 출현율(안면도 서측, W1) 278

〈표 4-24〉 풍속 통계분석 결과(안면도 서측, W1) 281

〈표 4-25〉 계급별·풍향별 관측백분율(안면도 서측, W1) 281

〈표 4-26〉 파고별·파향별 출현율(안면도 서측, W1) 284

〈표 4-27〉 파고별·주기별 출현율(안면도 서측, W1) 285

〈표 4-28〉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안면도 서측, W1) 287

〈표 4-29〉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의 상관관계(안면도 서측, W1) 288

〈표 4-30〉 현장실험 개요(선유도 서측, W2) 289

〈표 4-31〉 유속 통계분석 결과(선유도 서측, W2) 291

〈표 4-32〉 유향·유속 출현율(선유도 서측, W2) 291

〈표 4-33〉 풍속 통계분석 결과(선유도 서측, W2) 293

〈표 4-34〉 계급별·풍향별 관측백분율(선유도 서측, W2) 293

〈표 4-35〉 파고별·파향별 출현율(선유도 서측, W2) 295

〈표 4-36〉 파고별·주기별 출현율(선유도 서측, W2) 295

〈표 4-37〉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선유도 서측, W2) 297

〈표 4-38〉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의 상관관계(선유도 서측, W2) 298

〈표 4-39〉 현장실험 개요(추자도, S1) 299

〈표 4-40〉 유속 통계분석 결과(추자도, S1) 302

〈표 4-41〉 유향·유속 출현율(추자도, S1) 303

〈표 4-42〉 풍속 통계분석 결과(추자도, S1) 306

〈표 4-43〉 계급별·풍향별 관측백분율(추자도, S1) 306

〈표 4-44〉 파고별·파향별 출현율(추자도, S1) 309

〈표 4-45〉 파고별·주기별 출현율(추자도, S1) 310

〈표 4-46〉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추자도, S1) 312

〈표 4-47〉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의 상관관계(추자도, S1) 313

〈표 4-48〉 현장실험 개요(안도 동측, S2) 314

〈표 4-49〉 유속 통계분석 결과(안도 동측, S2) 316

〈표 4-50〉 유향·유속 출현율(안도 동측, S2) 316

〈표 4-51〉 풍속 통계분석 결과(안도 동측, S2) 318

〈표 4-52〉 계급별·풍향별 관측백분율(안도 동측, S2) 318

〈표 4-53〉 파고별·파향별 출현율(안도 동측, S2) 320

〈표 4-54〉 파고별·주기별 출현율(안도 동측, S2) 320

〈표 4-55〉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안도 동측, S2) 322

〈표 4-56〉 표류체의 이동과 환경외력의 상관관계(안도 동측, S2) 323

〈표 5-1〉 30일 표층 조류 관측정점 위치 325

〈표 5-2〉 해수유동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26

〈표 5-3〉 표류체 현장실험 개요 338

〈표 5-4〉 표류물 확산 추적 케이스별 분류 339

〈표 5-5〉 투하입자 개수별 상대거리 평가 결과 341

〈표 5-6〉 W1의 1차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47

〈표 5-7〉 W1의 2차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49

〈표 5-8〉 W2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52

〈표 5-9〉 S1 1차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55

〈표 5-10〉 S1 2차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57

〈표 5-11〉 S2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60

〈표 5-12〉 정점별 현장실험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및 RMSE 분석 361

