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가칭)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 한국콘텐츠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나주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2019
청구기호
338.4779 -19-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 327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KOCCA ; 18-34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147954
제어번호
MONO1201922208
주기사항
[연구기관]: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이칠우
부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결과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20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1

2. 연구의 범위 27

3. 연구의 목표 35

4. 중요 용어의 정의 37

가. 콘텐츠의 정의 37

나. 문화상품과 문화산업의 정의 37

다. 문화기술의 정의 37

라. 문화기술 개념의 변화 38

제2장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을 위한 기본 환경분석 39

1. 국내외 콘텐츠 산업 현황 및 미래 콘텐츠산업 전망 40

1.1.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기술 기반 신산업 동향 40

가. 4차 산업혁명과 문화산업의 관계 40

나. 문화기술기반 신산업 시장 동향 46

1.2. 국내외 문화콘텐츠산업 현황 및 문제점 50

가. 문화콘텐츠산업 및 문화기술 R&D 현황 50

나. 문화콘텐츠산업 및 문화기술 R&D 문제점 54

1.3. 향후 CT기반 R&D 관련 이슈 56

1.4. 미래 국가경제 핵심분야로서의 문화콘텐츠와 문화기술의 중요성 57

2. 국내외 문화기술산업 육성현황 및 성과분석 59

2.1. 해외 문화기술 R&D 정책 방향 및 중점분야 비교 59

가.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 59

나. 세계 콘텐츠 시장 동향 60

2.2. 국내 문화기술 R&D 투자 현황 63

2.3. 국내외 문화기술 산업 동향 분석에 따른 시사점 68

3. 미래 산업 성장동력으로서의 문화기술 70

3.1. 세계 문화정책 변화 추세 및 국내 문화기술 R&D 정책 유형 70

가. 세계 문화정책 변화 추이 70

나. 국내 문화기술 정책 분석 개요 71

3.2. 문화기술 지원정책 변화 및 R&D 영역의 확장 72

가. 정부의 문화기술 지원정책 변화 방향 72

나. 문화기술 R&D 영역의 확장 75

3.3. 6대 신성장동력 대비 가장 열악한 문화기술 R&D 현황 76

3.4. 기술 중심 연구개발 정책의 한계 극복 필요 77

3.5. 문화콘텐츠 산업에 특화된 문화기술 전담 연구기관 필요 78

제3장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을 위한 국내외 사례조사 82

1. 주요국 문화산업 정책 동향 83

1.1. 미국 문화산업 정책 동향 83

1.2. 독일 문화산업 정책 동향 84

1.3. 프랑스 문화산업 정책 동향 85

1.4. 영국 문화산업 정책 동향 86

1.5. 일본 문화산업 정책 동향 88

1.6. 주요국 문화산업 정책의 시사점 89

2. 국외 문화기술 관련 공공 및 민간 전문연구기관 운영현황 및 성과 91

2.1. 미국 MIT Media Lab 91

가. MIT Lab 개요 91

나. 운영 체계 92

다. 연구내용 및 성과 93

라. 파트너십 94

마. 차별점 94

2.2. 독일 ZKM(Zentrum für Kunst und Medientechnologie, 예술과 매체기술센터) 95

가. ZKM 개요 95

나. 운영 체계 96

다. 연구내용 및 성과 97

라. 파트너십 99

마. 차별점 100

2.3. 프랑스 IRCAM(The Institute for Research and Coordination in Acoustics/Music, 음향ㆍ음악 연구소) 100

