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나노물질 그룹핑을 통한 평가기법 연구 = Grouping approach for risk assessment of nanomaterials / 국립환경과학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8
청구기호
363.17 -19-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 275, [86]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NIER-SP ; 2018-127
연구과제보고서 ; 2018
제어번호
MONO1201925325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영훈
부록: 1. Gracious 출장 귀국보고서 ; 2. 나노물질 그룹핑 문헌조사 DB
참고문헌: p. 239-240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I. 서론 23

1. 과업명 23

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3

2-1. 국가 나노물질 안전관리 관련 연구 방향 : 독성 예측기술 23

2-2. 2018년 2월까지의 나노물질별 위해성 논문 출판동향 : 자료의 축적 25

2-3. 나노물질 위해성 연구 개념의 전환 필요 : 상관성 분석 26

2-4.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나노입자의 독성 : 그룹핑의 필요 27

2-5. 그룹핑과 read across 연구 동향 : 나노물질 적용성 부족 28

2-6. 화학물질에 적용된 QSAR, read across, WoE : 나노 적용성 파악 필요 29

2-7. 머신러닝 기반 나노물질 위해성 평가 : 희귀분석 적용 가능 31

2-8. 머신러닝을 위한 데이터 정제 및 변환 : 나노물성 DB의 가공 필요 33

3. 연구목표 34

II. 연구내용 및 방법 35

1. 연구의 범위 35

2. 연구방법 37

2-1. 나노물질의 유해성예측 기법 조사 37

2-2. 나노물질의 유해성평가를 위한 그룹화, 분류 및 Read across 39

2-3. 국내 나노물질 관리를 위한 그룹화, 분류, Read across 48

3. 연구추진 전략 51

3-1. 연구팀 구성 51

3-2. 연구분야에 대한 역할분담 52

3-3. 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위원진 구성(안) 52

3-4. 업무보고 추진 체계 52

III. 연구결과 및 고찰 53

1. 나노물질의 유해성 예측 기법 조사 53

1-1. 화학물질 유해성 예측 기법 조사 53

1-2. 나노물질 유해성 예측 기법 조사 63

2. 나노물질의 유해성평가를 위한 그룹화, 분류 및 Read across 88

2-1. 그룹화를 위한 나노물질 물성 및 독성에 관한 DB 구축 88

2-2. 나노물질 그룹화 방법론 도출 127

2-3. 그룹핑 적용성 평가 182

3. 국내 나노물질 관리를 위한 그룹화, 분류 및 Read across 236

3-1. 그룹화, read across의 국내법 적용가능성 분석 236

3-2. 나노물질 평가 방안 마련 244

IV. 결론 255

1. 과업지시서 세부 업무 내용에 따른 해당 챕터 255

2. 세부 1 결론. 나노물질의 유해성예측 기법 조사 255

3. 세부 2 결론. 나노물질의 유해성평가를 위한 그룹화, 분류 및 Read across 256

4. 세부 3 결론. 국내 나노물질 관리를 위한 그룹화, 분류 및 Read across 257

V. 기대효과(활용방안) 259

VI. 참고문헌 261

VII. 부록 263

1. 국외출장보고서 263

2. 문헌조사 DB 289

Table 1-1. 나노안전관리종합계획 내 중점과제 목록 24

Table 1-2. QSAR 결과를 시험자료에 대체하여 제출할 수 있는 항목 30

Table 2-1. 연구개발의 세부내용 36

Table 2-2. 환경 및 인체 유해성 endpoint 항목 40

Table 2-3. TiO₂에 관한 PChem 및 endpoint 속성에 관한 DB 구축예시 41

Table 2-4. 연구분야별 역할 분담 52

Table 2-5. 업무보고 추진 체계 52

Table 3-1-1. Read across 시나리오에서 제안된 카테고리 일부-SCCAs 56

Table 3-1-2. 단계별 카테고리 접근법에 따른 상세 내용 57

Table 3-1-3. 화학물질 관리 규제 상 나노물질 그룹핑 접근 연구 현황 65

Table 3-1-4. 그룹핑에 관한 문헌정리 68

Table 3-1-5. 나노물질의 그룹화에 사용된 기준 및 해당 단계별 상호 관계-물질특성 70

Table 3-1-6. 나노물질의 그룹화에 사용된 기준 및 해당 단계별 상호 관계-노출 및 독성 특성 70

