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연구. 1, 모니터링 체제 설계 / 연구책임자: 김혜숙 ; 공동연구자: 이미경, 양윤정, 배주경, 이영미, 김종윤, 박일수, 이승은 인기도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청구기호
379.155 -19-2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 246, 150 p. : 삽화, 서식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C 2018-5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7477
제어번호
MONO1201922802
주기사항
부록: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도구모음
참고문헌: p. 233-242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2. 연구 내용 22

3. 연구 방법 25

Ⅱ. 이론적 탐색 27

1.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관련 선행연구 분석 28

가.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29

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교육과정 평가 체제 개발 연구 32

2.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관련 국외 사례 36

3.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의 의미와 범위 40

가. 교육과정 모니터링의 개념 40

나.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의 의미와 범위 추출 44

Ⅲ. 교육과정 실행 및 모니터링 실태조사 49

1.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및 모니터링 실태 50

가. 교육과정 실행 지원 52

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55

2.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실행 및 모니터링 실태 57

가. 교육과정 실행 지원 58

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72

3. 학교와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및 모니터링 실태 81

가. 학교 교육과정 계획 및 실행 83

나. 학교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및 모니터링 88

다. 교사의 교과 교육과정 실행 및 모니터링 95

4. 요약 및 시사점 103

Ⅳ.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분석 108

1. 교과 공통 및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109

가. 교과 공통의 주요 특징 109

나. 학교급별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112

2. 교과별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113

가. 국어과 113

나. 사회과 118

다. 과학과 124

라. 영어과 127

마. 음악과 131

바. 미술과 137

3. 요약 및 시사점 143

Ⅴ.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설계 149

1.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설계 방향 설정 150

가.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설계의 전제 150

나.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설계의 방향 152

2.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156

가.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의 개요 156

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61

다.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79

라. 학교/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86

3.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의 현장 적합성 검토 192

가. 모니터링 체제 및 도구의 개발과 1차 현장 적합성 검토 192

나. 2차 현장 적합성 검토 194

4.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의 적용 및 결과 활용 방향 탐색 196

가. 모니터링 체제의 적용 196

나. 모니터링 결과 활용 205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207

1. 요약 208

2. 정책 제언 214

참고문헌 242

ABSTRACT 252

[부록]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도구모음 256

Ⅰ. 국가수준 259

01. 국가수준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 260

0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실태조사 면담지 264

03.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지 267

04.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실행 실태 및 인식 조사 설문지 274

초등학교 국어 275

초등학교 사회 282

초등학교 과학 288

초등학교 영어 297

초등학교 음악 303

초등학교 미술 310

중학교 국어 318

중학교 사회 328

중학교 과학 336

중학교 영어 344

중학교 음악 350

중학교 미술 358

Ⅱ. 시도수준 365

05. 시도수준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 366

06.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지 370

07. 학교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 및 요구 조사 설문지 379

08.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요구 조사 면담지 387

Ⅲ. 학교 및 교사수준 388

09. 학교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 389

10. 교사의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 393

11.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위한 수업 관찰지 395

12.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위한 자기 수업 성찰지 399

판권기 2

〈표 Ⅱ-2-1〉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에 대한 국외 사례의 주요 특징 38

〈표 Ⅱ-3-1〉 교육과정 모니터링과 유관 개념 42

〈표 Ⅱ-3-2〉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과정 모니터링 43

〈표 Ⅲ-1-1〉 2018년 교육과정 국가시책사업 내용 51

〈표 Ⅲ-1-2〉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과별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 내역 52

〈표 Ⅲ-1-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개발 내역 53

〈표 Ⅲ-1-4〉 교원 연수 관련 교육부, 시도교육청, 단위 학교의 역할 53

〈표 Ⅲ-1-5〉 교육부 요청 교육과정 연구학교 현황 54

〈표 Ⅲ-1-6〉 2018 교육과정 연구학교 컨설팅 업무 개요 56

〈표 Ⅲ-2-1〉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및 모니터링 관련 업무 58

〈표 Ⅲ-2-2〉 시도교육청 교과 교육과정 포괄적 핵심질문 예시(경기도 교육청 사례 재구성) 60

〈표 Ⅲ-2-3〉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안내 자료 예시 62

〈표 Ⅲ-2-4〉 교육과정 재구성 연수 자료 내용 예시(인천광역시교육청 사례) 64

〈표 Ⅲ-2-5〉 시도교육청 주관 교육과정 관련 정책연구 추진 예시(경기도교육청 사례 재구성) 65

〈표 Ⅲ-2-6〉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 연수 예시(경상북도교육청 사례 재구성) 66