가. IRCAM 개요 100

나. 연구내용 및 성과 102

다. 운영 체계 103

라. 파트너십 104

마. 차별점 106

2.4. 영국 3C(Communucations, Computing, Content) Research 106

가. 3C Research 개요 106

나. 연구내용 및 성과 107

다. 운영체계 109

라. 파트너십 109

마. 차별점 110

2.5. 일본 ATR(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110

가. ATR 개요 110

나. 연구내용 및 성과 111

다. 운영체계 116

라. 파트너십 116

마. 차별점 118

2.6. 해외 문화기술 관련 주요 R&D 기관 분석결과 118

가. 종합 요약 118

나. 시사점 120

3. 국내 유망기술 분야별 공공 및 민간 전문연구기관 운영현황 121

3.1. 국내 공공 및 민간 전문 연구기관 운영 현황 및 CT R&D 추진개요 121

가. 미래 유망기술 IT/ ST/ ET/ BT/ NT 분야별 전문연구기관 현황 121

나. 정부 출연 연구기관 간 연구 분야 및 운영현황 비교 122

다. 기존 국책 연구기관의 콘텐츠 R&D 추진 122

라. CT에 대한 국가적 관심 저조, CT R&D 예산 절대부족 123

3.2. 문화기술(CT) R&D 과제를 수행한 출연연 및 특정연 수행과제 분석 124

3.3. 국내 CT관련 연구기관 분석을 통한 시사점 131

제4장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운영현황 및 성과 분석 135

1.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설립배경 및 목적 136

1.1. 설립배경 136

1.2. 설립목적 136

2.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운영현황 및 성과 143

2.1. 운영 현황 143

가. 운영예산 143

나. 수행 과제 개요 143

2.2. 운영방향 145

2.3. 주요 실적 및 성과 145

가. 과제 성과('13~'17) 145

나. 기타 성과 146

다. 업무협약체결 성과: 총 24건 147

3.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운영성과 분석 148

3.1. 총평 148

3.2.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성과분석 개요 150

3.3.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성과분석 151

가. 주요 성과 151

3.4. 한국문화기술연구소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 160

가. 한계점 160

나. 개선방안 162

다. 기대효과 163

제5장 전문가 심층조사를 통한 추진전략 도출 165

1. 표적집단면접(FGI) 내용 및 분석 166

1.1. FGI 조사 개요 166

가. 조사 목적 166

나. 조사 내용 166

다. 조사 방법 및 조사 시행 166

1.2. FGI 조사 결과 167

가.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필요성 및 타당성 168

나.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정체성 및 기본 방향, 비전 170

다.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기능과 역할, 사업 171

라.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조직체계, 인력규모, 필요시설 172

마.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수월성 및 우수 전문 인력 확보 173

바.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174

사.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대 효과 174

아.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과 관련 기타 제안 사항 175

1.3. 미션 키워드 도출 176

가. 미션 키워드(Mission Keyword)의 도출 176

나.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5대 미션 키워드(Mission Keyword) 177