Table 3-1-7. DF4nanoGrouping를 통한 주요그룹 선정 과정(탄소계 나노물질) 72

Table 3-1-8. 인체 및 환경 노출 및 거동과 관련된 주요 파라미터(일부) 83

Table 3-1-9. 환경 메커니즘에서의 잠재적 및 추가 평가된 물리화학적 특성 항목 84

Table 3-1-10. TiO₂의 환경 거동 모델링을 위한 주요 항목(상대평가) 86

Table 3-1-11. Carbon black의 환경 거동 모델링을 위한 주요 항목(상대평가) 86

Table 3-1-12. 나노물질별 환경 거동 모델링을 위한 주요 항목(상대평가) 87

Table 3-2-1. 화평법내 톤수 범위에 따른 제출 시험자료 88

Table 3-2-2. 톤수별 환경 유해성(생태 영향) 평가항목 일부 89

Table 3-2-3. 화평법상 일부 시험항목별 자료 생산 현황 90

Table 3-2-4. 국제기구 및 주요 선진국의 나노물질 정의 91

Table 3-2-5. 국내법상에서 정의하고 있는 나노 91

Table 3-2-6. OECD WPMN에서 제시한 대표제조나노물질 시험을 위한 endpoint 그룹 92

Table 3-2-7. 그룹핑 연구 사례 조사를 통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유해성 endpoint 항목 95

Table 3-2-8. 국내외 그룹핑 기법에서 사용한 물성 및 유해성 endpoint rank 96

Table 3-2-9. ITS-NANO 방법론에 의한 descriptor의 구분 97

Table 3-2-10. 물성 인자들의 세부 이해 98

Table 3-2-11. 상위 5개 생물종에 관한 상세 나노물질별 DB 수 108

Table 3-2-12. AI₂O₃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1

Table 3-2-13. CeO₂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1

Table 3-2-14. FeNP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1

Table 3-2-15. CNT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2

Table 3-2-16. SiO₂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2

Table 3-2-17. AgNP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3

Table 3-2-18. ZnO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3

Table 3-2-19. TiO₂ 속성값의 최대/최소/평균과 2종 속성간의 분산성 114

Table 3-2-20. EC50 endpoint에 미치는 물성들의 상관계수 : 생물종 효과(이미지참조) 118

Table 3-2-21. EC50 endpoint에 미치는 물성들의 상관계수 : 나노물질 효과(이미지참조) 122

Table 3-2-22. 그룹화 방법론 비교 127

Table 3-2-23. 나노물질별 물성의 상관계수 지배 순서 134

Table 3-2-24. 군집별 평균 물성값와 표준편차 139

Table 3-2-25. 군집별 EC50 endpoint에 미치는 물성들의 상관계수 : k-prototype 결과(이미지참조) 140

Table 3-2-26. K-protoiype 군집별 나노물질별 물성의 상관계수 지배 순서 140

Table 3-2-27. 그룹화 방법론에 따른 기준 물성 파악 145

Table 3-2-28. EC50 범위에 따른 물성별 적용 범위값(이미지참조) 146

Table 3-2-29. DF4nanoGroup에서 사용한 tier approach와 기준 물성 148

Table 3-2-30. 군집3 구성물질별 물성 평균과 표준편차 152

Table 3-2-31. 군집3 구성 상세 그룹별 물성 평균값과 표준편차 152

Table 3-2-32. SEG4nano 방식을 이용한 나노물질 그룹핑 156

Table 3-2-33. AEG4nano 방법론에 의한 G3 그룹내 우선순위 결정표 158

Table 3-2-34. DNN 분류분석을 통한 그룹별 예측 성공률 167

Table 3-2-35. KNN 분류분석을 통한 그룹별 예측 성공률 168

Table 3-2-36. Logistic regression(C 100) 분류분석을 통한 그룹별 예측 성공률 169

Table 3-2-37. Decision trees(depth 3) 분류분석을 통한 그룹별 예측 성공률 171

Table 3-2-38. SVM 분류분석을 통한 그룹별 예측 성공률 172

Table 3-2-39.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에 따른 분류분석 정확도 비교 173