〈표 5-13〉 W1(2차) 표류체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3

〈표 5-14〉 S1(2차) 표류체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5

〈표 5-15〉 S2 표류체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7

〈표 6-1〉 16개 유류확산 모델의 개요 (Fernandes,2013) 374

〈표 7-1〉 Draft 버전 정보 및 발행 시기 391

〈표 7-2〉 S-111 제품 표준 주요항목에 대한 정의 392

〈표 7-3〉 데이터 소스에 대한 분류 394

〈표 7-4〉 데이터 타입에 대한 분류 395

〈표 7-5〉 예측자료의 생산주기 397

〈표 7-6〉 S-111 제품 표준 주요항목에 대한 정의 398

〈그림 1-1〉 항계안전 해양 정보 제공 시스템 23

〈그림 1-2〉 과업 수행 조직 25

〈그림 2-1〉 주요 항만 위치도 28

〈그림 2-2〉 산출체계 개선 과정 29

〈그림 2-3〉 수치모델 입력 수심(서해 중부) 30

〈그림 2-4〉 수치모델 입력 수심(서해 남부 및 남해) 31

〈그림 2-5〉 수치모델 입력 수심(남해 동부 및 동해 남부) 32

〈그림 2-6〉 수치모델의 계산격자 검토 해역 34

〈그림 2-7〉 NAO99.jb 격자점 35

〈그림 2-8〉 (a)TideBed 전체 영역 및 (b)한반도 연안 35

〈그림 2-9〉 M₂, S₂ 진폭 및 지각(TideBed) 36

〈그림 2-10〉 K₁, O₁진폭 및 지각(TideBed) 37

〈그림 2-11〉 경계수온 검토(인천항) 40

〈그림 2-12〉 경계수온 검토(평택당진항·대산항) 40

〈그림 2-13〉 경계수온 검토(군산항) 40

〈그림 2-14〉 경계수온 검토(목포항) 41

〈그림 2-15〉 경계수온 검토(여수광양항) 41

〈그림 2-16〉 경계수온 검토(부산항신항) 41

〈그림 2-17〉 경계수온 검토(부산항) 42

〈그림 2-18〉 경계수온 검토(울산항) 42

〈그림 2-19〉 경계수온 검토(포항항) 42

〈그림 2-20〉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인천항, 자월도) 43

〈그림 2-21〉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평택·당진항, 자월도) 43

〈그림 2-22〉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군산항, 서천) 44

〈그림 2-23〉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목포항, 칠발도) 44

〈그림 2-24〉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여수·광양항, 금오도) 45

〈그림 2-25〉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부산항신항, 부산항신항) 45

〈그림 2-26〉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부산항, 광안) 46

〈그림 2-27〉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울산항, 장안) 46

〈그림 2-28〉 수온 시계열 및 월평균 수온 비교(포항항, 구룡포) 47

〈그림 2-29〉 담수가 고려되지 않은 기존 항계모델의 염분 예측자료 47

〈그림 2-30〉 적용 담수의 유량 및 수온(인천항) 53

〈그림 2-31〉 적용 담수의 유량 및 수온(여수광양항) 54

〈그림 2-32〉 적용 담수의 유량 및 수온(부산항) 54

〈그림 2-33〉 적용 담수의 유량 및 수온(울산항) 55

〈그림 2-34〉 적용 담수의 유량 및 수온(포항항) 55

〈그림 2-35〉 방류계획 적용 모식도 56

〈그림 2-36〉 방류된 담수의 유량 및 수온(평택당진항·대산항) 57

〈그림 2-37〉 방류계획 반영 후 적용된 담수의 유량(평택당진항·대산항) 58

〈그림 2-38〉 방류된 담수의 유량 및 수온(군산항) 58

〈그림 2-39〉 방류계획 반영 후 적용된 담수의 유량(군산항) 59

〈그림 2-40〉 방류된 담수의 유량 및 수은(목포항) 59

〈그림 2-41〉 방류계획 반영 후 적용된 담수의 유량(목포항) 59

〈그림 2-42〉 담수 부하 위치(서남해역 항계모델) 60

〈그림 2-43〉 담수 부하 위치(남동해역 항계모델) 61

〈그림 2-44〉 항계모델의 항만별 유속 개선율 68

〈그림 2-45〉 항계모델의 항만별 수온 개선율 68

〈그림 2-46〉 항계모델의 항만별 염분 개선율 68

〈그림 2-47〉 정확도 평가 정점(인천항) 70

〈그림 2-48〉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1

〈그림 2-49〉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2

〈그림 2-50〉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3

〈그림 2-51〉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4

〈그림 2-52〉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5

〈그림 2-53〉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6

〈그림 2-54〉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7

〈그림 2-55〉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인천항) 77

〈그림 2-56〉 수위 RMSE 개선 결과(인천항) 78

〈그림 2-57〉 유속 RMSE 개선 결과(인천항) 78

〈그림 2-58〉 수온 RMSE 개선 결과(인천항) 79

〈그림 2-59〉 염분 RMSE 개선 결과(인천항) 79

〈그림 2-60〉 정확도 평가 정점(평택당진항·대산항) 81

〈그림 2-61〉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평택당진항·대산항) 82

〈그림 2-62〉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83

〈그림 2-63〉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84

〈그림 2-64〉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85