2.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분석 178

2.1. 전문가 설문조사 개요 178

가. 조사 목적 178

나. 조사 설계 178

다. 조사 항목 178

2.2.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179

가. 표본 특성 179

나.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타당성 180

다.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형태 181

라.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개원 시기 181

마.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 운영을 위한 중요 사항 182

바.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필요기능 및 역할 183

사.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본 방향 185

아.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핵심 사업 185

자.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조직형태 186

차.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적정 인력 규모 및 확보방안 187

카.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시설 조성 시 필요시설 189

타. 기대효과 189

파. 전문가 제언 190

2.3. 요약 및 시사점 192

3. 소결 194

제6장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타당성 및 방향성 검토 196

1.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타당성 197

1.1. 전담연구기관 설립의 타당성 197

1.2. 정부지원의 타당성 200

1.3. 오픈-융합형 조직 및 운영에 대한 타당성 202

1.4. 4차 산업혁명 시대 문화기술 개발 필요성에서의 타당성 203

2.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추진 방향 205

3. 유사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차별성 206

3.1. 정체성에 대한 차별성: 세계적 경쟁력을 지닌 대한민국 대표 문화 기술 전담연구기관 206

3.2. 연구원의 기능 및 역할의 차별성: 첨단기술 기반 문화기술 융합연구기관 207

3.3. 연구원 운영의 차별성: 연결세상(산+학+관+연+시장) 형 열린연구기관 209

제7장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방안 212

1.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비전 및 역할 213

1.1.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미션과 비전 213

가. 한국문화기술연구원 미션 213

나. 한국문화기술연구원 비전 214

1.2.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역할 및 연구범위 215

가.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기능 및 역할 215

나. 연구개발 범위 217

2.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법률적 환경 218

2.1. 한국문화기술(CT)연구원 설립 주요 법률 개정 추진 이력 218

2.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관련 발의안 내용 및 분석 219

가.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현행법) 219

나. 2013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자동폐기) 220

다. 2017년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계류 중) 222

라. 연구원 설립을 위한 법률개정 방향(안) 224

2.3. 기타 법률 개정 방법 227

2.4. 「문화산업진흥기본법」개정 방향과 관련한 제안 사항 227

3.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방안 228

3.1. 조직 구조 228

가. 2013년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의 조직구조 분석 228

나. FGI 분석을 통한 연구조직의 구성 방향 229

다.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조직 구성 안 230

3.2. 인력 규모 및 소요 예산 산출 231

가. 2013년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의 연구원 인원수 산정 231

나. 전체 산업에서의 문화산업의 비중과 문화산업 연구개발 비용 비율 232

다. FGI 분석을 통한 연구원 인원수 및 소요예산 산정 방향 236

라. 콘텐츠 산업 비중에 의한 한국문화기술연구원 R&D 비용 산출 237

마. 필요 연구인력의 추정 240

바. 필요 지원인력의 추정 241

사. 인건비의 추정 241

아. 경상운영비의 추정 242

자.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예산 종합 243

3.3. 공간 규모 및 건축비 추정 244

가. FGI 분석을 통한 공간 규모 산정 방향 244

나. 시설 및 공간 계획 방법론 244

다. 시설 및 공간계획 245

라. 필요 시설 248

4. 향후 중장기 세부 운영계획 250

4.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250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50

나. 사업내용 252

다. 기대효과 255

4.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건축 255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55

나. 사업내용 256

다. 기대효과 258

4.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시설구축 258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58

나. 사업내용 260

다. 기대효과 261

4.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기자재 및 장비구축 261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61

나. 사업내용 262

다. 기대효과 263

4.5.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오픈형 조직운영 263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63

나. 사업내용 265

다. 기대효과 267

4.6.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인력양성 267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67

나. 사업내용 269

다. 기대효과 269

4.7.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창업지원 269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69