Table 3-2-40. Data set에 관한 코드 부여 작업 185

Table 3-2-41. 결측치 해소 방법론에 따른 5점 척도 개선 비율 정리 191

Table 3-2-42. 딥러닝 모델의 레이어, 에포크, 연산속도 194

Table 3-2-43. 나노물질 선정 대상의 우선순위 결정 207

Table 3-2-44. OECD WPMN testing programme에서 사용한 나노물질 208

Table 3-2-45. 선정된 나노물질 목록 208

Table 3-2-46. OECD WPMN 분석에 의한 특성별 적용 가능한 분석법 정리 209

Table 3-2-47. 선정된 나노물질 분석 결과 211

Table 3-2-48. Daphina magna 배양액의 각 물질별 농도 217

Table 3-2-49. 시료별 분산조건 및 HDD 220

Table 3-2-50. 대상 나노물질에 관한 농도별 치사율과 EC50(이미지참조) 221

Table 3-2-51. 신규 12개 나노물질의 머신러닝에 의한 분류분석 224

Table 3-2-52. 신규 12개 나노물질의 물성기반 AEG4nano 방식의 유해등급별 그룹핑 224

Table 3-2-53. AEG4nano 방법론에 의한 12개 신규 나노물질에 관한 위해성 우선순위 결정 225

Table 3-2-54. 머신러닝 모델별 독성 예측 오차 분석에 따른 적합성 평가 : 원자료 227

Table 3-2-55. 머신러닝 모델별 독성 예측 오차 분석에 따른 적합성 평가 : 로그 변환 228

Table 3-2-56. 머신러닝 모델별 독성 예측 오차 분석에 따른 적합성 평가 : 분류분석 229

Table 3-3-1. 국가별 나노물질 등록 시 요구되는 제출 물성 항목 236

Table 3-3-2. 나노물질 독성(EC50)을 지배하는 인자의 우세성(이미지참조) 237

Table 3-3-3. 나노물질별 유해성과 관련된 지배적인 물성인자 237

Table 3-3-4.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내 시험항목별 시험면제조건의 나노물질 적용 241