〈그림 2-65〉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1(평택·당진항, 대산항) 86

〈그림 2-66〉 개선 후 수온 시계열 결과1(평택·당진항, 대산항) 87

〈그림 2-67〉 개선 전 수온 시계열 결과2(평택·당진항, 대산항) 88

〈그림 2-68〉 개선 후 수온 시계열 결과2(평택·당진항, 대산항) 88

〈그림 2-69〉 개선 전 염분 시계열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89

〈그림 2-70〉 개선 후 염분 시계열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89

〈그림 2-71〉 수위 RMSE 개선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90

〈그림 2-72〉 유속 RMSE 개선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90

〈그림 2-73〉 수온 RMSE 개선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91

〈그림 2-74〉 염분 RMSE 개선 결과(평택·당진항, 대산항) 92

〈그림 2-75〉 정확도 평가 정점(군산항) 93

〈그림 2-76〉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4

〈그림 2-77〉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5

〈그림 2-78〉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6

〈그림 2-79〉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7

〈그림 2-80〉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8

〈그림 2-81〉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99

〈그림 2-82〉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100

〈그림 2-83〉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군산항) 100

〈그림 2-84〉 수위 RMSE 개선 결과(군산항) 101

〈그림 2-85〉 유속 RMSE 개선 결과(군산항) 101

〈그림 2-86〉 수온 RMSE 개선 결과(군산항) 102

〈그림 2-87〉 염분 RMSE 개선 결과(군산항) 102

〈그림 2-88〉 정확도 평가 정점(목포항) 104

〈그림 2-99〉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목포항) 105

〈그림 2-90〉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목포항) 105

〈그림 2-91〉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목포항) 106

〈그림 2-92〉 개선 후 유속 시계열 결과(목포항) 106

〈그림 2-93〉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1(목포항) 107

〈그림 2-94〉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1(목포항) 108

〈그림 2-95〉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2(목포항) 109

〈그림 2-96〉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2(목포항) 109

〈그림 2-97〉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목포항) 110

〈그림 2-98〉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목포항) 110

〈그림 2-99〉 수위 RMSE 개선 결과(목포항) 111

〈그림 2-100〉 유속 RMSE 개선 결과(목포항) 111

〈그림 2-101〉 수온 RMSE 개선 결과1(목포항) 111

〈그림 2-102〉 수온 RMSE 개선 결과2(목포항) 112

〈그림 2-103〉 염분 RMSE 개선 결과(목포항) 112

〈그림 2-104〉 정확도 평가 정점(여수·광양항) 114

〈그림 2-105〉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15

〈그림 2-106〉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16

〈그림 2-107〉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17

〈그림 2-108〉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18

〈그림 2-109〉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19

〈그림 2-110〉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20

〈그림 2-111〉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21

〈그림 2-112〉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여수·광양항) 122

〈그림 2-113〉 수위 RMSE 개선 결과(여수·광양항) 123

〈그림 2-114〉 유속 RMSE 개선 결과(여수·광양항) 123

〈그림 2-115〉 수온 RMSE 개선 결과(여수·광양항) 124

〈그림 2-116〉 염분 RMSE 개선 결과(여수·광양항) 125

〈그림 2-117〉 정확도 평가 정점 (부산항신항) 126

〈그림 2-118〉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7

〈그림 2-119〉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7

〈그림 2-120〉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7

〈그림 2-121〉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8

〈그림 2-122〉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8