나. 사업내용 270

다. 기대효과 271

4.8.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기술보급 및 사업화 271

가. 목적 및 추진배경 271

나. 사업내용 272

다. 기대효과 273

제8장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대효과 274

1. 기술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파급효과 275

1.1. 기술적 측면의 파급효과 275

가. 국가차원의 효과 275

나. 산업차원의 효과 275

1.2. 경제적 측면의 파급효과 276

가. 부가가치 창출효과 276

나. 고용창출 효과 276

다. 수출증대 효과 277

1.3. 사회적 측면의 파급효과 277

가. 문화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277

나. 사회문화적 기대효과 창출 278

1.4. 문화적 측면의 파급효과 278

가. 이용자 중심의 문화콘텐츠 서비스 기술 제공 278

나. 새로운 문화콘텐츠 소비문화 선도 278

2.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연구개발 성과 활용방안 279

2.1. 국가차원의 연구개발 성과 확산 및 활용방안 279

2.2. 문화콘텐츠 산업 분야별 기술 개발 및 활용방안 279

2.3. CT연구원 개발 기술의 효과 축적 및 확산방안 제시 279

제9장 결론 및 제언 280

[부록] 전문가 설문조사 통계결과표 285

표 1-1. 연구수행 내용 및 방법 36

표 1-2. 문화기술(CT)의 두 특성에 따른 정책방향 분류 및 개념 정의 38

표 2-1. 콘텐츠+타산업과의 융합 등에 따른 새로운 가치 창출 41

표 2-2. 문화콘텐츠 분야별 산업 동향 변화 내용 42

표 2-3. 넷플릭스 사의 OTT(over the top) 시장 점령 현황 43

표 2-4. 해외기업들의 문화기술기반 신산업 시장 47

표 2-5. 융합기술 기반 서비스지향 콘텐츠 R&D 사례 49

표 2-6. 주요 문화산업 분야별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전망 51

표 2-7. 주요 문화산업 분야 중 방송 관련 기업 터우타요 분석 53

표 2-8. 문화기술 정책 비교 분석 53

표 2-9. 해외 주요국 콘텐츠 산업 R&D 55

표 2-10. 4차 산업혁명시대 CT R&D 주요 방향 56

표 2-11. 세계 콘텐츠시장 규모 59

표 2-12. 해외콘텐츠 시장동향에 따른 문화기술 R&D 투자 분야 61

표 2-13. 장르별 지원 과제 수(2012~2016) 64

표 2-14. CT R&D 사업과제 수 및 정부 예산(2012~2016) 65

표 2-15. 장르별 사업화 성과(2012~2016) 66

표 2-16. 수행기관 유형별 지원 규모변화(2012~2016) 67

표 2-17. 5대 신기술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 예측 및 CAGR 67

표 2-18. 각 정부별 CT관련 정책 변화 71

표 2-19. 시기별 문화기술 정책 방향 73

표 2-20. 문화기술연구원 설립 추진전략 및 일정 73

표 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설립목적 및 기능 비교 79

표 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 역할 비교 80

표 2-23. 기존 출연연구소와 (가칭)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차별성 81

표 3-1. 정부 출연연구소 현황(R&D 전문기관) 121

표 3-2. 연구분야 및 운영 비교(2015년 기준) 122

표 3-3. CT R&D 수행 상위 10개 기관 122

표 3-4. 문화기술(CT) 분야 R&D 예산 123

표 3-5. R&D 투자비중 비교 123

표 3-6. 미래유망신기술(6T)별 투자 추이(2016-2017) 124

표 3-7. CT 과제 중 출연연 및 특정연이 수행한 연도별 과제 수(2009~2018년) 125

표 3-8. CT R&D 10개 분야(장르)별 예산 지원 현황 127

표 3-9. CT R&D 21개 기술 분야별 예산 지원 현황 129

표 3-10. 정출연 및 특정연 CT R&D 특징점 도출 130

표 3-11. 2018년도 문화체육관광부 국가 연구개발 사업 현황 131

표 3-12. 문화기술 R&D 영역 확대 132

표 3-13. 해외 이종 기술 및 산업 간의 결합 정책 사례 134

표 4-1. 문화체육관광부 연구개발과제 선정 방식에 따른 CT R&D 과제 종류 143

표 4-2. 전공분야별 연구인력 구성 현황 152

표 5-1. 인터뷰 사례 현황 167

표 5-2.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미션 키워드 도출 176

표 5-3.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179

표 7-1. 2013년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의 영역별 인원수 산정 결과 232

표 7-2. 국가 연구개발 전체 및 CT 분야 투자 비중 비교 233

표 7-3. 주요 부처별 문화기술 R&D 투자금액 추이 234

표 7-4. 2017년도 연구수행주체별 미래유망신기술(6T) 집행 현황 235

표 7-5. 2017년도 CT(문화기술) 연구개발 기관별 연구개발비 상세 예산 금액 236

표 7-6. CT연구원 R&D 년도별 연구원 인원수 산출 기준 지표 237

표 7-7. 2018년 이후 CT연구원 R&D 년도별 연구원 인원수 산출을 위해 적용한 지표 238

표 7-8. 한국문화기술연구원 R&D 예산 예측 238

표 7-9. 향후 20년간 CT분야 출연연구소 연구개발비 예산 예측 239

표 7-10. 한국문화기술연구원 R&D 필요 연구인력 추정 240

표 7-11. 지원인력의 추정과 영역별 인원수 산정 결과 241

표 7-1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인건비의 추정 242

표 7-1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경상운영비의 추정 242

표 7-1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예산 종합 243

표 7-15.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정부지원 기관운영비 243

표 7-16.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전체 인력 및 필요 연면적(임차, 신축) 245