Table 3-3-5. 그룹화 방법론의 한계점 요약 245

Table 3-3-6. Read across 적용의 한계점 요약 247

Table 3-3-7. 톤수별 환경 유해성(생태영향) 평가항목 252

Table 4-1. 과업지시서 이행 여부 255

Fig. 1-1. 나노물질의 위해성평가 결과에 관한 문헌수 25

Fig. 1-2. 인과관계와 상관관계의 예시 : 아이스크림 섭취량과 물놀이 사고의 상관성 27

Fig. 1-3. 나노물질의 독성을 유발하는 물성과 독성인자 28

Fig. 1-4.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에 관한 그룹핑 예시 29

Fig. 1-5. WoE로 활용 가능한 대체시험법 30

Fig. 1-6. 머신러닝 방법의 분류 31

Fig. 1-7. 회귀트리를 이용한 독성 회귀분석 32

Fig. 2-1. 연구주제별 세부내용 및 담당기관 36

Fig. 2-2. QSAR 및 read across 정의에 따른 적용 사례 조사 37

Fig. 2-3. 나노물질 유해성예측 적용 사례 조사 및 분석 38

Fig. 2-4. 나노물질의 환경 중 노출 39

Fig. 2-5. 그룹화를 통한 나노물질 분류 방법(안) 39

Fig. 2-6. 나노물질의 전과정 관점 해석을 통한 tier approach에 활용할 특성인자 도출 42

Fig. 2-7. GRAQOUS-OECD 공동워크숍 44

Fig. 2-8. DB 그룹핑 및 전처리 순서도 44

Fig. 2-9. 다중선형회귀 모델 45

Fig. 2-10. 딥러닝 모델 46

Fig. 2-11. 회귀트리 모델 46

Fig. 2-12. 모델의 성능평가 지표 47

Fig. 2-13. 물벼룩 독성 시험을 통한 머신러닝 예측 모델 검증 47

Fig. 2-14. OECD WPMN 그룹핑 전문가 서면 의견 청취 48

Fig. 2-15. 유관 법령 내 나노물질 유해성예측을 위한 필수 인자 도출 49

Fig. 2-16. 전산모델링을 통한 독성예측에 관한 방향성 예시 50

Fig. 2-17. 최종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주제별 추진전략 51

Fig. 3-1-1. 화학물질 대상의 데이터 갭 보완을 위한 접근법 54

Fig. 3-1-2. read across 예측 기법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선택의 도식적 표현 55

Fig. 3-1-3. QSAR 개요 및 QSAR 모델을 이용한 물질자료의 생산과정 개요 58

Fig. 3-1-4. QSAR 모델의 적합성 판단 기준 59

Fig. 3-1-5. EPI Suite™ v4.0-US EPA'S QSAR 프로그램 60

Fig. 3-1-6. QSAR 프로그램을 통한 유전독성 예측 향상 연구 프로세스 62

Fig. 3-1-7. 물리화학적 특성 프레임워크 개요 63

Fig. 3-1-8. 물리화학적 특성 결정 프레임워크 및 측정 보고를 위한 가이드라인 프로세스 64

Fig. 3-1-9. 제조나노물질 그룹핑 기준 및 그룹 66

Fig. 3-1-10. 나노물질 독성 예측을 위한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접근법 67

Fig. 3-1-11. 나노 특이적 우선 순위화 및 위해성평가 접근 방식 단계 흐름도 69

Fig. 3-1-12. 나노물질 그룹화 및 테스트를 위한 의사결정 체계도 71

Fig. 3-1-13. 나노물질 특성화를 위한 주요 물리화학적 특성 73

Fig. 3-1-14.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에 의해 유도된 ZHE1 억제 기전 사례 3가지 74

Fig. 3-1-15. 예측모델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75

Fig. 3-1-16. (a) 데이터세트 중 누락된 물리화학적 특성 맵, (b) 전처리 단계별 데이터세트, (c)... 76

Fig. 3-1-17. nano-QSAR 모델을 활용한 세포독성 예측 결과 77

Fig. 3-1-18. S2NANO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safety screening 시스템 78

Fig. 3-1-19. 베타 분석을 위한 전체 업무 흐름도 79

Fig. 3-1-20. 나노물질의 환경 노출에 따른 주요 변환 과정 81

Fig. 3-1-21. 유해성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일부(인체 및 환경) 82