〈그림 2-123〉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8

〈그림 2-124〉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9

〈그림 2-125〉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신항) 129

〈그림 2-126〉 수위 RMSE 개선 결과(부산항신항) 129

〈그림 2-127〉 유속 RMSE 개선 결과(부산항신항) 130

〈그림 2-128〉 수온 RMSE 개선 결과(부산항신항) 130

〈그림 2-129〉 염분 RMSE 개선 결과(부산항신항) 130

〈그림 2-130〉 정확도 평가 정점(부산항) 132

〈그림 2-131〉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 133

〈그림 2-132〉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부산항) 134

〈그림 2-133〉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35

〈그림 2-134〉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36

〈그림 2-135〉 개선 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37

〈그림 2-136〉 개선 후 유속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38

〈그림 2-137〉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39

〈그림 2-138〉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40

〈그림 2-139〉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41

〈그림 2-140〉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42

〈그림 2-141〉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3(부산항) 143

〈그림 2-142〉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3(부산항) 144

〈그림 2-143〉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45

〈그림 2-144〉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1(부산항) 146

〈그림 2-145〉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47

〈그림 2-146〉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2(부산항) 147

〈그림 2-147〉 수위 RMSE 개선 결과(부산항) 148

〈그림 2-148〉 유속 RMSE 개선 결과(부산항) 149

〈그림 2-149〉 수온 RMSE 개선 결과1(부산항) 150

〈그림 2-150〉 수온 RMSE 개선 결과2(부산항) 151

〈그림 2-151〉 염분 RMSE 개선 결과(부산항) 152

〈그림 2-152〉 정확도 평가 정점(울산항) 153

〈그림 2-153〉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4

〈그림 2-154〉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4

〈그림 2-155〉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4

〈그림 2-156〉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5

〈그림 2-157〉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5

〈그림 2-158〉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울산항) 155

〈그림 2-159〉 수위 RMSE 개선 결과(울산항) 156

〈그림 2-160〉 수온 RMSE 개선 결과(울산항) 156

〈그림 2-161〉 염분 RMSE 개선 결과(울산항) 156

〈그림 2-162〉 정확도 평가 정점(포항항) 157

〈그림 2-163〉 개선 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8

〈그림 2-164〉 개선 후 수위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8

〈그림 2-165〉 개선 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8

〈그림 2-166〉 개선 후 수온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9

〈그림 2-167〉 개선 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9

〈그림 2-168〉 개선 후 염분 시계열 비교 결과(포항항) 159

〈그림 2-169〉 수위 RMSE 개선 결과(포항항) 160

〈그림 2-170〉 수온 RMSE 개선 결과(포항항) 160

〈그림 2-171〉 염분 RMSE 개선 결과(포항항) 160

〈그림 2-172〉 적용 수심 및 TideBed 161

〈그림 2-173〉 부산항신항 (a)갱신 수심 및 (b)편차 162

〈그림 2-174〉 항만 개발현황 반영(부산항신항) 162

〈그림 2-175〉 울산항 (a)갱신 수심 및 (b)편차 163

〈그림 2-176〉 항만 개발현황 반영(울산항) 163

〈그림 2-177〉 검토 기간의 수위 및 유속(부산항신항) 164

〈그림 2-178〉 개발현황 반영 전 창조류 분포(부산항신항) 165

〈그림 2-179〉 개발현황 반영 전 낙조류 분포(부산항신항) 166

〈그림 2-180〉 개발현황 반영 전 최강유속 분포(부산항신항) 167

〈그림 2-181〉 개발현황 반영 후 창조류 분포(부산항신항) 168

〈그림 2-182〉 개발현황 반영 후 낙조류 분포(부산항신항) 169

〈그림 2-183〉 개발현황 반영 후 최강유속 분포(부산항신항) 170

〈그림 2-184〉 개발현황 반영 후 최강유속 분포의 변화(부산항신항) 171

〈그림 2-185〉 검토 기간 수위(울산항) 172

〈그림 2-186〉 개발현황 반영 전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울산항, 전체영역) 173