표 7-17.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임차비의 추정 246

표 7-18. 신축 시 필요연면적 247

표 7-19.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영역별 인원수 채용 계획 252

표 7-20.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예산 계획 253

표 7-2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정부지원 기관운영비 예산 계획 253

표 7-22. 향후 7년간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기관 설립 순서 254

표 7-2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건축 절차 257

표 7-2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인원수 증가에 따른 임대 및 신축 필요 연면적 257

표 7-25.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시설 건축 절차 260

표 7-26.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장비구축 절차 263

표 8-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직ㆍ간접 고용창출 효과 277

그림 1-1. 4차 산업혁명 키워드 21

그림 1-2. 인간에게 필요한 3대 미래역량 22

그림 1-3. 공정과 상생의 문화콘텐츠 생태계 22

그림 1-4. KISTI 미래유망기술 도출방안 23

그림 1-5. 연구의 배경 24

그림 1-6. 연구 추진전략 27

그림 1-7.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방법들 28

그림 1-8. 연구수행 체계 및 관리 30

그림 1-9. 연구진 조직표 30

그림 1-10. 연구수행 프로세스 32

그림 1-11. 전문가 FGI 및 설문조사 계획안 32

그림 1-12. 전문가 FGI 및 설문조사 세부계획 33

그림 1-13. 연구의 목표 35

그림 2-1. 4차 산업혁명과 문화산업의 관계 40

그림 2-2. 가트너 10대 전략 기술및 포춘 4대 기술트렌드와 문화산업 분야 매칭에 따른 CT R&D 이슈 45

그림 2-3. 문화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와 CT개념의 확장 51

그림 2-4. 진르터우탸오 개인별 맞춤 서비스 과정 52

그림 2-5. 콘텐츠 큐레이션 과정 58

그림 2-6. 세계문화 정책 변화 추이 70

그림 2-7. 문화기술 생태계 주도 R&D 방향 73

그림 2-8. 확장된 문화산업 가치 사슬 76

그림 3-1. MIT 미디어랩 조직도 92

그림 3-2. '사회형 로봇social robot' Tega와 어린이 간 스토리텔링 테스트 93

그림 3-3. 미국 보스턴 주 소재 초등학교에서 Cognimate를 활용한 예시 94

그림 3-4. ZKM 건물 전경 95

그림 3-5. ZKM 조직도 96

그림 3-6. ZKM이 공동 참여한 PIPES 프로젝트(2015년) 98

그림 3-7. Netzspannung.org의 아카이빙 데이터베이스 99

그림 3-8. IRCAM 건물 단면도 101

그림 3-9. IRCAM 주요 R&D 성과지표 102

그림 3-10. IRCAM 조직도 104

그림 3-11. 파트너십(라이센스, 연구 서비스, CIFRE 논문 포함) 105

그림 3-12. 2014년 서울에서 IRCAM과 CREAMA가 공동개최한 제1회 국제 IRCAM 포럼 워크샵 105

그림 3-13. 핵심 연구키워드 107

그림 3-14. AIYP 개발〈영국 브리스톨 동물원 앱 Wild: i〉 108

그림 3-15. 3C Research 조직도 109

그림 3-16. 파트너십 109

그림 3-17. ATR R&D 및 비즈니스 개발 추진 체계 111

그림 3-18. ATR 벤처 회사(9개 기업) 112

그림 3-19. ① ATR-Promotions Inc.: fMRI와 MEG를 이용한 신경이미지 연구 추진 113

그림 3-20. ② ATR Learning Technology Corp: 외국어 학습 기술'ATR CALL'과 협력하여 새로운 학습 환경 조성 113