Fig. 3-1-22. 환경에 노출된 나노물질의 잠재적 변환 과정 및 영향 85

Fig. 3-2-1. 나노물질 인체 노출경로에 따른 연관되는 물성 descriptor 99

Fig. 3-2-2. 나노물질 생태 노출경로에 따른 연관되는 물성 descriptor 100

Fig. 3-2-3. 금속 나노입자의 항균 작용과 관련된 기작 101

Fig. 3-2-4. Trojan-horse 기작에 의한 AgNP의 세포내 침투 101

Fig. 3-2-5. 27가지 속성 값에 따른 문헌조사 DB 일부 103

Fig. 3-2-6. EC50 자료를 지닌 나노물질별 문헌 수(이미지참조) 105

Fig. 3-2-7. 생물종에 따른 나노물질 DB 수 106

Fig. 3-2-8. 상위 5개 생물종에 관한 상세 나노물질 DB 구성 107

Fig. 3-2-9. 이종 속성간 데이터 분산 예시 : 물벼룩, AgNP, 크기-EC50(이미지참조) 109

Fig. 3-2-10. 이종 속성간 데이터 분산 예시 : 물벼룩, AgNP, 크기-응집 109

Fig. 3-2-11. 이종 속성간 데이터 분산 예시 : 물벼룩, SiO₂, 크기-EC50(이미지참조) 110

Fig. 3-2-12. 이종 속성간 데이터 분산 예시 : 물벼룩, CNT, 크기-EC50(이미지참조) 110

Fig. 3-2-13. Tornado diagram을 이용한 물질별 변수 data의 분산 경향 115

Fig. 3-2-14. 피어슨 상관계수(r)에 따른 상관 경향 116

Fig. 3-2-15. Fish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17

Fig. 3-2-16. Microalgae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18

Fig. 3-2-17. Water flea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19

Fig. 3-2-18. Al₂O₃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0

Fig. 3-2-19. CeO₂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1

Fig. 3-2-20. CNT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2

Fig. 3-2-21. SiO₂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3

Fig. 3-2-22. AgNP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4

Fig. 3-2-23. TiO₂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5

Fig. 3-2-24. ZnO 상관계수에 관한 heat map 126

Fig. 3-2-25. EC50- 크기 간의 2차원 군집화(이미지참조) 129

Fig. 3-2-26. EC50- 비표면적 간의 2차원 군집화(이미지참조) 130

Fig. 3-2-27. EC50- 제타전위 간의 2차원 군집화(이미지참조) 131

Fig. 3-2-28. EC50-AR(모양)간의 2차원 군집화(이미지참조) 133

Fig. 3-2-29. EC50-응집 간의 2차원 군집화(이미지참조) 133

Fig. 3-2-30. 나노물질별 지배물성에 관한 유사성 diagram : key spinner 135

Fig. 3-2-31. 나노물질별 지배물성에 관한 유사성 diagram : 독립 군집화 cut 135

Fig. 3-2-32. K-means에 의한 중심 값 찾는 방법에 관한 도식 136

Fig. 3-2-33. K-means 클러스터링에서 k 개수에 따른 분산오차 감소 그래프 137

Fig. 3-2-34. DBSCAN 클러스터링에 의한 비구형 군집화 예시 138

Fig. 3-2-35. 그룹별 포함되어 있는 나노물질 구성 139

Fig. 3-2-36. 그룹별 물성-EC50 사이의 상관성에 관한 bubble chart(이미지참조) 141

Fig. 3-2-37. K-prototype에 의해 도출된 군집 0에 관한 물성간의 상관성에 관한 heat map 142

Fig. 3-2-38. K-prototype에 의해 도줄된 군집 1에 관한 물성간의 상관성에 관한 heat map 142

Fig. 3-2-39. K-prototype에 의해 도줄된 군집 2에 관한 물성간의 상관성에 관한 heat map 143

Fig. 3-2-40. K-prototype에 의해 도줄된 군집 3에 관한 물성 간의 상관성에 관한 heat map 143

Fig. 3-2-41. K-prototype에 의해 도출된 군집 5에 관한 물성 간의 상관성에 관한 heat map 144

Fig. 3-2-42. 인과성 해석에 사용 가능한 독성기작 정리도 145