〈그림 2-187〉 개발현황 반영 전 창조류 분포(울산항) 174

〈그림 2-188〉 개발현황 반영 전 낙조류 분포(울산항) 175

〈그림 2-189〉 개발현황 반영 전 최강유속 분포(울산항) 176

〈그림 2-190〉 개발현황 반영 후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울산항, 전체영역) 177

〈그림 2-191〉 개발현황 반영 후 창조류 분포(울산항) 178

〈그림 2-192〉 개발현황 반영 후 낙조류 분포(울산항) 179

〈그림 2-193〉 개발현황 반영 후 최강유속 분포(울산항) 180

〈그림 2-194〉 개발현황 반영 후 최강유속 분포의 변화(울산항) 181

〈그림 3-1〉 인천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185

〈그림 3-2〉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경인항 해양관측부이, ROMS) 186

〈그림 3-3〉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인천항 해양관측부이, ROMS) 186

〈그림 3-4〉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경인항 조위관측소, WRF) 187

〈그림 3-5〉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인천 조위관측소, WRF) 188

〈그림 3-6〉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인천송도 조위관측소, WRF) 188

〈그림 3-7〉 대산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189

〈그림 3-8〉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대산 조위관측소, WRF) 190

〈그림 3-9〉 여수광양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191

〈그림 3-10〉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광양항 해양관측부이, ROMS) 191

〈그림 3-11〉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여수 조위관측소, WRF) 192

〈그림 3-12〉 부산항신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193

〈그림 3-13〉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부산항신항 해양관측부이, ROMS) 194

〈그림 3-14〉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부산항신항 조위관측소, WRF) 195

〈그림 3-15〉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가덕도 조위관측소, WRF) 195

〈그림 3-16〉 부산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197

〈그림 3-17〉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부산항 해양관측부이, ROMS) 197

〈그림 3-18〉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부산 조위관측소, WRF) 198

〈그림 3-19〉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파고 비교(북항 파고부이, CWW3) 199

〈그림 3-20〉 울산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200

〈그림 3-21〉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울산 조위관측소, WRF) 200

〈그림 3-22〉 평택당진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201

〈그림 3-23〉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구성분 비교(평택 조위관측소, WRF) 202

〈그림 3-24〉 군산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203

〈그림 3-25〉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유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군산항 해양관측부이, ROMS) 204

〈그림 3-26〉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구성분 비교(장항 조위관측소, WRF) 205

〈그림 3-27〉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군산 조위 관측소, WRF) 205

〈그림 3-28〉 포항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206

〈그림 3-29〉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포항 조위관측소, WRF) 207

〈그림 3-30〉 목포항 항계 내측 관측지점 208

〈그림 3-31〉 관측 값과 모델 값의 풍속 U성분과 V성분 비교(목포 조위관측소, WRF) 208

〈그림 3-32〉 월평균 항만해양지수 분포도(인천항, 평택당진항) 209

〈그림 3-33〉 월평균 항만해양지수 분포도(대산항, 군산항, 여수광양항, 부산항) 210

〈그림 3-34〉 월평균 항만해양지수 분포도(포항항, 목포항, 부산항신항, 울산항) 211

〈그림 3-35〉 항만해양지수와 풍속 관측자료의 월별 평균값 비교 212

〈그림 3-36〉 항만해양지수와 유속 관측자료의 월별 평균값 비교 214

〈그림 3-37〉 수요조사 및 현장검증 수행절차 215

〈그림 3-38〉 설문조사 모습 217

〈그림 3-39〉 수요조사 설문양식 217

〈그림 3-40〉 현장검증 설문양식 219

〈그림 3-41〉 체감지수 설문조사 위치 230

〈그림 3-42〉 항만해양지수 개선방안 231

〈그림 3-43〉 항만별 유속의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상관계수 및 RMSE 232