그림 3-21. ③ ATR-Trek o.,Ltd.: ATR의 음성인식 기술과 Fue Trek, Co.,Ltd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음성인식, 번역, 음성합성 기술 개발 추진 113

그림 3-22. 라이센스 서비스 제공 관련 회사(6개 기업) 113

그림 3-23. 이시구로 공생 인간-로봇 상호작용 프로젝트 개요도 114

그림 3-24. 언어대화 연구그룹에서 개발한 ERICA(ERato 지능형 대화 안드로이드) 115

그림 3-25. 뇌를 스캔하여 사람들이 보고, 기억하고, 상상하는 것과 꿈을 해석하는 연구에 대한 개념도 115

그림 3-26. ATR 조직도 116

그림 3-27. 지난 10년간 전 세계 연구 참가자 분포도 117

그림 3-28. 국제적인 연구 협력 네트워크 117

그림 3-29.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및 수행과제수 126

그림 3-30. 문화기술(CT) R&D 분야(장르)별 연구개발비 및 비중 127

그림 3-31. 문화기술(CT) R&D 기술 분야별 연구개발비 및 비중 128

그림 3-32. 콘텐츠산업 중장기 정책비전 134

그림 4-1.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설립근거 및 운영체계 137

그림 4-2.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조직도(2018.11 기준) 138

그림 4-3. 문화기술 R&D 프로세스 맵 139

그림 4-4.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문화기술 R&D 프로세스별 기능 139

그림 4-5. 문화기술 콘텐츠 R&D 기술 관계도 141

그림 4-6. 문화산업 범위 확산 및 4차산업 기반기술의 문화산업 활용 141

그림 4-7.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협력 증진'을 위한 4개 기관 간 공동협력 협약 체결식 언론보도 153

그림 4-8. 한국문화기술연구소 R&D 추진 방향 154

그림 4-9. CT 오감체험전시 주요사례로 문체부 공식 블로그에 게재된 연구소 성과물 156

그림 4-10. 국립중앙박물관과 MoU 체결-CT R&D정책지정과제 〈AR 글래스 기반 지능형 도슨트 시스템 연구개발〉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에 새로운 유물 체험형 전시기법을 선보일 예정 157

그림 4-11. CT R&D 가시적성과물로 구현된 국립나주박물관 전시 언론보도 158

그림 4-12. 국립광주박물관 전시에서 문화기술로 복원ㆍ연출한 콘텐츠 성과물 언론보도 158

그림 4-13. 2018년 문체부 4차 산업혁명 연계 문화기술 정책지정과제로 선정된 〈공연 몰입형 감상을 위한 다차원 영상 촬영 및 플랫폼 기술개발〉 과제 언론보도 159

그림 4-14. 보고서 표지(좌) 및 '17 예술위 지원사업 용역 제안 요청서 본문(우) 160

그림 5-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타당성 관련 인식 및 평가 180

그림 5-2. 설립 형태 181

그림 5-3. 개원 시기 182

그림 5-4.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1순위)(원문불량) 182

그림 5-5.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2순위)(원문불량) 183

그림 5-6.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기능과 역할 평가 184

그림 5-7.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본 방향 185

그림 5-8.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핵심 사업 186

그림 5-9.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이 지향해야 할 조직구성 및 운영형태(원문불량) 186

그림 5-10.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적정 인력 규모(원문불량) 187

그림 5-11.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188

그림 5-1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1순위) 189

그림 5-1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운영 시 기대 효과(원문불량) 190

그림 5-1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5대 키워드 194

그림 5-15.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 및 운영 관한 전략 195

그림 7-1.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미션 213

그림 7-2.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비전 214

그림 7-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정부연구 수행 기능 및 역할 216

그림 7-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민간연구 과제 기획 및 수행 역할 217

그림 7-5.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의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장기조직 안 228