Fig. 3-2-43. 독성학적 기준에 의한 물성 분류 147

Fig. 3-2-44. 신규 나노물질에 관한 요구되는 독성실험 결정트리 149

Fig. 3-2-45. 기준 물성에 의한 나노물질이 그룹별 분류 150

Fig. 3-2-46. 나노물질의 그룹별 분류를 위한 계층적 접근법에 의한 분류 흐름도 151

Fig. 3-2-47. G3 그룹의 입자크기에 따른 EC50 상관 관계(이미지참조) 154

Fig. 3-2-48. G3 그룹의 절대값 제타전위에 따른 EC50 상관 관계(이미지참조) 154

Fig. 3-2-49. G3 그룹의 응집 크기에 따른 EC50 상관 관계(이미지참조) 155

Fig. 3-2-50. G3 그룹의 표면적 크기에 따른 EC50 상관 관계(이미지참조) 155

Fig. 3-2-51. AEG4nano 방식을 이용한 나노물질 그룹핑 157

Fig. 3-2-52. AEG4nano 의 risk matrix 157

Fig. 3-2-53. 신규 나노물질(정보 포함)에 관한 기존 그룹핑 범주의 수정(업데이트) 과정 159

Fig. 3-2-54. 그룹핑을 통한 가용 정보 선택과 read across 수행에 관한 기본 개념 160

Fig. 3-2-55. 데이터의 정규화에 필요한 min-max, standard scaling 방법론 비교 162

Fig. 3-2-56. 원본 자료의 표준화 작업 162

Fig. 3-2-57. 신규 물질에 관한 read across 수행 절차 163

Fig. 3-2-58. 신규 CNT 물성에 관한 기존 물성내 동질성 확인 순서 예시 164

Fig. 3-2-59. 메일에서 스팸을 제거하는 분류분석 수행 예시 165

Fig. 3-2-60. Train, test set 구성에 따른 반복 학습 모식도 166

Fig. 3-2-61. 분류분석 모델에 관한 일반적인 개념도 166

Fig. 3-2-62. DNN 분류분석 모델 적용도 167

Fig. 3-2-63. Depth 2를 적용한 decision tree의 분류분석 170

Fig. 3-2-64. Depth 3를 적용한 decision tree 의 분류분석 171

Fig. 3-2-65. SVM 기법을 이용한 선형(좌) 및 비선형(우) 분류 172

Fig. 3-2-66. Gradous 프로젝트의 WP별 역할 174

Fig. 3-2-67. Gradous 워크숍 일정 175

Fig. 3-2-68. Gradous grouping framework에 관한 목적 개괄 176

Fig. 3-2-69. EU 나노그룹핑에 관한 연구과제간 역할 분담 176

Fig. 3-2-70. Gracious의 공개된 grouping framework 초안(2018.9자) 177

Fig. 3-2-71. IATA에 의한 전략적 접근법 179

Fig. 3-2-72. DF4NanoGrouping, Gracious, ECHA와의 그룹핑 기법 연계도 180

Fig. 3-2-73. Gradous 회의중 breakout 결과에 관한 패널 토의 사진 181

Fig. 3-2-74. 결측치 해소를 위한 작업 수행 절차 182

Fig. 3-2-75. 참고자료 활용전의 물성정보 결측 비율 183

Fig. 3-2-76. 참고자료 활용후의 물성정보 결측 비율 183

Fig. 3-2-77. 원본 자료내 결측치의 5점 척도(막대 구성 : 좌 생태, 우 인체) 184

Fig. 3-2-78. 참고문헌 활용을 통한 수정 자료내 결측치의 5점 척도 184

Fig. 3-2-79. DNN 모식도와 모델링 input, output 데이터 사용수 186

Fig. 3-2-80. Epoch 증가에 따른 DNN 결과 신뢰도 변화 187

Fig. 3-2-81. Epoch 수 변화에 따른 머신러닝 정확도 변화 : 표면적 예측 187

Fig. 3-2-82. 머신러닝을 통한 도출한 응집 변수의 실제값과 예측값 비교 188

Fig. 3-2-83. 머신러닝을 통한 도출한 제타전위 변수의 실제값과 예측값 비교 189

Fig. 3-2-84. 2단계 결측치 해소를 통한 DB의 채움 특성 변화 190

Fig. 3-2-85. 머신러닝을 통한 수정 자료내 결측치의 5점 척도 190

Fig. 3-2-86. 머신러닝을 통한 데이터 분포의 피크폭 감소 확인(우 : 머신러닝 후) 191

Fig. 3-2-87. 머신러닝 개발환경 및 사용 라이브러리 개략도 192

Fig. 3-2-88. Tensorflow 적용한 Pycharm 구동 환경 193

Fig. 3-2-89. 나노물질 그룹핑/read across를 통한 나노물질의 독성값 예측 흐름도 194

Fig. 3-2-90. 독성값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모델 195

Fig. 3-2-91. 독성값 예측을 위한 결정트리 모델 196

Fig. 3-2-92. 독성값 예측을 위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 197