〈표 Ⅲ-2-7〉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기별 연수 내용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68

〈표 Ⅲ-2-8〉 찾아가는 맞춤형 연수 예시(인천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69

〈표 Ⅲ-2-9〉 교육과정 전문가 10,000명 양성 연수 인원 예시(대구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70

〈표 Ⅲ-2-10〉 교과 교육과정 실행 관련 연구학교 운영 예시(대구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70

〈표 Ⅲ-2-11〉 2018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생 교육과정 분석 보고서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75

〈표 Ⅲ-2-12〉 시도교육청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점검 내용 예시(경상북도교육청 사례 재구성) 75

〈표 Ⅲ-2-13〉 학교 자체 평가 공통 지표 예시(인천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76

〈표 Ⅲ-3-1〉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 실태 파악을 위한 교과별 전문가협의회 개요 82

〈표 Ⅲ-3-2〉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 실태조사를 위한 학교 방문 개요 82

〈표 Ⅲ-3-3〉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자체 평가 사례 94

〈표 Ⅲ-3-4〉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자체 평가(일부) 사례 95

〈표 Ⅲ-3-5〉 B중학교의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예시 99

〈표 Ⅳ-1-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역량 110

〈표 Ⅳ-1-2〉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교과별 역량 110

〈표 Ⅳ-2-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역량 113

〈표 Ⅳ-2-2〉 국어 교과 성취기준의 이동(예시) 115

〈표 Ⅳ-2-3〉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 교과역량 119

〈표 Ⅳ-2-4〉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습량 적정화 사례: 중학교 120

〈표 Ⅳ-2-5〉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 배치 및 단원 순서의 변화 123

〈표 Ⅳ-2-6〉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단원 구성의 변화 123

〈표 Ⅳ-2-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역량 124

〈표 Ⅳ-2-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교과역량 127

〈표 Ⅳ-2-9〉 2015 개정 영어과 학교급별 내용 체계 128

〈표 Ⅳ-2-10〉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성취기준 129

〈표 Ⅳ-2-11〉 2015 개정 영어과 언어 형식 목록 130

〈표 Ⅳ-2-1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역량 132

〈표 Ⅳ-2-13〉 2009 개정 음악과의 내용 체계와 2015 개정 음악과의 내용 체계 중 내용 요소 133

〈표 Ⅳ-2-14〉 2009 개정과 2015 개정의 생활화 영역의 성취기준 136

〈표 Ⅳ-2-15〉 총론 핵심역량과 미술 교과역량의 관계 137

〈표 Ⅳ-2-16〉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반영된 '미적 감수성' 역량 138

〈표 Ⅳ-2-17〉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반영된 교과역량 139

〈표 Ⅳ-2-18〉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학년군별 내용 요소 140

〈표 Ⅳ-2-19〉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학년군별 성취기준 수준 조정 141

〈표 Ⅳ-2-20〉 초등학교 미술 3-4학년 '체험'의 영역별 설명, 성취기준, 학습 요소 141

〈표 Ⅳ-2-21〉 초등학교 미술 3-4학년 '체험' 성취 기준별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142

〈표 Ⅴ-2-1〉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도구의 개요 157

〈표 Ⅴ-2-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61

〈표 Ⅴ-2-3〉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에 대한 모니터링 내용 162

〈표 Ⅴ-2-4〉 국가수준의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 예시 164

〈표 Ⅴ-2-5〉 국가수준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1) 및 국가수준의 시도 대상 면담지(2)의 비교(예시) 165

〈표 Ⅴ-2-6〉 국가수준의 시도 대상 면담지(2) 및 학교 및 교사대상 설문지(3)의 비교(예시) 167

〈표 Ⅴ-2-7〉 교과 공통 문항 내용 169

〈표 Ⅴ-2-8〉 교과 공통 문항의 예 171

〈표 Ⅴ-2-9〉 초ㆍ중학교 국어과 설문 내용 172

〈표 Ⅴ-2-10〉 초ㆍ중학교 사회과 설문 내용 173

〈표 Ⅴ-2-11〉 초ㆍ중학교 과학과 설문 내용 174

〈표 Ⅴ-2-12〉 초ㆍ중학교 영어과 설문 내용 176

〈표 Ⅴ-2-13〉 초ㆍ중학교 음악과 설문 내용 177

〈표 Ⅴ-2-14〉 초ㆍ중학교 미술과 설문 내용 178

〈표 Ⅴ-2-15〉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79

〈표 Ⅴ-2-16〉 시도의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의 개요 180

〈표 Ⅴ-2-17〉 시도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5) 및 인식 조사 설문지(6)의 비교(예시) 182