〈그림 3-44〉 항만별 풍속의 관측 값과 모델 값의 상관계수 및 RMSE 233

〈그림 3-45〉 항만해양지수 산출 알고리즘 개선 모식도 234

〈그림 4-1〉 표류체 실험해역 선정 흐름도 238

〈그림 4-2〉 해역특성과 선박사고 분석을 위한 격자망도 239

〈그림 4-3〉 기존 표류체 현장 실험해역 위치도(KHOA) 241

〈그림 4-4〉 기존 표류체 현장 실험해역 위치도(KIOST) 243

〈그림 4-5〉 기존 표류체 현장 실험해역 위치도(KRISO) 244

〈그림 4-6〉 기존 표류체 현장 실험해역 위치도(종합) 245

〈그림 4-7〉 해역특성별 실험해역 우선순위 선정 기준 246

〈그림 4-8〉 해역특성별 실험해역 우선순위 248

〈그림 4-9〉 선박사고 빈도 조사 결과 250

〈그림 4-10〉 표류체 후보군(8개 지점) 선정기준 251

〈그림 4-12〉 현지답사 위치도 255

〈그림 4-13〉 표류체 실험(4개 지점) 위치도 257

〈그림 4-14〉 표류체(마네킹) 구성품목 259

〈그림 4-15〉 장비 점검 및 현장교육 사진 262

〈그림 4-16〉 표류체 실험해역 구역도 264

〈그림 4-20〉 풍속보정 모식도 267

〈그림 4-22〉 유향보정 모식도 270

〈그림 4-23〉 배의 진행과 조류 271

〈그림 4-24〉 표류체 현장실험 위치도(안면도 서측, W1) 274

〈그림 4-25〉 유속·유향 시계열(안면도 서측, W1) 275

〈그림 4-26〉 유속 분산도(안면도 서측, W1) 277

〈그림 4-27〉 풍속·풍향 시계열(안면도 서측, W1) 279

〈그림 4-28〉 바람 장미도(안면도 서측, W1) 280

〈그림 4-29〉 파랑 시계열(안면도 서측, W1) 282

〈그림 4-30〉 파랑 장미도(안면도 서측, W1) 283

〈그림 4-31〉 표류체 이동경로(안면도 서측, W1) 286

〈그림 4-32〉 표류체 이동과 환경외력(안면도 서측, W1) 288

〈그림 4-34〉 유속·유향 시계열(선유도 서측, W2) 290

〈그림 4-35〉 유속 분산도(선유도 서측, W2) 291

〈그림 4-36〉 풍속·풍향 시계열(선유도 서측, W2) 292

〈그림 4-37〉 바람 장미도(선유도 서측, W2) 292

〈그림 4-38〉 파랑 시계열(선유도 서측, W2) 294

〈그림 4-39〉 파랑 장미도(선유도 서측, W2) 294

〈그림 4-41〉 표류체 이동과 환경외력(선유도 서측, W2) 298

〈그림 4-43〉 유속·유향 시계열(추자도, S1) 300

〈그림 4-44〉 유속 분산도(추자도, S1) 302

〈그림 4-46〉 바람 장미도(추자도, S1) 305

〈그림 4-48〉 파랑 장미도(추자도, S1) 308

〈그림 4-49〉 표류체 이동 경로(추자도, S1) 311

〈그림 4-50〉 표류체 이동과 환경외력(추자도, S1) 313

〈그림 4-52〉 유속·유향 시계열(안도 동측, S2) 315

〈그림 4-53〉 유속 분산도(안도 동측, S2) 316

〈그림 4-55〉 바람 장미도(안도 동측, S2) 317

〈그림 4-57〉 파랑 장미도(안도 동측, S2) 319

〈그림 4-58〉 표류체 이동 경로(안도 동측, S2) 321

〈그림 4-59〉 표류체 이동과 환경외력(안도 동측, S2) 323

〈그림 5-1〉 2018년도 남해소 해수유동 관측 정점도(30주야, 3주야) 325

〈그림 5-2〉 해수유동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26

〈그림 5-3〉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번 정점, MOHID2K) 327

〈그림 5-4〉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번 정점, YES3K) 327

〈그림 5-5〉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2번 정점, MOHID2K) 328

〈그림 5-6〉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2번 정점, YES3K) 328

〈그림 5-7〉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3번 정점, MOHID2K) 329

〈그림 5-8〉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3번 정점, YES3K) 329

〈그림 5-9〉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4번 정점, MOHID2K) 330

〈그림 5-10〉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4번 정점, YES3K) 330

〈그림 5-11〉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5번 정점, MOHID2K) 331