그림 7-6.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직도 230

그림 7-7. 2017년도 6T 분야별 연구개발 예산 234

그림 7-8. 2027년도 및 2037년도 CT 출연연구소 연구개발비 예측 240

그림 7-9. 시설/공간계획 방법론 244

그림 7-10. 신축완료 시점 의사결정 구조 245

그림 7-11. 신축완료 시점 의사결정 결과 246

그림 7-12. 연구소 신축 시 필요예산 추정 248

그림 7-13.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성절차 265

그림 7-14.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성의 예 266

[표 1] 응답자 성별 286

[표 2] 응답자 연령대 286

[표 3] 응답자 직업 287

[표 4] 응답자 현황 288

[표 5]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 문화산업 경쟁력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다" 289

[표 6]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국제적 경쟁력을 위해 문화기술 전담 연구기관은 설립되어야 한다" 290

[표 7] 인식 및 평가_"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문화산업과 이를 지원하는 문화기술이 중요하다" 291

[표 8]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문화기술에 대한 R&D 투자는 타 6T 분야에 대해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292

[표 9] 인식 및 평가_"문화기술의 융합성과 4차 산업혁명시대를 고려하여 기존의 국책연구기관과는 다른 형태의 조직과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293

[표 10] 설립타당성 관련 인식 및 평가(5점 척도) 294

[표 11]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 문화산업 경쟁력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다" 295

[표 12]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국제적 경쟁력을 위해 문화기술 전담 연구기관은 설립되어야 한다" 296

[표 13] 인식 및 평가_"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문화산업과 이를 지원하는 문화기술이 중요하다" 297

[표 14]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문화기술에 대한 R&D 투자는 타 6T 분야에 대해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298

[표 15] 인식 및 평가_"문화기술의 융합성과 4차 산업혁명시대를 고려하여 기존의 국책연구기관과는 다른 형태의 조직과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299

[표 16] 설립 형태 300

[표 17] 설립 형태(집단변수별) 300

[표 18] 개원 시기 301

[표 19] 개원 시기(집단변수별) 301

[표 20]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1순위) 302

[표 21]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1순위), 집단변수별 302

[표 22]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2순위) 303

[표 23]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2순위), 집단변수별 303

[표 24]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3순위) 304

[표 25]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3순위), 집단변수별 304

[표 26]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1+2+3순위) 305

[표 27] 연구원 설립 및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사항(1+2+3순위), 집단변수별 305

[표 28] 기능 및 역할_"CT 원천(핵심)기술 개발, 확보" 306

[표 29] 기능 및 역할_"CT 응용(상용화)기술의 개발, 확보" 307

[표 30] 기능 및 역할_"전통문화 육성을 위한 CT 응용기술 개발" 308

[표 31] 기능 및 역할_"CT 기술의 표준화" 309

[표 32] 기능 및 역할_"중소기업 기술 상용화 지원" 310

[표 33] 기능 및 역할_"CT 분야 고급인력(인재) 육성" 311

[표 34] 기능 및 역할_"CT 산업의 글로벌(해외) 시장 개척 지원" 312

[표 35] 기능 및 역할_"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CT 융합역량 배양(공동연구 수행)" 313

[표 36] 기능 및 역할_"문화상품 기획, 수요 및 시장 동향 조사" 314

[표 37] 기능 및 역할_"CT 관련 장비(기자재) 및 시설 지원" 315

[표 38] 기능 및 역할_"CT 분야 전문교육 실시" 316

[표 39]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기능과 역할 평가(5점 척도) 317

[표 40] 기능과 역할_"CT 원천(핵심)기술 개발, 확보" 317

[표 41] 기능과 역할_"CT 응용(상용화) 기술의 개발, 확보" 318

[표 42] 기능과 역할_"전통문화 육성을 위한 CT응용기술 개발" 318

[표 43] 기능과 역할_"CT 기술의 표준화" 319

[표 44] 기능과 역할_"중소기업 기술 상용화 지원" 319

[표 45] 기능과 역할_"CT 분야 고급인력(인재) 육성" 320

[표 46] 기능과 역할_"CT 산업의 글로벌(해외) 시장 개척 지원" 320

[표 47] 기능과 역할_"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CT 융합역량 배양(공동연구 수행)" 321