〈표 Ⅴ-2-18〉 학교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 및 요구조사 설문지의 개요 184

〈표 Ⅴ-2-19〉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요구조사 면담지의 개요 185

〈표 Ⅴ-2-20〉 학교/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86

〈표 Ⅴ-2-21〉 학교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의 개요 187

〈표 Ⅴ-2-22〉 교사 자기점검용 체크리스트의 개요 188

〈표 Ⅴ-2-23〉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위한 수업 관찰지의 개요 190

〈표 Ⅴ-2-24〉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위한 자기 수업 성찰지의 개요 191

〈표 Ⅴ-3-1〉 1차 현장 적합성 검토 개요 및 참여자 193

〈표 Ⅴ-3-2〉 1차 현장 적합성 검토 후 모니터링 체제 수정 사례 194

〈표 Ⅴ-3-3〉 2차 현장 적합성 검토 개요 및 참여자 195

〈표 Ⅴ-4-1〉 학교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지표 의미 해설 및 실시 유의 사항 예시 200

〈표 Ⅵ-2-1〉 교육과정 컨설팅지원단의 구성 및 역할 221

〈표 Ⅵ-2-2〉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단계에 따른 모니터링의 주요 방향과 내용 234

〈표 Ⅵ-2-3〉 호주의 교과 교육과정 실행 연차별 컨설팅 주제와 내용 235

〈표 Ⅵ-2-4〉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시기 236

〈표 Ⅵ-2-5〉 2015 개정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 따른 주기별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주제 및 내용(예시) 237

[그림 Ⅰ-1-1] 1차년도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 24

[그림 Ⅱ-1-1]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을 위한 일반 분석틀 30

[그림 Ⅱ-1-2] 교육과정평가의 3차원 모형 32

[그림 Ⅱ-1-3] 국가 교육과정 평가 체제 기본 틀의 세부 내용 33

[그림 Ⅱ-3-1] 교과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범위 45

[그림 Ⅱ-3-2]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개발 절차 48

[그림 Ⅲ-2-1] 시도교육청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내용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60

[그림 Ⅲ-2-2] 고교 과목 선택 안내 자료 '과목백서' 표지와 본문 내용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63

[그림 Ⅲ-2-3] 시도교육청의 연구학교 컨설팅 지원 체계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72

[그림 Ⅲ-2-4] 학교 교육과정 편성 점검 절차 73

[그림 Ⅲ-2-5] 학교 교육과정 편제표 점검 내용과 컨설팅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74

[그림 Ⅲ-2-6] 학교 자율 지표 개발 안내 자료 예시(인천광역시교육청 사례 재구성) 77

[그림 Ⅲ-2-7]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컨설팅 체계 78

[그림 Ⅲ-2-8] 수업 장학 연수 예시(대전광역시교육청 사례) 79

[그림 Ⅲ-2-9] 시도교육청 교육모니터단 의견 탑재 및 처리 과정(경상북도교육청 사례) 80

[그림 Ⅲ-3-1] 학교알리미 공시 항목: 초등학교 예시 83

[그림 Ⅲ-3-2]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일반적인 절차 85

[그림 Ⅳ-2-1]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핵심 개념-기능-성취기준 관계도 예시 138

[그림 Ⅴ-1-1] 교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체제 154

[그림 Ⅴ-1-2]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주체 및 방법 156

[그림 Ⅴ-2-1]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위한 자기 수업 성찰지 예시 191

[그림 Ⅴ-4-1] 2015 개정 교과별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추진 절차 예시 199

[그림 Ⅵ-2-1] 정책 제언의 개요 215

[그림 Ⅵ-2-2] 교과별 교사학습공동체 중심의 교과 교육과정 모니터링 218

[그림 Ⅵ-2-3] 교육과정 실행 지원단의 구성안 223

[그림 Ⅵ-2-4]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도구 활용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의 단계 227

[그림 Ⅵ-2-5]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과 관련 사이트의 통합 운영(제1안) 230

[그림 Ⅵ-2-6]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과 관련 사이트의 연동ㆍ운영(제2안) 231

[그림 Ⅵ-2-7] 교육과정 실행 지원 전담 기구의 설립과 역할 23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56910 379.155 -19-2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56911 379.155 -19-2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