〈그림 5-12〉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5번 정점, YES3K) 331

〈그림 5-13〉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6번 정점, MOHID2K) 332

〈그림 5-14〉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6번 정점, YES3K) 332

〈그림 5-15〉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7번 정점, MOHID2K) 333

〈그림 5-16〉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7번 정점, YES3K) 333

〈그림 5-17〉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8번 정점, MOHID2K) 334

〈그림 5-18〉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8번 정점, YES3K) 334

〈그림 5-19〉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9번 정점, MOHID2K) 335

〈그림 5-20〉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9번 정점, YES3K) 335

〈그림 5-21〉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0번 정점, MOHID2K) 336

〈그림 5-22〉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0번 정점, YES3K) 336

〈그림 5-23〉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1번 정점, MOHID2K) 337

〈그림 5-24〉 관측자료와 예측결과의 시계열 비교(11번 정점, YES3K) 337

〈그림 5-25〉 표류체 현장실험 정점 338

〈그림 5-26〉 해수유동예측시스템 투하입자 개수별 이동경도 비교(서해) 341

〈그림 5-27〉 해수유동예측시스템 투하입자 개수별 이동경도 비교(서해) 342

〈그림 5-28〉 해수유동예측시스템 투하입자 개수별 이동경도 비교(동해) 343

〈그림 5-29〉 해수유동예측시스템 투하입자 개수별 이동경도 비교(남해) 344

〈그림 5-30〉 W1의 1차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45

〈그림 5-31〉 W2의 2차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45

〈그람 5-32〉 W1의 1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46

〈그림 5-33〉 W1의 1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47

〈그림 5-34〉 W1의 2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48

〈그림 5-35〉 W1의 2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49

〈그림 5-36〉 W2의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50

〈그림 5-37〉 W2의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51

〈그림 5-38〉 W2의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52

〈그림 5-39〉 S1의 1차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53

〈그림 5-40〉 S1의 2차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53

〈그림 5-41〉 S1의 1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54

〈그림 5-42〉 S1의 1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55

〈그림 5-43〉 S1의 2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56

〈그림 5-44〉 S1의 2차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57

〈그림 5-45〉 S2의1차 현장실험 공간적 분석(해수유동 예측시스템) 358

〈그림 5-46〉 S2의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MOHID2K, WRF2K) 359