[표 48] 기능과 역할_"문화상품 기획, 수요 및 시장 동향 조사" 321

[표 49] 기능과 역할_"CT 관련 장비(기자재) 및 시설 지원" 322

[표 50] 기능과 역할_"CT 분야 전문교육 실시" 322

[표 5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본 방향 323

[표 5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의 기본 방향(집단변수별) 323

[표 53]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핵심 사업 324

[표 54]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핵심 사업(집단변수별) 324

[표 55]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이 지향해야 할 조직구성 및 운영형태 325

[표 56]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이 지향해야 할 조직구성 및 운영형태(집단변수별) 325

[표 57]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적정 인력 규모 326

[표 58] 한국문화기술연구원의 적정 인력 규모(집단변수별) 326

[표 59]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327

[표 60]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집단변수별) 327

[표 61]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1순위) 328

[표 62]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1순위),(집단변수별) 328

[표 63]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2순위) 329

[표 64]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2순위)(집단변수별) 329

[표 65]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3순위) 330

[표 66]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3순위)(집단변수별) 330

[표 67]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조성 시 우선 도입 시설(1+2+3순위) 331

[표 68]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운영 시 기대 효과 332

[표 69]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운영 시 기대 효과(집단변수별) 332

[그림 1] 응답자 성별(원문불량) 286

[그림 2] 응답자 연령대 287

[그림 3] 응답자 직업 288

[그림 4]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 문화산업 경쟁력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이다"(원문불량) 289

[그림 5]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국제적 경쟁력을 위해 문화기술 전담 연구기관은 설립되어야 한다"(원문불량) 290

[그림 6] 인식 및 평가_"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문화산업과 이를 지원하는 문화기술이 중요하다"(원문불량) 291

[그림 7] 인식 및 평가_"우리나라의 문화기술에 대한 R&D 투자는 타 6T 분야에 대해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원문불량) 292

[그림 8] 인식 및 평가_"문화기술의 융합성과 4차 산업혁명시대를 고려하여 기존의 국책연구기관과는 다른 형태의 조직과 운영방안이 필요하다"(원문불량) 293

[그림 9] 설립타당성 관련 인식 및 평가(5점 척도)(원문불량) 294

[그림 10] 기능 및 역할_"CT 원천(핵심)기술 개발, 확보"(원문불량) 306

[그림 11] 기능 및 역할_"CT 응용(상용화)기술의 개발, 확보"(원문불량) 307

[그림 12] 기능 및 역할_"전통문화 육성을 위한 CT 응용기술 개발"(원문불량) 308

[그림 13] 기능 및 역할_"CT 기술의 표준화"(원문불량) 309

[그림 14] 기능 및 역할_"중소기업 기술 상용화 지원"(원문불량) 310

[그림 15] 기능 및 역할_"CT 분야 고급인력(인재) 육성" 311

[그림 16] 기능 및 역할_"CT 산업의 글로벌(해외) 시장 개척 지원"(원문불량) 312

[그림 17] 기능 및 역할_"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CT 융합역량 배양(공동연구 수행)(원문불량) 313

[그림 18] 기능 및 역할_"문화상품 기획, 수요 및 시장 동향 조사"(원문불량) 314

[그림 19] 기능 및 역할_"CT 관련 장비(기자재) 및 시설 지원"(원문불량) 315

[그림 20] 기능 및 역할_"CT 분야 전문교육 실시"(원문불량) 31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20984 338.4779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20985 338.4779 -19-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