Fig. 3-2-93. Training, test data를 이용한 머신러닝시 under, over fitting 존재 가능성 198

Fig. 3-2-94. 독성 예측 모델에 관한 데이터 훈련 방식 199

Fig. 3-2-95. 그룹별 독성값 예측 모델의 적용 범위 : 크기, 제타전위 202

Fig. 3-2-96. 그룹별 독성값 예측 모델의 적용 범위 : 표면적, 응집크기 203

Fig. 3-2-97. 그룹별 독성값 예측 모델의 적용 범위 : EC50(이미지참조) 204

Fig. 3-2-98. 크기, 응집, 비표면적에 관한 물질별 정규분포도 205

Fig. 3-2-99. 제타전위에 관한 물질별 정규분포도 206

Fig. 3-2-100. 국내 A사 ZnO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2

Fig. 3-2-101. 국외 시그마알드리치 ZnO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2

Fig. 3-2-102. 국내 A사 TiO₂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3

Fig. 3-2-103. 국외 시그마알드리치 TiO₂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3

Fig. 3-2-104. 국외 Degussa TiO₂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4

Fig. 3-2-105. 국내 B사 SiO₂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4

Fig. 3-2-106. 국외 시그마알드리치 SiO₂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5

Fig. 3-2-107. 국내 D사 AgNP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5

Fig. 3-2-108. 국내 B사 AgNP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6

Fig. S-2-109. 국외 시그마알드리치 AgNP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6

Fig. 3-2-110. 국외 시그마알드리치 CNT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6

Fig. 3-2-111. 국내 C사 CNT 나노입자의 물성분석 결과 217

Fig. 3-2-112. OECD TG 202에 의한 Daphnia magna 급성 독성 시험 절차 218

Fig. 3-2-113. 물벼룩 독성평가에 관한 실험과정 요약 219

Fig. 3-2-114. 12개 대상 시료에 관한 분산상 사진 220

Fig. 3-2-115. 시그마 TiO₂(좌)와 한화 CNT의 D-R 그래프 222

Fig. 3-2-116. 국내D AgNP(좌)와 국내B AgNP의 용량반응(D-R) 그래프 222

Fig. 3-2-117. 시그마 AgNP(좌)와 시그마 CNT의 D-R 그래프 223

Fig. 3-2-118. 국내A ZnO(좌)와 시그마 ZnO의 용량반응(D-R) 그래프 223

Fig. 3-2-119. 12개 나노물질에 관한 AEG4nano 분류법을 적용한 매트릭스 결과 226

Fig. 3-2-120. 3가지 모델을 이용한 독성 예측 유효성 평가 227

Fig. 3-2-121. OECD WPMN 파리 국제회의 일정 230

Fig. 3-2-122. GRAQOUS 워크숍 포스터 발표 내용 231

Fig. 3-2-123. 회의장 홍보 부스를 통한 국내 연구내용 안내 232

Fig. 3-2-124. 데이터 가공을 통한 테스트용 자료 선별 과정에 관한 개념도 233

Fig. 3-2-125. 그룹핑의 목적 또는 endpoint에 따른 그룹핑 기법 변화 가능성 234

Fig. 3-2-126. 기술별 TRL 수준 정의 235

Fig. 3-3-1. 나노물질 등록에 관한 비시험법 적용 절차 243

Fig. 3-3-2. CuO 나노입자의 Fe 도핑을 통한 Cu 이온 용출 억제 SbD 사례 250

Fig. 3-3-3. 물벼룩 대비 조류, 어류의 EC50 상관성(이미지참조) 251

Fig. 3-3-4. 물벼룩을 이용한 AgNP, AuNP에 관한 ACR 비율 평가 25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13189 363.17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13190 363.17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