〈그림 5-47〉 S2의 환경 외력(조류, 바람) 관측 및 예측결과 비교(YES3K, WRF3K) 360

〈그림 5-48〉 W1(2차) 정점의 표류체 공간적 분석(MOHID2K, 추적 입자수 : 300개) 363

〈그림 5-49〉 W1(2차) 표류체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3

〈그림 5-50〉 W1(2차) 표류체 관측위치와 예측위치의 거리차이 364

〈그림 5-51〉 S1(2차) 정점의 표류체 공간적 분석(MOHID2K, 추적 입자수 : 300개) 365

〈그림 5-52〉 S1(2차) 표류체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5

〈그림 5-53〉 S1(2차) 표류체 관측위치와 예측위치의 거리차이 366

〈그림 5-54〉 S2 정점의 표류체 공간적 분석(MOHID2K, 추적 입자수 : 300개) 367

〈그림 5-55〉 S2 표류체의 이동경로 차이 발생 전, 후 관측결과와 예측결과의 상관계수 367

〈그림 5-56〉 S2 표류체 관측위치와 예측위치의 거리차이 368

〈그림 5-57〉 예측결과 입력 방식 368

〈그림 5-58〉 해수유동예측시스템과 수치조류도의 표류물 이동 예측결과 차이 369

〈그림 6-1〉 유류 유출 통계. (a) 700톤 이상 유류유출 건수, (b) 연간 유류 유출량 372

〈그림 6-2〉 700톤 이상의 유류유출 사고 원인 373

〈그림 6-3〉 풍화 과정 374

〈그림 6-4〉 유류 유출 감지 모식도(Topouzelis, 2008) 375

〈그림 6-5〉 MOHID 모델의 유한 체적 요소 377

〈그림 6-6〉 라그란지안 모듈의 계산 흐름도 378

〈그림 6-7〉 랜덤 이동의 형태 379

〈그림 6-8〉 유류 확산 모듈의 계산 흐름도 380

〈그림 6-9〉 점 오염원 유류확산 예측 예 382

〈그림 6-10〉 다수의 점오염원 방식의 유류확산 예측 예 (2018년 산치호 사고시) 384

〈그림 6-11〉 유류 유출 시 위성 사진 385

〈그림 6-12〉 선 오염원 유류확산 예측 예 386

〈그림 6-13〉 면 오염원 유류확산 예측 예 387

〈그림 6-14〉 유류 유출 시 위성사진 예시 388

〈그림 6-15〉 위성사진을 활용한 선·면 오염원 유류확산 예측 389

〈그림 7-1〉 S-111 자료 표준화 과정 392

〈그림 7-2〉 S-111의 격자체계 395

〈그림 7-3〉 해수유동 자료 세트의 구성도 396

〈그림 7-4〉 UML 언어의 예시 396

〈그림 7-5〉 해수유동 표준 파일 데이터 구조 397

〈그림 7-6〉 해수유동 벡터 묘화 알고리즘 399

〈그림 7-7〉 벡터 묘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ECDIS 상의 이미지 재현 399

〈그림 7-8〉 벡터 알고리즘 조정 시 벡터 표출 400

〈그림 7-9〉 비정규 격자의 묘화 방안 제시 401

〈그림 7-10〉 조간대 구분을 위한 묘화방안 제시 402

〈그림 7-11〉 용도와 해수유동 모델결과 해상도에 따른 묘화 방안 402

〈그림 7-12〉 해수유동 자료의 갱신 주기에 대한 모식도 403

〈그림 7-13〉 관측값과 예측값 차이의 신뢰수준과 표준편차 403

〈그림 7-14〉 임의 소수점을 추가했을 시 용량단축 결과 404

〈그림 7-15〉 Exchange Dataset 내에서 메타데이터의 소수점 추가 예시화면 404

〈그림 7-16〉 해수유동자료 표준교환 파일 구성 405

〈그림 7-17〉 해수유동자료 표준교환 파일 표출(S-100 뷰어) 406

〈그림 7-18〉 해수유동자료 표준교환 파일 표출(ECDIS) 406

〈그림 7-19〉 S-111 주요 이슈에 관한 프레젠테이션 407

〈그림 7-20〉 S-111 해수유동 데이터 타입 분류 407

〈그림 7-21〉 Coverage의 Feature attribute와 Value 40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07012 551.5246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7013 551.5246 -19-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